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노 내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노 내각은 1922년 11월, 경제 위기로 붕괴된 비르트 내각을 대신하여 무소속 경제 관료 빌헬름 쿠노가 총리로 임명되어 구성되었다. 바이마르 공화국 최초의 무소속 총리 내각으로, 중앙당, 민주당, 인민당 등 다양한 정당 인사와 경제 전문가를 포함했다. 루르 점령에 대한 소극적 저항 정책으로 인해 초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사회적 불안이 심화되면서 1923년 8월 사회민주당의 불신임안 가결로 붕괴되었고, 구스타프 슈트레제만이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마르 공화국의 국가내각 - 제2기 뮐러 내각
    제2기 뮐러 내각은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 헤르만 뮐러 총리가 바이마르 연합, 독일 인민당, 바이에른 인민당으로 구성된 대연정을 이끌었으나, 여러 정책적 난관과 정치적 위기, 재정 문제와 실업 보험 위기에 대한 이견으로 1930년 3월 붕괴되었다.
  • 바이마르 공화국의 국가내각 - 제2기 비르트 내각
    제2기 비르트 내각은 1921년 10월 26일에 출범하여 배상금 문제, 라팔로 조약 체결, 발터 라테나우 암살 사건 등을 겪었으며, 곡물 부과금 투표 패배와 부총리 사임 요구로 인해 1922년 11월 22일 빌헬름 쿠노 내각으로 교체되었다.
쿠노 내각
내각 정보
내각명쿠노 내각
원어 내각명Kabinett Cuno
관할 국가바이마르 공화국
국기
존속 기간1922년 11월 22일 – 1923년 8월 12일 (0년 8개월 21일)
정부 수반 직함총리
정부 수반빌헬름 쿠노
국가 원수 직함대통령
국가 원수프리드리히 에베르트
의회 내각 위치소수 연립 정부
의석 수188/459 (41%)
선거1920년 연방 선거
의회 임기바이마르 공화국 제1대 국가의회
이전 내각제2차 비르트 내각
다음 내각제1차 슈트레제만 내각
빌헬름 쿠노 총리
정치
참여 정당독일 중앙당
독일 민주당
독일 인민당
바이에른 인민당
반대 정당독일 공산당

2. 내각 구성

1922년 11월, 요제프 비르트 내각이 경제 위기로 붕괴되자,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대통령은 의회 승인 없이 빌헬름 쿠노를 총리로 임명했다. 쿠노는 바이마르 공화국 역사상 최초의 무소속 총리였다. 그는 중앙당, 민주당, 인민당, 바이에른 인민당 등 여러 정당과 무소속 인사들로 내각을 구성했다.[2] 특히, 바이마르 공화국에 비판적이었던 인민당이 내각에 참여한 것은 처음이었다.[3] 쿠노 내각은 의회 정당 간의 공식적인 연립 협정 없이 구성되었기 때문에 경제부, 경제 정부, 또는 인물 내각으로 불렸다.[4]

2. 1. 내각 명단

빌헬름 쿠노 내각의 각료 명단은 다음과 같다.

직책초상성명정당
총리
빌헬름 쿠노무소속
외무장관
프레데리크 폰 로젠베르크무소속
내무장관
루돌프 외저민주당
재무장관
안드레아스 헤르메스중앙당
경제장관요하네스 베커
(1869~1951)
인민당
국고장관
하인리히 알베르트무소속
노동장관하인리히 브라운스
(1868~1939)
중앙당
법무장관
루돌프 하인체인민당
국방장관
빌헬름 그뢰너무소속
스포츠장관
게오르크 제첼바이에른 인민당
교통장관
테오도어 폰 게라르트중앙당
--게오르크 제첼바이에른 인민당
아담 슈테거발트중앙당
식품농업장관
헤르만 디트리히
(1879~1954)
민주당
점령지역장관--테오도어 폰 게라르트중앙당
요제프 비르트
(1879~1956)
중앙당


2. 1. 1. 주요 각료

직책성명정당비고
총리빌헬름 쿠노무소속
외무장관프레데리크 폰 로젠베르크무소속
내무장관루돌프 외저민주당
재무장관안드레아스 헤르메스중앙당
경제장관요하네스 베커
(1869~1951)
인민당
노동장관하인리히 브라운스
(1868~1939)
중앙당
법무장관루돌프 하인체인민당
국방장관빌헬름 그뢰너무소속


2. 1. 2. 기타 각료

직책성명정당
스포츠장관게오르크 제첼바이에른 인민당
교통장관테오도어 폰 게라르트중앙당
게오르크 제첼바이에른 인민당
아담 슈테거발트중앙당
식품농업장관헤르만 디트리히민주당
점령지역장관테오도어 폰 게라르트중앙당
요제프 비르트중앙당
국고장관하인리히 알베르트무소속


3. 루르 점령과 초인플레이션

제1차 세계 대전 배상금 문제는 빌헬름 쿠노 정부의 최우선 과제였다. 쿠노 내각은 이전 정부의 정책을 이어받아, 독일 경제와 통화 안정을 위한 3~4년 간의 배상금 지불 유예를 연합국에 요구했다. 그러나 프랑스는 자체 예산 문제를 이유로 타협을 거부하며, 독일이 배상금 지불 능력이 있음에도 의도적으로 지불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프랑스는 지불 유예 조건으로 "생산적 담보" (예: 루르 탄광에 대한 연합국의 직접 통제)를 요구했다.[3]

