쾰른의 브루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쾰른의 브루노는 1030년경 독일 쾰른에서 태어나 랭스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1055년경 사제로 서품된 인물이다. 랭스 신학교 학장을 역임하며 뛰어난 명성을 얻었고, 훗날 교황 우르바노 2세가 된 오도 등을 양성했다. 랭스 교구 사무처장으로 활동하며 부덕한 대주교 마나세와 갈등을 겪은 후, 주교직과 교황의 제안을 거절하고 은둔 생활을 선택했다. 1084년 6명의 동료와 함께 카르투시오회를 창설하여 수도 생활의 모범을 보였으며, 1101년 칼라브리아에서 사망했다. 그는 카르투시오회의 창설자이자, 학자, 교육자로서 학문적, 영성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으며, 캘리포니아의 산 브루노 크릭의 이름의 유래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30년 출생 - 프세볼로트 1세
프세볼로트 1세는 키예프 대공국의 대공(재위 1078년~1093년)으로 야로슬라프 1세의 아들이자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의 아버지이며, 키예프 공국을 공동 통치하고 키예프, 체르니히우, 페레야슬라우 공국을 통합한 인물이다. - 1030년 출생 - 스츠크체파노브의 스타니슬라오
스타니스와프 스츠크체파노브스키는 11세기 폴란드 크라쿠프 주교로, 볼레스와프 2세의 부도덕함을 비판하고 파문한 후 반역죄로 고발되어 미사 집전 중 살해당했으며, 폴란드와 크라쿠프의 수호성인으로 시성되었다.
쾰른의 브루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성인 |
이름 | 브루노 폰 쾰른 |
존칭 접미사 | OCart |
사망일 | 1101년 10월 6일 |
기념일 | 10월 6일 |
숭배 대상 | 가톨릭교회 |
출생지 | 쾰른, 쾰른 대교구 |
사망지 | 세라 산 브루노 |
칭호 | 수도자, 은수자 |
시복일 | 1514년 |
시복자 | 교황 레오 10세 |
시성일 | 1623년 2월 17일 |
시성자 | 교황 그레고리오 15세 |
상징 | 카르투시오회 수도복, 해골을 들고 있음, 카르투시오회 규칙, 십자고상 |
추가 정보 | |
독일어 이름 | Bruno von Köln |
이탈리아어 이름 | Bruno di Colonia |
라틴어 이름 | Sanctus Bruno |
2. 초기 생애와 교육
브루노는 쾰른에서 교육받은 후, 투르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1055년경 쾰른으로 돌아와 사제로 서품되었고, 성 쿠니베르투스 교회의 참사회원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 1056년 게르베이 주교의 부름을 받아 다시 랭스로 가서 신학교 교수가 되었다.
2. 1. 출생과 가문
브루노는 1030년경 오늘날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쾰른의 명문 귀족 가문인 하텐파우스 가문에서 태어났다.[2] 브루노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고향으로 돌아오기 전에 오늘날 프랑스 도시인 랭스에서 신학을 공부했다는 사실만 알려져 있다.2. 2. 교육 과정
브루노는 쾰른과 랭스에서 신학 등의 학업을 마치고, 1055년경 사제로 서품되었다.[2] 1056년 랭스 신학교의 교수가 되었고, 이듬해 학장이 되어 1075년까지 재직했다.[2] 그는 20년 가까이 학교를 이끌면서 철학자이자 신학자로서 뛰어난 명성을 얻었다.[3]그의 제자 중에는 교황 우르바노 2세를 비롯하여 레조의 추기경이자 주교였던 랑지에, 랑그르의 주교였던 로베르트 등 훗날 유명한 인재가 된 사람이 많이 있었다. 또한 많은 고위 성직자들과 수도원장들도 그의 제자였다.
3. 랭스 교구에서의 활동
1075년 브루노는 랭스 대교구의 사무처장으로 임명되어 교구 행정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다. 당시 랭스 교구장은 슈토 뒤 루아르의 제르베(Gervais de Château-du-Loir)의 뒤를 이은 구르네의 망나스(Manasses de Gournai)였다. 마나세스는 전임자와 달리 부덕하고 권력에 아첨하는 인물이었으며, 1077년 브루노와 랭스 성직자들의 요구로 오통 교회회의에서 성무 정지를 당하고 교구장 자리에서 물러났다.[4] 마나세스는 이에 대한 복수로 브루노의 집을 파괴하고 재산을 빼앗았으며, 교황 그레고리오 7세에게 항소하였다.[3] 민중 소요가 일어나자 마나세스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4세에게 피신하였다.
