맨위로가기

코미스키 파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미스키 파크는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위치했던 야구장으로, 1910년에 개장하여 1990년에 폐장했다.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4번의 월드 시리즈와 3번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을 개최했다. 빌 베엑 구단주 시절 다양한 팬 서비스와 독특한 응원 문화가 형성되었으며, 디스코 데몰리션 나이트와 같은 사건으로도 유명하다. 1991년 철거되었으며, 현재는 개런티드 레이트 필드의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애리조나 카디널스 - 스포츠맨스 파크
    스포츠맨스 파크는 1920년부터 1953년까지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와 카디널스의 홈 구장으로 사용된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의 야구장이었으며, 미식축구 경기장으로도 활용되었고, 현재는 소년 소녀 클럽이 들어서 있다.
  • 애리조나 카디널스 - 부시 메모리얼 스타디움
    부시 메모리얼 스타디움은 미국 세인트루이스에 위치했던 다목적 경기장으로, 야구와 미식축구 경기를 위해 1966년에 개장하여 2005년까지 운영되었으며, NFL과 MLB 경기를 비롯해 콘서트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다가 2006년에 철거되었다.
  • 1910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메도 레인
    메도 레인은 잉글랜드 노팅엄에 위치한 노츠 카운티 FC의 홈 구장으로, 1910년 개장 후 재건축과 개보수를 거쳐 현재 약 2만 석의 좌석과 부대시설을 갖춘 지역 사회의 중심 공간이다.
  • 1910년 완공된 스포츠 시설 - 바턴 스트릿 아레나
  • 일리노이주의 야구장 - 개런티드 레이트 필드
    개런티드 레이트 필드는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홈 구장으로, 좌우대칭 형태와 낮은 펜스, 폭음 스코어보드 등의 특징을 가지며, 건설 과정에서 구단의 협상 전략, 올스타전 및 월드 시리즈 개최, 짐 토미의 500홈런 클럽 가입, 마크 부어리의 퍼펙트 게임 달성 등 다양한 사건으로 알려진 야구장이다.
  • 일리노이주의 야구장 - 사우스 사이드 파크
    사우스 사이드 파크는 시카고에 존재했던 세 야구장의 이름으로, 각각 1884년, 1890-1893년, 그리고 1900-1910년에 다른 야구팀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마지막 구장은 흑인 야구 리그 팀의 홈구장으로도 사용되다 화재로 폐쇄되었다.
코미스키 파크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90년 코미스키 파크, 마지막 시즌
1990년 코미스키 파크, 마지막 시즌
별칭세계 야구 궁전
올드 코미스키 파크
화이트삭스 파크
위치324 West 35th Street, 시카고, 일리노이주
기공1910년
개장1910년 7월 1일
폐장1990년 9월 30일
철거1991년
소유주시카고 화이트삭스
운영시카고 화이트삭스
표면천연 잔디
인조 잔디 내야 (1969년–1975년)
건설 비용미화 75만 달러
건축가재커리 테일러 데이비스
오스본 엔지니어링
시공사George W. Jackson
이전 명칭화이트삭스 파크 (1910년–1912년, 1962년–1975년)
수용 인원28,000명 (1910년–1926년)
52,000명 (1927년–1937년)
50,000명 (1938년)
51,000명 (1939년)
50,000명 (1940년–1946년)
47,400명 (1947년–1953년)
46,550명 (1954년–1972년)
44,492명 (1973년–1982년)
43,695명 (1983년–1985년)
44,087명 (1986년–1987년)
43,931명 (1988년–1989년)
43,951명 (1990년)
최대 관중 기록55,555명 (1973년 5월 20일, 화이트삭스 vs. 미네소타)
최소 관중 기록511명 (1971년 5월 6일, 화이트삭스 vs. 보스턴)
구장 크기 (1910년)
파울 라인363 ft (약 110.6 m)
좌우 중간382 ft (약 116.4 m)
중앙420 ft (약 128.0 m)
백스톱98 ft (약 29.9 m)
구장 크기 (1986년)
파울 라인347 ft (약 105.8 m)
좌우 중간382 ft (약 116.4 m)
중앙409 ft (약 124.7 m)
백스톱86 ft (약 26.2 m)
사용 팀
MLB시카고 화이트삭스 (1910년–1990년)
NFL시카고 카디널스 (1922년–1925년, 1929년–1930년, 1940년–1958년), Card-Pitt (1944년)
AFL시카고 불스 (1926년)
NAL시카고 아메리칸 자이언츠 (1941년–1952년)
NASL시카고 머스탱스 (1967년–1968년), 시카고 스팅 (1980년–1985년)
주요 대회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 개최1933년, 1950년, 1983년

