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메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메기는 일본 신화에서 지진을 일으킨다고 여겨지는 거대한 메기를 의미한다.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땅속에 사는 메기가 지진을 일으킨다는 믿음이 존재했으며, 특히 에도 시대 후기에 민간 신앙에서 널리 퍼졌다. 이러한 믿음은 지진 발생 후 유행한 '나마즈에'라는 목판화에 묘사되었으며, 사회 부조리에 대한 저항 정신을 담고 있기도 하다. 현대에는 일본 기상청의 지진 관련 로고나 대중문화 콘텐츠에서 지진 대비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일본 신화에서 지진은 땅속에 사는 거대한 메기(나마즈)가 일으킨다고 여겨졌다. 나마즈와 지진의 연관성은 16세기경 비와호 주변 지역에서 처음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오쓰에에 묘사되기도 했다.
鯰絵|나마즈에일본어는 1855년 안세이 대지진 이후 에도 (현재의 도쿄)를 중심으로 대량 생산된 메기 그림이다.[4] 나마즈는 재앙의 원인으로 여겨졌지만, 신들을 방심하게 만든 기회주의자여서 ''노라쿠라 나마즈'' ("쓸모없는 나마즈")라고 불리기도 했다.
2. 기원과 역사
2. 1. 신화적 기원
일본 신화에서 지진은 땅속에 사는 거대한 메기(나마즈)가 일으킨다고 여겨졌다. 나마즈와 지진의 연관성은 16세기경 비와호 주변 지역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오쓰에에 묘사되기도 했다.
가시마 신궁의 다케미카즈치 신이 요석(가나메이시)으로 나마즈를 억눌러 지진을 막는다는 전설이 전해진다.[1] 다케미카즈치가 경계를 늦추면, 나마즈가 발버둥치며 격렬한 지진을 일으킨다고 한다.
17세기 후반까지 일본에서 나마즈와 지진 사이의 연관성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19세기에 들어서 지진을 상징적으로 일으키거나 예측하는 존재로 인기를 얻었다. 1855년 에도 지진 이전, 한 장어 어부가 강에서 평소와 다르게 활동적인 나마즈를 보고 지진의 징조로 여겼고, 그날 밤 늦게 지진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다.[3]
에도 시대 초기까지는 용뱀이 일본 열도를 둘러싸고 있으며, 가시마 신궁과 가토리 신궁의 요석으로 억눌러 지진을 진정시킨다고 여겨졌으나, 에도 시대 후기에 민간 신앙에서 용뱀이 나마즈로 바뀌면서 주류가 되었다.
안세이 대지진 이후에는 200종이 넘는 나마즈 그림이 나돌았으며, 흑선 내항 중에 일어난 지진이었기 때문에 흑선 자체가 나마즈에 비유되기도 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후시미 성을 축성할 때(1592년) 가신에게 보낸 서장에 "나마즈에 의한 지진에도 견디는 튼튼한 성을 짓도록" 지시한 것을 보면,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도 이미 나마즈와 지진의 관련성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12]
2. 2. 에도 시대의 나마즈 신앙
17세기 후반까지 일본에서 메기와 지진 사이의 연관성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지진을 상징하거나 예측하는 존재로 인기를 얻었다.[1] 1855년 안세이 대지진 이전, 한 장어 어부가 강에서 평소와 다르게 활동적인 메기를 발견하고 이를 지진의 징조로 여겼으며, 그날 밤 늦게 지진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1856년 연대기에 남아있다.[1][2] 1930년대에는 일본 지진학자들이 수족관 메기의 행동을 통해 80% 정확도로 지진을 예측할 수 있음을 입증하기도 했다.[3]
에도 시대 초기까지는 용뱀이 일본 열도를 둘러싸고 있으며, 가시마 신궁과 가토리 신궁의 요석이 지진을 억누른다고 여겨졌다.[10][8] 그러나 에도 시대 후기에는 민간 신앙에서 용뱀이 메기로 바뀌었고, 이것이 주류가 되었다. 미에현 오무라 신사에는 767년에 다케미카즈치노오카미와 후쓰누시노오카미가 큰 메기를 진정시키는 요석을 봉안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9]