3. 1. 랭스 교구 사무처장
1075년 브루노는 랭스 대교구의 사무처장으로 임명되어 교구 행정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다. 당시 랭스 대주교 자리는 브루노의 친구이자 신앙심 깊었던 슈토 뒤 루아르의 제르베(Gervais de Château-du-Loir)의 뒤를 이어 구르네의 망나스(Manasses de Gournai)가 차지하였다. 마나세스는 전임자와는 달리 부덕하고 권력에 아첨하는 성향을 가진 인물이었다. 1077년 브루노와 랭스 성직자들의 요구에 따라 마나세스는 오통 교회회의에서 성무 정지를 당하고 교구장 자리에서 물러났다.[4] 이에 마나세스는 브루노에게 복수하고자 하인들을 시켜 브루노의 집을 공격해 파괴하였다. 마나세스는 한발 더 나아가 브루노와 함께 자신에게 등을 돌린 자들의 재산을 모두 강제로 빼앗았으며, 성직매매를 하고, 교황 그레고리오 7세에게 억울하다며 항소까지 하였다.[3] 분노한 민중이 소요를 일으키자 마나세스는 교황의 적대자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4세에게 피신하였다.3. 2. 마나세와의 갈등
1075년 브루노는 랭스 교구의 사무처장으로 임명되었다. 한편, 랭스 교구장 자리는 브루노의 친구이자 신앙심 깊었던 제르베의 뒤를 이어 마나세스가 이어받았다. 마나세스는 전임자와는 달리 부덕하고 권력에 아첨하는 성향의 소유자였다. 1077년 브루노와 랭스 성직자들의 요구에 따라 마나세스는 오탕 교회회의에서 성무정지를 당하고 교구장 자리에서 물러났다.[4] 이에 마나세스는 브루노에게 복수하고자 하인들을 시켜 브루노의 집을 파괴하였다. 마나세스는 한발 더 나아가 브루노와 함께 자신에게 등을 돌린 자들의 재산을 모두 강제로 빼앗았으며, 성직매매를 하고, 교황 그레고리오 7세에게 억울하다며 항소까지 하였다.[3] 이에 분노한 민중이 소요를 일으키자 마나세스는 교황의 적대자인 황제 하인리히 4세에게 피신하였다.4. 은둔 생활과 카르투시오회 창설
브루노는 고독과 기도 생활을 꿈꾸며 세속적인 이익을 포기하기로 결심했다. 랭스 교구민들은 그를 새 대주교로 추대했지만, 브루노는 이를 거절하고 은수 생활을 선택했다. 그는 몰렘의 성 로베르토에게 조언을 구했고, 로베르토는 은수 생활을 권하며 그르노블 교구의 샤트뇌프의 성 후고 주교에게 적당한 장소를 찾도록 했다.
1084년, 브루노는 6명의 동료와 함께 그르노블에 도착하여 샤트뇌프의 성 후고 주교의 도움으로 그랑드샤르트뢰즈에 정착했다. 이들은 그곳에서 작은 성당과 개인 초막을 짓고, 외부 세계와 철저하게 고립된 채 기도, 묵상, 공부에 전념하며 성 베네딕토의 규칙을 엄격하게 준수하는 생활을 시작했다. 이것이 카르투시오회의 시작이다.[4]
얼마 후, 브루노의 제자였던 오도 드 라주리가 교황 우르바노 2세로 선출되었다. 우르바노 2세는 그레고리오 개혁을 이어가기 위해 1090년 브루노를 로마로 불렀다. 브루노는 교황의 조언자 역할을 했지만, 로마와 교황청 내 당쟁에서 거리를 두었다. 심지어 우르바노 2세가 제1차 십자군 원정을 호소한 클레르몽 교회회의에도 참석하지 않았다.
