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스 폰 클리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라우스 폰 클리칭은 독일의 물리학자이다. 1969년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에서 물리학 학위를 받았으며, 1972년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옥스퍼드 대학교의 클래런던 연구소와 프랑스 그르노블 고자기장 연구소에서 연구했으며, 1980년 뮌헨 공과대학교 교수가 되었고, 1985년 슈투트가르트의 막스 플랑크 고체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1985년 양자 홀 효과 발견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폰 클리칭 상수는 그의 업적을 기려 명명되었다. 그의 연구는 저온 및 고자기장 환경에서 저차원 전자 시스템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도체 물리학자 - 에사키 레오나
에사키 레오나는 일본 태생의 물리학자로, 고체 내 전자 터널링 현상 연구와 반도체 초격자 개념 제시 및 실현에 기여하여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터널 다이오드 발명, 분자선 에피택시법 개발 등 응집물질물리학 분야에 큰 공헌을 했다. - 반도체 물리학자 - 닉 홀로니악
닉 홀로니악 주니어는 가시광선 LED와 레이저 다이오드를 발명하고, 제너럴 일렉트릭에서 최초의 가시광선 레이저 다이오드를 개발하는 등 반도체 분야에 혁신적인 공헌을 한 미국의 전기 공학자이자 물리학자이다. - 뷔르츠부르크 대학교 동문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 뷔르츠부르크 대학교 동문 - 프란츠 브렌타노
프란츠 브렌타노는 독일 출신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로서, 아리스토텔레스 연구를 바탕으로 심적 현상의 의도성 개념을 도입하고 현상학, 분석철학 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에드문트 후설, 지그문트 프로이트 등 많은 제자를 배출했다. - 독일의 물리학자 -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은 브라운관과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를 개발하고 무선 전신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1909년 무선 전신 개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독일의 물리학자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독일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외교관, 법학자, 도서관학자이자 언어학자로, 합리주의 철학을 대표하며 모나드론과 예정조화설을 주장했고, 미적분학을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이진법을 체계화하는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기여했다.
클라우스 폰 클리칭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클라우스 폰 클리칭 |
로마자 표기 | Klaus von Klitzing |
출생일 | 1943년 6월 28일 |
출생지 | 나치 독일 포젠 관구 시로다비엘코폴스카 (현재 폴란드 시로다비엘코폴스카) |
국적 | 독일 |
분야 | 물리학 |
알려진 업적 | 양자 홀 효과 |
웹사이트 | 클라우스 폰 클리칭 웹사이트 |
수상 | |
수상 내역 | 노벨 물리학상 (1985년) 디랙 메달 (1988년)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 (2003년) |
클리칭에 대해 | |
노벨상 수상 이유 | 양자 홀 효과 발견 |
2. 생애
클라우스 폰 클리칭은 옥스퍼드 대학교의 클래런던 연구소와 프랑스의 그르노블 고자기장 연구소(현재 LNCMI)에서 연구를 지속하다가 1980년에 뮌헨 공과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1985년에는 슈투트가르트의 막스 플랑크 고체연구소 소장이 되었다.[14] 1992년 영국 배스 대학교가 명예 박사학위를 수여하였다.[14]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클라우스 폰 클리칭은 1962년 독일 콰켄브뤼크의 아르트란트 김나지움에서 아비투어를 통과하고,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에서 물리학을 전공하여 1969년에 졸업했다. 1972년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강한 자기장에서의 텔루륨의 갈바노자기적 특성(Galvanomagnetic Properties of Tellurium in Strong Magnetic Fields)"이라는 제목으로 박사 학위 논문을 완성하고, 1978년에 하빌리타치온을 취득했다.[14]2. 2. 연구 경력
클라우스 폰 클리칭은 1962년 독일 콰켄브뤼크에서 아비투어를 통과하고,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에서 1969년 학위를 받았다. 1972년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5]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은 강한 자기장에서 텔루륨의 전자기적 특성(''Galvanomagnetic Properties of Tellurium in Strong Magnetic Fields'')에 관한 연구였다.[5] 옥스퍼드 대학교의 클래런던 연구소와 프랑스의 그르노블 고자기장 연구소(현재 LNCMI)에서 연구를 지속하다가 1980년에 뮌헨 공과대학교 교수가 되었다.[5] 1985년 슈투트가르트의 막스 플랑크 고체연구소 소장이 되었다.[5]1992년 영국 배스 대학교가 명예 박사학위를 수여하였다.[14]
폰 클리칭 상수(von Klitzing constant), ''R''K는 양자 홀 효과 발견을 기념하여 명명되었으며,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의 ''상수, 단위 및 불확실성에 대한 참고 자료''에 등재되어 있다. 이 상수의 역수는 전도 양자 값의 절반과 같다.
