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콩팥정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콩팥정맥은 콩팥에서 혈액을 운반하는 정맥으로, 콩팥동맥보다 앞쪽에 위치하며 아래대정맥으로 합류한다. 왼쪽 콩팥정맥은 오른쪽보다 길고, 부신 정맥, 고환 정맥(남성), 난소 정맥(여성), 허리 정맥 등의 지류를 받는다. 콩팥정맥은 콩팥정맥 혈전증이나 호두까기 증후군과 같은 질환과 관련될 수 있으며, 특히 호두까기 증후군은 콩팥정맥이 동맥에 의해 압박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몸통의 정맥 - 폐정맥
    폐정맥은 폐에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받아 좌심방으로 운반하는 혈관으로, 호흡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심방 세동과 같은 부정맥 질환과 관련되어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몸통의 정맥 - 반홀정맥
    반홀정맥은 현재 제공된 정보로는 정의, 구조, 변이, 임상적 중요성, 어원 및 역사에 대한 내용이 불분명합니다.
콩팥정맥
개요
이름콩팥정맥
라틴어 이름venae renales
영어 이름renal vein
해부학
배수 위치콩팥
근원엽사이정맥
배출 위치아래대정맥
동맥콩팥동맥

2. 구조

콩팥정맥은 각 콩팥에서 혈액을 운반하는 정맥으로, 보통 각 콩팥마다 하나씩 존재한다. 콩팥정맥은 콩팥동맥보다 앞쪽에 위치하며, 아래대정맥으로 거의 직각으로 합류한다.[10] 아래대정맥이 몸의 정중선에서 오른쪽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왼쪽 콩팥정맥(약 7.5cm)은 오른쪽 콩팥정맥(약 2.5cm)보다 약 3배 정도 길다.[10]

콩팥의 림프관은 콩팥정맥을 따라 주행하여 허리림프절로 유입된다.[11] 콩팥에는 보통 콩팥정맥이 하나씩 있지만, 여러 개가 있는 경우도 흔하다. 콩팥혈관의 기형은 딴곳콩팥이 있는 경우 더 흔하며, 말굽콩팥이 있다면 거의 항상 나타난다.[13]

2. 1. 지류

아래대정맥의 지류는 좌우 대칭을 이루지 않기 때문에, 왼쪽 콩팥정맥은 왼쪽 아래가로막정맥, 부신정맥, 생식샘정맥(남성은 고환정맥, 여성은 난소정맥), 둘째 허리정맥을 받기도 한다.[12] 반면 오른쪽에서는 이 정맥들이 직접 아래대정맥으로 들어간다.[12]

콩팥 정맥은 콩팥에 들어갈 때 4개의 분지로 나뉜다.

  • 콩팥 앞쪽 부분의 혈액을 받는 앞쪽 분지
  • 뒤쪽 부분의 혈액을 받는 뒤쪽 분지

2. 2. 위치 관계

콩팥정맥은 함께 주행하는 콩팥동맥보다 앞쪽에 위치한다. 두껍고 짧게 존재하는 콩팥정맥은 아래대정맥으로 거의 직각을 이루며 합류한다.[10]

아래대정맥이 정중선에서 오른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왼쪽 콩팥정맥(약 7.5cm)은 오른쪽(약 2.5cm)보다 3배가량 길다.[10] 두 콩팥정맥의 해부학적 위치 관계는 좌우대칭이 아니다.

왼쪽 콩팥정맥은 지라정맥과 이자 몸통의 뒤쪽에 놓여 있으며,[10] 배대동맥(왼쪽 콩팥정맥 뒤쪽)과 위창자간막동맥(왼쪽 콩팥정맥 앞쪽)이 이루는 각을 통과한다. 이 두 동맥이 이루는 각이 너무 작아지면 왼쪽 콩팥정맥이 두 동맥에 의해 눌리면서 정맥의 혈액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호두까기 증후군을 일으킨다. 간혹 왼쪽 콩팥정맥이 대동맥의 뒤쪽으로 지나가기도 한다.[10]

오른쪽 콩팥정맥은 샘창자 내림부분의 뒤쪽에 위치한다.[10]

한편 콩팥의 림프관은 콩팥정맥을 따라 주행하여 허리림프절로 유입된다.[11]

아래대정맥이 몸의 중심보다 오른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왼쪽 콩팥정맥이 오른쪽 콩팥정맥보다 더 길다. 반대로 오른쪽 콩팥정맥은 왼쪽의 3분의 1 정도 길이밖에 되지 않아 아래대정맥과 오른쪽 콩팥이 상당히 가깝게 위치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오른쪽 콩팥 수술은 왼쪽 콩팥보다 복잡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좌우 대칭이 아니기 때문에 왼쪽 콩팥정맥은 왼쪽 부신 정맥, 왼쪽 고환 정맥(남성)・왼쪽 난소 정맥(여성), 왼쪽 제2 허리정맥도 받는다.[6]

