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란티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란티어군은 약 24개의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군으로, 림부어, 수누와르어, 반타와어 등을 포함한다. 동부, 중부, 서부 키란티어로 분류되며, 각 그룹 내에서도 세부적인 하위 분류가 존재한다. 2012년 이전부터 역사언어학자들은 키란티어군이 단일 계통이 아닌 다계통군이라고 여겨왔으며, 최근 연구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확인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네팔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티베트버마어파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티베트버마어파 - 구룽어
    구룽어는 티베트-부르마어족의 구룽어파에 속하며 네팔과 인도에서 사용되는 성조 언어이다.
  • 인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키란티어군
개요
유형어족
사용 지역네팔 동부, 인도 (시킴 주, 다르질링, 칼림퐁), 부탄
사용 민족키라트족, 야카족, 림부족, 라이족, 수누와르족
어족 분류중국티베트어족
하위 어족마하키란티어군 (?)
언어 수30개 이상
언어 코드 (Glottolog)kira1253

2. 분류

키란티어군에는 약 24개의 언어가 있다. 잘 알려진 언어로는 림부어, 수누와르어, 반타와어, 차믈링어, 칼링어, 바힝어, 야크하어, 와유어, 둥말리어, 로호룽어, 쿨룽어가 있다.

키란티어의 동사는 주로 포트망토 형태소의 존재, 밀집된 접사열, 광범위하고 (종종 직관적이지 않은) 동소형태 때문에 쉽게 분절할 수 없다. 따라서 서로 간의 관계는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역사언어학자들은 2012년 이전부터 키란티어군이 공통된 혁신을 보여주지 않아 단일 계통이 아닌 다계통군이라고 여겨왔다.[3] Gerber & Grollmann (2018)은 키란티어군의 다계통적 특성을 뒷받침하는 추가적인 증거를 제시했다. Gerber & Grollmann (2018)은 중앙-동부 키란티어군은 타당하다고 보았지만, "서부 키란티어군"은 트랜스히말라야어족 내에서 분류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했다.[4]

Grollmann (2023)은 쿨룽어, 나치링어, 삼팡어 세 언어로 구성된 '캄부어(Khambu)' 아족을 확인했다. 캠링어 또한 캄부어일 가능성이 있다.[5]

Opgenort (2005)[2]는 키란티어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며, 키란티어군 내부의 기본적인 동서 분할을 인정한다.


  • '''키란티어군'''
  • * 서부
  • ** 하유어
  • **

툴룽어

* 바힝어, 수누와르어
* 제룽어, 와물레어

  • * 중부
  • ** 칼링어, 두미어


* 쿨룽어
* 차믈링어, 반타와어

  • * 동부

얌푸어, 림부어

2. 1. 동부 키란티어

림부어는 동부 키란티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1] 동부 키란티어군에는 야크하어, 벨하레어, 아트파레어, 친탕어, 얌푸어, 로호룽어, 메와항어 등이 속한다.[1]

2. 1. 1. 림부어

림부어는 키란티어군에 속하는 언어 중 하나이다. 키란티어군의 동사는 주로 포트망토 형태소의 존재, 밀집된 접사열, 광범위하고 (종종 직관적이지 않은) 동소형태 때문에 쉽게 분절할 수 없다. 따라서 서로 간의 관계는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1]

키란티어는 전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

동부 키란티어
림부어
야크하어
벨하레어
아트파레어
친탕어
얌푸어
로호룽어
메와항어


2. 1. 2. 야크하어 및 관련 언어

야크하어는 동부 키란티어에 속하며, 하위 언어는 다음과 같다.[1]

  • 벨하레어
  • 아트파레어
  • 친탕어
  • * 얌푸어
  • * 로호룽어
  • 메와항어

2. 1. 3. 친탕어 및 관련 언어

키란티어의 동사는, 주로 포트망토 형태소의 존재, 밀집된 접사열, 광범위하고 (종종 직관적이지 않은) 동소형태 때문에 쉽게 분절할 수 없다. 따라서 서로 간의 관계는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1]

전반적으로 키란티어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

  • '''동부 키란티어'''
  • 림부어
  • 야크하어
  • 벨하레어
  • 아트파레어
  • 친탕어
  • 얌푸어
  • 로호룽어
  • 메와항어

  • '''중부 키란티어'''
  • 캄부(라이)
  • 쿨룽어
  • 나치링어
  • 삼팡어
  • 사암어
  • 반타와어
  • 푸마어
  • 차믈링어
  • 둥말리어
  • 툴룽어 (어쩌면 키란티 라이의 주요 가지일 수도 있음)
  • 차우라시아
  • 와무레어