최근 클리칭의 연구는 저온 및 고자기장에서 일반적으로 저차원 전자 시스템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클라우스 폰 클리칭의 주요 연구 경력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연도 | 내용 |
---|---|
1969년 |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물리학 전공 졸업 |
1972년 | 뷔르츠부르크 대학교 박사 학위 취득 |
1980년 | 뮌헨 공과대학교 교수 |
1985년 | 막스 플랑크 연구소 부서장, 슈투트가르트 대학교 명예교수 |
폰 클리칭 상수(''R''K)는 양자 홀 효과를 발견한 클라우스 폰 클리칭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으며, 그 값은 ''R''K = ''h''/e2 = 25812.807449Ω이다.[15] 이 상수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의 상수, 단위, 그리고 불확정도에 관한 참고(''Reference on Constants, Units, and Uncertainty'')에 포함되어 있으며, 역수는 전기전도도 양자(Conductance quantum) 값과 같다.[15]
3. 업적
오늘날 폰 클리칭의 연구는 주로 저온 및 고자기장 환경에서 저차원 전기계의 특성을 연구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3. 1. 양자 홀 효과 발견
클라우스 폰 클리칭은 양자 홀 효과를 발견한 공로로 폰 클리칭 상수(''R''K)가 명명되었다. 폰 클리칭 상수는 ''R''K = ''h''/e2 = 25812.807449Ω이며,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의 상수, 단위, 그리고 불확정도에 관한 참고(''Reference on Constants, Units, and Uncertainty'')에 포함되었다.[15] 폰 클리칭 상수의 역수는 전기전도도 양자(Conductance quantum) 값과 같다.[15]
2019년 5월 이후 플랑크 상수(''h'')와 기본 전하량(''e'')는 정의 상수이므로, 폰 클리칭 상수 '''''' 값에는 불확정도가 없다.[13] 이 값은 양자 홀 효과에서 관측되는 양자화 홀 전도율의 역수로부터 구할 수 있다.
클라우스 폰 클리칭은 옥스퍼드 대학교의 클래런던 연구소와 프랑스의 그르노블 고자기장 연구소(현재 LNCMI)에서 근무했으며, 1980년 뮌헨 공과대학교 교수가 될 때까지 그곳에서 연구를 계속했다. 1985년부터 슈투트가르트의 막스 플랑크 고체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5] 오늘날 폰 클리칭의 연구는 보통 저온과 고자기장의 분야에서 저차원 전기계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3. 2. 폰 클리칭 상수
폰 클리칭 상수(''R''K)는 양자 홀 효과를 발견한 클라우스 폰 클리칭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폰 클리칭 상수는 ''R''K = ''h''/e2 = 25812.807449Ω이며,[15]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의 상수, 단위, 그리고 불확정도에 관한 참고(''Reference on Constants, Units, and Uncertainty'')에 포함되었다. 폰클리칭 상수의 역수는 전기전도도 양자(Conductance quantum) 값과 같다.
국제적으로 표준 저항으로 채택된 폰 클리칭 상수 ''''''는 정수 양자 홀 효과를 발견한 업적을 기념하여 그 이름이 붙여졌다. 2019년 5월 이후 플랑크 상수(''h'')와 기본 전하량(''e'')는 정의 상수이므로, 이 값에는 불확정도가 없다.[13] 이 값은 양자 홀 효과에서 관측되는 양자화 홀 전도율의 역수로부터 구할 수 있다.
