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사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사족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반투어족의 일파이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구의 약 18%를 차지한다. 코사족은 아프리카 대호수 주변에서 남하하여 이주해 온 응구니족의 후손으로 여겨지며, 1600년대에 네덜란드인 개척단이 남아프리카에 도착했을 때 피쉬 강 일대에서 생활했다. 코사어는 반투어군의 언어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공용어 중 하나이며, 흡착음이 특징이다. 코사족은 출생부터 성장에 이르는 다양한 통과 의례, 결혼, 장례 의식 등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구슬 공예, 전통 의복, 음악 등 다양한 예술과 공예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는 차별 정책으로 고통받았으며, 넬슨 만델라, 타보 음베키 등 민주화에 기여한 주요 인물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사족 - 스티브 비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가이자 흑인 의식 운동의 중심 인물인 스티브 비코는 흑인 중심의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을 이끌며 흑인의 정치적, 사회적, 심리적 자각을 촉구했지만, 아파르트헤이트 정부에 의해 체포되어 고문으로 사망하여 국제적인 공분을 일으키고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코사족 - 트레버 노아
    트레버 노아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코미디언, 작가, 프로듀서, 텔레비전 진행자로,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의 경험이 코미디와 사회 비평에 영향을 주었으며, 《더 데일리 쇼》 진행과 자서전 《태어난 범죄》의 성공을 통해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민족 - 아프리카너
    아프리카너는 17세기 네덜란드, 프랑스, 독일 등 유럽 출신 이민자들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정착하여 개신교 신앙을 공유하며 아프리칸스어를 사용하고, 케이프 식민지 시절부터 인종차별 정책을 펼치며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킨 민족 집단이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민족 - 케이프 컬러드
    케이프 컬러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특히 웨스턴케이프주에서 혼혈 인종을 지칭하며 코이산족, 반투족, 유럽인, 아시아인의 다양한 조상을 가지고 있고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인종 차별 정책의 영향을 받았으나 현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코사족
지리
기본 정보
1860년 케이프타운, 존네블룸 칼리지의 코사족 졸업생들
총 인구9,660,004명
거주 지역남아프리카 공화국
짐바브웨
보츠와나
나미비아
레소토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인구9,415,133명 (2022년 추정)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지역별 인구이스턴케이프 주: 5,102,053명
웨스턴케이프 주: 2,326,704명
하우텡 주: 862,124명
프리스테이트 주: 320,645명
콰줄루나탈 주: 405,140명
노스웨스트 주: 225,023명
노던케이프 주: 101,062명
음푸말랑가 주: 50,225명
림포포 주: 22,157명
짐바브웨 인구200,000명
보츠와나 인구12,000명
나미비아 인구10,000명
레소토 인구23,000명
언어코사어
줄루어
소토어
세페디어
영어
아프리칸스어
종교uThixo
Qamata
아프리카의 기독교
관련 민족남부 은데벨레족
줄루족
흘루비족
스와지족
북부 은데벨레족
그리콰족
코이산족
산족
코이코이족
푸티족
/Xam
코사어 명칭
코사어 이름amaXhosa
코사어isiXhosa
코사족의 땅kwaXhosa
어근Xhosa
단수 (사람)UmXhosa
복수 (사람들)AmaXhosa
나라KwaXhosa
언어IsiXhosa
발음
영어 발음 (IPA)/ˈkɔːsə/, /ˈkoʊsə/
영어 발음 (발음 구별 기호)KAW-sə, KOH-sə
주요 지역

2. 역사

코사족은 아프리카 대호수 주변에서 남쪽으로 이주해 왔던 사람의 일부로 생각된다. 1600년대네덜란드인 개척단이 남부 아프리카에 도착했을 때에는, 피쉬 강에서 현재 더반 주변 남동 아프리카 일대에서 생활하고 있었다.[7]

동케이프 주의 코사 마을.


일부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코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적어도 7세기부터 동케이프 지역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7] 현대 코사족은 응구니족이며, 반투계에 속한다.

코사족은 아프리카 대호수 주변에서 남하하여 이주해 온 구니족의 일부로 여겨진다. 17세기에 네덜란드인 개척단이 남아프리카에 상륙했을 때는 피시 강에서 현재의 더반 주변 남동 아프리카 일대에서 살고 있었다.

2. 1. 기원과 초기 역사

코사족은 아프리카 대호수 주변에서 남쪽으로 이주해 온 응구니족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17세기 네덜란드인 개척단이 남부 아프리카에 도착했을 때에는, 피쉬 강에서 현재 더반 주변 남동 아프리카 일대에서 생활하고 있었다.

토마스 베인스(Thomas Baines)가 1848년에 그린 코사족 사람들의 그림.


코사족 구전 역사에는 응구니족이 상당 기간 거주했던 것으로 여겨지는 '엘루흘랑게니(Eluhlangeni)'라는 동아프리카의 역사적인 정착지가 언급되기도 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산맥과 강을 건넌 이 농경 목축민들은 소와 염소를 데리고 와서 그 지역의 약한 산족(San people) 집단을 흡수했다. 그들은 또한 무기, 특히 아세가이(assegais)와 응구니 방패(Nguni shield)를 가지고 왔으며, 주로 현재의 동케이프(Eastern Cape) 지역에 주로 부족이나 족장국, 왕국을 형성했다.

