킨다급 순양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킨다급 순양함은 1960년대 초 소련 해군이 운용한 미사일 순양함으로, 1956년 설계가 시작되어 총 4척이 건조되었다. 주 무장으로 P-35 함대함 미사일을 탑재했으며, M-1 볼나 함대공 미사일과 76mm, 30mm 함포 등으로 무장했다. 앙가라 레이더 등 다양한 전자 장비를 갖추었으며, 헬리콥터 운용 능력도 갖추었다. 킨다급 순양함은 지중해, 인도양, 태평양 등에서 무력 외교를 펼쳤으며, 소련 붕괴 이후 퇴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양함 함급 - 키로프급 미사일 순양함
키로프급 미사일 순양함은 소련 해군이 건조한 원자력 추진 순양함으로, 강력한 무장과 스텔스 설계를 통해 미국 해군 항모 강습단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 순양함 함급 - 버지니아급 순양함
버지니아급 순양함은 소련 해군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1970년대 미국 해군에서 운용된 핵추진 순양함으로, 4척이 건조되었으나 높은 운영비와 국방 예산 감축으로 1990년대 초 조기 퇴역했으며 Mk.26 GMLS, Mk.45 5인치 함포 등의 무장과 C4ISR 체계, 쇄파 갑판형 선체, D2G 원자로 2기를 탑재했다.
킨다급 순양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함급 명칭 | 킨다급 |
함종 | 미사일 순양함 |
건조 국가 | 소비에트 연방 |
운용 국가 | 소비에트 연방 해군 러시아 해군 |
건조 및 운용 | |
건조 조선소 | 세베르나야 베르프 (즈다노프 조선소) |
기공 | 1960년 ~ 1965년 |
취역 | 1962년 ~ 2002년 |
계획 척수 | 16척 |
건조 척수 | 4척 |
취소 척수 | 12척 |
퇴역 척수 | 4척 |
이전 함급 | 스탈린그라드급 (82형; 순양함) 스베르들로프급 (68-bis형; 경순양함) |
이후 함급 | 크레스타I급 (1134형) |
제원 | |
기준 배수량 | 4,340톤 |
만재 배수량 | 5,570톤 |
전장 | 142.0m |
전폭 | 15.8m |
흘수선 | 5.3m |
추진 체계 | |
보일러 | KVN-95/64형 보일러 4기 (64 kgf/cm², 470℃) |
주기관 | TV-12형 증기 터빈 2기 |
출력 | 90,000마력 |
추진 방식 | 2축 스크류 프로펠러 |
속력 | 34노트 |
항속 거리 | 3,500해리 (18노트 순항 시) |
승조원 | |
승조원 수 | 339명 (장교 27명) |
무장 | |
함포 | AK-726 76mm 연장포 2문 AK-630M 30mm CIWS 4문 |
미사일 | ZIF-101 연장 미사일 발사기 1기 (V-600 SAM 16발) SM-70 4연장 미사일 발사기 2기 (P-35 SSM 16발) |
대잠 무기 | RBU-6000 대잠 로켓 발사기 2기 (RGB-60형 대잠 로켓 각 96발) |
어뢰 | 533mm 3연장 어뢰 발사관 2기 (SET-65/53-65K형 어뢰 6발) |
센서 및 전자전 장비 | |
사격 통제 장치 | 4R90 1기 (SAM용) 4R44 2기 (SSM용) MR-105 1기 (주포용) MR-123 2기 (CIWS용) |
C4I | 플란셰트58 전술 정보 처리 장치 |
레이더 | MR-300 2기 (대공/대수상 수색용) 돈-2형 2기 (항해용) |
소나 | MGS-572형 |
2. 역사적 배경
1956년 12월, 세르게이 고르쉬코프 소련 해군 총사령관은 유도 미사일을 탑재한 구축함 개발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제35중앙설계국은 58형 설계안을 마련했다. 초기에는 16척 건조가 계획되었으나,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공산당 제1서기는 킨다급을 실전용 군함보다는 "외국 방문 시 소련 조함 기술의 상징"으로 간주하여 건조 수를 4척으로 제한했다. 당초 함종은 "제트 병기 탑재함"이었으나, 해군 수뇌부의 요청으로 1960년대에 "미사일 순양함"으로 변경되었다.
킨다급은 57bis형 대형 미사일함(코틀린급 구축함의 발전형) 설계를 참고했지만, 시스템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설계에 어려움을 겪었다. 배수량 제한을 위해 상부 구조물에는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AMG-6형 및 6T형)이 사용되었고, 선체에는 SHL-4형 고장력강이 채용되었다. 긴 선루형 선형을 채택했다.
3. 설계
주기관은 보일러 4기와 증기 터빈 2기로 구성되었으며, 출력 강화를 통해 속력 증강을 꾀했다. KVN-95/64형 보일러는 증기 압력 64kgf/cm2, 온도 470℃, 증기 발생량은 매시 95톤의 성능을 지녔다. 최대 출력 시 연료 소비량은 매시 0.85톤이었다.[2]
3. 1. 무장
킨다급의 주 무장은 250km(이후 350km)의 사거리를 가진 P-35 (SS-N-3B) 함대함 미사일이다. 상부 구조물 전후에 각각 4연장 SM-70 발사기 2기가 배치되었다. SM-70 발사기는 120도 회전, 25도 앙각이 가능하며, 12분마다 2발(이후 4발)씩 일제 사격이 가능했다. 재장전 장치가 있어 총 16발의 미사일을 탑재했다. 함상 공격 지휘 장치로는 비노무형이 사용되었으며, 항공기를 통한 유도도 가능했다.
방공 무장으로는 M-1「볼나」 (NATO명 SA-N-1「고아」) 함대공 미사일 시스템용 ZIF-101 2연장 발사기 1기와 АК-726ru 60구경 76mm 2연장 고사포 2문이 탑재되었다. 1980년대 초에는 4문의 30mm AK-630 근접방어무기체계 (CIWS)가 추가되었다.[2]
3. 2. 전자 장비
C 밴드 대공·대수상 레이더인 앙가라(MR-300, NATO명 헤드 넷-A)가 메인 센서로 탑재되었다.
4. 운용
Грозный|그로즈니ru
Адмирал Фокин|아드미랄 포킨ru
Адмирал Головко|아드미랄 골로프코ru
Варяг|바랴그r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