브루노는 레조칼라브리아 대교구장직을 제안받았지만, 은수 생활로 돌아가기를 원했다. 그러나 우르바노 2세는 그를 이탈리아에 머무르게 했다. 1091년 브루노는 새로운 안식처로 스퀼라체 교구의 울창한 숲속을 선택했고, 그곳에 작은 경당과 오두막을 세웠다. 시칠리아의 루제로 1세는 브루노의 후원자로, 1095년에 성 스테파노 수도원이 세워졌다.[6]
4. 1. 주교직 거절과 은둔 생활 추구
브루노는 고독과 기도 생활을 꿈꾸며, 친구 라울, 풀치오와 함께 세속적 이익을 포기하기로 서약했다.[5] 랭스 교구민들은 그를 새 대주교로 추대했지만, 브루노는 이를 거절하고 조용한 곳에서 묵상한 후, 친구들과 함께 몰렘의 성 로베르토에게 조언을 구했다. 로베르토는 브루노에게 은수생활을 권하며, 그르노블 교구에서 적당한 장소를 찾으라고 조언했다.1084년, 브루노는 6명의 동료와 함께 그르노블에 도착하여 샤트뇌프의 성 후고 주교의 환대를 받고 머물 장소를 제공받았다. 브루노의 동료는 랑됭, 부르의 스테파노, 디에의 스테파노, 위그, 그리고 평신도인 안드레아와 게린이었다.[4] 이들은 작은 성당과 개인 초막을 짓고, 외부와 고립된 채 기도, 묵상, 공부에 전념하며 성 베네딕토의 규칙을 엄격하게 준수했다.
교황 우르바노 2세로 선출된 브루노의 제자 오도 드 라주리는 1090년 브루노를 로마로 불렀다. 우르바노 2세는 교회 개혁을 계속하고 반교황 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유능한 인재가 필요했고, 브루노는 교황의 조언자 역할을 했지만, 배후에 머물며 로마와 교황청 내 당쟁에서 거리를 두었다.
로마로 피신하던 중, 브루노는 레조칼라브리아 대교구장직을 제안받았지만, 이를 거절하고 은수 생활로 돌아가기를 원했다.[5] 하지만 우르바노 2세는 그를 이탈리아에 머무르게 했다.
4. 2. 카르투시오회 창설
1084년, 브루노는 6명의 동료와 함께 그르노블의 주교 샤트뇌프의 성 후고의 도움을 받아 그랑드샤르트뢰즈에 정착하여 카르투시오회를 창설했다.[4] 이들은 작은 성당과 개인 초막을 짓고, 기도와 묵상, 공부에 전념하며 엄격한 은둔 생활을 했다.[4]브루노는 이전에 친구인 라울, 풀치오와 함께 세속적인 이익을 평생 포기한다는 서약을 한 적이 있었다.[5] 랭스 교구민들의 바람을 뒤로하고, 브루노는 몰렘의 성 로베르토에게 조언을 구하러 갔다. 훗날(1098년) 시토 수도회의 창립자가 된 로베르토는 브루노에게 은수생활을 권유했다. 브루노는 그의 말대로 1084년 그르노블에 도착했고, 샤트뇌프의 성 후고는 이들을 그랑드샤르트뢰즈에 정착하게 했다.[4]
당시 브루노와 함께 했던 이들은 성 루포스 성당의 의전사제인 랑됭, 부르의 스테파노, 디에의 스테파노와 군종사제 위그, 그리고 평신도인 안드레아와 게린이었다. 안드레아와 게린은 나중에 카르투시오 수도회의 첫 평수사가 되었다.
5. 교황 우르바노 2세와의 관계
브루노는 일찍이 두 친구 라울, 풀치오와 함께 세속적인 이익을 포기한다는 서약을 했다. 이후 몰렘의 성 로베르토의 권유로 1084년 그르노블에 도착, 샤트뇌프의 성 후고의 도움을 받아 은수 생활을 시작했다. 이들은 작은 성당과 개인 초막을 짓고, 성 베네딕토의 규칙을 엄격하게 준수하며 기도와 묵상, 공부에 전념했다. 이것이 카르투시오회의 시작이다.
