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불독박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불독박쥐는 멕시코에서 북부 아르헨티나, 대부분의 카리브 제도에 걸쳐 분포하는 대형 박쥐의 일종이다. 몸길이는 약 10.9~12.7cm이며, 몸무게는 50~90g이다. 수컷은 암컷보다 크고 털 색깔이 밝은 오렌지색을 띠는 반면, 암컷은 회색을 띤다. 주로 열대 저지대에서 서식하며, 연못, 개울, 하구 등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물고기와 곤충을 모두 먹는 잡식성으로, 반향정위를 통해 먹이를 찾는다.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 등급으로 분류되지만, 수질 오염, 인간의 박해, 산림 벌채 등 다양한 요인으로 위협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독박쥐과 - 작은불독박쥐
작은불독박쥐는 성적 이형성을 보이며, 몸길이 약 7.5cm, 무게 약 30g의 박쥐로, 중남미 지역에서 발견되며 곤충을 먹고 반향정위를 사용하여 먹이를 찾으며, 수명은 약 10년이다. - 1758년 기재된 포유류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1758년 기재된 포유류 - 쇠돌고래
쇠돌고래는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의 차가운 연안에 분포하는 쇠돌고래속의 소형 이빨고래로, 몸길이 약 1.6m, 체중 약 60kg이며, 짙은 회색 등과 밝은 회색 옆구리, 크림색 배를 가지고,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를 먹고, 흰긴수염상어와 범고래에게 포식당하며, 혼획으로 멸종 위협을 받는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큰불독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Noctilio leporinus |
명명자 | Linnaeus, 1758 |
상태 | 관심 필요 |
상태 기준 | IUCN3.1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박쥐목 |
아목 | 양박쥐아목 |
과 | 우오쿠이코우모리과 |
속 | 우오쿠이코우모리속 |
종 | 우오쿠이코우모리 |
아종 | |
이전 학명 |
2. 분포
큰불독박쥐는 멕시코에서 북부 아르헨티나까지 뻗어 있으며, 대부분의 카리브 제도 포함한다. 넓은 분포 지역을 가지고 있지만, 주로 물이 풍부한 저지대와 해안 지역, 강 유역에 국한되어 서식지가 부분적으로 나타난다. 중앙아메리카에서 남아메리카 동부 및 중앙부에 이른다.[7]
큰불독박쥐는 대형 박쥐의 일종으로 몸길이가 10.9~12.7cm 정도이다. 몸무게는 일반적으로 50~90g이다. 수컷이 암컷보다 큰 경향이 있고 수컷은 평균 67g, 암컷은 평균 56g이다. 암수는 털 색깔도 다른데, 수컷은 등 쪽에 밝은 오렌지 색을 띠는 반면에 암컷은 희미한 회색이다. 그러나 암수 모두 하체 쪽은 연한 색을 띠고, 등 중앙에 희미한 선이 아래로 이어진다. 수컷은 음경골이 없다.[3]
큰불독박쥐는 주로 열대 저지대에서 서식한다. 이 박쥐는 연못, 개울, 하구, 해안 석호 등에서 흔히 발견된다. 수백 마리에 달하는 집단으로 생활한다. 트리니다드에서는 목면나무, 붉은 맹그로브, 발라타와 같은 속이 빈 나무에서 휴식을 취한다. 이 박쥐는 다른 지역에서도 속이 빈 나무 둥지에서 생활한다. 또한 깊은 바다 동굴에서도 둥지를 짓는다. 대부분의 박쥐와 마찬가지로, 불독박쥐는 야행성이다.
이 종은 지리적 변이에 따라 아종으로 분류된다. 카리브해 분지 주변의 박쥐는 크고 보통 털 색깔이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옅은 등 중앙 줄무늬를 가진 ''N. l. mastivus''로 알려져 있다.[2] 기아나와 아마존 분지에서는 작고 어두우며 옅은 등 중앙 줄무늬가 없는 경우가 많은 ''N. l. leporinus''가 서식한다.[2] 동부 볼리비아, 남부 브라질, 북부 아르헨티나에서는 다른 아종보다 크고 옅은 경향을 보이는 ''N. l. rufenscenes''가 서식한다.[2]
3. 형태
큰불독박쥐는 앞으로 아래로 열리는 둥근 콧구멍을 갖고 있다. 바깥 가장자리가 융기되어 있는 귓구슬(이주, 耳珠)와 함께 가늘고 길며 뾰족한 귀를 갖고 있다. 큰불독박쥐는 부드러운 입술을 갖고 있으며, 윗입술은 일종의 주름으로 구분되는 반면에 아랫입술은 뺨까지 연장된 피부 주름 위에 사마귀가 나 있다. 이와 같이 불독을 닮은 특징때문에 불독박쥐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날개 폭은 1m 정도이다. 날개 폭이 머리와 몸 사이 길이보다 길고, 날개 길이의 65%는 3지로 이루어져 있다. 비행을 할 때는 날개를 천천히 움직인다. 수영이 가능한 박쥐이며, 날개를 물갈퀴로 사용한다. 큰불독박쥐는 또한 현저히 큰 뺨주머니를 갖고 있으며, 먹이를 저장하는 데 사용한다. 뒷다리와 뒷발은 특히 크다. 뒷다리에는 날카로운 발톱이 있고[7], 사냥 시 180° 회전이 가능하다. 다리 뼈는 끌리는 방향으로 유선형이 되도록 현저하게 압축되어 있다.[4]