코사 방패

2. 2. 유럽인과의 접촉과 코사 전쟁

1600년대네덜란드인 개척단이 남부 아프리카에 도착했을 때, 코사족은 피쉬 강에서 현재 더반 주변 남동 아프리카 일대에서 생활하고 있었다. 코사족은 아프리카 대호수 주변에서 남하하여 이주해 온 구니족의 일부로 여겨진다.

2. 3. 가축 살해 운동과 엠페카네

코사족은 아프리카 대호수 주변에서 남쪽으로 이주해 온 응구니족의 일부로 여겨진다. 17세기에 네덜란드인 개척단이 남아프리카에 상륙했을 때에는, 피쉬 강에서 현재 더반 주변 남동 아프리카 일대에서 생활하고 있었다.

2. 4. 아파르트헤이트와 민주화

코사족은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 인종차별 정책으로 인해 고통받았으며, 많은 지도자들이 반아파르트헤이트 운동에 참여했다.넬슨 만델라, 타보 음베키 등 코사족 출신 정치인들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민주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3. 언어



코사어(isiXhosa)는 응집어이자 성조 언어로, 반투어에 속한다. 코사족은 자신들의 언어를 "isiXhosa"라고 부르지만, 영어로는 일반적으로 "Xhosa"로 불린다. 코사어는 라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한 문자 체계를 사용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구의 약 18%가 코사어를 사용하며, 특히 도시 지역에서 사용되는 줄루어와 어느 정도의 상호 이해 가능성을 보인다. 많은 코사어 화자, 특히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줄루어 및/또는 아프리칸스어 및/또는 영어를 함께 사용한다.[11]

남아프리카 공화국 공용어 중의 하나로 반투어군의 남동 그룹이다 구니어군에 속한다. 흡착 소리가 뚜렷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에서 코사어 외에 줄루어, 영어, 아프리칸스어를 말하고 있다.

남아공 인구의 18%에 해당하는 790만명정도가 쓴다. 대부분의 반투어족과 같이 코사어는 성조어이며 음의 높낮이로 뜻이 달라진다. 코사어는 또한 협착음(혀차는 소리,클릭음)이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코사어는 로마자로 표기되며, c,x,q의 글자는 협착음 표기에 쓰인다. 남아공 전 대통령인 넬슨 만델라가 가장 유명한 코사어 모어화자이다.

반투어족의 남동부 그룹인 구니어족에 속한다. 흡착음이 두드러진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에서는 코사어 외에 줄루어, 영어, 아프리카어를 사용한다.

3. 1. 코사어의 특징

코사어는 반투어족의 남동부 그룹인 응구니 제어에 속하는 언어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공용어 중 하나이다. 흡착음(혀 차는 소리, 클릭음)이 특징적이며, 음의 높낮이로 뜻이 달라지는 성조어이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에서 코사어 외에 줄루어, 영어, 아프리칸스어도 구사한다. 코사어는 로마자로 표기되며, c, x, q 글자는 흡착음 표기에 사용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 대통령인 넬슨 만델라가 코사어를 모어로 사용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3. 2. 언어 사용 현황

코사어는 반투어군의 남동 그룹인 구니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공용어 중 하나이다. 흡착음(클릭음)이 뚜렷한 것이 특징이며, 로마자로 표기된다. c, x, q는 흡착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구의 약 18%인 790만 명 정도가 코사어를 사용하며, 특히 동케이프 주에서 많이 사용된다. 코사어는 성조어이며, 음의 높낮이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 줄루어와 어느 정도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도시 지역에서는 줄루어, 영어, 아프리칸스어 등 다른 언어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남아공 전 대통령인 넬슨 만델라가 코사어를 모어로 사용한 가장 유명한 인물이다.

4. 문화

코사족은 출생부터 성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통과 의례를 거치며, 각 단계마다 특별한 의식이 행해진다. 이러한 의식들은 코사족의 정체성과 유산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생아를 조상에게 소개하는 'imbelekoxh' 의식, 출산 후 어머니의 10일간의 격리와 마을 근처에 태반탯줄을 묻는 의식 등이 행해진다. 이러한 의식들은 개인이 속한 곳을 알려주는 중요한 정보들을 담고 있다. 전통적인 인사말인 'Inkaba yakho iphixh?'(배꼽은 어디에 있습니까?)는 이러한 관습을 반영한다.[17]

남성의 할례 의식인 'ulwalukoxh'는 성인 남성으로의 전환을 상징하는 중요한 의례이다. 의식적인 할례 후, 입문자('abakwethaxh'')는 산에서 수 주 동안 고립된 생활을 하며, 치유 과정 동안 몸에 흰 진흙을 바르고 수많은 관습을 따른다. 현대에는 할례 과정에서 성병(예: HIV)이 확산되는 문제로 인해 논란이 되고 있다.[12]

여성의 입문 의례인 Intonjanexh도 존재하며, 격리 기간을 거치지만 여성 성기 절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16]

이러한 의식과 행사는 코사족과 다른 아프리카 후손들의 정체성과 유산에 매우 중요하며, 일부 서구 학자들은 오늘날 이러한 관행의 관련성에 의문을 제기하지만, 도시화된 코사족조차도 여전히 이러한 관행을 따르는 경우가 많다.

