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믹챔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믹챔프는 1991년 12월 5일 소년챔프로 창간된 대한민국의 만화 잡지이다. 일본 만화 제작 시스템을 도입하여 신인 작가 등용과 잡지 시스템을 발전시켰으며, 슬램덩크 등의 인기 일본 만화를 연재하여 판매 부수를 늘렸다. 2002년 9월 코믹챔프로 제호를 변경했으며, 2006년부터 격주간으로 발행 주기를 변경했다. 1990년대 장르 만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2005년 아이큐점프의 격주 전환 이후 약 6개월간 대한민국의 마지막 주간 소년 만화 잡지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원씨아이의 만화 잡지 - Issue (잡지)
    《이슈》는 1995년 5월 창간된 대한민국의 월간 순정만화 잡지이며, 국내외 만화 작품을 연재하고 《순애보 연작기획》과 같은 기획을 통해 다양한 작품을 선보였다.
  • 만화 잡지 - LaLa
    LaLa는 하쿠센샤에서 발행하는 일본의 소녀 만화 잡지로, 하나토유메의 자매지로 창간되어 월간지로 독립했으며, 나츠메 우인장, 오란고교 호스트부, 빨강머리 백설공주 등의 인기 작품을 배출하고 신인 만화가 발굴을 위한 신인상을 운영한다.
  • 만화 잡지 - 헤비 메탈 (잡지)
    헤비 메탈은 1977년 미국에서 창간된 만화 잡지로, SF, 판타지, 공포, 코미디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게재했으며, 영화,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로 확장되었으나 2022년 폐간되었다가 2024년 재출시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만화 잡지 - 소년중앙
    소년중앙은 1969년 홍진기에 의해 창간되어 다양한 만화가 연재되었으나 1994년 폐간된 월간 잡지이다.
  • 대한민국의 만화 잡지 - 윙크 (잡지)
    윙크는 1993년 창간된 대한민국의 만화 잡지로, 격주간에서 월간지로 전환 후 앱진으로 변경되었으며, 《궁》, 《렛 다이》, 《하백의 신부》 등 인기 작품을 연재하며 사랑받았다.
코믹챔프
기본 정보
2008년 7월 15일자 코믹챔프 표지 (《Jjang》 수록)
종류만화, 망가
언어한국어
국가대한민국
간행 주기격주간 (매월 1일, 15일)
창간일1991년 12월 5일
발행 법인대원씨아이
웹사이트대원씨아이 공식 웹사이트
출판 정보
출판사대원씨아이
ISSN해당사항 없음

2. 역사

2002년 11월, 《소년챔프》에서 《'''코믹챔프'''》로 제호를 변경하였다.[7]

2. 1. 창간과 소년챔프 시대 (1991년 ~ 2002년)

1991년 12월 5일 주간 만화 잡지 《'''소년챔프'''》로 창간했다.[7] 서울문화사의 주간 만화 잡지 《아이큐점프》와 경쟁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소년만화지로서 같은 독자층을 노렸다.[6] 《아이큐점프》는 2018년 3월 만화사업부가 서울미디어코믹스로 분사됨에 따라[5] 현재는 서울미디어코믹스에서 발행하고 있다.

《'''소년챔프'''》는 《아이큐점프》 이후 일본식 만화 제작 방식이 도입되면서 한국 만화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당시 주로 애니메이션 제작과 수입을 하던 대원동화는 《소년챔프》를 통해 본격적으로 만화 시장에 진출했다.[6]

《아이큐점프》의 후발주자였지만 만화계와의 접점이 적어 기성 만화가를 확보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공개 공모전 등을 통해 신인 등용에 적극적으로 나섰다.[6] 그 결과 만화동호회에서 활동하던 인물들이 공모전을 통해 바로 연재를 시작할 수 있게 되었고, 새로운 감수성을 가진 작가군이 대량으로 확보되어 《소년챔프》만의 색깔을 내며 상업적으로 성공했다.[6] 이후에도 공모전을 통한 신인 만화가 등용, 인기투표를 통한 철저한 작품 관리, 내용과 연출에 관한 편집부의 개입 등 일본 잡지 제작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6] 《아이큐점프》와 함께 한국 대표 주간 소년만화 잡지의 양대산맥으로 자리잡았다.

