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쿰브레비에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쿰브레비에하는 아프리카 판에 위치한 카나리아 제도 라 팔마 섬의 활화산이다. 약 12만 5천 년 전부터 수중 분출이 쿰브레비에하와 관련되어 있으며, 1470년부터 2021년까지 여러 차례 분화가 있었다. 1949년, 1971년, 2021년의 분화는 지진 활동과 용암 분출을 동반했다. 쿰브레비에하의 서쪽 측면 붕괴로 인한 메가 쓰나미 발생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이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나리아 제도의 화산 - 란사로테섬
    란사로테섬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독특한 지형과 아열대 기후를 가진 카나리아 제도 최북단의 섬으로, 티만파야 국립공원 등 특이한 화산 지형으로 인해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및 세계 지오파크로 지정되었으며, 아레시페가 행정 중심지이고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 카나리아 제도의 화산 - 푸에르테벤투라섬
    푸에르테벤투라섬은 약 2천만 년 전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카나리아 제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이자 가장 오래된 섬으로, 강한 바람과 사하라 사막에서 불어오는 건조한 기후, 유럽 최대 규모의 사막과 다양한 해변을 가지고 있으며 관광 산업에 크게 의존하여 2009년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 지수 3 화산 - 송악산 (제주)
    송악산은 제주도 서남쪽에 위치한 응회암 기생화산으로,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함께 일제강점기 군사기지 및 섯알오름 학살 사건과 같은 역사적 아픔을 간직한 곳이다.
  • 지수 3 화산 - 베이커산
    베이커산은 캐스케이드 산맥의 화산으로, 원주민과 유럽인들이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불렀으며, 태평양판 섭입으로 형성되었고, 11개의 빙하와 푸마롤 활동이 활발한 것이 특징이다.
쿰브레비에하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2016년 라팔마섬 위성 사진. 쿰브레비에하는 섬 남쪽에 위치함 (사진 상단이 북쪽).
2016년 라팔마섬 위성 사진. 쿰브레비에하는 섬 남쪽에 위치함 (사진 상단이 북쪽).
일반 정보
이름쿰브레비에하
스페인어 표기Cumbre Vieja
스페인어 발음/ˈkumbɾe ˈβjexa/
의미낡은 정상
위치스페인 카나리아 제도 라팔마섬
종류성층 화산
해발고도1949 m
마지막 분화2021년
지질학적 정보
관련 정보https://www.elsevier.com/books/the-geology-of-the-canary-islands/troll/978-0-12-809663-5
추가 정보
참고 자료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B9780081029084000278

2. 화산 활동 역사

아프리카 판에 위치한 화산 섬인 라 팔마는 현재 테네리페와 함께 카나리아 제도에서 화산 활동이 가장 활발한 곳 중 하나이다.[6] 약 12만 5천 년 전부터 라 팔마의 모든 수중 분출은 쿰브레비에하와 관련이 있으며, 분화는 25km 길이의 능선 전체에 걸쳐 발생했다. 쿰브레비에하의 역사적인 분화는 1470년, 1585년, 1646년, 1677년, 1712년, 1949년, 1971년,[7] 그리고 2021년에 발생했다.

자세한 지질도 작성을 통해 화산 내 통풍구 및 공급 다이크의 분포와 방향이 (대부분의 화산 해양 섬에서 전형적인) 삼중 열곡 시스템에서 단일 남북 열곡으로 이동했음을 알 수 있다.[8][9] 이러한 구조적 재편성은 화산 서쪽 측면에 가능한 단층 분리의 발달과 관련된 진화하는 응력 패턴에 대한 반응이라는 가설이 제기되었다.[14][30]

2. 1. 1949년 분화

1949년 분화는 6월 24일 성 요한 축일에 시작되어 스페인어로는 로 불리며, 영어로는 "성 요한 화산의 남브로크 분화"라고 한다.[11] 이 분화는 후안 보넬리-루비오가 1950년에 발표한 기록을 바탕으로 하며,[11] 이후 오르티스와 보넬리-루비오가 1951년에 분화에 관한 보고서를 공동 저작하였다.[12]