안세이 대지진 이후에는 200종이 넘는 나마즈에(메기 그림)가 유통되었다.[10] 특히 이 지진은 흑선 내항 중에 발생했기 때문에, 흑선 자체가 메기에 비유되기도 했다.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인 159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후시미 성을 축성할 때 "메기에 의한 지진에도 견디는 튼튼한 성을 짓도록" 지시한 기록을 통해[12], 이미 이 시기에 메기와 지진의 관련성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나마즈에 (鯰絵)
3. 1. 다양한 묘사
鯰絵|나마즈에일본어 목판화는 다양한 장면을 담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칼이나 가나메이시 돌 아래에서 지진을 일으키는 메기를 제압하는 신을 묘사한다.[4] 이 생물은 때때로 "지진 물고기" (''지신노우오'')로 불리기도 하고, 텍스트에서는 메기라고 부르지만 그림은 용-뱀일 수도 있다.[4]
나마즈는 재앙의 원인이면서도, 아이러니하게도 ''요나오시 다이묘진'' ("세상 개혁"의 신)으로 칭송받았는데, 이는 당시 대중의 정치적 감정을 표현하는 일종의 "사회 부조리의 복수자"였다.[5] 부유한 사람들은 재산을 축적했지만, 지진으로 인해 재산이 흩어져 세상에 널리 재분배되었다. 그림에 묘사된 지진으로 흩어진 거대한 금화(''고반'' 등)가 이를 상징한다. 막대한 양의 돈이 재건 노력에 투입되었고, 일자리가 생겨 부의 재분배가 이루어졌다.[5]
한 그림에는 "''요-나오시, 요-나오시, 타테-나오시''" (문자 그대로 "세상 고치기, 세상 고치기, 재건")라는 후렴구가 있는 노래가 인쇄되어 있는데,[4] 이는 이러한 연관성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3. 2. 사회적 의미
나마즈에는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당시 사회의 부조리와 불평등에 대한 민중의 저항 의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지진으로 인해 부유층의 재산이 흩어지고 재건 과정에서 일자리가 창출되는 모습은 부의 재분배와 사회 개혁을 추구하는 가치와 일맥상통한다.[5]
나마즈는 재앙의 원인이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요나오시 다이묘진'(세상 개혁의 신)으로 칭송받기도 했다. 이는 당시 대중의 정치적 감정을 표현하는 일종의 "사회 부조리의 복수자"였다.[5] 지진으로 흩어진 거대한 금화(고반)의 상징처럼, 부유한 사람들의 재산은 세상에 널리 재분배되었다. 막대한 양의 돈이 재건 노력에 투입되었고, 일자리가 생겨 부의 재분배가 이루어졌다.[5]
한 그림에는 "요-나오시, 요-나오시, 타테-나오시"(문자 그대로 "세상 고치기, 세상 고치기, 재건")라는 후렴구가 있는 노래가 인쇄되어 있기도 하다.
4. 일본 각지의 나마즈 전승
일본 각지에는 나마즈와 관련된 다양한 전설이 전해진다. 후쿠오카현 지쿠시노시에는 스가와라노 미치자네가 메기를 퇴치하여 돌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는 메기 돌이 있다.[13] 구마모토현 아소산에는 다케이와타츠노미코토가 논을 만들기 위해 물길을 텄는데, 이때 큰 메기가 걸려 다케이와타츠노미코토가 메기를 설득했다는 전설이 있다. 이 지방에는 메기 관련 전승과 신앙이 많이 남아 있다.[14][15] 시가현 지쿠부 섬에는 해룡이 큰 메기로 변하여 대사를 퇴치했다는 전설이 있다.[16]
4. 1. 후쿠오카현 지쿠시노시
스가와라노 미치자네가 길을 막고 있던 큰 메기를 퇴치하여 돌이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메기 돌이 있다.[13]4. 2. 구마모토현 아소산
옛날, 다케이와타츠노미코토가 논을 만들기 위해 아소산 외륜산의 현재 다테노 부근을 걷어차 호수의 물을 밖으로 내보냈다. 그때 호수의 주인인 큰 메기가 걸려 물이 원활하게 흘러나가지 못했다. 다케이와타츠노미코토가 큰 메기를 설득하자, 천천히 흘러갔다. 그 흔적이 지금의 구로카와, 시라카와이며, 흘러 도착한 곳이 가미마시키군 가시마마치의 "메기"가 되었다고 한다.[14][15] 이 지방에는 그 외에도 메기의 전승·신앙이 많이 남아 있다.4. 3. 시가현 지쿠부 섬
지쿠부지 연기일본어에는, 지쿠부 섬에서 해룡이 큰 메기로 변하여 대사를 퇴치했다는 전설이 있다. 지쿠부 섬은 금륜제의 섬이며, 큰 메기에 둘러싸여 지켜지고 있다고 한다.[16]5. 현대적 사용
현대 사회에서 메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거나 언급된다. 특히 일본에서는 지진과 관련된 상징으로 자주 등장하며,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도 메기를 소재로 한 캐릭터나 이야기가 나타난다.