이 즈음 브루노의 제자였던 오도 드 라주리가 교황 우르바노 2세로 선출되었다. 우르바노 2세는 교황 그레고리오 7세의 교회 개혁을 이어가기 위해, 그리고 반교황 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브루노를 로마로 불렀다. 브루노는 교황의 조언자 역할을 했지만, 철저히 배후에 머물렀다. 제1차 십자군 원정을 호소한 클레르몽 교회회의에도 참석하지 않아 로마와 교황청 내 당쟁에서 거리를 둘 수 있었다.[4]
교황 우르바노 2세는 레조칼라브리아 대교구장직을 제안받았으나, 브루노는 은수 생활로 돌아가기를 원했다. 우르바노 2세는 그를 곁에 두기 위해 이탈리아에 머무르기를 원했다. 결국 브루노는 스퀼라체 교구의 숲속에 새로운 안식처를 마련하고, 시칠리아의 루제로 1세의 후원을 받으며 은수 생활을 이어갔다.
5. 1. 로마로 불려감
교황 우르바노 2세는 교황 그레고리오 7세가 시작한 교회 개혁을 계속 추진하고, 반교황 세력인 라벤나의 기베르와 하인리히 4세 황제에 맞서기 위해 1090년 자신의 스승이었던 브루노를 로마로 불렀다.[3] 브루노는 라테라노 궁전에서 교황과 함께 지내면서 교황의 조언자 역할을 수행했지만, 외부에 드러나지 않게 활동했다.[4] 심지어 제1차 십자군 원정을 호소한 클레르몽 교회회의에도 참석하지 않았다.[4]5. 2. 교황의 조언자 역할
브루노는 라테라노 궁전에서 교황 우르바노 2세와 함께 지내면서 그의 조언자 역할을 하였지만, 철저하게 배후에 머물며 드러나지 않게 활동했다.[4] 그는 로마와 교황청 내의 당쟁으로부터 거리를 두었다.[4] 심지어 우르바노 2세가 제1차 십자군 원정을 호소한 클레르몽 교회회의에조차 참석하지 않았다.[4]5. 3. 은둔 생활로의 복귀
교황 우르바노 2세는 레조칼라브리아의 대교구장 아르눌프가 1090년에 선종하자, 브루노에게 대교구장직을 맡으라고 압박하였다. 하지만 브루노는 이를 거절하고, 동료들이 있는 도피네로 돌아가 은수 생활을 하기를 원했다. 이는 그가 도피네의 동료들에게 보낸 서간에 잘 나타나 있다. 그러나 우르바노 2세는 필요할 때 언제든지 곁에 두고자 브루노가 이탈리아에 머무르기를 원했다.1091년, 브루노는 스퀼라체 교구의 조용하고 외진 숲속 골짜기를 새로운 안식처로 선택했다. 그는 몇몇 추종자들과 함께 나무를 베어 작은 경당과 오두막을 지었다. 이들의 땅은 브루노의 후원자이자 친분이 있던 시칠리아의 루제로 1세가 제공했다. 브루노는 루제로 1세의 건강이 좋지 않다는 소식을 듣고 밀레토 궁정을 방문, 그의 아들 시칠리아의 루제로 2세의 세례식을 집전했다. 루제로 1세도 종종 측근들을 이끌고 브루노의 은수처를 방문했으며, 머물기 위한 작은 암자를 짓기도 했다. 1095년, 루제로 1세의 기부로 성 스테파노 수도원이 세워졌다.
6. 말년과 유산
브루노가 세운 두 교회는 모두 성모 마리아에게 봉헌되었다. 성모 마리아 (노트르담 드 카잘리뷔스)와 칼라브리아의 성모 마리아 델라 토레이다.[1] 그는 또한 캘리포니아주의 산 브루노 크릭(San Bruno Creek)의 이름의 유래가 되기도 했다.[1]
브루노 사후, 칼라브리아의 카르투시오 수도회는 중세 시대의 관습에 따라 사망 증명서를 지닌 수도회 하인을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영국으로 파견해 브루노의 죽음을 알렸다.[1] 교회와 수도회 등에서는 그의 죽음에 대한 애도와 기도를 약속했다.[1] 브루노를 알았던 사람들은 그의 지식과 가르침을, 그를 몰랐던 사람들은 그의 뛰어난 지식과 재능에 놀랐다.[1] 그의 제자들은 깊은 기도, 고행, 성모 마리아에 대한 헌신을 그의 주요 미덕으로 칭찬했다.[1]
브루노는 카르투시오회의 겸손 준수 때문에 공식적으로 시성되지는 않았다. 1623년 그레고리오 15세 교황이 그의 축일을 10월 6일로 로마 일반 달력에 포함시켰다.[7]
성 브루노는 오랫동안 수호성인으로 여겨져 왔으며, 칼라브리아의 수호성인이자 독일의 수호성인 중 한 명이다. 가톨릭 미술에서 성 브루노는 해골, 책, 십자가를 들고 묵상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는 일곱 개의 별로 이루어진 후광을 쓰고 있거나, O Bonitasla라는 문장이 새겨진 두루마리를 들고 있을 수 있다.