1949년 분화는 두라세르노, 야노 델 방코, 오요 네그로 등 3개의 분화구에서 발생했다.[11] 두라세르노 분화구에서는 약한 스트롬볼리식 분화 활동이, 야노 델 방코 분화구에서는 용암 분출이, 오요 네그로 분화구에서는 약한 마그마수증기 폭발이 발생했다.[11] 7월 30일에는 두라세르노 균열과 분화구에서 용암이 분출되었다.[11]

분화의 시간 순서는 다음과 같다.[11]

  • 1936년 7월 23일: 타부리엔테 칼데라 남쪽 가장자리에서 첫 지진 활동이 감지됨. 이후 몇 년 동안 주기적인 지진 활동 발생.
  • 1949년 6월 24일: 두라세르노 분화구가 열리면서 폭발 활동, 가스 배출, 암석 분출 시작. 7월 6일까지 지속됨.
  • 7월 1일과 2일: 수정 메르칼리 등급 VIII로 추정되는 강한 지진 2건 발생.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룸)
  • 7월 7일: 분화 활동 없음.
  • 7월 8일: 야노 델 방코 분화구에서 분화 활동 시작, 용암 분출.
  • 7월 10일: 야노 델 방코 분화구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용암이 푸에르토 데 나오스 해안에 도달하여 용암 삼각주 형성.
  • 7월 12일: 오요 네그로에서 약한 폭발 활동 시작. 7월 22일에 중단됨.
  • 7월 26일: 야노 델 방코 분화구 활동 중단.
  • 7월 30일: 두라세르노 분화구와 균열 재활성화. 용암이 흘러나와 엘 프라일 분화구를 채우고 용암 호수를 형성.
  • 7월 30일: 모든 분화 활동 중단.
  • 8월 4일: 잔류 푸마롤 활동 중단, 이후 열 방출만 지속.


분화 동안 약 6000만m3의 용암이 분출되었다.[11][13] 분출 양상은 화산 폭발 지수 (VEI) 2로 분류된다.[1]

2. 1. 1. 지진 활동

1949년 7월 1일과 2일, 분화 기간 동안 수정 메르칼리 등급 VIII에 해당하는 강한 지진이 두 건 발생했으며, 진앙은 예데이 근처로 추정되었다.[11] 지진 이후 오요 네그로와 두라세르노 통풍구를 연결하는 약 1.5km 길이의 단층이 발견되었다. 이 단층은 총 길이가 약 2.5km로, 쿰브레비에하 능선 길이의 약 1/10에 해당하며, 쿰브레비에하 능선의 서쪽 절반이 대서양 쪽으로 약 1m 옆으로, 2m 아래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11] 두라세르노와 오요 네그로 통풍구 부근에서는 수직 변위가 약 4m에 달했다.[11] 2009년 현재 이 단층은 여전히 관찰되며 1949년에 기록된 것과 동일한 크기를 유지하고 있다.[11]

이 지진은 솟아오르는 마그마가 화산 구조 내부에 갇힌 물을 과열시켜 발생한 압력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14] 갇힌 물이 증발했을 가능성은 낮으며, 물이 더 이상 열에너지를 흡수할 수 없을 정도로 가열되어 팽창하면서 화산 측면을 움직이게 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섬에는 지진 감시 장비가 부족했기 때문에, 지진 활동에 대한 주장은 개인적인 관찰에 기반하며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2. 2. 1971년 분화

1971년 분화는 쿰브레비에하 남쪽 끝의 테네기아 분화구에서 발생했다.[7] 이 분화는 주로 스트롬볼리식이었으며, 용암이 분출되었다.[15] 1971년 분화 전과 분화 중에도 지진 활동이 있었지만, 1949년 분화와 관련된 규모는 아니었다. 잔류 열 방출이 계속되고 있다.

2. 3. 2021년 분화

2021년 9월 20일 밤에 촬영된 폭발 모습


2021년 9월 11일 쿰브레비에하 아래에서 지진 군집이 시작되었다. 리히터 규모 5 정도의 지진을 포함하여 지진이 서서히 표면으로 이동했으며, 10일 동안 25,000건 이상이 기록되었다.[16] 9월 19일 오후 3시 15분 현지 시간 (14시 15분 UTC)에, 엘 파소 시정촌의 라스 만차스 지역에 있는 몬타냐 라하다 산맥의 카베자 데 바카에서 화산이 폭발하기 시작했다.[17][19][20]