2. 역사

1913년 코미스키 파크. "사우스 사이드(South Side)"라는 명칭은 구장 자체가 아닌 화이트삭스를 지칭한다.


'''코미스키 파크'''는 1910년 찰스 코미스키가 건설한 야구장으로, 원래 이름은 '''화이트삭스 파크(White Sox Park)'''였다. 초기 설계는 에드 월시의 영향으로 투수 친화적이었으나, 이후 여러 차례 개보수를 거쳤다. 1939년에는 조명탑이 추가되었다.[10]

빌 베엑 구단주 시절에는 "폭음 스코어보드", "피크닉 에어리어" 등 다양한 팬 서비스 시설과 이벤트가 도입되어 인기를 끌었다.[22] 칵테일 판매 라운지가 있어 일부 언론인들은 "시카고 최대의 야외 술집"이라고 부르기도 했다.[22]

1980년대에 들어서 구장이 노후화되면서, 구단은 새 구장 건설을 추진했고, 1990년 코미스키 파크는 폐장 후 철거되었다.

2. 1. 구장 건설 배경 및 초기 역사 (1910-1959)

1901년 구단 창단 이래 화이트삭스는 목조로 된 작은 사우스사이드 파크를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1909년 샤이프 파크 건설로 강철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건설된 구장이 유행하기 시작했고, "목조 구장은 더 이상 시대에 뒤떨어졌다"는 분위기가 강해지면서 구단주 찰스 코미스키는 강철과 콘크리트로 지어질 새 구장 건설을 결정했다. 화이트삭스의 투수 에드 월시건축가 Z. 타일러 데이비스에게 미국 각지의 야구장을 견학하게 하여 새 구장의 구상을 세우게 했다. 그리고 코미스키 자신도 한때 쓰레기 매립지였던 토지를 매입하여 1910년 2월 10일에 건설을 시작했다.[10]

내야에 2층 스탠드를 갖춘 새 구장은 5개월 만에 완공되었다. '''화이트삭스 파크''' (''White Sox Park'')로 1910년 7월 1일에 개장했다. 설계에는 투수 월시가 관여했는데, 그의 영향이 컸는지 필드는 넓어서 투수에게 유리하게 설계되었다.[10]

구장의 설계는 화이트삭스 투수 에드 월시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투수 친화적인 규모(파울 폴까지 약 110.34m, 중견수까지 약 128.02m)로 유명했다. 이후 변경이 이루어졌지만, 구장은 대체로 수비 팀에 유리하게 유지되었다. 수년간 이는 화이트삭스의 경기 스타일에 반영되었다. 견고한 수비와 짧고 빠른 안타였다. 이 구장에서는 칼튼 피스크가 94개로 기록을 세웠지만, 100개의 홈런을 친 선수는 없었다.[11]

코미스키 파크에서의 첫 경기는 1910년 7월 1일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에게 2-0으로 패한 경기였다.[3][4] 코미스키 파크에서 열린 첫 번째 노히터는 1911년 8월 27일 에드 월시가 던진 것으로, 보스턴을 상대로 5-0으로 승리했다.[12]

1926년 시즌 종료 후 개수를 실시하여 외야석을 대폭 증설했다. 또한, 중견수 뒤에 있던 스코어보드도 좌익수, 우익수 양쪽 펜스로 이전되었고, 스코어보드 자리에는 객석을 설치했지만, 이는 "타자의 시야를 가린다"는 불평으로 인해 1947년에 철거되었다.

