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쾰른-아헨 대관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쾰른-아헨 대관구는 나치 독일 시대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1926년 나치당의 지역 조직 개편으로 시작되어 1933년 독일의 주를 대체했다. 대관구지휘자는 요제프 그로헤였으며, 그는 대관구 설립부터 해체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정당 행정뿐 아니라 정부 직책도 수행하며 선전, 국민돌격대 소집, 방어 작전을 지휘했다. 쾰른-아헨 대관구는 7,100km² 면적에 230만 명이 거주했으며, 아헨, 본, 쾰른 등 여러 지역을 포함했다. 종전 직전 그로에는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체포되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헨의 역사 - 엑스라샤펠 조약 (1668년)
    엑스라샤펠 조약(1668년)은 삼국 동맹의 압박으로 프랑스가 플랑드르 일부를 확보하는 대신 다른 점령지를 스페인에 반환하며 플랑드르 전쟁을 종결시킨 강화 조약으로, 유럽 세력 균형에 영향을 주고 프랑스-네덜란드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아헨의 역사 - 엑스라샤펠 조약 (1748년)
    엑스라샤펠 조약은 1748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을 종결했지만, 슐레지엔 확보, 파르마 공국 양도,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 반환 등의 결과를 낳았음에도 불구하고 전쟁의 근본적인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하여 7년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쾰른의 역사 - 오드콜로뉴
    오드콜로뉴는 1709년 독일 쾰른에서 조반니 마리아 파리나가 개발한 시트러스 기반의 향수로, 흑사병 퇴치에 대한 믿음과 상쾌한 향으로 유럽 왕가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쾰른의 파리나 가문, 4711, 장 마리 조제프 파리나 등의 역사적인 브랜드가 있다.
  • 쾰른의 역사 - 독일 신년전야 동시다발 성폭행 사건
    2015년에서 2016년 사이 독일 쾰른에서 아랍인과 북아프리카인 남성들이 여성들을 대상으로 집단 성폭행 및 강도 범죄를 저질러 독일 사회에 충격을 주고 난민 문제와 이민 정책 논쟁을 일으켰으며, 유사한 사건들이 다른 유럽 국가에서도 발생하여 사회적 파장이 일었다.
  • 1931년 설립 - 한인애국단
    한인애국단은 1931년 김구에 의해 결성되어 일본 요인 암살을 목표로 이봉창, 윤봉길 의거를 실행했으며, 1930년대 후반 공식 활동을 중단했다.
  • 1931년 설립 - 하르츠부르크 전선
    하르츠부르크 전선은 1931년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나치당을 포함한 우익 세력들이 브뤼닝 내각에 대한 반대를 공유하며 결성되었으나, 이념 및 정치적 목표 차이로 통합에 실패하고 1932년 와해되었지만, 이후 나치당이 권력을 장악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쾰른-아헨 대관구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명칭쾰른-아헨 대관구
존속 기간1931년 6월 1일 ~ 1945년 4월 8일
국가나치 독일
수도쾰른
현재 위치독일, 벨기에
지도
1944년의 나치 독일 행정구역 지도. 왼쪽 중앙의 초록색이 쾰른-아헨 대관구이다.
1944년의 나치 독일 행정구역 지도
정치
정치 체제대관구
대관구지휘자[[파일:Gauleiter collar tabs.svg|30px]] 대관구지휘자
대관구지휘자 임기1931년 ~ 1945년
역사
시작1931년 6월 1일
이전 국가바이마르 공화국, 프로이센 자유주
이후 국가연합군 군정기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해체1945년 4월 8일
통계
면적7100km²
인구 (1941년)2,432,095명
기타
대관구 등록 번호제12번

2. 역사

원래 나치의 대관구(Gau) 조직은 1926년 5월 22일 나치당 회의에서 지역당 조직 구조 개선을 목적으로 창립한 구역이었다. 이후 1933년 나치가 독일의 권력을 장악하면서 독일의 주 단위 행정구역이 당의 대관구 행정구역으로 대체되었다.[48]