로스 야노스 데 아리다네, 푸엔칼리엔테, 엘 파소 및 빌라 데 마조 시정촌의 35,000명을 대상으로 노란색 경보가 발령되었으며, 폭발로 인해 최고 수준인 빨간색으로 상향되었다. 약 7,000명이 해당 지역에서 대피했다.[19][21][22] 분화는 2021년 12월 13일에 멈췄으며, 2021년 12월 25일에 종료되었다고 선언되었다.[23][24]

2. 3. 1. 대한민국 및 국제사회의 지원

2021년 쿰브레비에하 분화로 인한 피해 복구를 위해 대한민국 정부는 인도적 지원을 제공했으며, 국제 사회도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보냈다.[25]

2. 3. 2. 피해 복구 및 재건

2022년, 화산 폭발 피해 복구와 라 팔마 섬 재건을 위해 일반 국가 행정부에서 채택한 조치를 조정하고 추진하고자 라 팔마 섬 재건 특별 위원이 창설되었다. 이 직책은 차관급이다.[25] 당시 라 팔마 출신 재무부 차관이었던 엑토르 이스키에르도 트리야나가 이 직책에 임명되었다.[26][27]

3. 메가 쓰나미 발생 가능성

쿰브레비에하 화산의 서쪽 측면이 붕괴되면 메가 쓰나미가 발생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8] 2000년 10월, BBC는 ''호라이즌'' 프로그램에서 쿰브레비에하 서쪽 측면의 붕괴가 메가 쓰나미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도했으며,[28] 2013년 4월 18일에는 "우리는 메가 쓰나미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라는 속편 프로그램을 방영했다.[29]

그러나 쿰브레비에하의 붕괴로 인한 메가 쓰나미 발생 가능성에 대해서는 과학계에서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일부 연구에서는 쿰브레비에하의 붕괴가 대서양을 횡단하는 거대한 쓰나미를 일으켜 북아메리카의 동부 해안 등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14][30] 이러한 주장은 과장되었다는 비판도 있다.[34][36][37]

3. 1. 메가 쓰나미 연구 및 논쟁

Day 외 (1999) 등[14] 일부 연구는 쿰브레비에하 서쪽 측면이 붕괴될 경우 메가 쓰나미가 발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다. 2000년 10월, BBC는 "메가 쓰나미: 파괴의 물결"이라는 ''호라이즌'' 프로그램을 방영하여,[28] 쿰브레비에하 서쪽 측면의 미래 붕괴가 메가 쓰나미를 일으킬 수 있다고 제안했다.

Ward와 Day (2001)는 붕괴로 인한 쓰나미가 북아메리카 동부 해안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30] 이들은 미래에 화산 폭발이 발생하면 쿰브레비에하의 서쪽 절반(약 500km3 추정 질량 1.5조 톤)이 파국적으로 붕괴되어 대서양으로 들어가 메가 쓰나미를 생성한다고 가정했다. 컴퓨터 모델링에 따르면 초기 파도는 현지 높이가 600m를 초과하고, 파도 높이가 2km에 근접하며, 약 720km/h(약 제트 여객기 속도)로 이동하여 약 1시간 만에 아프리카 해안, 약 3.5시간 만에 영국 제도 남부 해안선, 약 6시간 만에 북아메리카 동부 해안을 침수시킨다. 이때 초기 파도는 약 30m에서 60m 높이의 작은 파도로 가라앉는다. Day 외 (1999),[14] Ward와 Day (2001)의 모델에 따르면[30] 이 사건은 최대 25km까지 내륙을 침수시킬 수 있다. 모델이 정확하다면, 보스턴, 뉴욕, 마이애미 및 대서양 해안 근처의 많은 다른 도시를 포함하여 북아메리카 동부 해안을 따라 도시를 심각하게 손상시키거나 파괴할 것이다.

그러나 쿰브레비에하가 제시하는 위협에 대한 논란이 있다. Moore (1964),[34] Carracedo 외 (2001),[36] 쓰나미 협회 (2002) 등은[37] 메가 쓰나미 발생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쓰나미 협회 (2002)는[37] Day 외 (1999),[14] Ward와 Day (2001),[30] Ward와 Day (2005)가[31] 사용한 모델이 잘못되었다고 주장한다.

