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무어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무어파는 라오스 북부 우돔싸이주에 기원을 둔 것으로 추정되는 언어 그룹이다. 므라브리어, 크냥어, 크무어 등을 포함하며, 비트어와 캉어는 팔라웅어파 또는 망어파로 분류되기도 한다. 크무어파 내 언어들 간의 관계는 불확실하며, Ethnologue, SEALang, Diffloth & Proschan, Peiros, Sidwell 등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여러 분류 체계가 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크무어
    크무어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무어어파의 언어로, 표준어 없이 서부와 동부 크무어로 나뉘는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메르어와 어휘적 유사성이 있지만 별개의 언어이다.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니코바르어파
    니코바르어파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며, 인도 니코바르 제도에서 사용되는 여러 언어를 포함한다.
크무어파

2. 원향

폴 시드웰(Paul Sidwell) (2015)[1]는 크무어어족의 원향(Urheimat)이 현재 라오스 우돔싸이주(Oudomxay Province) 북부에 있었다고 제안한다.

3. 언어



비트어와 캉어를 크무어파에 포함하는 경우도 있으나 여러 학자는 팔라웅어파나 망어파에 분류한다. 2000년대 중반에 발견된 부망어는 캉어와 가까운 관계로 보인다.

크무어파 언어는 다음과 같다.

프옥어(Xinh Mul)와 항어는 때때로 망어파로 분류되기도 하며, 항어는 디플로스에 의해 팔라웅어파로 분류된다.

부망어는 이전에는 크무어파로 분류되었으나, 폴 시드웰에 의해 팔라웅어파 언어로 분류된다. 제롤드 에드먼드슨은 이 언어가 항어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꽝람어는 베트남의 자료가 부족한 언어로, 항어 또는 빗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참조'' 빗-항어군)

크무어파 언어의 역사와 다양성은 현재 내털리얼 히로즈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2]

4. 분류

므라브리어, 크냥어, 크싱물어, 크무어, 쿠엔어, 어두어, 프라이, 말어, 텐어가 크무어파에 속한다.

비트어와 캉어를 크무어파에 포함하는 경우도 있으나, 여러 학자들은 팔라웅어파나 망어파에 분류하기도 한다. 2000년대 중반에 발견된 부망어는 캉어와 가까운 관계로 보인다.

이들 언어 간의 상호 관계는 불확실하다.

4. 1. Ethnologue (19판)


  • '''크무어파'''
  • * 카오어군: 카오어, 빗어
  • * 말라브리어군: 말라브리어
  • * 싱물어군: 싱물어, 캉어, 퐁니앙어, 푸옥어
  • * 말-크무어군
  • ** 크무어, 쿠엔어, 오두어
  • ** 말-프라이어군: 루아어, 말어, 프라이어

4. 2. SEALang

SEALang[3]에서는 말-프라이어군을 유지하지만, 빗어 대신 캉어와 카오어를 연결하고, 쿠엔어를 크무어의 방언으로 취급한다.

크무어파


4. 3. Diffloth & Proschan (1989)

Chazée (1999)는 Diffloth & Proschan (1989)을 인용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4]
''타이햇어 (Iduh)''
''타이덴어''
''퐁라안어, 퐁페네어, 퐁타푸앙어''
''크니앙어, 퐁피아트어, (퐁살로이어)''

4. 4. Peiros (2004)

일리아 페이로스(Peiros 2004)는 다음과 같이 크무어파를 분류한다.[3]

{| class="wikitable"

|-

! 크무어파

|-

|

{| class="wikitable"

|-

|

  • 캉어
  • 빗어어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크신 뮬어
  • 크신물어

|-

|



|}

|}

|}

|}

|}

4. 5. Sidwell (2014)

Sidwell (2014)은 원시 크무어파 *aː₁의 발전 양상을 바탕으로 크무어파 언어를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3]

원시 크무어파크무어원시 믈라브리어-프람어파원시 파이-프람어파원시 프람어파
*aː₁*aː*ɛː*iə*iː



Sidwell은 또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언어 분류를 제시했다.[3]


  • '''크무어파'''
  • ''크무어''
  • 믈라브리-프람어파
  • ''믈라브리어''
  • 파이-프람어파
  • ''파이어/말어/틴어''
  • ''크싱물어''
  • 프람어파
  • ''타이 하트어''
  • ''퐁 라안어, 퐁 페네어, 퐁 타푸앙어''
  • ''크낭어, 퐁 피앗어, 퐁 살로이어''
  • ''타이텐어''

참조

[1] 서적 The Palaungic Languages: Classification, Reconstruction and Comparative Lexicon http://chl.anu.edu.a[...] Lincom Europa 2015
[2] 웹사이트 Nathaniel Hiroz https://www.isw.unib[...] 2024
[3] 웹사이트 SEALang SALA: Southeast Asian Linguistics Archives http://sealang.net/s[...]
[4] 간행물 Austroasiatic Studies: state of the art in 2018 https://www.academia[...]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