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르기스스탄의 국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르기스스탄의 국기는 키르기스스탄의 공식적인 상징물이다. 1898년과 1916년 키르기스 반군이 사용한 흰 깃발의 역사를 거쳐,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 이후 1992년 3월 3일에 현재의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붉은색 바탕에 노란색 태양과 유르트 문양을 특징으로 하며, 2023년에는 태양 광선의 물결 모양이 직선으로 수정되었다. 붉은색은 용기와 담대함을, 태양은 평화와 풍요를, 유르트 문양은 키르기스인의 전통과 조국을 상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르기스스탄의 상징 - 낫과 망치
낫과 망치는 농민과 노동자의 연대를 상징하는, 공산주의 국가의 주요 상징이며, 소련 국기 및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다. - 키르기스스탄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 국기 - 일본의 국기
일본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붉은 원이 그려진 디자인으로, 태양을 상징하며 1999년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국기로 지정되었다. - 국기 - 독일의 국기
독일 국기는 검은색, 빨간색, 금색 가로 줄무늬 삼색기로, 자유주의와 통일 독일을 상징하며, 1949년 서독과 동독, 그리고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통일 독일의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 아시아 - 브루나이
브루나이는 보르네오 섬에 위치한 동남아시아 국가로, 이슬람 술탄국으로 독립하여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을 기반으로 높은 국민 소득을 유지하며, 국왕이 강력한 권한을 행사하는 입헌 군주국이다. - 아시아 - 중앙아시아
중앙아시아는 유라시아 대륙 중심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하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 실크로드의 중심지로서의 역사, 그리고 지정학적 경쟁이 치열한 지역이다.
키르기스스탄의 국기 | |
---|---|
국기 정보 | |
용도 | 국기 |
별칭 | 없음 |
비율 | 3:5 |
채택일 | 2023년 12월 26일 (현재 버전) |
최초 채택일 | 1992년 3월 3일 |
디자인 | 빨간색 바탕에 40개의 균등하게 배치된 광선을 가진 노란색 태양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전설 속에서 마나스가 통합한 40개의 씨족을 나타낸다. 태양은 전통적인 키르기스 유르트를 나타내는 두 세트의 4개의 선으로 교차한다. |
디자이너 | 불명 |
기호 | 111111 정상 대칭 |
대통령기 | |
![]() | |
용도 | 대통령 표준기 |
비율 | 3:5 |
디자인 | 중앙에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의 문장이 새겨진 붉은 바탕 |
디자이너 | 불명 |
기호 | 불명 |
지방 정부기 | |
![]() | |
용도 | 지방 정부기 |
비율 | 3:5 |
채택일 | 2017년부터 사용 |
디자인 | 중앙에 국장이 새겨진 붉은색 바탕으로, 키르기스스탄의 지방 정부에서 사용됨 |
디자이너 | 불명 |
2. 역사
키르기스스탄의 국기는 시대에 따라 여러 번 바뀌었다.
키르기스 반군은 1898년 안디잔 봉기와 1916년 중앙아시아 봉기에서 "국가 해방의 흰 깃발"을 사용했다.[1]
소련 통치 시기에는 소비에트 연방의 국기에서 유래한 깃발을 사용했다.[3] 1991년 독립 후에도 7개월 동안 소비에트 시대 깃발을 유지하다가 1992년 3월 3일에 새로운 디자인으로 교체했다.[3][4][5]
2023년에는 깃발의 태양 광선 모양이 해바라기와 비슷하다는 이유로 바뀌었다.[6][7] 키르기스 문화에서 해바라기는 부정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법안은 사디르 자파로프 대통령의 서명을 거쳐 2023년 12월 26일부터 시행되었다.[8][9][10][11]