Løvholt 외 (2008)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해도, 쿰브레비에하 붕괴로 인한 쓰나미는 국지적인 영향에 그칠 것이라고 예측했다.[43] 이들은 카나리아 제도 자체에서 10m에서 188m 범위의 파고를 찾는다. 그러나 파도는 대서양으로 향하면서 간섭하고 소멸된다. 인근 섬의 경우 40m 높이를 예측한다. 대륙의 경우 최악의 영향은 북부 브라질(13.6m), 프랑스령 기아나(12.7m), 미국 중부 대서양(9.6m), 서사하라 (최대 예측 37m), 모리타니(9.7m)이다.

3. 2. 한국에 미칠 영향 (가능성 낮음)

쿰브레비에하 화산 폭발로 인한 서쪽 측면 붕괴와 그에 따른 '메가 쓰나미' 발생 가능성은 여러 연구에서 제기되었으나, 그 실현 가능성과 영향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2000년대 초 BBC 등 언론에서 메가 쓰나미의 위험성을 보도하기도 했지만,[28][29] 과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Day 외 (1999),[14] Ward와 Day (2001)[30] 등의 연구에서는 쿰브레비에하 서쪽 측면의 붕괴가 대서양을 횡단하는 거대한 쓰나미를 일으켜 북아메리카의 동부 해안 등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과장되었다는 비판도 있다.

쓰나미 협회 (2002)는 Day 등의 모델이 잘못되었다고 주장하며, 화산 구조물 붕괴로 인해 메가 쓰나미가 발생했다는 증거가 없다고 경고했다.[37] Murty 외 (2005)는 대서양 분지에서 대양 횡단 쓰나미가 생성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40]

지리적 위치상 한국은 쿰브레비에하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설령 메가 쓰나미가 발생하더라도 직접적인 피해를 입을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다. 그러나 국제 경제 및 인도적 지원 측면에서 간접적인 영향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쓰나미 피해 지역에 대한 구호 활동 지원, 국제 유가 및 금융 시장 변동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쿰브레비에하 화산 붕괴로 인한 메가 쓰나미 발생 가능성은 낮지만, 만약 발생한다면 한국은 직접적인 피해보다는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참조

