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리지 아르슬란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11세기 말에서 12세기 초에 걸쳐 활동한 룸 셀주크 술탄국의 술탄이다. 그는 아버지 쉴레이만 샤 1세가 사망한 후 1092년 룸 셀주크 왕조를 재건하고 니케아를 수도로 삼았다. 십자군과의 여러 전투에서 활약하며 군중 십자군과 1차 십자군을 격파했으나, 도뤼라이온 전투에서 패배하고 니케아를 잃었다. 1101년 십자군 원정에서 승리하며 세력을 확장했으나, 1107년 하부르 강 전투에서 패배하여 익사했다. 킬리지 아르슬란 1세의 사후 룸 셀주크는 분열되었으며, 2021년 그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유적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룸 술탄 - 메수드 1세
킬리즈 아르슬란 1세의 아들인 메수드 1세는 룸 셀주크의 술탄으로, 형으로부터 왕위를 찬탈하여 코니아를 점령하고 비잔틴 제국과 제2차 십자군을 격퇴했으며, 알라에딘 모스크 건설과 주화 발행을 통해 문화적,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다. - 룸 술탄 - 멜리크샤
멜리크샤는 룸 술탄국의 술탄으로, 아버지 클르츠 아르슬란 1세 사후 이스파한에 억류되었다가 아나톨리아로 돌아와 왕위에 올랐으나 비잔틴 제국과의 전투에서 패배한 후 동생에게 폐위당하고 살해당했다. - 제1차 십자군 무슬림 - 야기 시얀
11세기 셀주크 제국의 장군이자 안티오크 총독이었던 야기 시얀은 말리크샤 1세 사후 시리아 분열기에 알레포를 통치하며 제1차 십자군 당시 안티오크 공방전에서 도시를 방어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 제1차 십자군 무슬림 - 알무스타으리
알무스타으리는 파티마 칼리파조의 제9대 칼리파로서 1094년부터 1101년까지 통치했으며, 니자르와의 분쟁, 십자군 원정, 이스마일파의 분열을 겪었다. - 1080년 출생 - 완안종한
완안종한은 금나라 초기에 금나라 건국에 기여하고 요나라 정벌과 멸망, 정강의 변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남송 공략을 주도하고 유예를 괴뢰 황제로 세웠으나 희종 옹립 후 권력 다툼에서 밀려나 병사했다. - 1080년 출생 - 현인황후
현인황후는 북송 휘종의 후궁이자 남송 고종의 생모로, 정강의 변으로 금나라에 끌려갔다가 돌아와 고종의 황위를 지키는 데 기여했고 80세에 사망하여 휘종과 합장되었다.
| 킬리지 아르슬란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군주 유형 | 군주 |
| 이름 | 클르츠 아르슬란 1세 |
| 다른 이름 | I. Kılıç Arslan |
| 페르시아어 | قلیچ ارسلان (Qilij Arslān) |
| 튀르키예어 | I. Kılıç Arslan |
| 칭호 | 룸 셀주크의 술탄 |
| 출생일 | 1079년 |
| 사망일 | 1107년 |
| 사망 장소 | 모술 근처 하부르 강 |
| 매장지 | 튀르키예디야르바키르실반 |
| 종교 | 수니 이슬람 |
| 통치 | |
| 계승 | 룸의 술탄 |
| 통치 기간 | 1092년–1107년 |
| 이전 통치자 | 쉴레이만 1세 |
| 다음 통치자 | 말리크 샤 |
| 가문 | |
| 왕가 | 셀주크 왕조 |
| 아버지 | 쉴레이만 1세 |
| 배우자 | 아이샤 하툰 |
| 자녀 | 메수드 1세 |
| 참고 자료 | |
| 웹사이트 | DergiPark 웹사이트 |
2. 생애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1085년에 태어났다는 기록이 있지만, 1086년 아버지 쉴레이만 샤 1세가 투투쉬와 전투를 벌일 때 안티오키아에 남아있다가 포로가 되었던 점을 고려하면 신빙성이 떨어진다.[11] 1087년 동생 쿨란 아르슬란과 함께 말리크샤 1세에게 이스파한으로 끌려가 연금되었다.[11]
1092년 말리크샤 1세가 죽자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니케아로 돌아와 룸 셀주크 왕조의 왕위를 되찾았다. 당시 동로마 제국 황제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는 튀르크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킬리지 아르슬란 1세를 이용하려 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10]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스미르나의 차카 베이와 동맹을 맺기 위해 그의 딸과 결혼했다. 그러나 알렉시오스 1세의 이간질로 1095년 차카 베이를 살해했다.[11] 이후 비티니아 지역을 약탈하고 니코메디아까지 진격하기도 했다.[11]
1096년 은자 피에르가 이끄는 군중 십자군을 격파했으나, 제1차 십자군 본대에는 패배하여 니케아를 잃었다. 도릴라이온 전투에서도 패배했지만, 게릴라 전술로 십자군에 맞섰다. 1101년 십자군을 격파하여 십자군의 불패 신화를 깨뜨렸다.