각 대관구를 지휘하는 대관구지휘자는 점점 더 권력이 세지면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외부에서 거의 간섭을 받지 않았다. 지역 대관구지휘자는 정당 행정 뿐 아니라 정부 직책에도 관여하여 선전 감시 등 다양한 작전을 수행했으며, 1944년 9월 이후에는 국민돌격대 소집과 각 대관구 방어작전 역할도 맡았다.[48][49]

쾰른-아헨 대관구의 대관구지휘자는 수립부터 해체 내내 요제프 그로헤 혼자였다.[50][51]

요제프 그로에, 쾰른-아헨 대관구의 가울라이터.
그로헤는 종전 직전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가명을 쓰고 탈출했으나 1946년 체포되어 4년 6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죄를 뉘우치는 등의 행동은 없었으며, 1987년 사망하였다.[52]

이 대관구는 7,100km2크기에 2,300,000명이 살고 있었는데, 크기와 인구 순 대관구 목록에 중앙에 속했다.[53]

2. 1. 나치 대관구 체제의 성립

나치의 대관구(Gau) 조직은 1926년 5월 22일 나치당 회의에서 지역당 조직 구조 개선을 목적으로 창립되었다.[48] 1931년, 라인란트 대관구는 쾰른-아헨 대관구와 모젤란트 대관구로 분리되었고, 요제프 그로에가 쾰른-아헨 대관구의 대관구지휘자(가울라이터)로 임명되었다.[7] 1933년 나치가 독일의 권력을 장악하면서 독일의 주 단위 행정구역은 당의 대관구 행정구역으로 대체되었다.[48]

각 대관구를 지휘하는 대관구지휘자는 점점 더 권력이 세지면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외부에서 거의 간섭을 받지 않았다. 지역 대관구지휘자는 정당 행정 뿐 아니라 정부 직책에도 관여하여 선전 감시 등 다양한 작전을 수행했으며, 1944년 9월 이후에는 국민돌격대 소집과 각 대관구 방어작전 역할도 맡았다.[48][49]

2. 2. 쾰른-아헨 대관구의 발전과 역할

쾰른-아헨 대관구는 1926년 5월 22일 나치당 회의에서 지역당 조직 구조 개선을 목적으로 창립되었다.[48] 1933년 나치가 독일의 권력을 장악하면서, 쾰른-아헨 대관구는 독일의 주 단위 행정구역을 대체하는 당의 대관구 행정구역이 되었다.[48]

쾰른-아헨 대관구의 대관구지휘자는 요제프 그로헤였다.[50][51] 그는 대관구 수립부터 해체 내내 대관구지휘자를 맡았다.[50][51] 각 대관구를 지휘하는 대관구지휘자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외부에서 거의 간섭을 받지 않을 정도로 권력이 강했다.[48][49] 지역 대관구지휘자는 정당 행정 뿐 아니라 정부 직책에도 관여하여 선전 감시 등 다양한 작전을 수행했으며, 1944년 9월 이후에는 국민돌격대 소집과 각 대관구 방어작전 역할도 맡았다.[48][49]

요제프 그로헤는 종전 직전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가명을 쓰고 탈출했다.[52] 하지만 1946년 체포되어 4년 6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고, 죄를 뉘우치는 등의 행동은 없었으며, 1987년 사망하였다.[52]

쾰른-아헨 대관구는 7,100km2 크기에 2,300,000명이 살고 있었으며, 크기와 인구 순 대관구 목록에서 중앙에 속했다.[53]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쾰른-아헨 대관구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쾰른-아헨 대관구의 대관구지휘자는 정당 행정뿐만 아니라 정부 직책에도 관여하여 선전 감시, 국민돌격대 소집과 대관구 방어작전 역할도 맡았다.[48][49] 1940년 5월, 나치 독일이 벨기에 침공하여 승리한 후, 오이펜-말메디가 쾰른-아헨 대관구에 편입되었다.[48] 그러나 망명 벨기에 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이펜-말메디가 벨기에의 일부라고 주장했다.[48]

1920년에서 1945년 사이에 오이펜-말메디에 영향을 미친 영토 변화 지도, 쾰른-아헨 대관구의 영토 확장을 반영한다.