1959년 빌 벡이 구단주로 취임하자 다양한 장치가 시도되었다. 그중에서도 유명한 것이 "피크닉 에어리어"와 "폭음 스코어보드"이다. "피크닉 에어리어"는 좌익수 스탠드 아래에서 선수와 같은 눈높이로 경기를 즐길 수 있는 장소이며, "폭음 스코어보드"는 스코어보드 위에 설치된 풍차가 큰 소리를 내며 돌아가는 연출이다. 이것들은 새 구장에도 계속 채용될 정도로 명물이 되었다.[22]

2. 2. 빌 베엑 시대 (1959-1981)

빌 베엑이 구단주로 취임하면서, 코미스키 파크에는 다양한 팬 서비스를 위한 시설들이 도입되었다. 대표적인 것이 "폭음 스코어보드"와 "피크닉 에어리어"이다.[22] "폭음 스코어보드"는 스코어보드 위에 설치된 풍차가 큰 소리를 내며 돌아가는 장치였고, "피크닉 에어리어"는 좌익수 스탠드 아래에서 선수와 같은 눈높이로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공간이었다.[22] 이러한 시설들은 새로운 구장에도 계승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22] 구장 내에는 칵테일을 판매하는 라운지도 있어, 일부 언론인들은 코미스키 파크를 "시카고 최대의 야외 술집"이라고 부르기도 했다.[22]

1961년, 빌 베엑은 건강 문제로 구단을 아서 앨린 가문에 매각했다. 새 구단주는 구장 이름을 "코미스키 파크"에서 "화이트삭스 파크"로 변경하고, 잔디 유지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내야를 인조 잔디로 교체했다.

하지만 1975년, 빌 베엑은 구단의 시애틀 이전을 막기 위해 다시 구단주로 복귀했고, 구장 이름은 다시 코미스키 파크로, 내야 잔디는 천연 잔디로 환원되었다.[22]

2. 3. 노후화 및 폐장 (1981-1990)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구장 노후화가 눈에 띄게 심해지자, 구단은 다른 도시로 이전하겠다는 암시를 하며 일리노이주시카고시에 새 구장 건설을 요구했다. 결국 자치단체 측이 굴복하여, 1989년 5월 7일에 새 구장 건설이 시작되었다. 1990년 9월 30일, 코미스키 파크에서의 마지막 경기가 열렸다. 이듬해 1991년 1월, 구장 철거가 시작되었다. 현재는 US 셀룰러 필드 주차장에 코미스키 파크의 홈 플레이트가 남아있다. 이후 이 구장의 리뉴얼을 시작으로 1990년대에는 각지에서 신구장 오픈 러시가 이어졌다.[22]

2. 4. 구장 규모 변천

우중간중견1910약 110.64m약 116.43m약 128.02m1911약 110.34m약 116.43m약 128.02m1926약 110.34m약 116.43m약 137.16m1927약 111.25m약 114.30m약 138.68m1930약 110.34m약 114.30m약 137.16m1934약 104.24m약 112.78m약 132.89m1935약 107.59m약 112.78m약 132.89m1936약 103.63m약 112.78m약 128.63m1937약 107.29m약 112.78m약 134.11m1942약 107.29m약 116.43m약 134.11m1949년 4월약 101.19m약 110.34m약 128.02m1949년 5월약 107.29m약 114.30m약 126.49m1951약 107.29m약 114.30m약 124.97m1952약 107.29m약 114.30m약 126.49m1954약 107.29m약 116.43m약 126.49m1955약 107.29m약 111.25m약 126.49m1956약 107.29m약 114.30m약 126.49m1959약 107.29m약 111.25m약 126.49m1968약 107.29m약 114.30m약 126.49m1969약 102.11m약 112.78m약 121.92m1971약 106.38m약 116.43m약 121.92m1976약 106.38m약 116.43m약 134.11m1977약 106.38m약 116.43m약 135.64m1981약 106.38m약 116.43m약 124.66m1983약 103.94m약 114.00m약 122.22m1986약 105.77m약 116.43m약 124.66m