《'''소년챔프'''》는 인기 일본 만화 《슬램 덩크》를 수입, 연재하여 잡지 판매부수를 크게 늘렸으며, 경쟁지 《아이큐점프》의 《드래곤볼》과 경쟁했다.

또한, 독자 취향층을 연령별, 성향별로 세분화해온 일본 만화와 그 잡지 시스템의 영향으로 서울문화사와 대원씨아이는 독자 세분화를 시작했다. 잇따라 《영챔프》, 《투엔티세븐》, 《월간챔프》(1992년 8월 창간-1995년 9월 폐간), 《Issue》, 《화이트》, 《팡팡》, 《주니어챔프》(1998년 6월 창간-2002년 11~12월 합본호로 폐간), 《슈퍼챔프》(대원씨아이) 등의 창간으로 이어지며 1990년대 장르 만화의 발전에 기여하였다.[6]

2002년 11월 《소년챔프》에서 《'''코믹챔프'''》로 제호를 변경했다.[7]

2. 2. 코믹챔프로의 변화와 격주간 전환 (2002년 ~ 현재)

2002년 11월 《소년챔프》에서 《'''코믹챔프'''》로 제호를 변경하였다.[7] 2005년 마지막 호까지 주간으로 발행하였으나, 2006년 첫 호부터 매월 1일과 15일에 발간하기 시작했다.[8]

대원씨아이의 잡지 총괄 담당 권낙환 부장은 격주 전환에 관하여, 만화시장이 단행본 중심으로 이동하며 잡지의 판매부수가 낮아져 잡지 자체가 주간 발행을 버티지 못하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8] 이로써 2005년 6월을 마지막으로 격주로 전환한 《아이큐점프》와 함께 1990년대를 풍미했던 두 주간 소년 만화잡지는 격주로 전환되었다. (《코믹챔프》는 《아이큐점프》의 격주전환 후 약 6개월간 대한민국의 마지막 주간 소년 만화 잡지였다.)

3. 연재 목록

다음은 《코믹챔프》에서 연재 중이거나 과거에 연재되었던 작품 목록이다.

제목연재 시작연재 종료작가
리버스1998년현재이강우
BASTARD!! - 암흑의 파괴신2000년현재하기와라 카즈시
웨스턴 샷건2000년현재박민서
파검기|ja|破檢記한국어2006년현재그림: 여법룡, 스토리: 박희진
크로스 게임2006년현재아다치 미츠루
아이실드 212003년현재스토리: 이나가키 리이치로, 그림: 무라타 유스케
미래일기2007년현재에스노 사카에
나루토2000년현재키시모토 마사시
원피스1999년현재오다 에이치로
마스터 스쿨 올림푸스2001년현재손희준
수라도2008년현재그림: 김정욱, 스토리: 최보하
천상천하2000년현재오!그레이트
1999년현재임재원
티르전기2008년현재그림: 나인수, 스토리: 손창호
아이언 스틸2008년현재손병준
아바타르2009년현재이혜영
체크메이트2009년현재김상엽
바쿠만2008년현재그림: 오바타 타케시, 스토리: 오바 츠구미
G 스쿨2005년2007년김병철, 스토리: 손창호
강호패도기1998년2008년최미르
삼국장군전1998년2008년박수영
인작2007년2008년이재헌, 스토리: 홍기우