깃발 | 날짜 | 용도 | 설명 |
---|---|---|---|
키르기스 공화국 (1991년–현재) | |||
-- | 1991년–1992년 | 키르기스 SSR의 깃발 (독립 후 1년간 사용) | 금색 테두리가 있는 붉은색 별, 낫과 망치가 깃발 왼쪽 상단에 있으며, 가운데에는 두 개의 감청색 띠와 흰색 띠가 있다. |
-- | 1992년–2023년 | 키르기스 공화국의 국기 | 붉은색 바탕에 전통 키르기스 유르트 문양이 있는 노란색 태양이 중앙에 그려져 있다. |
-- | 2023년–현재 | 키르기스 공화국의 국기 | 해의 광선이 해바라기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곧게 펴졌다. 깃발 중앙의 격자 무늬 구멍의 수도 증가했다. |
2. 1. 소련 이전
1898년 안디잔 봉기 당시 키르기스 반군은 "국가 해방의 흰 깃발"이라 불리는 흰 깃발을 사용했다.[1] 이는 1916년 중앙아시아 봉기 당시 지자흐에서 일어난 봉기[1]와 프레베차켄스카 공격[2]에서 다시 사용되었다.2. 2. 소련 시대
소련 통치 시기, 현대의 키르기스스탄에 해당하는 연방 공화국은 1953년에 채택된 소비에트 연방의 국기에서 유래하고 공산주의를 나타내는 깃발을 사용했다.[3] 1991년 8월 31일,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 약 4개월 전에 키르기스스탄은 독립을 선포했다.[4] 그러나 소비에트 시대의 깃발은 독립 후 7개월 동안 국기로 유지되었다.[3] 1992년 3월 3일, 키르기스스탄이 다른 7개의 포스트 소비에트 국가와 함께 유엔에 가입한 다음 날, 새로운 디자인으로 국기가 교체되었다.[3][5]1936년에 키르기스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을 구성하는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초기에는 붉은 깃발 상단에 노란색으로 КЫРГЫЗ ССР|키르기스 SSRru 또는 КИРГИЗСКАЯ ССР|키르기스카야 SSRru과 같은 글자가 적힌 깃발을 국기로 사용했다. 1952년 12월 22일에는 파란색과 흰색 줄무늬가 추가된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가 제정되었다. 소련 붕괴 이후인 1991년까지는 해당 국기에서 낫과 망치, 별을 제거한 깃발을 사용했다.
2. 3. 독립 이후
소련 통치 시기, 현대의 키르기스스탄에 해당하는 연방 공화국은 1953년에 채택된 소비에트 연방의 깃발에서 유래한 공산주의를 나타내는 깃발을 사용했다.[3] 1991년 8월 31일,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 약 4개월 전에 키르기스스탄은 독립을 선포했다.[4] 그러나 소비에트 시대의 깃발은 독립 후 7개월 동안 국기로 유지되었다.[3] 1992년 3월 3일, 키르기스스탄이 다른 7개의 포스트 소비에트 국가와 함께 유엔에 가입한 다음 날, 새로운 디자인으로 교체되었다.[3][5]2023년 말, 조고르쿠 켄게시(키르기스스탄 의회)에서 깃발의 물결 모양 태양 광선이 해바라기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직선으로 바꾸는 논쟁이 있었다.[6][7] 키르기스 문화에서 해바라기는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충성을 바꾸는 변덕스럽고 비굴한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법안은 11월 29일에 1차 심의를 통과했고, 12월 20일에 2차 및 3차 심의를 통과했다.[8][9] 사디르 자파로프 대통령은 12월 22일에 이 법안에 서명했다.[10] 이 법은 12월 26일에 공식적으로 발표되어 같은 날부터 시행되었다.[11]
붉은색 바탕 역시 많은 비판을 받았다. 어떤 사람들은 붉은색이 국가의 격동적인 역사를 상기시킨다고 믿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키르기스스탄 공산주의의 잔재라고 생각한다.[20]
2. 3. 1. 연표
키르기스 반군은 1898년 안디잔 봉기 당시 "국가 해방의 흰 깃발"이라 불리는 흰 깃발을 사용했다.[1] 이후 1916년 중앙아시아 봉기 당시 지자흐에서 일어난 봉기[1]와 프레베차켄스카 공격[2]에서 다시 사용했다.