코사족의 결혼(umtshatoxh)은 여러 관습과 의례를 포함하며, 이는 코사족 전통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8] 이러한 의례는 수십 년 동안 행해졌으며 현대에도 여전히 그 의미를 지닌다. 결혼 절차는 남성이 미래의 신부를 선택하고 결혼 의사를 밝히는 '우쿠트왈라(ukuThwalwaxh)'로부터 시작되지만, 모든 부족에서 이 관습이 행해진 것은 아니다.[19] 현대에는 남녀가 연애 후 결혼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는 여성이 동의 없이 남성에 의해 선택되어 결혼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20]

남성은 신부감을 선택한 후 가족과 상의하며, 이 과정에서 여성의 씨족 이름(이시두코xh)을 조사한다.[18] 같은 씨족 이름을 가진 사람들은 혈족으로 간주되어 결혼할 수 없다.[21] 가족 간의 논의가 끝나면 남성 측은 결혼 중개인을 임명하고, 이들은 여성 가족에게 남성의 의사를 전달한다. 여성 가족은 울타리(inkundlaxh)에서 중개인을 맞이하며, 여기서 로볼라(lobola) (혼례 지참금) 협상이 시작된다. 여성의 교육 수준, 가족의 재산 상태, 여성의 매력도 등에 따라 지참금이 결정되며, 소 또는 돈으로 지불할 수 있다.[22] 현대 코사족 가족들은 주로 돈을 선호한다.[22]

약속된 날짜에 남성 측은 지참금과 함께 가축, 알코올 음료(iswazixh) 등의 선물을 가져온다. 로볼라(lobola)가 수락되면 결혼이 성립된 것으로 간주되며, 조상에게 감사하는 의미로 가축을 도축하고 알코올 음료를 땅에 붓는 의식을 포함한 축하 행사가 열린다. 신부 가족은 감사의 표시로 전통 맥주인 움콤보티(Umqombothi)를 준비한다.

결혼식 후, 신부는 시댁으로 가서 시댁 어른들로부터 가르침(Ukuyalwaxh)을 받고 새로운 이름을 받는다.[18] 이는 두 가족의 유대감을 상징한다.

코사족의 매장 의례 및 풍습에는 장례식을 품위 있게 치르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특정 순서의 행사와 의식이 포함된다. 가족 구성원의 사망 통보를 받으면 대가족이 모여 고인의 매장을 준비한다.[23][24]

고인의 영혼을 조상의 땅으로 인도하는 움카포/umkhaphoxh 의식이 거행된다. 지역 남성 씨족장이나 그의 대리인이 이 과정을 진행하며, 움카포/umkhaphoxh의 목적은 고인과 슬픔에 잠긴 사람들 사이의 유대감을 유지하여 고인이 나중에 돌아와 조상으로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의식 동안 염소와 같은 동물을 도살하며, 가족의 가장과 같이 중요한 사람을 위해서는 소와 같은 더 큰 동물을 도살할 수도 있고, 다른 사람들을 위해서는 흠 없는 염소를 도살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풍습으로는 슬퍼하는 가족의 안방인 '인들루 엔쿨루/indlu enkuluxh'을 비우는 것이 포함된다. 이 방은 가족과 친구들이 고인에게 마지막으로 조의를 표하는 곳이며, 방을 비우는 것은 대가족 구성원들이 안방에서 애도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다. 가장 먼저 도착한 가족 구성원이나 이웃은 전통적인 풀 매트(우쿠코/ukhukhoxh)나 매트리스를 바닥에 놓아 안방에 좌석을 배치한다.

조문객은 장례식 참석을 위해 초대받을 필요가 없으며, 참석할 수 있고 참석하고 싶은 모든 사람이 환영받는다. 전통적으로 조문객들은 삶은 말린 옥수수와 물인 '인코베/inkobexh'로 대접받았으며, 옥수수는 가족의 식량 비축량에서 가져오거나 가족 구성원과 이웃이 기증했다. 21세기에 들어 '인코베/inkobexh'로 조문객을 대접하는 것은 금기시되며, 수치심으로 인해 장례식 음식 제공은 매장 행사 중 업계의 수익성이 좋은 사업이 되었다.

많은 사람들을 위해 음식을 준비하는 코사 여성


매장 당일, 대가족 구성원들이 각자 집으로 돌아가기 전에 우쿠쿠사/ukuxukuxaxh (정화) 의식이 거행되며 염소나 양, 또는 가금류를 도살한다.[23][24] 매장 다음 날에는 정화 의식이 거행된다. 가족 중 유족 여성들이 가장 가까운 강으로 가서 사망 전 고인이 사용했던 모든 물건과 담요를 빨래한다. 또한, 고인의 옷을 집에서 치우고 가족 구성원들은 머리를 깎는다. 머리를 깎는 것은 죽음 후에도 삶이 계속해서 싹트는 것을 보여준다.[25]

코사족의 전통 음식은 소고기(Inyama yenkomoxh), 양고기(Inyama yegushaxh), 염소고기(Inyama yebhokwexh) 등 육류와 수수, 우유(종종 발효), 호박(amathangaxh), 옥수수 가루, 콩(iimbotyixh)과 같은 농작물을 기반으로 한다.[26] "rhabe"와 같은 채소, 수영과 비슷한 야생 시금치, 알로에의 단맛이 나는 수액인 "imvomvoxh", 여름 비가 온 후 자라는 버섯인 "ikhowaxh" 등도 음식 재료로 활용된다.[26]

케이프타운 랑가 지역의 코사 맥주 움코몹티


발효유인 아마시(amasi)와 발효된 옥수수와 수수로 만든 전통 맥주인 움코몹티 등도 코사족의 전통 음료이다.

