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콩팥 기능상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콩팥 기능상실은 신장 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의미하며, 급성 신손상(AKI)과 만성 신부전(CKD)으로 분류된다. 급성 신손상은 신장 기능이 급속도로 떨어지는 상태로 핍뇨,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이 나타나며, 신전성, 신성, 신후성 원인으로 유발된다. 만성 신부전은 신장 기능이 서서히 저하되는 질환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없을 수 있다. 만성 콩팥병 환자에게 급성 콩팥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를 급성 장기 신부전(AoCRF)이라고 하며, 급성기에는 이전 콩팥 기능 상태 회복을 목표로 치료한다. 고양이에게도 신부전증이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기 부전 - 다발성 장기 부전
    다발성 장기 부전은 감염, 부상 등으로 유발되는 전신 염증 반응으로 인해 둘 이상의 장기가 기능 부전을 일으키는 상태이며, 조기 진단과 공격적인 치료가 중요하다.
  • 장기 부전 - 호흡부전
    호흡 부전은 혈액 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상태이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폐, 심장, 신경근육 질환 등으로 분류되고, 동맥혈 가스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하며, 산소 요법, 기계 환기 등의 치료를 통해 관리한다.
  • 신장 비뇨기 질환 - 신장염
    신장염은 콩팥에 발생한 염증으로, 자가면역질환, 요로감염, 루푸스, 격렬한 운동 등이 원인이 되어 혈뇨, 핍뇨, 요독증, 고혈압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혈액 검사, X레이, 초음파 등으로 진단하고 원인에 따라 치료한다.
  • 신장 비뇨기 질환 - 신우신염
    신우신염은 신장의 신우와 신실질에 발생하는 감염으로, 급성(고열, 배뇨통, 옆구리 통증)과 만성(지속적인 옆구리 통증, 체중 감소)으로 나뉘며, 대장균과 장구균이 주요 원인균이고, 항생제로 치료하며, 요로의 구조적 이상, 당뇨병, 면역 저하 등이 위험 요인이다.
콩팥 기능상실
일반 정보
병명신부전
동의어콩팥기능상실
영어kidney failure, renal failure, end-stage renal disease (ESRD), stage 5 chronic kidney disease
분야신장학
장기 기능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는 [[혈액투석]] 기계
장기 기능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는 혈액투석 기계
증상 및 합병증
증상다리 부종, 피로, 식욕 부진, 혼란
합병증 (급성)요독증, 고칼륨혈증, 체액 과부하
합병증 (만성)심장질환, 고혈압, 빈혈
발병 시기 및 지속 기간
발병 시기알 수 없음
지속 기간알 수 없음
유형
유형급성 신부전, 만성 신부전
원인
원인 (급성)저혈압, 비뇨계통 폐쇄, 특정 약물, 근육융해, 용혈성 요독증후군.
원인 (만성)당뇨병, 고혈압, 신증후군, 다낭성 신종
위험 요인
위험 요인알 수 없음
진단
진단 (급성)핍뇨, 혈청 크레아티닌 증가
진단 (만성)사구체여과율 (GFR) < 15
감별 진단
감별 진단알 수 없음
예방 및 치료
예방알 수 없음
치료 (급성)병인에 따라
치료 (만성)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 이식
약물
약물알 수 없음
예후 및 빈도
예후알 수 없음
빈도 (급성)매년 1,000명 당 3명 꼴
빈도 (만성)1,000명 당 1명 꼴 (미국)
사망률
사망률알 수 없음

2. 분류

신부전은 크게 급성 신손상과 만성 신부전으로 나뉜다.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로 신부전의 종류를 구별하는데, 만성 신부전은 대개 빈혈과 신장 크기 감소가 나타나기 때문에 초음파 상 신장 크기를 기준으로 급성 신손상과 구별한다.[1]

2. 1. 급성 신손상 (AKI)

과거에 급성 신부전(ARF)으로 불렸던 급성 신손상(AKI)은 신장 기능이 급속하게 떨어지는 상태로, 대개 핍뇨(소변 생성 감소, 성인은 하루 400mL 미만, 아동은 0.5mL/kg/h 미만, 영아는 1mL/kg/h 미만)와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AKI는 다양한 원인으로 유발되는데, 일반적으로 신전성, 신성, 신후성으로 분류된다.[1] 파라쿼트 중독 환자 중 다수에게서 AKI가 나타나고, 경우에 따라 혈액 투석이 필요할 수도 있다.[1] 이 경우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진행을 막는 치료가 필요하며,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데 필요한 시간 동안 투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1]

2. 2. 만성 신부전 (CKD)

만성 신부전(CKD)은 서서히 진행되며 초기에는 증상이 없을 수도 있다. 만성 신부전은 급성 질환의 만성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 있고, 질병 진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1]

2. 3. 급성 장기 신부전 (AoCRF)

만성 신부전 환자에게 급성 신손상이 동반되는 경우를 급성 장기신부전(Acute-on-chronic kidney failure, AoCRF)이라고 한다. AoCRF의 급성기는 불가역적이고, 급성 신손상(AKI)와 마찬가지로 치료 목표는 이전 신기능 상태로 회복하는 것이며,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가 회복 기준이 된다. 급성 신손상과 마찬가지로, AoCRF는 의사의 지속적인 관찰이 없거나 이전 신장 기능 혈액 검사 결과가 없어 비교할 수 없을 경우 만성 신질환과 구별하기 어렵다.[1]

3. 고양이 신부전

고양이도 신부전증에 걸릴 수 있는데, 이는 고양이생명을 위협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참조

[1] 서적 Primer on Kidney Diseases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05
[2] 웹인용 Kidney Failure https://www.niddk.ni[...] 2017-11-11
[3] 서적 Renal Failure and Replacement Therap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0
[4] 저널 Insulin Resist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5] 웹인용 Kidney Failure https://medlineplus.[...] 2017-11-11
[6] 웹인용 What is renal failure? https://www.hopkinsm[...] 2017-12-18
[7] 서적 Nephrology: Clinical Cases Uncovered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
[8] 서적 Ferri's Clinical Advisor 2018 E-Book: 5 Books in 1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7
[9] 사전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