3. 1. 현재 연재작

제목연재 시작작가
리버스1998년이강우
BASTARD!! -암흑의 파괴신-2000년하기와라 카즈시
웨스턴 샷건2000년박민서
파검기|ja|破檢記한국어2006년그림: 여법룡, 스토리: 박희진
크로스 게임2006년아다치 미츠루
아이실드 212003년스토리: 이나가키 리이치로, 그림: 무라타 유스케
미래일기2007년에스노 사카에
나루토2000년키시모토 마사시
원피스1999년오다 에이치로
마스터 스쿨 올림푸스2001년손희준
수라도2008년그림: 김정욱, 스토리: 최보하
천상천하2000년오!그레이트
1999년임재원
티르전기2008년그림: 나인수, 스토리: 손창호
아이언 스틸2008년손병준
아바타르2009년이혜영
체크메이트2009년김상엽
바쿠만2008년그림: 오바타 타케시, 스토리: 오바 츠구미


3. 2. 과거 연재작

제목연재 시작연재 종료작가
G 스쿨20052007김병철, 스토리: 손창호
강호패도기19982008최미르
삼국장군전19982008박수영
인작20072008이재헌, 스토리: 홍기우


4. 한국 만화계에 끼친 영향

아이큐점프》 이후 일본식 만화 제작 방식이 도입되면서 대한민국 만화 시장은 큰 변화를 겪었다. 당시 주로 애니메이션 제작과 수입을 하던 대원동화는 《소년챔프》를 통해 본격적으로 만화 시장에 진출했다.[6]

《소년챔프》는 《아이큐점프》의 후발 주자였지만, 만화계와의 접점이 적어 기성 만화가를 확보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공개 공모전 등을 통해 신인 작가 발굴에 적극적으로 나섰다.[6] 그 결과 만화 동호회에서 활동하던 인물들이 공모전을 통해 곧바로 연재를 시작하게 되었고, 새로운 감수성을 가진 작가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소년챔프》만의 독특한 색깔을 형성하며 상업적으로 성공했다.[6] 이후에도 공모전을 통한 신인 만화가 등용, 인기 투표를 통한 철저한 작품 관리, 편집부의 내용 및 연출 개입 등 일본 잡지 제작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6] 《아이큐점프》와 함께 대한민국 대표 주간 소년 만화 잡지의 양대 산맥으로 자리 잡았다.

《소년챔프》는 검증된 인기 일본 만화 《슬램 덩크》를 수입 연재하여 잡지 판매 부수를 크게 늘렸으며, 경쟁지 《아이큐점프》의 《드래곤볼》과 경쟁할 수 있었다.

또한, 독자 취향을 연령별, 성향별로 세분화해 온 일본 만화와 잡지 시스템의 영향으로 서울문화사와 대원씨아이는 독자 세분화를 시작했다. 이는 《영챔프》, 《투엔티세븐》, 《월간챔프》(1992년 8월 창간-1995년 9월 폐간), 《Issue》, 《화이트》, 《팡팡》, 《주니어챔프》(1998년 6월 창간-2002년 11~12월 합본호를 끝으로 폐간), 《슈퍼챔프》(여기서는 대원씨아이만 기술) 등의 창간으로 이어지며 1990년대 주요 경향인 장르 만화 발전에 기여했다.[6]

참조

[1] 웹사이트 "짝퉁' <시사저널>의 엉터리 기사들" http://media.daum.ne[...] Daum 2007-06-10
[2] 웹사이트 코믹챔프 http://www.daiwon.co[...] Daiwon C.I.
[3] 웹사이트 챔프 내년 격주간, 주간잡지시대 '끝' http://www.comicbang[...] ComicBang 2005-11-18
[4] 웹사이트 2007 만화창작연재지원 매체 소개 http://www.cartoon.o[...] The Korea Cartoonists Association 2008-07-11
[5] 뉴스 지재권 날개 단 만화 출판사 '화려한 부활'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18-10-09
[6] 웹인용 한국 예술사대계 90년대 만화사 - I. 개관: 90년대적 현상의 시작 http://www.dugoboza.[...] 《시공사》
[7] 웹인용 2007 만화창작연재지원 매체 소개 http://www.cartoon.o[...]
[8] 뉴스 챔프 내년 격주간, 주간잡지시대 '끝' http://www.comicbang[...] COMIC BANG 2005-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