오른쪽 반신에서는 이러한 정맥은 직접 아래대정맥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일반적으로 오른쪽에 위치해야 할 하대정맥이 왼쪽에 있는 변이('''좌측 하대정맥''') 등에서는 오른쪽 고환 정맥(오른쪽 난소 정맥)이 오른쪽 콩팥정맥에 합류하는 경우도 있다.[7]

2. 3. 변이

각 콩팥에는 하나씩 콩팥정맥이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여러 개가 있는 경우도 흔하다. 콩팥혈관의 기형은 딴곳콩팥이 있는 경우 더욱 흔하며, 말굽콩팥이 있다면 거의 항상 존재한다.[13]

왼쪽 콩팥정맥이 배대동맥 앞으로 지나가지 않고 뒤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10] 각 콩팥에서 하나의 콩팥정맥이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부가 콩팥정맥도 흔히 발견된다. 콩팥 혈관 기형은 이소 신장에서 더 흔하며, 말발굽 신장에서는 거의 항상 나타난다.[4]

어떤 사람들은 왼쪽 콩팥정맥이 복부 대동맥 앞이 아닌 뒤쪽으로 지나가는데, 이를 후대동맥 왼쪽 콩팥정맥(일명 "슈니트커 정맥")이라고 한다. 대동맥 앞과 뒤, 양쪽 모두 정맥이 지나가는 경우를 대동맥 주위 콩팥정맥이라고 한다. 왼쪽 하대정맥에서 오른쪽 콩팥정맥이 복부 대동맥 뒤로 지나가는 것은 후대동맥 오른쪽 콩팥정맥이라고 하며, "역 슈니트커 정맥"이라고도 한다.

하대정맥은 몸의 중심보다 오른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왼쪽 콩팥정맥이 오른쪽 콩팥정맥보다 더 길다. 반대로 오른쪽 콩팥정맥은 왼쪽의 3분의 1 정도 길이밖에 되지 않아 하대정맥과 오른쪽 콩팥이 상당히 가깝게 위치한다. 그렇기 때문에 오른쪽 콩팥 수술은 왼쪽 콩팥 수술보다 복잡하다고 여겨진다.

콩팥정맥의 변이는 적은 편이며, 콩팥정맥이 중복되는 경우 가장 흔한 것은 오른쪽에 2개, 왼쪽에 1개가 있는 것이다.[9] 이 외에도 왼쪽에 여러 개가 있는 경우에는 대동맥을 둘러싸는 경우가 있다.

3. 임상적 중요성

콩팥정맥과 관련된 질환으로는 콩팥정맥 혈전증과 호두까기 증후군이 있다.[8] 콩팥정맥 혈전증은 콩팥정맥에 혈전이 생기는 질환이며, 호두까기 증후군은 콩팥정맥이 동맥 사이에 눌리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3. 1. 콩팥정맥 혈전증

콩팥정맥 혈전증(renal vein thrombosis; RVT)은 소변으로 다량의 단백질이 배출되는 신증후군 등에 동반되어 콩팥 정맥에 혈전이 생기는 질환이다.[8]

3. 2. 호두까기 증후군

콩팥정맥과 관련된 질환에는 콩팥정맥에 생기는 정맥혈전증인 콩팥정맥 혈전증과, 콩팥정맥이 동맥 사이에 눌리면서 발생하는 호두까기 증후군(넛크래커 증후군)이 있다.[8] 호두까기 증후군은 왼쪽 콩팥정맥이 복부 대동맥과 상장간막 동맥에 의해 압박되어 정맥압이 상승하면서 발병한다. 이는 콩팥 정맥이 복부 대동맥과 상장간막 동맥 사이에 끼어 있는 듯한 위치로 지나가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치 관계가 호두까기 도구(넛크래커)와 유사하여 "넛크래커 증후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8]

참조

[1] 서적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https://www.worldcat[...] 2021-01-01
[2] 서적 Human Anatomy Pearson
[3] 웹사이트 Dissector Answers - Kidney & Retroperitoneum http://anatomy.med.u[...] 2007-11-09
[4] 웹사이트 Multiple renal veins http://www.medcyclop[...] General Electric
[5] 웹사이트 article at GE's Medcyclopaedia http://www.medcyclop[...]
[6] 웹사이트 Dissector Answers - Kidney & Retroperitoneum http://anatomy.med.u[...]
[7] 간행물 構造系実習中に見いだされた左下大静脈の1例 https://doi.org/10.2[...] 2009
[8] 웹사이트 ナットクラッカー現象について―初歩から始める超音波検査室 http://www.ususus.sa[...]
[9] 문서 日本人のからだ
[10] 서적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https://www.worldcat[...] 2021-01-01
[11] 서적 국소해부학셋째판
[12] 웹사이트 Dissector Answers - Kidney & Retroperitoneum http://anatomy.med.u[...] 2007-11-09
[13] 웹인용 Multiple renal veins http://www.medcyclop[...] General Electr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