※ 단위는 피트(1피트≒30.48cm)

3. 주요 경기 및 사건

코미스키 파크에서는 월드 시리즈가 네 번 열렸다. 1917년 월드 시리즈에서는 시카고 화이트삭스가 뉴욕 자이언츠를 4승 2패로 꺾고 우승했다. 1918년 월드 시리즈에서는 시카고 컵스가 보스턴 레드삭스에게 4승 2패로 패했다. 1919년 월드 시리즈에서는 블랙삭스 스캔들이 발생하여 화이트삭스가 신시내티 레즈에게 5승 3패로 패했다. 1959년 월드 시리즈에서는 화이트삭스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게 4승 2패로 패했다.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은 세 차례 개최되었다. 1933년 첫 번째 올스타전에서는 베이브 루스의 홈런으로 아메리칸 리그가 승리했다. 1950년 올스타전에서는 테드 윌리엄스가 부상을 당했고, 내셔널 리그가 승리했다. 1983년 올스타전에서는 프레드 린의 만루 홈런으로 아메리칸 리그가 승리했다.

1933년부터 1960년까지는 니그로 리그의 동-서 올스타전이 자주 개최되었으며, 때로는 메이저 리그 올스타전보다 더 많은 관중을 기록하기도 했다.[13]

1979년 7월 12일에는 디스코 데몰리션 나이트라는 이벤트가 열렸는데, 팬들이 경기장에 난입하여 폭동을 일으키면서 경기가 중단되는 소동이 있었다.

그 외에도 1961년과 1985년에는 프로레슬링 경기가 개최되기도 했다.

3. 1. 월드 시리즈

1917년 월드 시리즈에서 시카고 화이트삭스는 뉴욕 자이언츠를 상대로 코미스키 파크에서 1, 2, 5차전을 승리하며 4승 2패로 우승했다.[22] 1918년에는 시카고 컵스가 더 많은 관중을 수용하기 위해 코미스키 파크를 홈구장으로 사용, 보스턴 레드삭스와 경기를 치렀고, 레드삭스는 4승 2패로 우승했다. 1~3차전은 코미스키 파크에서 열렸으며, 레드삭스는 1, 3차전에서 승리했다.[22]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관중 수는 적었으며, 3차전에서 약 27,000명이 최다 관중이었다.

1919년 화이트삭스는 신시내티 레즈와의 경기에서 3, 4, 5, 8차전을 코미스키 파크에서 치렀으나, 3차전 승리를 제외하고 모두 패하며 5승 3패로 패했다. 이 시리즈는 블랙삭스 스캔들로 얼룩졌다.[22]

1959년 화이트삭스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경기에서 1, 2, 6차전을 코미스키 파크에서 치렀고, 1차전 승리에도 불구하고 2, 6차전을 패하며 4승 2패로 패했다. 다저스는 코미스키 파크에서 열린 6차전 승리로 서부 해안 팀 최초로 월드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다.[22]

3. 2. 올스타전

3. 3. 디스코 데몰리션 나이트

1979년 7월 12일, 시카고 화이트삭스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의 더블헤더 경기 사이에 "디스코 데몰리션 나이트"라는 이벤트를 개최했다.[14][15][16] 시카고의 라디오 방송인 스티브 달과 화이트삭스 홍보 담당자 마이크 빅이 기획한 이 행사는, 팬들이 디스코 레코드를 가져오면 스티브 달의 방송국 WLUP-FM의 주파수인 97.9MHz(98FM)를 기념하여 98¢에 입장할 수 있도록 했다.[14][15][16]