소련 통치하에서, 현대 키르기스스탄과 일치하는 연방 공화국은 1953년에 채택된 소비에트 연방의 깃발에서 유래하고 공산주의를 나타내는 깃발을 사용했다.[3] 키르기스스탄은 1991년 8월 31일,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 약 4개월 전에 독립을 선포했다.[4] 그러나 소비에트 시대의 깃발은 독립 선포 후 7개월 동안 국기로서 지위를 유지했다.[3] 마침내 키르기스스탄이 다른 7개의 포스트 소비에트 국가와 함께 유엔에 가입한 다음 날인 1992년 3월 3일에 새로운 디자인으로 교체되었다.[3][5]

2023년 말, 조고르쿠 켄게시(키르기스스탄 의회)에서는 해바라기와의 유사성 때문에 깃발의 물결 모양 태양 광선을 직선으로 바꾸는 논쟁이 벌어졌다.[6][7] 키르기스 문화에서 해바라기는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충성을 바꾸는 변덕스럽고 비굴한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법안은 11월 29일 1차 심의를 통과했고, 12월 20일 2차 및 3차 심의를 통과했다.[8][9] 이 법안은 12월 22일 사디르 자파로프 대통령에 의해 서명되었다.[10] 이 법은 12월 26일에 공식적으로 발표되었고 같은 날부터 시행되었다.[11]
깃발 | 날짜 | 용도 | 설명 |
---|---|---|---|
소련 시대 (1926년–1991년) | |||
-- | 1929년–1937년 | 키르기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대에 사용된 깃발 | 낫과 망치가 그려진 붉은색 깃발에 키르기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약칭이 두 언어로 표기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공식적으로 사용된 적은 거의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12] |
-- -- | 1936년–1940년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대에 사용된 깃발 (낫과 망치가 없는 버전) | 낫과 망치가 없는 버전. |
-- | 1940년–1952년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대에 사용된 깃발 | 낫과 망치가 그려진 붉은색 깃발에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약칭이 두 언어로 표기되었다. |
-- | 1952년–1991년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대에 사용된 깃발 | 금색 테두리가 있는 붉은색 별, 낫과 망치가 깃발 왼쪽 상단에 있으며, 가운데에는 두 개의 감청색 띠와 흰색 띠가 있다. |
키르기스 공화국 (1991년–현재) | |||
-- | 1991년–1992년 | 키르기스 SSR의 깃발 (독립 후 1년간 사용) | 금색 테두리가 있는 붉은색 별, 낫과 망치가 깃발 왼쪽 상단에 있으며, 가운데에는 두 개의 감청색 띠와 흰색 띠가 있다. |
-- | 1992년–2023년 | 키르기스 공화국의 국기 | 붉은색 바탕에 전통 키르기스 유르트 문양이 있는 노란색 태양이 중앙에 그려져 있다. |
-- | 2023년–현재 | 키르기스 공화국의 국기 | 해의 광선이 해바라기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곧게 펴졌다. 깃발 중앙의 격자 무늬 구멍의 수도 증가했다. |
키르기스스탄의 국기는 붉은색 바탕에 노란색 태양이 그려져 있고, 태양 안에는 전통 가옥인 유르트의 지붕(''툰둑'')을 형상화한 문양이 있다. 40개의 햇살은 마나스가 통합한 40개 부족을 상징한다.[21]
3. 디자인
붉은색 바탕은 용기와 담대함을, 태양은 평화와 풍요를 상징한다. 태양 안에 그려진 원 안에서 두 쌍의 세 개의 선이 교차하는 기호는 키르기스인 등 유목민의 전통적인 텐트식 가옥 꼭대기에 있는 구조 '''툰두크'''(түндүк|툰두크ky)를 나타내며,[21] 조국과 우주를 상징한다.
3. 1. 상징
붉은색 바탕은 "용기와 무용"을 나타내며, 키르기스스탄의 국민 영웅인 마나스가 휘날렸다고 전해지는 깃발을 암시한다.[21] 태양은 평화와 번영을 상징하며, 40개의 광선은 마나스가 몽골과 싸우기 위해 통합한 부족의 수, 그리고 그를 따랐던 추종자의 수를 나타낸다.
태양 중앙에는 전통 키르기스 텐트인 ''유르트''의 지붕 (түндүк|툰두크ky)을 내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양식화하여 그려 넣었다.
툰두크는 주거의 중심이 되는 부분이며, 부모로부터 자식에게로 이어져 내려온다. 중앙아시아에서 널리 사용되는 상징이며, 카자흐스탄 국장(카자흐스탄에서는 '''유르트'''라고 부른다)에도 사용되고 있다.
키르기스 문화에서 해바라기는 배신자, 비굴한 자, 바람개비 등을 상징한다. 사디르 자파로프(Садыр Жапаров) 대통령을 비롯한 일부 정치인들은 국기 중앙의 태양 문양이 해바라기와 너무 닮았다는 의견이 국민들 사이에 오랫동안 남아 있었고, 이것이 키르기스의 독립을 아직 확고한 것으로 만들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2023년 11월 29일, 의회에서 국기 문양을 일부 변경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22] 같은 해 12월 20일, 의회에서 국기를 개정하는 법안이 승인되어 태양의 물결 모양 빛줄기를 직선으로 변경하게 되었다. 이 법은 12월 26일에 발효되었다.[23]
3. 2. 색상
(#FF0000)255–255–0
(#FFFF00)팬톤 1788 C 노랑 C CMYK 0, 100, 100, 0 0, 0, 100, 0 웹 색상 #FF0000 #FFFF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