[1] 간행물 La Palma
[2] 간행물 La Palma: Synonyms & Subfeatures 2021-10-31
[3] 뉴스 La Palma volcano comes to stop: 'It is not emitting lava, nor sulfur dioxide, nor registering seismic activity' https://english.elpa[...] El País 2021-12-15
[4] 웹사이트 The Geology of the Canary Islands - 1st Edition https://www.elsevier[...] 2021-10-10
[5] 서적 North-East Atlantic Islands: The Macaronesian Archipelagos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21-09-26
[6] 문서 A simple model for the genesis of large gravitational landslide hazards in the Canary Islands Geological Society, London 1996
[7] 서적 The geology of the Canary Islands https://www.worldcat[...]
[8] 문서 The Canary Islands: an example of structural control on the growth of large oceanic-island volcanoes J. Volcanol. Geotherm Res. 1994
[9] 문서 Growth, Structure, Instability and Collapse of Canarian Volcanoes and Comparisons with Hawaiian Volcanoes J. Volcanol. Geotherm. Res. 1999
[10] 문서 Large volcanic debris avalanches: characteristics of source areas, deposits and associated eruptions J. Volcanol. Geotherm Res. 1984
[11] 문서 Contribucion al estudio de la erupcion del Nambroque o San Juan Madrid: Inst. Geografico y Catastral 1950
[12] 문서 La erupción del Nambroque (Junio–Agosto de 1949) Madrid: Talleres del Instituto Geográfico y Catastral 1951
[13] 문서 Chronology and volcanology of the 1949 multi-vent rift-zone eruption on La Palma (Canary Islands) J. Volcanol. Geotherm. Res. 1999
[14] 문서 Recent structural evolution of the Cumbre Vieja volcano, La Palma, Canary Islands: volcanic rift zone re-configuration as a precursor to flank instability J. Volcanol. Geotherm Res. 1999
[15] 논문 Magmatic water contents determined through clinopyroxene: Examples from the Western Canary Islands, Spain https://onlinelibrar[...] 2015
[16] 뉴스 La Palma Update: The intensity of earthquakes has increased https://www.canarian[...] Canarian Weekly 2021-09-19
[17] 뉴스 Spanish Canary Island volcano erupts after weeks of earthquake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1-09-19
[18] 뉴스 Lava shoots up from volcano on La Palma in Spain's Canary Islands https://www.reuters.[...] Reuters 2021-09-19
[19] 뉴스 Volcano erupts on Canary Island of La Palma https://english.elpa[...] El País 2021-09-19
[20] 뉴스 Máxima alerta en La Palma: Entra en erupción el volcán Cumbre Vieja de La Palma {{!}} Canariasenred – Noticias de Canarias https://diariodeavis[...] 2021-09-19
[21] 뉴스 La Palma {{!}} La lava sigue avanzando, última hora sobre la erupción del volcán en directo https://www.lavangua[...] La Vanguardia 2021-09-19
[22] 웹사이트 Últimas noticias de las erupciones volcánicas en La Palma https://www.20minuto[...] 2021-10-04
[23] 논문 The 2021 eruption of the Cumbre Vieja volcanic ridge on La Palma, Canary Islands https://onlinelibrar[...] 2022-05
[24] 뉴스 Spain's La Palma volcano eruption declared over after three months https://www.bbc.com/[...] BBC News 2021-12-25
[25] 웹사이트 Real Decreto 426/2022, de 7 de junio, por el que se modifican el Real Decreto 139/2020, de 28 de enero, por el que se establece la estructura orgánica básica de los departamentos ministeriales, y el Real Decreto 373/2020, de 18 de febrero, por el que se desarrolla la estructura orgánica básica del Ministerio de la Presidencia, Relaciones con las Cortes y Memoria Democrática. https://boe.es/diari[...] 2022-06-08
[26] 웹사이트 El Gobierno crea un comisionado para reconstruir la isla de La Palma de los efectos de la erupción del volcán https://elpais.com/e[...] 2022-08-06
[27] 웹사이트 Un "ministro" velará por la recuperación de La Palma, aún con muchas necesidades https://www.lne.es/s[...] 2022-08-06
[28] 문서 Transcript "Mega-tsunami: Wave of Destruction" BBC 2 TV 2000-10-12
[29] 문서 Could we survive a Mega-Tsunami? BBC 2 TV 2013-04-18
[30] 문서 Cumbre Vieja Volcano; potential collapse and tsunami at La Palma, Canary Islands http://www.es.ucsc.e[...] Geophys. Res. Lett. 2001
[31] 문서 Tsunami Thoughts https://csegrecorder[...] Recorder, Canadian Society of Exploration Geophysicists 2005-12
[32] 문서 Evaluation of the Threat of Mega Tsunami Generation from Postulated Massive Slope Failure of Island Stratovolcanoes on La Palma, Canary Islands, and on The Island of Hawaii Science of Tsunami Hazards 2002
[33] 문서 Volcanoes and landslides in the Canaries Nation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 News 1998
[34] 문서 Giant Submarine Landslides on the Hawaiian Ridge US Geologic Survey Professional Paper 1964
[35] 문서 Ground deformation monitoring of a potential landslide at La Palma, Canary Islands J. Volcanol. Geotherm. Res. 1999
[36] 간행물 Geology and Volcanology of La Palma and El Hierro, Western Canaries Estudios Geol. 2001
[37] 간행물 Evaluation of the Threat of Mega Tsunami Generation From Postulated Massive Slope Failure of Island StratoVolcanoes on La Palma, Canary Islands and on the Island of Hawaii Sci. Tsunami Haz. 2002
[38] 간행물 Ritter Island Volcano – lateral collapse and the tsunami of 1888 Geophys. J. Int. 2003
[39] 간행물 Eruptive history of the volcano at Ritter Island, in Cooke-Ravian Volume of Volcanological Papers Geological Survey Papua New Guinea, Memoir 10 1981
[40] 간행물 Why the Atlantic Generally cannot generate trans-oceanic tsunamis? ISET J. of Earthquake Tech. Tech. Note. 2005
[41] 간행물 Tsunami deposits related to flank collapse in oceanic volcanoes: The Agaete Valley evidence, Gran Canaria, Canary Islands https://scholar.goog[...] Marine Geol. 2006
[42] 뉴스 New Research Puts 'Killer La Palma Tsunami' At Distant Future https://www.scienced[...] Science Daily 2006-09-21
[43] 간행물 Oceanic propagation of a potential tsunami from the La Palma Island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