5만 명 이상의 팬들이 몰려들었고, 경기장이 매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만 명 이상이 게이트를 부수고 들어왔다.[17] 디스코 레코드판 파괴 행사로 인해 경기장 중견수 쪽에 큰 구멍이 생겼고, 술에 취한 수천 명의 팬들이 경기장으로 난입하여 장비를 훔치고 내야를 파괴하는 등 폭동으로 번졌다.[17] 결국 더블헤더 2차전은 연기되었고,[18] 다음 날 리그 관계자들은 몰수 경기로 처리했다.[19] 이는 아메리칸 리그 역사상 네 번째 몰수 경기였으며, 모두 1970년대에 일어났다.[20]

이 사건으로 스티브 달은 전국적인 관심을 받았고 시카고에서 라디오 슈퍼스타가 되었다.[21]

4. 팬 문화

빌 베엑 구단주 시절부터 코미스키 파크에는 다양한 팬 서비스와 독특한 응원 문화가 형성되었다. 오르간 연주자 낸시 파우스트는 즉흥적인 연주와 응원가로 인기를 얻었다.[13] 그녀는 "We will, we will, SOX YOU!"와 같은 즉흥적인 응원을 이끌었고, 떠나는 투수나 퇴장당하는 감독에게 "Na-na-na-na, na-na-na-na, hey-hey, GOOD-BYE!"를 부르는 문화를 대중화했다.

낸시 파우스트


해리 캐레이 해설자는 7회말 휴식시간에 Take Me Out to the Ball Game을 부르는 전통을 시작했는데, 이는 빌 베엑의 아이디어였다. 베엑은 팬들이 캐레이보다 노래를 못 부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면 함께 노래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캐레이는 1998년 사망할 때까지 이 전통을 리글리 필드로 가져가서도 계속 이어갔다.

5. 특징

빌 베엑이 설치한 "폭발하는" 전광판은 코미스키 파크의 명물이었다. 홈런이 나올 때마다 불꽃이 터지고 핀휠이 돌아가는 장관을 연출했다.[22] 외야 관람석 아래에는 피크닉 구역이 마련되어, 팬들은 테이블에 앉아 피크닉을 즐기며 경기를 관람할 수 있었다.[22] 이 피크닉 구역은 나중에 우익수 쪽으로 확장되었다.[22]

마스코트는 아니지만, 앤디 더 클라운은 특유의 응원 구호 "Come ooooooooooon, go! White! Sox!"로 유명했다.[22] 1970년대부터는 오르간 연주자 낸시 파우스트가 "We will, we will, SOX YOU!"와 같은 즉흥적인 응원가를 연주하며 팬들의 참여를 이끌었고, "Na-na-na-na, na-na-na-na, hey-hey, GOOD-BYE!"를 대중화했다.[22]

해리 캐레이는 7회말 휴식시간 동안 Take Me Out to the Ball Game을 "지휘"하는 전통을 시작했는데, 이는 빌 베엑의 아이디어였다.[22]

빌 베엑은 중견수 펜스를 철거하고 원래의 거리(1940년대 약 134.11m, 1970년대 재측정 결과 약 135.64m)로 되돌렸다.[22] 이는 오스카 갬블, 리치 지스크와 같은 강타자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22] 또한, 구장 내에는 칵테일을 판매하는 라운지가 있어, 일부 언론인들은 코미스키 파크를 "시카고 최대의 야외 술집"이라고 부르기도 했다.[22]