3. 3. 연구 방향
오늘날, 폰 클리칭의 연구는 보통 저온과 고자기장 분야에서 저차원 전기계의 특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5] 클라우스 폰 클리칭은 옥스퍼드 대학교의 클래런던 연구소와 프랑스의 그르노블 고자기장 연구소(현재 LNCMI)에서 근무했으며, 1980년 뮌헨 공과대학교 교수가 될 때까지 그곳에서 연구했다. 1985년부터 슈투트가르트의 막스 플랑크 고체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5]
최근 클리칭의 연구는 저온 및 고자기장에서 일반적으로 저차원 전자 시스템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4. 수상 및 영예
연도 | 상 및 영예 | 수여 기관 |
---|---|---|
1981년 | 발터 쇼트키 상 | |
1982년 | 유럽물리학회 유로피직스 상 | 유럽물리학회 |
1982년 | 휴렛패커드 상 | |
1985년 | 노벨 물리학상 | |
1985년 | 종신직 이사 | 막스 플랑크 고체상태연구소 |
1986년 | 골든 플레이트 상[6] | 업적 아카데미 |
1986년 | 바덴뷔르템베르크 공훈훈장 | |
1988년 | 명예 박사 학위 | 칼-마르크스-슈타트 공과대학교 |
1988년 | 바이에른 과학예술 막시밀리안 훈장 | |
1988년 | 디랙 메달 및 강연 |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
1992년 | 명예 박사 학위 (이학 박사)[7] | 배스 대학교 |
1999년 | 명예 회원 | 독일 물리학회 |
2003년 | 왕립 학회 외국인 회원(ForMemRS)[2] | 왕립 학회 |
2005년 | 칼 프리드리히 가우스 메달[8] | 브런스윅 과학 학회 |
2006년 | 명예 박사 학위 | 올덴부르크 대학교 |
2007년 | 회원 | 중국과학원 |
2007년 | 회원 | 교황청 과학 아카데미 |
2009년 | 오스트리아 과학예술 훈장[9] | |
2012년 | 명예 교수 | 뮌헨 공과대학교 |
2016년 | 명예 박사 학위[10] | 산마르틴 국립대학교 |
2019년 | 과학예술 공로훈장[11] | |
2019년 | 프레이 국제 지속가능성 상[12] | FLOGEN Star Outreach (SIPS 2019) |
폰 클리칭 교수 거리 | 콰켄브뤼크 | |
클라우스 폰 클리칭 거리 | 란다우 |
참조
[1]
논문
New Method for High-Accuracy Determination of the Fine-Structure Constant Based on Quantized Hall Resistance
American Physical Society
[2]
웹사이트
Professor Klaus von Klitzing ForMemRS
https://royalsociety[...]
Royal Society
[3]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85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2014
2018-04-28
[4]
웹사이트
Klaus von Klitzing
http://www.nobel-win[...]
www.nobel-winners.com
2018-04-28
[5]
논문
New Method for High-Accuracy Determination of the Fine-Structure Constant Based on Quantized Hall
[6]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7]
웹사이트
Honorary graduates, 1990 to 1999
http://www.bath.ac.u[...]
University of Bath
2018-04-28
[8]
웹사이트
Preisträger/innen
http://bwg-nds.de/ga[...]
Braunschweigische Wissenschaftliche Gesellschaft
2018-04-28
[9]
웹사이트
10542/AB XXIV. GP – Anfragebeantwortung
https://www.parlamen[...]
2018-04-28
[10]
웹사이트
Doctorado Honoris Causa
http://noticias.unsa[...]
Noticias UNSAM
2022-06-15
[11]
웹사이트
Orden Pour le mérite wählt neue Mitglieder
https://www.bundesre[...]
Presse- und Informationsamt der Bundesregierung
2019-08-03
[12]
웹사이트
Klaus von Klitzing winner of the Fray Award
https://www.flogen.o[...]
[13]
수학식
수학식
[14]
웹인용
Honorary Graduates 1989 to present
http://www.bath.ac.u[...]
University of Bath
2012-02-18
[15]
웹인용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Extensive Listing
http://physics.ni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