쿵야쿵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쿵야쿵야는 채소를 많이 먹이자는 임무를 받고 채소왕국에서 쿵야 레스토랑으로 파견된 쿵야들의 이야기를 다룬 애니메이션이다. 고승현이 감독을 맡았으며, 넷마블, KBS, 서울무비에서 제작했다. 2006년 11월 9일부터 2007년 5월 10일까지 KBS2에서 방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임의 애니메이션화 작품 - 메이플스토리 (애니메이션)
넥슨 게임 《메이플스토리》를 원작으로 매드하우스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메이플스토리》는 세계수 파괴 10년 후 세계수를 되살리기 위한 주인공 알의 모험을 그리며, 알은 여러 종족 동료들과 함께 악의 조직 ‘흑익’에 맞서 싸운다는 내용을 담고 있고, 2007년 10월부터 2008년 3월까지 TXN 계열 방송국에서 방영되었다. - 게임의 애니메이션화 작품 - 파이널 판타지 VII 어드벤트 칠드런
《파이널 판타지 VII 어드벤트 칠드런》은 《파이널 판타지 VII》 사건 2년 후를 배경으로 한 CG 애니메이션 영화로, 클라우드 스트라이프가 '성흔 증후군'과 세피로스 부활을 꾀하는 카다쥬 일당에 맞서는 이야기이며, 뛰어난 영상미와 액션으로 호평받았으나 스토리 난해함과 표절 논란도 있었다. - 니켈로디언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마다가스카의 펭귄
《마다가스카의 펭귄》은 드림웍스와 니켈로디언이 공동 제작한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영화 《마다가스카》에 등장하는 펭귄 특공대가 센트럴파크 동물원에서 유머와 뛰어난 능력으로 질서를 유지하며 다양한 동물들과 벌이는 이야기를 다룬다. - 니켈로디언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블레이즈와 몬스터 머신
《블레이즈와 몬스터 머신》은 블레이즈와 AJ가 블레이징 스피드와 과학 기술로 문제를 해결하며 크래셔, 피클 등 라이벌 및 다양한 몬스터 머신 친구들과 함께 액슬 시티 등 여러 장소에서 모험을 펼치는 어린이 애니메이션이다. - 200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메이플스토리 (애니메이션)
넥슨 게임 《메이플스토리》를 원작으로 매드하우스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메이플스토리》는 세계수 파괴 10년 후 세계수를 되살리기 위한 주인공 알의 모험을 그리며, 알은 여러 종족 동료들과 함께 악의 조직 ‘흑익’에 맞서 싸운다는 내용을 담고 있고, 2007년 10월부터 2008년 3월까지 TXN 계열 방송국에서 방영되었다. - 200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검정고무신
검정고무신은 1960년대 한국 사회와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1999년 설날 특집으로 처음 방영되었으며, TV 시리즈와 극장판으로 제작되었고, 원작자와 제작사 간의 지적 재산권 분쟁이 있었다.