참조

[1] 뉴스 New home of Sox will open July 1 http://archives.chic[...] 2017-06-15
[2] 뉴스 Diamond at new White Sox Park where sodding was finished yesterday http://archives.chic[...] 2017-06-15
[3] 뉴스 Commy to greet Sox fans today http://archives.chic[...] 2017-06-15
[4] 뉴스 Big army of fans greets "Commy" http://archives.chic[...] 2017-06-15
[5] 뉴스 At Comiskey, farewell to an old friend http://archives.chic[...] 2017-06-15
[6] 웹사이트 Ballparks by Munsey and Suppes http://www.ballparks[...] Ballparks.com 2016-10-16
[7] 웹사이트 Comiskey Park http://www.encyclope[...] 2017-06-12
[8] 웹사이트 Joe Louis https://www.biograph[...] 2017-06-12
[9] 웹사이트 The Chicago American Giants of the Negro Leagues https://www.mlb.com/[...] 2023-03-11
[10] 뉴스 Bill Veeck era ready to begin https://news.google.[...] 2016-03-13
[11] 웹사이트 ESPN – Elias Says: Sports Statistics – Stats from the Elias Sports Bureau – ESPN http://sports.espn.g[...] ESPN 2016-10-16
[12] 뉴스 Sox win 1st night game, 5–2, before 35,000 http://archives.chic[...] 2017-06-15
[13] 뉴스 Negro League Classic Was Big Event – East-West Game Outdrew Major Leagues' All-Stars https://archive.seat[...] 2008-06-22
[14] 뉴스 Sox promotion ends in a mob scene http://archives.chic[...] 2017-06-15
[15] 뉴스 White Sox disco bash was a bust https://news.google.[...] 2016-03-13
[16] 뉴스 Blowup at the ballpark https://news.google.[...] 2016-03-13
[17] 뉴스 Disco riot https://news.google.[...] 2016-03-13
[18] 뉴스 Thursday night fever disrupts Comiskey Park https://news.google.[...] 2016-03-13
[19] 뉴스 Friday's game officially a forfeit https://news.google.[...] 2016-03-13
[20] 뉴스 Riot causes Sox to forfeit https://news.google.[...] 2016-03-13
[21] 웹사이트 Steve Dahl's Disco Demolition at Comiskey Park https://www.chicagot[...] 2016-10-16
[22] 웹사이트 Comiskey Park (Chicago) – 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 https://sabr.org/bio[...] 2023-03-11
[23] 뉴스 'Artificial grass' infield set at Chicago White Sox Park https://news.google.[...] 2016-03-13
[24] 뉴스 Free ripoff https://news.google.[...] 1976-03-13
[25] 뉴스 White Sox Fill the Bill https://www.nytimes.[...] 2023-03-11
[26] 웹사이트 The last Sox game at old Comiskey Park https://www.chicagot[...] 2017-06-07
[27] 웹사이트 Comiskey Park's Last Game https://miscbaseball[...] 2017-06-07
[28] 웹사이트 WHEN IT COMES TO MEMORIES https://www.chicagot[...] 2023-03-11
[29] 웹사이트 White Sox no-hitters | Baseball no-hitters at http://www.nonohitte[...] Nonohitters.com 2022-08-07
[30] 웹사이트 No-hitters vs. the Chicago White Sox | Baseball no-hitters at http://www.nonohitte[...] Nonohitters.com 2022-08-07
[31] 뉴스 Beatlemaniacs, 56,000 of 'em, shriek and sway at Sox Park https://news.google.[...] 1965-08-21
[32] 웹사이트 Blondie Gig List http://archive.blond[...] Official Blondie Web Site 2023-06-16
[33] 웹사이트 Permanent Waves https://www.rush.com[...] 2017-12-03
[34] 웹사이트 The Police – Concert information http://www.scarlet.n[...] 2017-12-03
[35] 웹사이트 The Pittsburgh Press – Google News Archive Search https://news.google.[...] 2017-12-03
[36] 웹사이트 Champion Of The People – Even After 'Cinderella Man,' James Braddock Made History | New York Post https://nypost.com/2[...] Nypost.com 2005-05-29
[37] 서적 King of the World, Muhammad Ali & the Rise of an American Hero Picador 1999
[38] 뉴스 Atlas Crawls Past Colombia https://www.chicagot[...] 1990-05-07
[39] 웹사이트 Marlboro Soccer Cup Series (USA) 1987–1990 https://www.rsssf.or[...]
[40] 뉴스 Rogers vs. O'Connor Sets A New Standard https://historyofwre[...] 1961-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