  • 상부 두드코시 강:
  • 칼링어
  • 두미어
  • 코이어
  • 바힝어

  • '''서부 키란티어'''
  • 수누와르어
  • 하유어
  • 제룽어

2. 2. 중앙 키란티어

중부 키란티어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캄부(라이) 어군
  • 쿨룽어
  • 나치링어
  • 삼팡어
  • 사암어
  • 반타와어
  • 푸마어
  • 차믈링어
  • 둥말리어
  • 툴룽어
  • 차우라시아 어군
  • 와무레어
  • 상부 두드코시 강 어군
  • 칼링어
  • 두미어
  • 코이어
  • 바힝어

2. 2. 1. 캄부 (라이) 어군

키란티어군의 캄부(라이) 어군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

  • 쿨룽어
  • 나치링어
  • 삼팡어
  • 사암어
  • 반타와어
  • 푸마어
  • 차믈링어
  • 둥말리어

2. 2. 2. 툴룽어

Ethnologue영어는 Opgenort (2011)를 바탕으로 서부 키란티어에 툴룽어를 추가하였다.

2. 2. 3. 차우라시아 어군

와무레어

2. 2. 4. 상부 두드코시 강 어군

ཀི་ར་ཏི་སྐད|키란티스카드bo어군의 상부 두드코시 강 어군에는 다음 언어들이 속한다.

언어
칼링어
두미어
코이어
바힝어


2. 3. 서부 키란티어

수누와르어, 하유어, 제룽어는 서부 키란티어군에 속한다.[2] Opgenort (2005)는 서부 키란티어를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 '''서부 키란티어'''
  • ** 하유어
  • **

툴룽어

* 바잉어, 수누와르어
* 제룽어, 와물레어

이 분류에서 틸룽어는 생략되었는데, 에스놀로그(Ethnologue)는 Opgenort (2011)를 바탕으로 서부 키란티어에 틸룽어를 추가한다.

2. 3. 1. 수누와르어 및 관련 언어

에스놀로그(Ethnologue)는 Opgenort (2011)를 바탕으로 서부 키란티어에 틸룽어를 추가한다.

2. 3. 2. 제룽어

ཇེ་རུང་སྐད|제룽어bo네팔 동부에서 쓰이는 키란티어군 언어이다.[1]

3. 키란티어군의 계통 관계

조지 반 드리엠(George van Driem)은 이전에 키란티어가 마하키란티어(Mahakiranti languages) 계열에 속한다고 제안했지만, 전문가들은 키란티 아족의 존재 여부나 정확한 구성원에 대해 완전히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1] 그러나 라폴라(LaPolla, 2003)는 키란티어가 더 큰 "룽어(Rung languages)" 그룹에 속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키란티어군에는 약 24개의 언어가 있다. 잘 알려진 언어로는 림부어, 수누와르어, 반타와어, 차믈링어, 칼링어, 바힝어, 야크하어, 와유어, 둥말리어, 로호룽어, 쿨룽어 등이 있다.

키란티어의 동사는, 주로 포트망토 형태소의 존재, 밀집된 접사열, 광범위하고 (종종 직관적이지 않은) 동소형태 때문에 쉽게 분절할 수 없다. 따라서 서로 간의 관계는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전반적인 키란티어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야크하어
벨하레어
아트파레어
친탕어
* 얌푸어
* 로호룽어
메와항어

  • '''중부 키란티어'''
  • ** 캄부(라이)

쿨룽어
나치링어
삼팡어
사암어
반타와어
푸마어
차믈링어
둥말리어

  • ** 툴룽어 (어쩌면 키란티 라이의 주요 가지일 수도 있음)
  • ** 차우라시아

와무레어

  • ** 상부 두드코시 강:

칼링어
두미어
코이어
바힝어

  • '''서부 키란티어'''

수누와르어
하유어
제룽어

, 와 같은 Tree List 관련 템플릿은 제거했다.

Ethnologue는 Opgenort (2011)을 바탕으로 서부 키란티어에 틸룽어를 추가한다.