1104년,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다니슈멘드 왕조와의 전쟁을 재개했다. 그는 1103년 보에몽 1세 석방 대가로 다니슈멘드 왕조가 얻은 몸값의 절반을 요구했다. 이 전투에서 보에몽 1세가 이끄는 안티오키아 공국군은 다니슈멘드 왕조와 연합했고,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동로마 제국과 연합했다.
1106년 하란을 점령한 후, 1107년에는 모술을 정복하는 등 세력을 확장했으나, 같은 해 하부르 강변 전투에서 대셀주크의 무함마드 타파르에게 패배하고 강을 건너 도망치다 익사했다.[12] 그의 아들 멜리크샤는 포로가 되었다.[13]
2. 1. 어린 시절
에데사의 마테오스의 기록에 따르면, 킬리지 아르슬란은 1085년에 태어났다. 그러나 1084년 쉴레이만 샤 1세가 안티오키아를 공격할 때 킬리지 아르슬란이 그 곁을 지켰고, 1086년 6월 쉴레이만 샤가 투투쉬와 전투를 벌일 때 킬리지 아르슬란은 재상 하산 이븐 타히르와 함께 안티오키아에 남아있다가 포로가 되었던 점을 고려하면, 이 기록은 믿기 어렵다.[11] 1087년 킬리지 아르슬란은 동생 쿨란 아르슬란과 함께 말리크샤 1세에게 이스파한으로 끌려가 연금되었다.[11]2. 2. 권력 장악
1092년 말리크샤 1세가 죽자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니케아로 돌아와 큰 어려움 없이 룸 셀주크 왕조의 권좌를 되찾았다. 이는 당시 동로마 제국의 황제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가 튀르크 세력을 전방위적으로 압박하고, 킬리지 아르슬란 1세를 이용해 다른 튀르크 세력을 통제하려 했기 때문이었다.[10]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스미르나의 차카 베이와 동맹을 맺기 위해 그의 딸과 결혼했다. 차카 베이는 동로마 제국과 적대적인 관계였는데, 이에 위협을 느낀 알렉시오스 1세는 킬리지 아르슬란 1세와 차카 베이 사이를 이간질했다. 결국 1095년, 킬리지 아르슬란은 차카 베이를 살해했다.[11] 그러나 킬리지 아르슬란은 알렉시오스 1세가 발칸 반도를 침입한 킵차크인들과 싸우는 틈을 타 비티니아 지역을 약탈했고, 니코메디아에 입성하기 직전까지 진격했다.[11]
2. 3. 십자군과의 항쟁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1096년 은자 피에르가 이끄는 군중 십자군을 격파했으나, 제1차 십자군 본대에는 패배하여 니케아를 잃었다. 이후 도릴라이온 전투에서도 패배했지만, 게릴라 전술로 십자군에 맞섰다. 1101년 십자군을 격파하여 십자군의 불패 신화를 깨뜨리기도 했다.1104년,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다니슈멘드와의 전쟁을 재개했다. 그는 1103년 보에몽 1세 석방 대가로 다니슈멘드가 얻은 몸값의 절반을 요구했다. 이 전투에서 보에몽 1세가 이끄는 안티오키아 공국군은 다니슈멘드와 연합했고,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동로마 제국과 연합했다.