코사족의 전통 공예로는 구슬 세공, 직조, 목공예, 도자기가 있다.[27] 전통 음악에는 북, 딸랑이, 호각, 플루트, 입금, 현악기 등이 사용되며, 손뼉을 치며 함께 부르는 합창이 특징적이다. 미리엄 메이커가 "Click Song #1"로 불렀던 결혼식 노래인 "Qongqothwane/Qongqothwanexh"가 코사 노래 중 가장 잘 알려져 있다.[27] 메이커 외에도 여러 현대 그룹이 코사어로 음반을 제작하고 공연한다.[27]

선교사들은 코사족에게 서양 합창을 소개했다. 에녹 손통가가 1897년 작곡한 코사어 찬송가인 "Nkosi Sikelel' iAfrika"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가의 일부이다.[27]

19세기에는 최초의 코사어 신문, 소설, 희곡이 등장했고, 코사어 시도 명성을 얻고 있다.[27]

적황색을 띤 면담요로 만들어져 유리 구슬, 진주 단추, 검은색 펠트 테두리로 장식된 코사 여성 의상


코사어로 촬영된 영화가 여러 편 있다. ''U-Carmen eKhayelitsha/U-Carmen eKhayelitshaxh''는 비제의 1875년 오페라 ''카르멘''의 현대적인 리메이크 작품으로, 전적으로 코사어로 촬영되었으며, 원작 오페라의 음악과 전통 아프리카 음악을 결합했다. 이 영화는 케이프타운의 카이엘리차 타운십을 배경으로 한다. 영화 ''블랙 팬서''에도 코사어가 등장한다.[27]

코사족의 구슬 공예는 단순한 장식품을 넘어, 사회 구성원의 지위, 역할, 그리고 그들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29] 구슬은 유리, 나무, 금속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28] 특히 유리 구슬은 1930년대 포르투갈인들과의 무역을 통해 도입되었다.[29]

구슬 공예는 개인의 정체성, 역사, 지리적 위치를 확인하는 사회적 표식으로 사용되며,[29] 왕족이 착용하는 구슬은 나이, 성별, 사회 계급 등의 정보를 드러낸다.[29] 코사족은 구슬이 살아있는 사람과 조상을 연결하는 고리라고 믿으며, 점쟁이들은 의식에 구슬을 사용하기도 한다.[29]

구슬의 색깔, 패턴, 형태, 모티프는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특히 사람들이 거쳐 온 통과 의례와 관련된 의미를 담고 있다.[29] 예를 들어 템부족 남성은 할례 후 흰색과 감청색이 주를 이루는 구슬 장식을 착용하며, 노란색과 녹색 구슬은 다산과 새로운 삶을 상징한다.[29] 코사족 점쟁이들은 조상과의 소통에 흰색 구슬을 사용하며, 구슬로 만든 베일인 "아마게자"를 흔들어 최면 상태를 유도하기도 한다.[29]

폰도족 여성은 처녀성 검사 의식에서 청록색과 흰색 구슬로 만든 치마인 인크치요를 착용하며,[30][31] 임펨페는 청소년기로의 진입을 상징하는 호각 목걸이이다.[32]

오늘날 구슬은 문화적 감상 또는 문화적 도용의 의미로 패션 아이템으로 사용되기도 한다.[33]

코사족은 붉은 황토로 염색한 붉은 담요를 두르는 풍습이 있으며, 이 때문에 '붉은 담요 사람들'이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34] 각 부족마다 염색의 진하기가 다르며, 구슬 장식과 프린트된 직물을 사용하여 의복을 만들기도 한다.[34] 일반적으로 코사족은 서구식 생활 방식에 적응했지만, 특별한 문화 행사에는 여전히 전통 의상을 착용한다.

코사족의 전통 의복은 개인의 사회적 지위와 삶의 단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갈레카 여성들은 팔과 다리에 구슬과 놋쇠 팔찌를 감고 목걸이 구슬을 착용하기도 한다.[34] 미혼 여성은 가슴을 드러낸 채 숄을 어깨에 두르며, 약혼한 여성은 땋은 머리카락을 붉게 물들이고 눈을 가리는 것으로 약혼자에 대한 존경을 표한다. 가족의 가장(아버지 또는 남편)에 대한 존경의 표시로 머리 장식을 착용하며, 고령의 코사족 여성들은 연장자로서 더 정교한 머리 장식을 착용할 수 있다.

여성들은 브래지어처럼 사용되는 작은 담요인 *인세베타(Incebetha)*, 속옷처럼 입는 *이훌루(Ifulu)*, 머리에 착용하는 *이키야(Iqhiya)* 등 다양한 의복을 착용한다. 또한 구슬로 만든 팔찌인 *인짐비(intsimbi)* 또는 *아마소(amaso)*를 발이나 허리에 착용하고, 손목에는 *이밋셰케(Imitsheke)*를 착용하며, *잉소와(ingxowa)*라고 불리는 작은 손가방을 들기도 한다.[35]

사냥 중 휴식을 취하는 코사족 남성들.