가우의 수도인 쾰른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공군(RAF)에 의해 262차례의 공습을 받아 2만여 명의 민간인이 사망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3][4][5] 1942년 5월 30/31일 쾰른에 대한 공격은 최초의 1,000대 폭격 작전이었다.

1944년, 연합군이 쾰른-아헨 대관구 지역으로 진격하면서, 클리퍼 작전으로 가일렌키르헨 주변 지역을 점령하고, 휫겐 숲 전투에서 독일군의 저항에 직면했다. 1944년 12월, 독일군은 벌지 전투를 통해 공세에 나섰으나, 연합군은 블랙콕 작전등을 통해 독일군을 몰아냈다. 1945년 3월, 럼버잭 작전의 일환으로 쾰른이 함락되었고,[40] 연합군은 본을 점령했다.[15]

연합군의 쾰른 진격.


다음은 연합군의 쾰른-아헨 대관구 점령 타임라인이다.

}

|[25]

|-

|1944년 11월 18일

|

|[25]

|-

|1944년 11월 19일

|가이렌키르헨

|[26]

|-

|11월 19일–20일 밤

|

|[27]

|-

|1944년 11월 20일

|

|[27]

|-

|1944년 11월 20일

|

|[28]

|-

|1944년 11월 21-22일

|마호가니 언덕

|[27]

|-

|1944년 11월 22일

|에쉬바일러

|[29]

|-

|1944년 11월 29일

|휘르트겐

|

|-

|1944년 12월 3일

|린니히

|

|-

|1944년 12월 6일

|

|[30]

|-

|1944년 12월 12일

|

|[30]

|-

|1944년 12월 12일

|

|[30]

|-

|1945년 1월 24일

|하인스베르크

|

|-

|1945년 1월 25일

|

|[14]

|-

|1945년 2월 11일

|니더지어

|[31]

|-

|1945년 2월 23일

|율리히

|

|-

|1945년 2월 25일

|뒤렌

|[32]

|-

|1945년 2월 25일

|

|

|-

|1945년 2월 26일

|에르켈렌츠

|[14]

|-

|1945년 2월 27일

|엘스도르프

|[33]

|-

|1945년 2월 27일

|페트바이스

|[34]

|-

|1945년 2월 27일

|

|[35]

|-

|1945년 2월 28일

|글레쉬

|[36]

|-

|1945년 3월 1일

|베르크하임

|[36]

|-

|1945년 3월 2일

|니더아우셈

|[37]

|-

|1945년 3월 3-4일

|바일러스비스트

|[38]

|-

|1945년 3월 5일

|

|[39]

|-

|1945년 3월 5–7일

|쾰른

|[40]

|-

|1945년 3월 8–9일

|

|[15]

|-

|1945년 3월 26일

|아이토르프

|

|-

|1945년 4월 8일

|가우 해체, 일부 영토는 독일의 통제하에 남아있음

|[7]

|-

|1945년 4월 9-11일

|지크부르크

|[41]

|-

|1945년 4월 12일

|레프라트

|[42]

|-

|1945년 4월 12일

|

|

|-

|1945년 4월 13일

|비퍼퓌르트

|[43]

|-

|1945년 4월 13일

|린들라

|[43]

|-

|1945년 4월 13일

|벤스베르크

|[42]

|-

|1945년 4월 13일

|오버라트

|[44]

|}

2. 4. 종전 이후

요제프 그로헤는 1945년 4월 8일 대관구를 해산하고 광석 산맥 방향으로 도주하여 전쟁이 끝날 때까지 그곳에 머물다가 서독으로 돌아왔다.[7]요제프 괴벨스는 1945년 4월 3일 일기에서 그로에의 행동을 심하게 비판했다. 그로에는 민간인들이 대피하기도 전에 대관구를 버리고 도망쳤다는 것이다.[45]