3. 1. 최근 연구 동향

역사언어학자들은 2012년 이전부터 키란티어군이 공통된 혁신을 보여주지 않아 단일 계통이 아닌 다계통군이라고 여겨왔다.[3] Gerber & Grollmann (2018)은 키란티어군의 다계통적 특성을 뒷받침하는 추가적인 증거를 제시했다. 이들은 중앙-동부 키란티어군은 타당하다고 보았지만, "서부 키란티어군"은 트랜스히말라야어족 내에서 분류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했다.[4]

Grollmann (2023)은 쿨룽어, 나치링어, 삼팡어 세 언어로 구성된 '캄부어(Khambu)' 아족을 확인했다. 캠링어 또한 캄부어일 가능성이 있다.[5]

각 아그룹을 정의하는 음운 변화는 다음과 같다(Gerber & Grollmann 2018).[4]

  • 중앙-동부 키란티어 (*무성음 > 전성문; *유성음 > 무성음; *ʔk > kʰ; *ʔc > cʰ)
  • 록푸어, 디말어, 토토어
  • 중앙 키란티어 (*ʔp > b; *ʔt > d)
  • 상아룬어 (*ʔp > b; *ʔt > d; *r > j)
  • 대야크하-림부어 (*ʔp > pʰ; *ʔt > tʰ; *r > j)


히말라야 너머어족(중국-티베트어족) 내에서 분류되지 않은 독립적인 가지들(이전에는 "서부 키란티어"의 일부였음):

  • 두미어-칼링어 (혁신적인 동사 이중 접미사 -i)
  • 차우라시야-북서부어 (*kʷ > ʔw ~ ʔb)
  • 와물레어, 바잉어, 수누와르어; ? 제룽어; ? 하유어
  • 툴룽어-틸룽어-코히어 (*p > t; *b > d)


캄부어 어군은 다음과 같은 음운 변화로 정의된다.[5]

  • 어말 위치에서 *ŋ > Ø, *k > Ø, 그리고 앞선 모음 *a 앞에서 모음 변화 o, ʌ, ə
  • 어말 위치에서 /i/ 앞에서 *t와 *n의 구개음화
  • *eŋ > aŋ

4. 원시 키란티어 재구

조지 반 드리엠(George van Driem)의 음운론 및 비교 형태론 연구를 포함한 원시 키란티어 연구는,[6] 미하일로프스키(Michailovsky, 1991)[7]와 세르게이 스타로스틴(Sergei Starostin, 1994)[8]의 재구성 연구가 있다. 미하일로프스키와 스타로스틴은 재구성된 파열음 계열의 수(3개 대 4개)와 대응 관계의 해석에서 의견이 다르다.

오프게노르트(Opgenort)는 전성문 파열음의 재구성을 제시했는데,[9][10] 그의 재구성은 일반적으로 스타로스틴의 4계열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최근에 기욤 자크(Guillaume Jacques)는 미하일로프스키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원시 키란티어 동사 어근의 재구성을 제안했고,[11] 스타로스틴이 무기음 무성 파열음으로 재구성한 다른 초기 대응 관계(특히, 그 계열)는 형태론적 변화와 키란티어 간 차용으로 인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그는 칼링어와 두미어를 바탕으로 어간 변화와 강세 패턴의 재구성에 대한 예비적인 논의를 제시했다.[12]

참조

[1] 서적 Matisoff 2003 Matisoff
[1] 서적 Thurgood 2003 Thurgood
[1] 서적 Ebert 2003 Ebert
[2] 웹사이트 Comparative and Etymological Kiranti Database http://www.opgenort.[...]
[3] 논문 Agreement Morphology: The Case of Rgyalrongic and Kiranti https://www.ling.sin[...] 2012
[4] 논문 What is Kiranti?: A Critical Account 2018-11-20
[5] 간행물 Remarks on the Khambu subgroup of Kiranti INALCO 2023-09-04
[6] 논문 The Fall and Rise of the Phoneme /r/ in Eastern Kiranti: Sound Change in Tibeto-Burman 1990
[7] 문서 Big black notebook of Kiranti, proto-Kiranti forms http://stedt.berkele[...] 1991
[8] 데이터베이스 Proto-Kiranti reconstruction (online database) http://starling.rine[...] 1994-2000
[9] 논문 Implosive and preglottalized stops in Kiranti http://sealang.net/s[...] 2004
[10] 서적 A Grammar of Jero: With a Historical Comparative Study of the Kiranti Languages BRILL 2005
[11] 논문 A reconstruction of Proto-Kiranti verb roots https://halshs.archi[...] 2017-11-27
[12] 논문 Tonogenesis and tonal alternations in Khaling https://halshs.archi[...] 2016
[13] 서적 Matisoff 2003 Matisoff
[13] 서적 Thurgood 2003 Thurgood
[13] 서적 Ebert 2003 Eber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