코사족 남성들은 전통적으로 사냥꾼, 전사, 목축업자 역할을 담당했으며, 동물 가죽은 그들의 전통 의복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남성들은 종종 담배와 칼 같은 필수품을 휴대하기 위해 염소 가죽으로 만든 가방을 착용한다. 이 가방은 한 장의 가죽을 벗겨내 털을 제거하지 않고 무두질하여 만든다.

결혼식이나 성인식과 같은 특별한 경우, 코사족 남성들은 자수가 놓인 치마를 입고 왼쪽 어깨에 직사각형 천을 걸치거나, 튜닉과 구슬 목걸이를 착용한다.[36] 남성들은 흰색과 검은색 담요인 *잉카와(ingcawa)*를 두르며, 목에는 *이시체베(isichebe)* (짧은 구슬) 또는 *이시당가(isidanga)* (긴 구슬 목걸이)를 착용한다. 손목과 발목에는 *아마소(amaso)*라고 불리는 구슬을 착용하고, 머리에는 *웅카(unngqa)* 또는 *이그왈라(igwala)*라고 불리는 구슬을 착용한다. 또한 *우쿠르하스와(ukurhaswa)*로 장식된 *움베카 페셰야(umbheka phesheya)*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담배 파이프를 피운다.[37][34]

4. 1. 통과 의례

코사족은 출생부터 성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통과 의례를 거치며, 각 단계마다 특별한 의식이 행해진다. 이러한 의식들은 코사족의 정체성과 유산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생아를 조상에게 소개하는 'imbelekoxh' 의식, 출산 후 어머니의 10일간의 격리와 마을 근처에 태반탯줄을 묻는 의식 등이 행해진다. 이러한 의식들은 개인이 속한 곳을 알려주는 중요한 정보들을 담고 있다. 전통적인 인사말인 'Inkaba yakho iphixh?'(배꼽은 어디에 있습니까?)는 이러한 관습을 반영한다.[17]

남성의 할례 의식인 'ulwalukoxh'는 성인 남성으로의 전환을 상징하는 중요한 의례이다. 의식적인 할례 후, 입문자('abakwethaxh'')는 산에서 수 주 동안 고립된 생활을 하며, 치유 과정 동안 몸에 흰 진흙을 바르고 수많은 관습을 따른다. 현대에는 할례 과정에서 성병(예: HIV)이 확산되는 문제로 인해 논란이 되고 있다.[12]

여성의 입문 의례인 Intonjanexh도 존재하며, 격리 기간을 거치지만 여성 성기 절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16]

이러한 의식과 행사는 코사족과 다른 아프리카 후손들의 정체성과 유산에 매우 중요하며, 일부 서구 학자들은 오늘날 이러한 관행의 관련성에 의문을 제기하지만, 도시화된 코사족조차도 여전히 이러한 관행을 따르는 경우가 많다.

4. 2. 결혼 풍습

코사족의 결혼(umtshatoxh)은 여러 관습과 의례를 포함하며, 이는 코사족 전통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8] 이러한 의례는 수십 년 동안 행해졌으며 현대에도 여전히 그 의미를 지닌다. 결혼 절차는 남성이 미래의 신부를 선택하고 결혼 의사를 밝히는 '우쿠트왈라(ukuThwalwaxh)'로부터 시작되지만, 모든 부족에서 이 관습이 행해진 것은 아니다.[19] 현대에는 남녀가 연애 후 결혼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는 여성이 동의 없이 남성에 의해 선택되어 결혼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20]

남성은 신부감을 선택한 후 가족과 상의하며, 이 과정에서 여성의 씨족 이름(이시두코xh)을 조사한다.[18] 같은 씨족 이름을 가진 사람들은 혈족으로 간주되어 결혼할 수 없다.[21] 가족 간의 논의가 끝나면 남성 측은 결혼 중개인을 임명하고, 이들은 여성 가족에게 남성의 의사를 전달한다. 여성 가족은 울타리(inkundlaxh)에서 중개인을 맞이하며, 여기서 로볼라(lobola) (혼례 지참금) 협상이 시작된다. 여성의 교육 수준, 가족의 재산 상태, 여성의 매력도 등에 따라 지참금이 결정되며, 소 또는 돈으로 지불할 수 있다.[22] 현대 코사족 가족들은 주로 돈을 선호한다.[22]

약속된 날짜에 남성 측은 지참금과 함께 가축, 알코올 음료(iswazixh) 등의 선물을 가져온다. 로볼라(lobola)가 수락되면 결혼이 성립된 것으로 간주되며, 조상에게 감사하는 의미로 가축을 도축하고 알코올 음료를 땅에 붓는 의식을 포함한 축하 행사가 열린다. 신부 가족은 감사의 표시로 전통 맥주인 움콤보티(Umqombothi)를 준비한다.

결혼식 후, 신부는 시댁으로 가서 시댁 어른들로부터 가르침(Ukuyalwaxh)을 받고 새로운 이름을 받는다.[18] 이는 두 가족의 유대감을 상징한다.