그로에는 전쟁 말기에 자살을 시도했고, 가명을 사용하여 탈출했으나, 1946년에 체포되어 4년 6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46][52] 그는 자신의 나치즘 신념을 뉘우치지 않고 1987년에 사망했다.[46][52]

3. 지리 및 인구

쾰른-아헨 대관구는 7,100km2 크기에 2,300,000명이 거주했으며, 이는 나치 독일 대관구 중 중간 정도 규모였다.[53][47]

4. 조직

쾰른-아헨 대관구는 아헨, , 뒤렌, 쾰른을 비롯한 여러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아헨 방면에는 아헨 시, 베르크하임영어 등이 포함되었다. 쾰른은 북, 남, 뮐하임, 쾰른 방면으로 나뉘었다. 그 외에도 에르켈렌츠영어, 오이펜, 오이스키르헨영어, 가이렌키르헨영어, 율리히영어, 말메디, 몬샤우영어, 오버베르기셔 크라이스영어, 라인베르기셔 크라이스영어, 슈라이덴, 지크크라이스 등이 쾰른-아헨 대관구를 구성했다.

쾰른 대관구 본부는 쾰른 클라우디우스 거리 1번지에 있었으며, 구 쾰른 대학교 교사를 사용했다. 바트 혼네프의 포이어슐뢰스헨(1934년-)과 엔겔스키르헨의 뮐렌베르크관(빌라 리슈)에 대관구 지도자 학교가 있었다.

4. 1. 구성

쾰른-아헨 대관구는 아헨, , 뒤렌, 쾰른을 비롯한 여러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아헨 방면에는 아헨 시, 베르크하임영어 등이 포함되었다. 쾰른은 북, 남, 뮐하임, 쾰른 방면으로 나뉘었다. 그 외에도 에르켈렌츠영어, 오이펜, 오이스키르헨영어, 가이렌키르헨영어, 율리히영어, 말메디, 몬샤우영어, 오버베르기셔 크라이스영어, 라인베르기셔 크라이스영어, 슈라이덴, 지크크라이스 등이 쾰른-아헨 대관구를 구성했다.

4. 2. 대관구 본부 및 지도자 학교

쾰른 대관구 본부는 쾰른 클라우디우스 거리 1번지에 있었으며, 구 쾰른 대학교 교사를 사용했다. 바트 혼네프의 포이어슐뢰스헨(1934년-)과 엔겔스키르헨의 뮐렌베르크관(빌라 리슈)에 대관구 지도자 학교가 있었다.

5. 주요 인물

5. 1. 대관구지휘자

쾰른-아헨 대관구의 대관구지휘자는 수립부터 해체 내내 요제프 그로헤 혼자였다.[50][51] 그로헤는 종전 직전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가명을 쓰고 탈출했으나 1946년 체포되어 4년 6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죄를 뉘우치는 등의 행동은 없었으며, 1987년 사망하였다.[52]

원래 나치의 대관구(Gau) 조직은 1926년 5월 22일 나치당 회의에서 지역당 조직 구조 개선을 목적으로 창립한 구역이었다. 이후 1933년 나치가 독일의 권력을 장악하면서 독일의 주 단위 행정구역이 당의 대관구 행정구역으로 대체되었다.[48] 각 대관구를 지휘하는 대관구지휘자는 점점 더 권력이 세지면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외부에서 거의 간섭을 받지 않았다. 지역 대관구지휘자는 정당 행정 뿐 아니라 정부 직책에도 관여하여 선전 감시 등 다양한 작전을 수행했으며, 1944년 9월 이후에는 국민돌격대 소집과 각 대관구 방어작전 역할도 맡았다.[48][49]

1931년 5월 31일부터 1945년 3월까지 쾰른-아헨 대관구의 대관구지휘자는 요제프 그로에였다.