6. 1. 카르투시오회의 유산
브루노가 세운 두 교회는 모두 성모 마리아에게 봉헌되었다. 다우피네의 성모 마리아 (노트르담 드 카잘리뷔스)와 칼라브리아의 성모 마리아 델라 토레(Our Lady Della Torre)이다.[1] 브루노의 영감에 따라, 카르투시오 수도회 규칙은 그들의 특별한 수호 성인이 누구이든 간에, 하느님의 어머니를 수도회 모든 집의 첫 번째이자 주요 수호 성인으로 선포한다.[1] 그는 또한 캘리포니아주의 산 브루노 크릭(San Bruno Creek)의 이름의 유래가 되기도 했다.[1]브루노 사후, 칼라브리아의 카르투시오 수도회는 중세 시대의 관습에 따라 사망 증명서가 목에 걸린 수도회 하인인 두루마리 운반자를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영국으로 파견했다.[1] 이들은 브루노의 죽음을 알리고 다녔으며, 그 대가로 교회, 수도회 등에서는 산문이나 운문으로 그의 죽음에 대한 애도와 기도 약속을 두루마리에 적었다.[1] 이러한 두루마리들 중 많은 수가 보존되어 있지만, 브루노에 관한 것만큼 광범위하고 찬사가 가득한 것은 드물다.[1] 브루노를 알았던 사람들을 포함한 178명의 증인들이 그의 지식의 깊이와 가르침의 풍성함을 기념했다.[1] 그를 몰랐던 사람들은 무엇보다도 그의 뛰어난 지식과 재능에 놀랐다.[1] 그의 제자들은 깊은 기도 정신, 극심한 고행, 그리고 성모 마리아에 대한 헌신을 그의 세 가지 주요 미덕으로 칭찬했다.[1]
6. 2. 시성
브루노는 카르투시오회가 겸손을 엄격하게 준수하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시성되지 않았다. 트리엔트 미사경본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1623년 그레고리오 15세 교황이 그의 축일을 10월 6일로 로마 일반 달력에 포함시켰다.[7]성 브루노는 오랫동안 수호성인으로 여겨져 왔으며, 칼라브리아의 수호성인이자 독일의 수호성인 중 한 명이다.
가톨릭 미술에서 성 브루노는 해골, 책, 그리고 십자가를 들고 묵상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는 일곱 개의 별로 이루어진 후광을 쓰고 있거나, O Bonitasla라는 문장이 새겨진 두루마리를 들고 있을 수 있다.
7. 평가와 의의
브루노는 뛰어난 교사였으며 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훗날 로마 교황이 된 우르바누스 2세를 비롯하여 많은 고위 성직자와 수도원장이 그의 제자였다.[1] 브루노의 장례식 연설에서는 그의 웅변, 시, 철학, 신학적 재능을 칭송했다.[1]
7. 1. 학문적, 영성적 영향력
브루노는 뛰어난 교사였으며, 그의 문하에서는 많은 인재를 배출했다. 제자 중에는 후에 로마 교황 우르바누스 2세가 된 샤티용의 유도, 추기경이자 레지오 주교 랑제, 랑그르 주교 로베르투스 외에도 많은 고위 성직자와 수도원장이 포함된다.[1] 그의 장례식 연설에서는 그의 웅변, 시재, 철학 및 신학적 재능이 칭송되었다.[1]참조
[1]
웹사이트
Ravier, A., "Short Biography of St Bruno", 1983
https://web.archive.[...]
2016-10-06
[2]
백과사전
St. Bruno (2)
[3]
웹사이트
St. Bruno, founder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St. Bruno
http://www.americanc[...]
Franciscan Media
[5]
뉴스
The saint who founded the Carthusian order
http://www.catholich[...]
Catholic Herald
2014-10-03
[6]
웹사이트
St. Bruno of Cologne (1035-1101)
http://www.catholici[...]
[7]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8]
문서
성 브루노는 공식적으로 시성식을 통해 성인으로 공표되지는 않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