4. 3. 장례 의식

코사족의 매장 의례 및 풍습에는 장례식을 품위 있게 치르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특정 순서의 행사와 의식이 포함된다. 가족 구성원의 사망 통보를 받으면 대가족이 모여 고인의 매장을 준비한다.[23][24]

고인의 영혼을 조상의 땅으로 인도하는 움카포/umkhaphoxh 의식이 거행된다. 지역 남성 씨족장이나 그의 대리인이 이 과정을 진행하며, 움카포/umkhaphoxh의 목적은 고인과 슬픔에 잠긴 사람들 사이의 유대감을 유지하여 고인이 나중에 돌아와 조상으로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의식 동안 염소와 같은 동물을 도살하며, 가족의 가장과 같이 중요한 사람을 위해서는 소와 같은 더 큰 동물을 도살할 수도 있고, 다른 사람들을 위해서는 흠 없는 염소를 도살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풍습으로는 슬퍼하는 가족의 안방인 '인들루 엔쿨루/indlu enkuluxh'을 비우는 것이 포함된다. 이 방은 가족과 친구들이 고인에게 마지막으로 조의를 표하는 곳이며, 방을 비우는 것은 대가족 구성원들이 안방에서 애도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다. 가장 먼저 도착한 가족 구성원이나 이웃은 전통적인 풀 매트(우쿠코/ukhukhoxh)나 매트리스를 바닥에 놓아 안방에 좌석을 배치한다.

조문객은 장례식 참석을 위해 초대받을 필요가 없으며, 참석할 수 있고 참석하고 싶은 모든 사람이 환영받는다. 전통적으로 조문객들은 삶은 말린 옥수수와 물인 '인코베/inkobexh'로 대접받았으며, 옥수수는 가족의 식량 비축량에서 가져오거나 가족 구성원과 이웃이 기증했다. 21세기에 들어 '인코베/inkobexh'로 조문객을 대접하는 것은 금기시되며, 수치심으로 인해 장례식 음식 제공은 매장 행사 중 업계의 수익성이 좋은 사업이 되었다.

매장 당일, 대가족 구성원들이 각자 집으로 돌아가기 전에 우쿠쿠사/ukuxukuxaxh (정화) 의식이 거행되며 염소나 양, 또는 가금류를 도살한다.[23][24] 매장 다음 날에는 정화 의식이 거행된다. 가족 중 유족 여성들이 가장 가까운 강으로 가서 사망 전 고인이 사용했던 모든 물건과 담요를 빨래한다. 또한, 고인의 옷을 집에서 치우고 가족 구성원들은 머리를 깎는다. 머리를 깎는 것은 죽음 후에도 삶이 계속해서 싹트는 것을 보여준다.[25]

4. 4. 전통 음식

코사족의 전통 음식은 소고기(Inyama yenkomoxh), 양고기(Inyama yegushaxh), 염소고기(Inyama yebhokwexh) 등 육류와 수수, 우유(종종 발효), 호박(amathangaxh), 옥수수 가루, 콩(iimbotyixh)과 같은 농작물을 기반으로 한다.[26] "rhabe"와 같은 채소, 수영과 비슷한 야생 시금치, 알로에의 단맛이 나는 수액인 "imvomvoxh", 여름 비가 온 후 자라는 버섯인 "ikhowaxh" 등도 음식 재료로 활용된다.[26]

발효유인 아마시(amasi)와 발효된 옥수수와 수수로 만든 전통 맥주인 움코몹티 등도 코사족의 전통 음료이다.

4. 5. 예술과 공예

코사족의 전통 공예로는 구슬 세공, 직조, 목공예, 도자기가 있다.[27] 전통 음악에는 북, 딸랑이, 호각, 플루트, 입금, 현악기 등이 사용되며, 손뼉을 치며 함께 부르는 합창이 특징적이다. 미리엄 메이커가 "Click Song #1"로 불렀던 결혼식 노래인 "Qongqothwane/Qongqothwanexh"가 코사 노래 중 가장 잘 알려져 있다.[27] 메이커 외에도 여러 현대 그룹이 코사어로 음반을 제작하고 공연한다.[27]

선교사들은 코사족에게 서양 합창을 소개했다. 에녹 손통가가 1897년 작곡한 코사어 찬송가인 "Nkosi Sikelel' iAfrika"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가의 일부이다.[27]

19세기에는 최초의 코사어 신문, 소설, 희곡이 등장했고, 코사어 시도 명성을 얻고 있다.[27]

코사어로 촬영된 영화가 여러 편 있다. ''U-Carmen eKhayelitsha/U-Carmen eKhayelitshaxh''는 비제의 1875년 오페라 ''카르멘''의 현대적인 리메이크 작품으로, 전적으로 코사어로 촬영되었으며, 원작 오페라의 음악과 전통 아프리카 음악을 결합했다. 이 영화는 케이프타운의 카이엘리차 타운십을 배경으로 한다. 영화 ''블랙 팬서''에도 코사어가 등장한다.[27]

4. 6. 구슬 공예

코사족의 구슬 공예는 단순한 장식품을 넘어, 사회 구성원의 지위, 역할, 그리고 그들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29] 구슬은 유리, 나무, 금속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28] 특히 유리 구슬은 1930년대 포르투갈인들과의 무역을 통해 도입되었다.[29]

구슬 공예는 개인의 정체성, 역사, 지리적 위치를 확인하는 사회적 표식으로 사용되며,[29] 왕족이 착용하는 구슬은 나이, 성별, 사회 계급 등의 정보를 드러낸다.[29] 코사족은 구슬이 살아있는 사람과 조상을 연결하는 고리라고 믿으며, 점쟁이들은 의식에 구슬을 사용하기도 한다.[29]