쿵야쿵야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작 | 넷마블 |
장르 | 시트콤 |
게임 | |
제목 | 캐치마인드 |
장르 | 캐주얼 |
플랫폼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
개발 | 퍼니웍스 → CJ ENM → 넷마블 |
배급 | 넷마블 |
발매일 | 2001년 11월 |
이용 등급 | 전체 이용가 |
인원 | 최대 8인 |
제목 | 야채부락리 |
장르 | 롤플레잉 |
플랫폼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
배급 | CJ ENM → 넷마블 |
발매일 | 2003년 8월 |
이용 등급 | 전체 이용가 |
인원 | 최대 8인 |
애니메이션 | |
원작 | 넷마블 |
프로듀서 | 민영문, 목훈, 이한규 |
각본 | 오상민, 김희연 |
캐릭터 디자인 | 박은혜 |
음악 | 윤석준(스미스앤모바일) |
미술 | 안승희 |
애니메이션 제작 | 넷마블 |
제작사 | KBS, (구) 서울무비, 넷마블 |
방송사 | KBS 2TV, 대원방송, 니켈로디언, 대교어린이TV, 카툰네트워크 |
방영 개시 | 2006년 11월 9일 ~ 2007년 5월 10일 2010년 12월 17일 ~ 2011년 3월 30일 |
화수 | 26화 |
저작권 | 넷마블 |
2. 등장인물
2. 1. 쿵야 레스토랑
3. 제작진
감독은 고승현이며, 미술감독은 안승희가 담당하였다. 시나리오는 김희연이 작성했다. 캐릭터는 박은혜가, 배경 설정은 이영희가 담당했다. 대소도구는 김아람이, 배경색은 이성연이, 색지정은 박윤경이 담당했다. 콘티는 고승현과 박소영이 담당했다. 작화 연출은 백승찬이 담당했다. 레이아웃은 서석희와 정갑천이 담당했다. 원화는 최희용, 김수호, 김성섭, 박소영, 백승찬이 담당했으며, 원화 작감은 이은희가 담당했다. 동화 작감은 이보신, 김선정, 박영파가 담당했고, 동화는 이광원, 박광진, 박상욱, 김지숙, 신윤미, 정은영, 최윤희, 류미선, 김수연, 박한숙, 박흥수, 김민정, 백우협, 박진미, 진소희, 박효선, 오민경, 정기순, 오숙현, 박요송, 박상순, 한혜경, 정화영, 김지희, 김기선, 이준휘가 담당했다. 파이널 체크는 안영선이 담당했다.
배경 팀장은 이향이이며, 배경은 이애경, 박상완, 김은숙, 박선영, 김해성, 김유진, 강남우가 담당했다. 채색 팀장은 안용이며, 채색은 이춘우, 장정봉, 이정인, 김삼정, 김혜지, 이지연, 이진희, 이정혁, 윤혜, 허민영, 이희숙, 권옥희가 담당했다. 촬영 감독은 허진호이며, 촬영은 정영미, 안선혜, 이성애, 김효진, 조희원이 담당했다. 편집은 허진호가 담당했다.
제작 부장은 박철, 제작 팀장은 이대응, 제작 담당은 이달성, 김영준이다. 대사 녹음은 GG 사운드와 김희집이 담당했다. 음악은 윤석준(스미스앤모바일)이 담당했다. 사운드 디자인은 유광종, 한영미(스미스앤모바일)가 담당했다. 주제가 작곡은 윤석준, 이준오가, 작사는 윤석준, 이준오가 담당했다. 오프닝 노래는 SS501이 불렀고, 엔딩 노래는 베이비복스 리브가 불렀다. 파이널 믹싱은 GG 사운드와 김희집이 담당했다.
마케팅 기획은 하세정(넷마블)이, 마케팅은 윤혜영, 신영식(넷마블)이 담당했다. 제작 편집은 조규신이, 컴퓨터 그래픽은 신정원이 담당했다. 프로듀서는 민영문, 목훈, 이한규이다. 제작은 KBS, 넷마블, (구) 서울무비에서 담당했다. 저작권은 넷마블에 있다.
4. 줄거리
쿵야들은 인스턴트 음식과 기름진 음식으로부터 아이들을 지키기 위해 채소를 많이 먹이자는 임무를 받고 채소왕국에서 쿵야 레스토랑으로 파견된다.[3] 하지만, 임무 수행은커녕 파산을 막기 위해 하루하루가 버겁기만 하다. 이 모든 원인은 양파 쿵야의 실험적인 요리 때문이다. 양파 쿵야의 끊임없는 호기심은 엉뚱한 쿵야 레스토랑의 총지배인인 샐러리 쿵야와의 갈등을 더욱 부채질한다. 게다가 레스토랑의 수많은 손님과 많은 소동이 벌어진다.[4]
5. 방송 회차
5. 1. 2006년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잔소리를 멈춰라
기절하셨습니다
우리 사부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