1922년 12월 26일, 배상 위원회는 독일이 목재 인도 의무를 고의로 불이행했다고 판결했고, 1923년 1월 9일에는 1922년 프랑스에 대한 석탄 인도 부족을 판결했다. 이틀 후, 프랑스와 벨기에 군대는 루르를 점령했다.[3]

이러한 조치는 독일 국민, 언론, 정치권에 큰 충격을 주었다. 독일은 프랑스와 벨기에에 대한 모든 배상금 지불을 중단하고, 소극적 저항 정책을 발표했으며, 루르 경제는 거의 완전한 정지 상태에 이르렀다.[3]

독일 정부는 점령으로 인한 피해를 복구하고 실업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돈을 찍어냈다. 그 결과 인플레이션이 급증했고, 마르크는 외환 시장에서 폭락했다. 국립은행의 마르크 안정화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3]

1923년 5월과 6월, 독일 정부는 점령을 끝내고 배상금 협상을 재개하려 했으나, 프랑스의 레이몽 푸앵카레 총리는 소극적 저항이 먼저 끝나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프랑스의 강경한 태도는 국제 사회에서 독일의 동정을 얻었고, 영국은 루르 점령이 불법이라는 독일의 입장을 지지하는 각서를 프랑스에 보냈다. 그러나 독일 내에서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불만이 높아져 파업 물결이 일어났다.[3]

3. 1. 소극적 저항 정책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은 전쟁 배상금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쿠노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프랑스는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1923년 1월, 프랑스와 벨기에 군대는 독일의 루르 지역을 점령했다.[3]

이에 독일 국민들은 분노했고, 독일 정부는 모든 배상금 지불을 중단했다. 또한, 점령 당국에 대한 소극적 저항 정책을 발표했다. 이 정책에 따라 광산은 프랑스와 벨기에로의 인도를 중단했고, 공무원과 철도 직원들은 점령 당국의 명령에 불복종했다. 루르 지역 경제는 거의 마비 상태에 빠졌다.[3]

독일 정부는 점령군에 의해 추방되거나 체포된 사람들의 가족을 지원하고, 소극적 저항으로 인해 실업자가 된 사람들을 돕기 위해 재정 지원을 했다. 그러나 경제 활동과 세수가 감소하면서 재정 문제는 더욱 심각해졌다. 정부는 돈을 찍어내어 비용을 충당했고, 이는 극심한 인플레이션과 마르크화 가치 폭락을 초래했다.[3]

3. 2. 국제 사회의 반응

레이몽 푸앵카레 프랑스 총리의 강경한 태도는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았으며, 영국 정부는 1923년 8월 11일 루르 점령이 불법이라는 독일의 입장을 명시적으로 지지하는 비판적인 각서를 프랑스에 보냈다.[3] 그러나 독일의 경제 위기는 계속되었고, 쿠노 내각에 대한 독일 국민들의 불만은 커져만 갔다.[3]

4. 내각의 붕괴

1923년 8월, 사회민주당은 쿠노 내각에 대한 불신임 결의안을 제출했다.[3] 국회에서 이 결의안이 가결되자 쿠노 내각은 붕괴되었다.[4] 이후 인민당구스타프 슈트레제만이 총리가 되어 제1차 내각을 구성했다.[5]

5. 평가

빌헬름 쿠노 내각은 경제 위기 해결에 실패하고, 초인플레이션을 막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 쿠노는 어느 정당에도 소속되지 않은 무소속 총리였으며, 이는 바이마르 공화국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1] 그는 중앙당, 민주당, 인민당, 바이에른 인민당 등 여러 정당과 무소속 인사들로 내각을 구성했지만, 경제 위기를 극복하지 못했다.[1] 결국 1923년 8월, 사회민주당이 쿠노 내각 불신임안을 가결하면서 내각은 해산되었다.[1]

하지만, 프랑스루르 점령이라는 외부적 요인과 바이마르 공화국 초기의 불안정한 정치 상황 속에서 쿠노 내각의 한계는 불가피한 측면도 있었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쿠노 내각은 의회의 승인을 받지 않고 대통령권을 이용해 임명된 내각이었으며, 이는 당시 정치적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참조

[1] 서적 The Cuno Government and Reparations 1922–1923 https://books.google[...] Springer Netherlands
[2] 서적 A/AS Level History for AQA The Quest for Political Stability: Germany, 1871-1991 Student Book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Das Kabinett Cuno – Einleitung https://www.bundesar[...] 2015-01-06
[4] 웹사이트 Wilhelm Cuno 1876-1933 https://www.dhm.de/l[...] 2014-09-14
[5] 웹사이트 Cuno, Wilhelm http://www.deutsche-[...] 2015-01-06
[6] 웹사이트 Das Kabinett Cuno (22. November 1922 – 12. August 1923) https://www.bundesar[...] 2023-0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