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킨다급 순양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킨다급 순양함은 1960년대 초 소련 해군이 운용한 미사일 순양함으로, 1956년 설계가 시작되어 총 4척이 건조되었다. 주 무장으로 P-35 함대함 미사일을 탑재했으며, M-1 볼나 함대공 미사일과 76mm, 30mm 함포 등으로 무장했다. 앙가라 레이더 등 다양한 전자 장비를 갖추었으며, 헬리콥터 운용 능력도 갖추었다. 킨다급 순양함은 지중해, 인도양, 태평양 등에서 무력 외교를 펼쳤으며, 소련 붕괴 이후 퇴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양함 함급 - 키로프급 미사일 순양함
    키로프급 미사일 순양함은 소련 해군이 건조한 원자력 추진 순양함으로, 강력한 무장과 스텔스 설계를 통해 미국 해군 항모 강습단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 순양함 함급 - 버지니아급 순양함
    버지니아급 순양함은 소련 해군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1970년대 미국 해군에서 운용된 핵추진 순양함으로, 4척이 건조되었으나 높은 운영비와 국방 예산 감축으로 1990년대 초 조기 퇴역했으며 Mk.26 GMLS, Mk.45 5인치 함포 등의 무장과 C4ISR 체계, 쇄파 갑판형 선체, D2G 원자로 2기를 탑재했다.
킨다급 순양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개요
킨다급 순양함
그로즈니 (1985년)
함급 명칭킨다급
함종미사일 순양함
건조 국가소비에트 연방
운용 국가소비에트 연방 해군
러시아 해군
건조 및 운용
건조 조선소세베르나야 베르프 (즈다노프 조선소)
기공1960년 ~ 1965년
취역1962년 ~ 2002년
계획 척수16척
건조 척수4척
취소 척수12척
퇴역 척수4척
이전 함급스탈린그라드급 (82형; 순양함)
스베르들로프급 (68-bis형; 경순양함)
이후 함급크레스타I급 (1134형)
제원
기준 배수량4,340톤
만재 배수량5,570톤
전장142.0m
전폭15.8m
흘수선5.3m
추진 체계
보일러KVN-95/64형 보일러 4기 (64 kgf/cm², 470℃)
주기관TV-12형 증기 터빈 2기
출력90,000마력
추진 방식2축 스크류 프로펠러
속력34노트
항속 거리3,500해리 (18노트 순항 시)
승조원
승조원 수339명 (장교 27명)
무장
함포AK-726 76mm 연장포 2문
AK-630M 30mm CIWS 4문
미사일ZIF-101 연장 미사일 발사기 1기 (V-600 SAM 16발)
SM-70 4연장 미사일 발사기 2기 (P-35 SSM 16발)
대잠 무기RBU-6000 대잠 로켓 발사기 2기 (RGB-60형 대잠 로켓 각 96발)
어뢰533mm 3연장 어뢰 발사관 2기 (SET-65/53-65K형 어뢰 6발)
센서 및 전자전 장비
사격 통제 장치4R90 1기 (SAM용)
4R44 2기 (SSM용)
MR-105 1기 (주포용)
MR-123 2기 (CIWS용)
C4I플란셰트58 전술 정보 처리 장치
레이더MR-300 2기 (대공/대수상 수색용)
돈-2형 2기 (항해용)
소나MGS-572형

2. 역사적 배경

1956년 12월, 세르게이 고르쉬코프 소련 해군 총사령관은 유도 미사일을 탑재한 구축함 개발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제35중앙설계국은 58형 설계안을 마련했다. 초기에는 16척 건조가 계획되었으나,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공산당 제1서기는 킨다급을 실전용 군함보다는 "외국 방문 시 소련 조함 기술의 상징"으로 간주하여 건조 수를 4척으로 제한했다. 당초 함종은 "제트 병기 탑재함"이었으나, 해군 수뇌부의 요청으로 1960년대에 "미사일 순양함"으로 변경되었다.

3. 설계

킨다급은 57bis형 대형 미사일함(코틀린급 구축함의 발전형) 설계를 참고했지만, 시스템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설계에 어려움을 겪었다. 배수량 제한을 위해 상부 구조물에는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AMG-6형 및 6T형)이 사용되었고, 선체에는 SHL-4형 고장력강이 채용되었다. 긴 선루형 선형을 채택했다.