구슬의 색깔, 패턴, 형태, 모티프는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특히 사람들이 거쳐 온 통과 의례와 관련된 의미를 담고 있다.[29] 예를 들어 템부족 남성은 할례 후 흰색과 감청색이 주를 이루는 구슬 장식을 착용하며, 노란색과 녹색 구슬은 다산과 새로운 삶을 상징한다.[29] 코사족 점쟁이들은 조상과의 소통에 흰색 구슬을 사용하며, 구슬로 만든 베일인 "아마게자"를 흔들어 최면 상태를 유도하기도 한다.[29]

폰도족 여성은 처녀성 검사 의식에서 청록색과 흰색 구슬로 만든 치마인 인크치요를 착용하며,[30][31] 임펨페는 청소년기로의 진입을 상징하는 호각 목걸이이다.[32]

오늘날 구슬은 문화적 감상 또는 문화적 도용의 의미로 패션 아이템으로 사용되기도 한다.[33]

4. 7. 전통 의복

코사족은 붉은 황토로 염색한 붉은 담요를 두르는 풍습이 있으며, 이 때문에 '붉은 담요 사람들'이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34] 각 부족마다 염색의 진하기가 다르며, 구슬 장식과 프린트된 직물을 사용하여 의복을 만들기도 한다.[34] 일반적으로 코사족은 서구식 생활 방식에 적응했지만, 특별한 문화 행사에는 여전히 전통 의상을 착용한다.

코사족의 전통 의복은 개인의 사회적 지위와 삶의 단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갈레카 여성들은 팔과 다리에 구슬과 놋쇠 팔찌를 감고 목걸이 구슬을 착용하기도 한다.[34] 미혼 여성은 가슴을 드러낸 채 숄을 어깨에 두르며, 약혼한 여성은 땋은 머리카락을 붉게 물들이고 눈을 가리는 것으로 약혼자에 대한 존경을 표한다. 가족의 가장(아버지 또는 남편)에 대한 존경의 표시로 머리 장식을 착용하며, 고령의 코사족 여성들은 연장자로서 더 정교한 머리 장식을 착용할 수 있다.

여성들은 브래지어처럼 사용되는 작은 담요인 *인세베타(Incebetha)*, 속옷처럼 입는 *이훌루(Ifulu)*, 머리에 착용하는 *이키야(Iqhiya)* 등 다양한 의복을 착용한다. 또한 구슬로 만든 팔찌인 *인짐비(intsimbi)* 또는 *아마소(amaso)*를 발이나 허리에 착용하고, 손목에는 *이밋셰케(Imitsheke)*를 착용하며, *잉소와(ingxowa)*라고 불리는 작은 손가방을 들기도 한다.[35]

코사족 남성들은 전통적으로 사냥꾼, 전사, 목축업자 역할을 담당했으며, 동물 가죽은 그들의 전통 의복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남성들은 종종 담배와 칼 같은 필수품을 휴대하기 위해 염소 가죽으로 만든 가방을 착용한다. 이 가방은 한 장의 가죽을 벗겨내 털을 제거하지 않고 무두질하여 만든다.

결혼식이나 성인식과 같은 특별한 경우, 코사족 남성들은 자수가 놓인 치마를 입고 왼쪽 어깨에 직사각형 천을 걸치거나, 튜닉과 구슬 목걸이를 착용한다.[36] 남성들은 흰색과 검은색 담요인 *잉카와(ingcawa)*를 두르며, 목에는 *이시체베(isichebe)* (짧은 구슬) 또는 *이시당가(isidanga)* (긴 구슬 목걸이)를 착용한다. 손목과 발목에는 *아마소(amaso)*라고 불리는 구슬을 착용하고, 머리에는 *웅카(unngqa)* 또는 *이그왈라(igwala)*라고 불리는 구슬을 착용한다. 또한 *우쿠르하스와(ukurhaswa)*로 장식된 *움베카 페셰야(umbheka phesheya)*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담배 파이프를 피운다.[37][34]

5. 현대 사회의 코사족

2011년 기준 코사족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구의 약 18%를 차지하며, 줄루족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문화 집단이다.[38]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는 성인 문해율이 30%에 불과했고, 1996년 코사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의 문해율은 약 50%로 추정되었다.[39]

현대 코사족 복장


동케이프 주의 코사족 남성


코사족 소녀


코사어를 사용하는 지역의 초등학교 교육은 코사어로 진행되지만, 초등학교 저학년 이후에는 영어로 바뀐다. 코사어는 여전히 연구 대상으로, 월터 시술 대학교와 포트 헤어 대학교의 대부분 학생들은 코사어를 사용하며, 그레이엄스타운의 로드스 대학교에서는 모국어 사용자와 비모국어 사용자 모두를 위한 코사어 강좌를 제공한다.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정부 정책의 영향은 동케이프 주에 거주하는 코사족의 빈곤에서 여전히 나타난다. 이 기간 동안 코사족 남성은 주로 광업에서 이주 노동자로 일했다. 아파르트헤이트 붕괴 이후, 특히 농촌 코사족 사이에서 가우텡과 케이프타운으로의 이주가 증가했다.[40]

5. 1. 인구 분포와 도시화

5. 2. 교육과 문해율

5. 3. 정치적 영향력

코사족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넬슨 만델라, 타보 음베키 등 아프리카 민족회의(ANC)의 주요 지도자들은 코사족 출신이다.