5. 2. 부대관구지휘자

1931년 6월 1일부터 1932년 8월 31일까지는 루돌프 슈멜이, 1932년 10월부터 1945년까지는 리하르트 샬러가 쾰른-아헨 대관구의 부대관구지도자를 맡았다.

5. 3. 기타 주요 인물


  • 프란츠 포겔장(Franz Vogelsang): 대관구 감찰관이었다.
  • 쿠르트 폰 슈뢰더 남작(Kurt Baron von Schröder): 대관구 경제 고문이었다.
  • 쿠노 폰 엘츠-뤼베나흐(Kuno von Eltz-Rübenach): 대관구 농정 고문이었다.
  • 리하르트 올링(Richard Ohling): 대관구 선전 국장이었다.
  • 페터 빈켈켐퍼(Peter Winkelnkemper): 대관구 기관지 편집장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Die NS-Gaue https://www.dhm.de/l[...] Deutsches Historisches Museum 2016-03-26
[2] 웹사이트 The Organization of the Nazi Party & State http://www.nizkor.or[...] The Nizkor Project 2016-03-26
[3] 웹사이트 Stadtlandschaften versus Hochstadt http://www.koelnarch[...]
[4] 웹사이트 Bomber Command Flight Archive http://www.flightglo[...]
[5] 웹사이트 Cologne Museum: NS-DOK https://museenkoeln.[...] 2023-06-16
[6] 웹사이트 Kriegserinnerungen 1940 http://www.bilderbuc[...] 2009-05-01
[7] 서적 Gauleiter: The Regional Leaders of the Nazi Party and Their Deputies, 1925–1945 R. James Bender Publishing
[8] 문서 Aachen '44 – die Schlacht um Aachen während des 2. Weltkrieges – lange Fassung -
[9] 문서 Hitler's Army
[10] 문서 Hitler's Army
[11] 문서 Hitler's Army
[12] Youtube Video: Allies Set For Offensive https://archive.org/[...] Universal Newsreel 2012-02-21
[13] 서적 United States Army in World War 2, Technical Services, The Corps of Engineers: The War Against Germany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85
[14] 웹사이트 Frühjahrsoffensive 1945 in Erkelenz – Das Virtuelle Museum der verlorenen Heimat https://www.virtuell[...] 2023-08-24
[15] 웹사이트 Drought is exposing World War II munitions on the banks of the Rhine https://www.themayor[...] 2023-08-19
[16] 문서 'Folgen der Säkularisierung für die Klöster im Rheinland – Am Beispiel der Klöster Schwarzenbroich und Kornelimünster' Verlag BoD
[17] 서적 The Siegfried Line Campaign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18] 문서 Whitlock (2008)
[19] 문서 Whitlock (2008)
[20] 문서 Whiting (1976)
[21] 문서 Yeide (2005)
[22] 문서 Whiting (1976)
[23] 문서 Whiting (1976)
[24] 문서 Combined Arms in Battle Since 1939
[25] 웹사이트 The Battle for Tripsrath http://www.worcester[...] 2010-01-22
[26] 웹사이트 The Battle of Geilenkirchen – Battlefield Tours https://www.battlefi[...] 2023-08-19
[27] 서적 The Siegfried Line Campaign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1-22
[28] 서적 Montgomery and "colossal cracks": the 21st Army Group in northwest Europ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9] 웹사이트 Chronik zur Eschweiler Ortsgeschichte; Neueste und Zeitgeschichte 1930 - 1945 https://www.eschweil[...] 2023-08-24
[30] 간행물 Taking Hill 400: Army Rangers vs Fallschirmjägers http://warfarehistor[...] 2017-04-19