5. 1. 지진 대비 상징
메기는 일본의 지진 대비 활동 그림에 묘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기상청의 긴급 지진 속보(EEW) 로고와 지진 조기 경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유레쿠루 콜은 메기를 아이콘으로 사용한다.[6] 긴급 교통로 표지에도 큰메기가 사용되었다.[17]
5. 2. 대중문화 속 나마즈
- 일본 기상청의 (EEW) 로고와 지진 조기 경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유레쿠루 콜은 메기 그림을 아이콘으로 사용한다.
- 덴마크 가수 오 랜드(Oh Land)의 첫 정규 앨범 ''Fauna''에는 나마즈를 제목으로 한 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앨범 커버에도 커다란 메기가 등장한다.
- ''성검전설 2'' 일본어 버전에서 어스 슬라이드(일본어 버전에서는 지진) 마법은 링 메뉴에 메기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에서 메기는 링크에게 퀘이크 메달리온을 준다.
- 비디오 게임 ''루피아 2''에서는 나마즈의 습성을 흉내 낸 거대한 메기가 보스 캐릭터로 등장한다.
- 포켓몬스터 메깅은 일본에서 "나마준"이라고 불리며, 메기를 닮았고 "지진"을 시그니처 기술로 가지고 있다. 메깅이 등장하는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에피소드는 2004년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이후 방영이 중단되었다.[6]
- 나마즈는 ''리버 몬스터스'' 에피소드 "냉혈 공포"에 등장했다.
- 스탠 사카이의 ''우사기 요짐보''와 IDW 퍼블리싱의 ''닌자 거북이'' 크로스오버 코믹북에 나마즈가 등장한다.[7]
- ''파이널 판타지 XIV: 스톰블러드''에는 이족 보행 메기를 닮은 부족 종족으로 나마즈가 등장한다.
- ''드래곤볼 GT'' 시즌 1 에피소드 7에서 캐릭터 조나마는 지진을 감지할 때 수염을 씰룩거리고 "나마즈"라는 단어를 반복하는 거대한 메기로 등장한다.
- 만화 주술회전 133화에서 캐릭터 켄자쿠가 나마즈 신화를 간략하게 언급한다.
- 신카이 마코토의 2022년 일본 애니메이션 판타지 영화 ''스즈메의 문단속''에서 나마즈 신화와 나마즈-에 두루마리가 언급된다.
참조
[1]
논문
Conduits of Power: What the Origins of Japan's Earthquake Catfish Reveal about Religious Geography
https://www.jstor.or[...]
2012
[2]
서적
Seismic Japan : the long history and continuing legacy of the Ansei Edo earthquake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14
[3]
논문
Sensitivity of Fish to Earthquakes
1933-11
[4]
문서
[5]
문서
yo-naoshi daimyōjin
[6]
웹사이트
Newtype: ''ポケットモンスター アドバンスジェネレーション テレビ東京系 木'
https://web.archive.[...]
[7]
뉴스
Stan Sakai previews new Usagi Yojimbo, TMNT crossover
http://ew.com/books/[...]
Entertainment Weekly
2017-04-01
[8]
웹사이트
鯰(なまず)と地震と要石(かなめいし)
http://shinshizo.com[...]
[9]
웹사이트
土地の鎮めの「要石」
http://www.jinja-net[...]
[10]
웹사이트
港区立 港郷土資料館へ行ってみよう! 第11号
https://www.minato-r[...]
東京都港区立港郷土資料館
2019-10-25
[11]
서적
頭がよくなる おさかな雑学大事典
幻冬舎文庫
2002
[12]
서적
鯰<ナマズ>
[13]
웹사이트
なまず石
http://www.city.chik[...]
[14]
웹사이트
なまず・阿蘇の謎
http://outdoor.geoci[...]
[15]
웹사이트
環境立県・くまもと 水の国くまもと 鯰神社(国造神社内)
https://www.kankyo-k[...]
[16]
웹사이트
琵琶湖に潜む鯰と竹生島縁起
https://www.fujisan.[...]
[17]
웹사이트
道路で見かける「なまずの看板」は何を表しているのか?
https://www.webcarto[...]
Web Cartop
2019-12-10
[18]
웹인용
なまず石
http://www.city.chik[...]
2020-04-28
[19]
웹인용
鯰(なまず)と地震と要石(かなめいし) {{!}} 神使像めぐり*余話
http://shinshizo.com[...]
2021-06-16
[20]
웹인용
なまず・阿蘇の謎
http://outdoor.geoci[...]
2020-04-28
[21]
웹인용
港区立 港郷土資料館へ行ってみよう! 第11号
https://www.minato-r[...]
東京都港区立港郷土資料館
2019-10-25
[22]
서적
鯰<ナマズ>
[23]
서적
頭がよくなる おさかな雑学大事典
幻冬舎文庫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