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넓적코박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넓적코박쥐는 보통 크기의 박쥐로, 몸통 길이 87~103mm, 전완장 58~62mm이며, 등 쪽 털은 짙은 갈색과 갈색빛을 띠고 넓은 흰 등 줄무늬가 있다. 동굴, 굴, 뿌리 아래, 강둑가의 균열 속에서 은신하며, 무화과나무속, 아크니스투스속, 케크로피아속 나무의 열매를 먹는다. 코스타리카, 파나마, 콜롬비아 북부와 서부, 베네수엘라 북부에 분포하며, 해발 600m와 2,000m 사이의 상록수림, 과수원, 이차림에서 서식한다. 4월에 콜롬비아에서 젖을 먹이는 암컷이 포획된 기록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흰줄박이박쥐속 - 서부넓적코박쥐
서부넓적코박쥐(Platalina genovesei)는 몸길이 65~82mm, 전완장 43~50mm의 박쥐로 콜롬비아와 에콰도르 서부에서 발견되는 잎코박쥐과에 속하는 종이다. - 흰줄박이박쥐속 - 알베리코넓적코박쥐
2005년 페루에서 발견된 알베리코넓적코박쥐는 콜롬비아 포유류 연구가 마이클 알베리코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볼리비아,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의 해발 1480m~2500m 삼림 지대에 서식하고, 몸길이 62~63mm, 몸무게 55~68g, 짙은 갈색 등과 옅은 갈색 배를 가진다. - 1860년 기재된 포유류 - 시킴쥐
- 1860년 기재된 포유류 - 털큰눈박쥐
털큰눈박쥐는 몸길이 62~79mm, 몸무게 최대 28g의 작은 박쥐로 멕시코 남부에서 브라질 서부까지 분포하며 습윤한 환경과 열대 숲에 서식하고, 과일을 주식으로 하며 나무 구멍 속에 은신하는 두 아종으로 분류된다. - 빌헬름 페테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바다사자
한국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열도에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20세기 중반 멸종된 암갈색 또는 회색 털색을 띈 멸종위기 바다사자 종으로, 독도가 주요 번식지였다. - 빌헬름 페테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파카라나
파카라나는 콜롬비아,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서부에 분포하며, 야행성 초식 동물로 최대 13kg까지 자라며, 식용으로 남획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는 설치류이다.
큰넓적코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상태 | 관심 필요 (LC) |
속 | 흰줄박이박쥐속 (Platyrrhinus) |
종 | 큰넓적코박쥐 (P. vittatus) |
학명 | Platyrrhinus vittatus |
명명자 | Peters, 1860 |
분류학적 정보 | |
과 | 주걱박쥐과 |
아과 | 스테노데르마아과 |
분포 | |
분포 지역 | Platyrrhinus vittatus albericoi map.svg |
2. 특징
큰넓적코박쥐는 보통 크기의 박쥐로, 털이 길고 짙은 갈색 또는 갈색빛을 띤다. 어깨부터 엉덩이까지 넓은 흰색 등 줄무늬가 이어지며, 배 쪽은 짙은 갈색 또는 회색을 띤다. 주둥이는 짧고 넓으며, 잎코는 잘 발달된 피침형 모양이다. 핵형은 2n=30, FNa=56이다.[4]
2. 1. 형태
보통 크기의 박쥐로 몸통 길이는 87~103mm이고 전완장은 58~62mm이다. 발 길이는 15~20mm, 귀 길이는 20~27mm이고 몸무게는 최대 60g이다.[4] 털이 길다. 등 쪽 털은 짙은 갈색과 갈색빛을 띠며 넓은 흰 등 줄무늬가 어깨부터 엉덩이까지 이어진다. 배 쪽도 짙은 갈색과 회색을 띤다. 주둥이는 짧고 넓다. 잎코가 잘 발달해 있고 피침형 모양이다. 핵형은 2n=30, FNa=56이다.3. 생태
큰넓적코박쥐는 동굴과 굴 또는 밖으로 드러난 뿌리 아래, 강둑가의 균열 속에 은신한다.[1] 먹이는 무화과나무속과 아크니스투스속, 케크로피아속 나무의 열매이다.[1] 4월에 콜롬비아에서 젖을 먹이는 암컷이 포획된다.[1]
3. 1. 서식지
동굴과 굴 또는 밖으로 드러난 뿌리 아래, 강둑 가의 균열 속에 은신한다.[1]3. 2. 먹이
먹이는 무화과나무속과 아크니스투스속, 케크로피아속 나무의 열매이다.[1] 콜롬비아에서 4월에 젖을 먹이는 암컷이 포획된다.[1]3. 3. 번식
4월 콜롬비아에서 젖을 먹이는 암컷 큰넓적코박쥐가 포획된 적이 있다.[1]4. 분포
코스타리카, 파나마, 콜롬비아 북부와 서부, 베네수엘라 북부에 널리 분포한다. 해발 600m에서 2000m 사이의 상록수림과 과수원, 이차림에서 서식한다.
참조
[1]
간행물
Platyrrhinus vittatus
2015
[2]
간행물
Platyrrhinus vittatus
https://dx.doi.org/1[...]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5
[3]
MSW3
[4]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Central America and Southeast Mexico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