주기관은 보일러 4기와 증기 터빈 2기로 구성되었으며, 출력 강화를 통해 속력 증강을 꾀했다. KVN-95/64형 보일러는 증기 압력 64kgf/cm2, 온도 470℃, 증기 발생량은 매시 95톤의 성능을 지녔다. 최대 출력 시 연료 소비량은 매시 0.85톤이었다.[2]

3. 1. 무장

킨다급의 주 무장은 250km(이후 350km)의 사거리를 가진 P-35 (SS-N-3B) 함대함 미사일이다. 상부 구조물 전후에 각각 4연장 SM-70 발사기 2기가 배치되었다. SM-70 발사기는 120도 회전, 25도 앙각이 가능하며, 12분마다 2발(이후 4발)씩 일제 사격이 가능했다. 재장전 장치가 있어 총 16발의 미사일을 탑재했다. 함상 공격 지휘 장치로는 비노무형이 사용되었으며, 항공기를 통한 유도도 가능했다.

방공 무장으로는 M-1「볼나」 (NATO명 SA-N-1「고아」) 함대공 미사일 시스템용 ZIF-101 2연장 발사기 1기와 АК-726ru 60구경 76mm 2연장 고사포 2문이 탑재되었다. 1980년대 초에는 4문의 30mm AK-630 근접방어무기체계 (CIWS)가 추가되었다.[2]

3. 2. 전자 장비

C 밴드 대공·대수상 레이더인 앙가라(MR-300, NATO명 헤드 넷-A)가 메인 센서로 탑재되었다.

  • '''레이더:'''
  • * MR-500 클리버 공중 탐색
  • * MR-302 루브카 수상 탐색
  • * 돈 돈케이 항법

  • '''소나:'''
  • * GAS-372 헤르쿨레스-2M 선체 장착형

  • '''기타 시스템:'''
  • * 잘리프 ESM
  • * 크라브 ECM
  • * 우스페흐-U 항공 통신
  • * 야타간 SA-N-1 사격 통제 (필 그룹 SA-N-1 표적 획득/표적 추적/미사일 유도 (TA/TT/MG) 어레이)
  • * MR105 AK-726 사격 통제 (호크 스크리치) 76mm포 사격 통제
  • * 비놈 P35 프로그레스 사격 통제

4. 운용

Грозный|그로즈니ru1960년 2월 23일1961년 3월 26일1962년 12월 30일발트 함대1991년 6월 24일아드미랄 포킨
Адмирал Фокин|아드미랄 포킨ru1960년 10월 5일1961년 11월 5일1964년 11월 28일태평양 함대1993년 6월 30일아드미랄 골로프코
Адмирал Головко|아드미랄 골로프코ru1961년 4월 20일1962년 6월 18일1964년 12월 30일흑해 함대2002년 11월바랴그
Варяг|바랴그ru1961년 10월 13일1963년 4월 7일1965년 7월 20일태평양 함대1990년 4월 19일


5. 동형함

킨다급 순양함은 총 16척이 계획되었지만, 대잠수함전에 대한 우선순위 변경과 함선의 지나친 상부 구조 문제로 인해 결국 4척만 건조되었다. 4척의 함선은 모두 레닌그라드의 즈다노프 조선소에서 건조되었으며, 처음에는 구축함으로 분류되었으나 1962년 9월에 로켓 순양함으로 재분류되었다. 각 함선은 발트해, 태평양, 북극, 흑해 함대에 배치되었다.

함명기공진수완공함대비고
그로즈니[1]1960년 2월 23일1961년 3월 26일1962년 12월 30일발트 함대1991년 폐기
아드미랄 포킨[1]1960년 10월 5일
("스테레구쉬치"(경계)로 기공)
1961년 11월 19일1964년태평양 함대1993년 폐기
아드미랄 골로프코[1]1960년 4월 20일
("도블레스트니"(용감)로 기공)
1962년 7월 18일1964년흑해 함대1962년 10월 31일 아르세니 골로프코의 이름을 따서 개명, 1995년부터 1997년까지 기함으로 복무, 2002년 퇴역
바랴그[1]1961년 10월 13일
("소오브라지텔니"(영리)로 기공)
1963년 4월 7일1965년태평양 함대1990년 퇴역, 1970년대 후반 소련 TV 다큐멘터리에 등장, 박물관으로 보존 계획 존재


6. 대중문화

일본 만화 《침묵의 함대》 38화부터 '그로즈니'와 '바랴크'[1]가 등장한다. 이들은 가상의 원자력 잠수함 야마토를 격침하기 위해 다른 태평양 함대 소속 함정과 함께 출격하여 오키나와 근해에서 전투를 벌인다. '그로즈니'는 '야마토'의 어뢰를 회피하다가 오그네보이급 구축함 '오스모트리텔느이'와 충돌하여 침몰하고, '바랴크'는 '야마토'로부터 2발의 어뢰 공격을 받고 격침된다.

참조

[1] 서적 Soviet Warships 1945 to Present Arms & Armour Press 1992
[2] 웹사이트 Guided Missile Cruisers - Project 58 http://russianships.[...] 2024-10-27
[3] 서적 Soviet Warships 1945 to Present Arms & Armour Press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