6. 주요 인물

넬슨 만델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제10대 대통령이다. 타보 음베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제11대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그 외에도 데스먼드 투투, 스티브 비코, 위니 만델라, 레이먼드 믈라바, 월터 시술루, 알버티나 시술루, 고반 음베키, 올리버 탐보, 미리암 메이커, 시야 콜리시 등이 있다.

참조

[1] 논문 Isixhosa Ulwimi Lwabantu Abangesosininzi eZimbabwe: Ukuphila Nokulondolozwa Kwaso Rhodes University
[2] 웹사이트 Xhosa – Definition and pronunciation http://www.oxfordlea[...]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4-16
[3] 웹사이트 Xhosa – pronunciation of Xhosa http://www.macmillan[...] Macmillan Publishers Limited 2014-04-16
[4]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7-01-01
[5] 웹사이트 SouthAfrica.info https://web.archive.[...] SouthAfrica.info 2003-07-09
[6] 논문 Music-making of the Xhosa diasporic community: a focus on the Umguyo tradition in Zimbabwe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7] 웹사이트 Xhosa - Red Blanket People - Tribe, South Africa https://www.krugerpa[...] 2022-03-27
[8] 웹사이트 The House of Phalo: A History of the Xhosa People in the Days of Their Independence By Jeffrey B. Peires https://www.sahistor[...] 2022-03-27
[9] 서적 A History of the Xhosa C.1700-1835 https://books.google[...] Rhodes University 1976-01-01
[10] 웹사이트 The truth about the Xhosa Nostra https://hsf.org.za/p[...] 2024-02-22
[11] 웹사이트 Xhosa https://web.archive.[...] 2006-12-13
[12] 웹사이트 TheHerald.co.za http://www.theherald[...] TheHerald.co.za 2011-12-20
[13] 웹사이트 IOL.co.za http://www.int.iol.c[...]
[14] 웹사이트 Outrage over graphic circumcision website http://www.dispatchl[...] 2014-01-11
[15] 보도자료 Media release on ulwaluko.co.za https://web.archive.[...] 2014-01-24
[16] 웹사이트 Celebrating the Strength of Xhosa Women: The Intonjane Rite of Passage - MRCSL https://mrcsl.org/xh[...] 2024-02-22
[17] 웹사이트 Inkhaba Yahko Iphi?—Where is Your Navel? https://web.archive.[...] Uofaweb.ualberta.ca 2006-03-03
[1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7-07-14
[19] 웹사이트 What really goes down at a traditional Xhosa wedding http://www.w24.co.za[...]
[20] 웹사이트 Matrimony Online, South Africa's leading wedding website https://web.archive.[...] 2017-07-14
[21] 웹사이트 Iziduko – Xhosa Culture http://www.xhosacult[...] 2018-09-17
[22] 웹사이트 Lobola ins and outs – HeraldLIVE http://www.heraldliv[...] 2014-03-20
[23] 논문 The visual narrative relating to social performance of the Xhosa people during burial http://hdl.handle.ne[...] UNIVERSITY OF SOUTH AFRICA 2018-10-15
[24] 학술지 Death in Slow Motion: Funerals, Ritual Practice and Road Danger in South Africa
[25] 학술지 Ritual cleansing, incense and the tree of life-observations on some indigenous plant usage in traditional Zulu and Xhosa purification and burial rites https://hdl.handle.n[...] 2018-10-15
[26] 웹사이트 Eish! https://web.archive.[...] 2018-12-09
[27] 웹사이트 The Xhosa literary revival https://africasacoun[...] 2024-02-22
[28] 웹사이트 Beads http://www.encyclope[...]
[29] 학술지 Illuminated signs: style and meaning in the beadwork of the Xhosa-and Zulu-speaking peoples
[30] 서적 At the Intersection of Indigenous and Traditional Knowledge and Technology Design https://books.google[...] Informing Science
[31] 웹사이트 Iintombi zenkciyo – Opinions https://web.archive.[...] 2011-09-07
[32] 서적 Not only for its beauty: beadwork and its cultural significance among the Xhosa speaking peoples http://uir.unisa.ac.[...] University of South Africa 1990-01-01
[33] Youtube The Traditional Way of Dressing in the Xhosa Culture https://www.youtube.[...]
[34] 문서 The Xhosa https://www.ru.ac.za[...] 2018-07-17
[35] 웹사이트 Skirt (Isikhakha or Umbhaco) - 20th century - Xhosa or Mfengu peoples https://www.metmuseu[...] 2018-07-18
[36] 논문 The History of Xhosa Attire https://www.heraldli[...] 2014-07-18
[37]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South African Traditional Dress https://theculturetr[...] 2018-07-18
[38] 웹사이트 Xhosa http://www.sahistory[...] 2011-04-03
[39] 웹사이트 Ethnologue.com http://www.ethnologu[...]
[40] 논문 Money and Violence; Financial Self-Help Groups in a South African Township https://web.archive.[...] Brill: Leiden. 2017-12-22
[41] 웹사이트 southafrica.info http://www.southafri[...]
[42] 웹인용 Xhosa http://www.everycult[...] Advame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