[31] 웹사이트 VHS Rur-Eifel: Niederzier https://www.vhs-rur-[...] 2023-08-24
[32] 웹사이트 Operation Grenade: Race to the Roer https://warfarehisto[...] 2023-08-19
[33] 웹사이트 Bombenangriff auf Elsdorf http://www.wisoveg.d[...] 2023-08-24
[34] 웹사이트 Zeitzeugenberichte in Bearbeitung https://www.hgv-vett[...] 2023-08-24
[35] 뉴스 'Das Ziel war die Erft' https://www.ksta.de/[...] Kölner Stadtanzeiger 2005-02-22
[36] 웹사이트 Glesch-Online-Geschichte & Statistiken http://www.glesch-on[...] 2023-08-24
[37] 웹사이트 Zweiter Weltkrieg: "Das waren grauenvolle Tage" https://www.ksta.de/[...] 2015-03-01
[38] 웹사이트 Hausweiler und Weilerswist: Mehrere US-Kriegsreporter berichten über die "Schlacht bei Metternich" https://www.hans-die[...] 2008-09-20
[39] 웹사이트 Historischer Blick zurück: Die weiße Fahne beendet den Krieg in Rösberg https://ga.de/region[...] 2020-03-05
[40] 서적 World War II in Europe :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Garland Publications 1999
[41] 웹사이트 Kriegsende 1945: So endete am 9. April der Zweite Weltkrieg für Siegburg https://ga.de/region[...] 2020-04-09
[42] 웹사이트 Wie der Krieg zu Ende ging http://in-gl.de/2020[...] 2020-04-13
[43] 웹사이트 Christian J. Gabriel {{!}} Memorial Book of Wuppertal https://www.gedenkbu[...] 2023-09-01
[44] 웹사이트 geschichtlicher Überblick – Stadt Overath https://www.overath.[...] 2023-09-01
[45] 서적 Final Entries, 1945: The Diaries of Joseph Goebbels Avon Books 1978
[46] 웹사이트 Josef Grohé (1902–1987), Gauleiter der NSDAP http://www.rheinisch[...] Landschaftsverband Rheinland 2016-03-26
[47] 웹사이트 Gau Köln-Aachen http://www.rheinisch[...] Landschaftsverband Rheinland 2016-03-26
[48] 웹인용 Die NS-Gaue https://www.dhm.de/l[...] Deutsches Historisches Museum null
[49] 웹인용 The Organization of the Nazi Party & State http://www.nizkor.or[...] The Nizkor Project null
[50] 웹인용 Übersicht der NSDAP-Gaue, der Gauleiter und der Stellvertretenden Gauleiter zwischen 1933 und 1945 http://www.zukunft-b[...] Zukunft braucht Erinnerung null
[51] 웹인용 Gau Köln-Aachen http://www.verwaltun[...] null null
[52] 웹인용 Josef Grohé (1902-1987), Gauleiter der NSDAP http://www.rheinisch[...] Landschaftsverband Rheinland null
[53] 웹인용 Gau Köln-Aachen http://www.rheinisch[...] Landschaftsverband Rheinland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점령 날짜위치참고
1944년 9월 11일오이펜[13]
1944년 9월 14일코르넬리뮌스터[16]
1944년 9월 16일셰벤휘테[17]
1944년 9월 17일말메디
1944년 10월 2일[18]
1944년 10월 3일[19]
1944년 10월 4일호버도르[20]
1944년 10월 4일[20]
1944년 10월 5일-[21]
1944년 10월 8일페어라우텐하이트[22]
1944년 10월 8일고지 231[22]
1944년 10월 12일[https://www.fallingrain.com/world/GM/07/Birk2.html 비르크][23]
1944년 10월 13일–21일아헨[24]
1944년 11월 18일{{Interlanguage link|Rischden|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