2. 3. 1. 군중 십자군
1096년 은자 피에르가 이끄는 군중 십자군이 동로마 제국과 킬리지 아르슬란 1세 사이의 갈등이 극에 달했을 때 나타났다.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드라콘 강을 건너는 군중 십자군을 습격하여 격파했다. 군중 십자군은 오합지졸이었기 때문에 완패했다.[11]2. 3. 2. 제1차 십자군
1096년 10월 21일, 은자 피에르가 이끄는 군중 십자군을 드라콘 강에서 습격하여 완파하였다.[11] 이 승리로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제1차 십자군 본대의 위력을 과소평가했다. 1097년에는 다니쉬멘드에 대항하기 위해 멜리테네 방면으로 군대 대부분을 이끌고 떠났기 때문에, 제1차 십자군 본대가 니케아를 포위했을 때 즉각 대응하지 못했다.[11]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급히 회군하여 1097년 5월 6일 니케아 성 안으로 진입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결국 니케아를 포기했다. (6월 19일)[11] 이후 도릴라이온 전투에서 크게 패배했다.[10] 이 전투에서 킬리지 아르슬란 1세와 그의 군대는 적에게 존경을 받았는데, ''프랑크의 행적''에서는 "만약 튀르크인들이 기독교인이었다면, 그들은 모든 종족 중 가장 훌륭했을 것이다"라고 언급하고 있다.[4]
도릴라이온 전투 이후에는 게릴라전과 기습 전술로 십자군을 괴롭히고, 십자군의 이동 경로를 따라 농작물과 수원(水源, 물의 근원)을 파괴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2. 3. 3. 1101년 십자군
가지 귈뤼슈티긴이 보에몽을 사로잡자, 그를 구출하려는 새로운 롬바르드 군대가 결성되었다. 그들은 진군 중에 아르슬란으로부터 앙카라를 점령했다. 그는 알레포의 아타베그인 리드완과 동맹을 맺고 메르시반 전투에서 이 군대를 기습했다. 1101년에는 신생 십자군 국가들을 지원하기 위해 온 또 다른 십자군 군대를 헤라클레이아 키비스트라에서 격파했다. 이것은 투르크인들에게 중요한 승리였는데, 십자군 기사들의 군대가 무적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했기 때문이다.[11] 이 승리 후 그는 수도를 코냐로 옮겼고, 그곳으로 진군하려던 네베르의 빌헬름 2세가 이끄는 군대와 그 후 일주일 후에 온 또 다른 군대를 물리쳤다.2. 4. 시리아 원정과 죽음
1106년 하란을 점령한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소아시아 동부와 시리아-이라크 방면에 집중했다. 모술의 태수 차블리는 대셀주크 무함마드 타파르가 아닌 킬리지 아르슬란을 상위 군주로 대우했을 정도였다. 1107년에는 모술을 정복하기도 했다.[12] 그러나 1107년 하부르 강변 전투에서 무함마드 타파르의 군대에 패배했고, 킬리지 아르슬란은 강을 건너 도망치다 익사했다.[12] 이때 모술에 남아있던 아들 멜리크샤는 대셀주크 군대의 포로가 되었다.[13]3. 유산
킬리지 아르슬란 1세의 죽음으로 룸 셀주크는 소아시아의 여러 튀르크계 공국 가운데 하나로 축소되었다. 킬리지 아르슬란 1세 사후 이어진 계승 분쟁 때문이었다. 이 과정에서 다니쉬멘드 왕조가 세력을 얻어 1100년대 초반 소아시아의 패자로 군림했다.[14]
2021년 1월, 디클레 대학교 아흐메트 타니일디즈 교수가 이끄는 고고학자들이 실반에서 킬리지 아르슬란 1세와 그의 딸 사이데 하툰의 무덤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5] 연구진은 35m2 지역에 걸쳐 2m 깊이로 발굴 작업을 진행했고, 오르타 체슈메 공원 내 두 개의 매장지를 중점적으로 조사했다.[6]
참조
[1]
웹사이트
2nd Anatolian Seljuk sultan's grave found in SE Turkey
https://www.aa.com.t[...]
[2]
서적
The Crusades - An Encyclopedia
2006
[3]
웹사이트
The first Turkish leader against the Crusaders: Sultan Kilij Arslan I
http://dergipark.org[...]
2015
[4]
서적
The First Crusa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5]
뉴스
Turkish Archaeologists Discover Grave of Sultan Who Defeated Crusaders
https://www.smithson[...]
2021-01-14
[6]
웹사이트
Anatolian Seljuk Sultan Kılıç Arslan I's grave found in SE Turkey
https://www.dailysab[...]
2021-01-20
[7]
서적
Outline History of the Islamic World
[8]
서적
Contesting the Crusades
[9]
서적
Universal History, Ancient and Modern
[10]
저널
Ḳi̊li̊d̲j̲ Arslan I
Brill Publishers
1986
[11]
웹인용
Kılıcarslan Ⅰ
https://islamansiklo[...]
Türkiye Diyanet Vakfı
2002-01-20
[12]
저널
Ḳi̊li̊d̲j̲ Arslan I
Brill Publishers
1986
[13]
웹인용
Melikşah
https://islamansiklo[...]
Türkiye Diyanet Vakfı
2004-01-20
[14]
웹인용
Saljuqs ⅲ. Saljuqs of Rum
http://www.iranicaon[...]
Encyclopædia Iranica Foundation
2010-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