4. 생태
암컷 불독박쥐는 둥지를 틀 때 함께 지내며, 고정된 수컷과 함께 생활하는 경향이 있다. 암컷은 거주하는 수컷의 변화와 집단의 다른 둥지로의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수년 동안 같은 장소에서 같은 개체와 교류한다. 수컷은 두 번 이상의 번식기에 암컷 집단과 함께 머물 수 있다. 독신 수컷은 암컷과 분리되어 혼자 또는 소규모 집단으로 둥지를 틀 수 있다. 암컷 박쥐는 혼자 또는 둥지 동료와 함께 먹이를 찾으며, 안정적인 암컷 집단은 장기간 같은 지역에서 먹이를 찾는다. 수컷은 혼자 먹이를 찾으며, 암컷이 사용하는 지역보다 더 크고 분리된 지역을 사용한다. 숲이나 강 근처에 서식한다.[7] 날카로운 발톱이 있는 뒷발로 강이나 하구의 수면에 있는 물고기나 갑각류 등을 잡는다.[7] 땅에 있는 절지동물을 잡기도 한다.[7] 야행성이며, 무리 지어 생활한다.[7] 임신 기간은 60-70일이며, 산자 수는 1이다.[7]
4. 1. 먹이 및 사냥
큰불독박쥐는 물고기를 먹도록 적응한 몇 안 되는 박쥐 종 중 하나이지만, 물고기와 곤충을 모두 먹는 잡식성이다. 우기에는 주로 나방이나 딱정벌레와 같은 곤충을 먹는다. 건기에는 물고기를 주로 먹으며, 게, 전갈, 새우도 약간 먹는다.
불독박쥐는 주로 만조 때 물고기를 사냥하며, 반향정위를 통해 물고기의 위치를 파악한다. 먹이를 찾을 때 하늘 높이 원을 그리며 날아다니는데, 뛰는 물고기를 발견하면 수면 가까이, 특히 물고기가 뛴 지점으로 내려가 반향정위 신호의 펄스 지속 시간과 간격을 줄인다.[2] 또한 발을 물 표면에 끌어 물고기를 찾는 "긁기" 행동을 할 수도 있는데,[2] 물고기가 가장 자주 뛰는 지역이나 이전에 사냥에 성공했던 지역을 긁을 수 있다.[2]
날카로운 발톱이 있는 뒷발로 강이나 하구의 수면에 있는 물고기나 갑각류 등을 잡으며,[7] 땅에 있는 절지동물을 잡기도 한다.[7]
4. 2. 반향정위
큰불독박쥐는 일정한 주파수(CF), 주파수 변조(FM) 또는 이 두 가지의 조합(CF-FM)으로 이루어진 반향정위 신호를 방출한다.[2] 가장 긴 신호는 순수한 CF 신호로, 일반적으로 13.3ms 지속되지만 최대 17ms까지 지속될 수 있다.[2] CF-FM 신호는 CF 뒤에 FM이 따르며, CF는 일반적으로 52.8–56.2 kHz의 주파수를 가지며 8.9ms이고 FM은 최대 3.9ms의 지속 시간에 25.9 kHz의 대역폭을 갖는다.[2] 불독박쥐는 비행할 때 두 종류의 신호를 사용하는데, 첫 번째 신호는 60 kHz의 주파수에서 CF 펄스가 시작되어 50 kHz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다. 두 번째 유형은 60 kHz의 주파수에서 CF가 시작된 다음 한 옥타브 이상 떨어진다.
4. 3. 번식
큰불독박쥐의 암컷은 9월부터 1월까지 임신을 하며,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수유를 한다. 한 번의 임신으로 단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7] 수컷은 주로 가을과 겨울에 번식한다. 태어난 새끼는 한 달 가량 둥지에서 지내다가 비행이 가능해지며, 수컷과 암컷 모두 새끼를 돌본다. 임신 기간은 60-70일이다.[7]
5. 보존 상태
큰불독박쥐는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Least Concern) 등급으로 분류되어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1] 하지만 수질 오염, 인간의 박해, 수위 변화, 동굴 교란, 산림 벌채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1] 특히, 기후 변화는 서식지 감소와 먹이 자원 감소를 야기하여 큰불독박쥐의 생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6.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간행물
"''Noctilio leporinus''"
2015
[2]
서적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
https://www.biodiver[...]
Laurentius Salvius
2012-11-22
[3]
서적
Reproductive Biology of Bat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00-06-12
[4]
서적
Mammalogy
W.B. Saunders Company
1978
[5]
간행물
"''Noctilio leporinus''"
2015
[6]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7]
서적
ネイチャー・ハンドブック 世界哺乳類図鑑
新樹者
2005
[8]
간행물
"''Noctilio leporinus''"
http://www.iucnredli[...]
IUCN
2008
[9]
서적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
http://www.biodivers[...]
Laurentius Salvius
2012-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