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넨베르크 전투 (1914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넨베르크 전투는 1914년 8월 동부 전선에서 독일군이 러시아군을 상대로 거둔 승리이다. 슐리펜 계획에 따라 서부 전선에 주력을 집중한 독일은 러시아의 동원 지연을 예상했으나, 러시아가 예상보다 빠르게 동프로이센에 병력을 집결시키자 제8군을 투입하여 방어에 나섰다. 러시아군은 제1군과 제2군으로 동프로이센을 침공했으나, 독일군은 막스 호프만의 전략을 통해 렌넨캄프의 제1군을 견제하고 삼소노프의 제2군을 포위, 격파했다. 이 전투는 힌덴부르크와 루덴도르프의 군공으로 선전되었으며, 이후 두 사람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4년 독일 - 9월 계획
    9월 계획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이 승리할 경우 추진하려던 전후 처리 구상으로, 프랑스 영토 할양, 벨기에와 룩셈부르크 종속국화, 완충국 건설, 유럽 경제 지배, 식민 제국 확장 등을 포함했으나 독일의 패전으로 실현되지 못했다.
  • 1914년 독일 - 93인의 성명서
    93인의 성명서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지식인 93명이 발표한 선언으로, 독일 정부의 전쟁 정책을 지지하고 연합국의 비판에 반박하며 독일의 평화 노력 강조, 벨기에 중립 침범 해명, 독일 군국주의 옹호 등의 주장을 담고 있다.
타넨베르크 전투 (1914년)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전투 정보
전투 이름타넨베르크 전투
일부동프로이센 캠페인
제1차 세계 대전 동부 전선
전투 후 러시아 포로들
러시아군 포로들
날짜1914년 8월 23일–30일
장소타넨베르크, 동프로이센, 독일 제국 (현재 폴란드)
좌표53°29′45″N 20°08′4″E
결과독일의 승리
교전국 1독일 제국
교전국 2러시아 제국
지휘관
지휘관 1파울 폰 힌덴부르크
에리히 루덴도르프
막스 호프만
헤르만 폰 프랑수아
지휘관 2알렉산드르 삼소노프(사망)
야코프 질린스키
병력 규모
병력 1150,000명
병력 2123,000–180,000명
기관총 1294정
기관총 2384정
대포 1728문
대포 2612문
사상자
사상자 113,873명 이상 (사망 1,726명 이상, 부상 7,461명 이상, 실종 4,686명 이상)
약 30,000명 사망 및 부상
사상자 270,000–90,000명 (사망, 부상 또는 포로)

2.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독일은 슐리펜 계획에 따라 서부 전선에 주력 부대를 배치하고, 동부 전선에는 최소한의 병력만을 배치하여 러시아군의 침공을 저지하려 했다. 러시아군은 광대한 영토와 인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동원 및 수송 능력이 부족하여 독일에 비해 동원이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러시아군은 독일군의 예상을 깨고 빠른 속도로 동원을 완료하고 동프로이센으로 진격했다.[8][9][10]

동프로이센은 프로이센의 심장부와 같은 지역으로, 배치된 독일군은 막시밀리안 폰 프리트비츠 휘하의 제8군과 지역 예비군, 쾨니히스베르크를 비롯한 요새 주둔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은 자신의 고향을 지킨다는 열정을 가지고 있었다.

러시아군은 열악한 통신 체계와 비효율적인 지휘 구조, 그리고 보급 문제로 인해 작전 수행에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러시아 제1군 사령관 파벨 폰 레넨캄프와 제2군 사령관 알렉산드르 삼소노프는 러일 전쟁 때부터 사이가 좋지 않았고, 이는 양 군 간의 협력 부재로 이어졌다.[11] 반면, 독일군은 동프로이센 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었으며, 효율적인 철도망을 이용하여 병력을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었다.[59]

마주리 호수 지방의 요새 외에도, 독일은 19세기에 쾨니히스베르크 주변에 일련의 주요 요새를 건설하고 수년에 걸쳐 현대화했다. 마찬가지로, 특히 토룬(현재 토룬)에서 비스툴라 강을 따라 주요 요새가 건설되었다.[10]

2. 1. 러시아군의 동프로이센 국경 접근

1914년 8월 1일 독일이 러시아에 대해 선전 포고한 뒤, 러시아군은 제1군과 제2군을 동원하여 동프로이센 침공을 계획했다. 1군 사령관 파벨 폰 레넨캄프와 2군 사령관 알렉산드르 삼소노프는 러일 전쟁 참전 경험이 있었지만, 독일군 사령관 막시밀리안 폰 프리트비츠는 전투 경험이 없었다. 러시아군은 병력 면에서 독일군을 압도했지만, 편제가 방대하여 효율적인 통제가 어려웠다.[11]

러시아군 최고 사령부는 양 군의 합동 작전으로 독일군을 격파할 수 있다고 확신했지만, 동프로이센의 지형적 특성과 러시아군 수뇌부의 무능함이 발목을 잡았다. 특히 마주리안 호수 지대는 러시아군의 진격을 방해하고, 양 군 간의 협력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었다.

제1군은 빌노 군관구에서 동원되었으며, 4개의 보병 군단, 5개의 기병 사단, 그리고 독립 기병 여단으로 구성되었다. 제2군은 바르샤바 군관구에서 동원되었으며, 5개의 보병 군단과 4개의 기병 사단으로 구성되었다. 이 두 군대는 북서부 전선을 형성하여 독일군과 대치했고, 야코프 질린스키가 지휘했다.[12]

동프로이센 남부의 폴란드 국경선 일대(마주리 호수 지방)는 빙하기에 퇴적된 암설로 이루어진 완만한 구릉과, 그것에 막힌 수많은 빙하호와 하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표고차 50미터 이내의 완만한 구릉과 삼림 지대의 시야는 나빴고, 도로를 벗어나면 방향과 위치를 쉽게 잃을 위험이 있었다.

3. 경과

러시아군은 동프로이센 침공을 위해 1군과 2군을 투입했는데, 이들은 9개 군단과 7개 기병 사단으로 구성되어 독일군보다 병력 면에서 우세했다. 그러나 러시아군은 부대 편제가 방대하여 효율적인 통제가 어려웠던 반면, 포병 전력은 효율적이고 포탄 재고도 충분했다.[61]

러시아군 최고 사령부는 1군과 2군의 합동 작전으로 독일 8군을 격파하고 서프로이센과 슐레지엔 지역으로 진격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그러나 동프로이센과 러시아 국경 사이에 위치한 마주리안 호수 지대는 2개의 군이 협력하기 어려운 지형이었다. 러시아 1군 사령관 파벨 폰 렌넨캄프와 2군 사령관 알렉산드르 삼소노프는 러일 전쟁 참전 경험이 있었지만, 독일군 사령관 프리트비츠는 전투 경험이 없었다.[61]

러시아군은 전략적으로 가치가 없는 발트해 연안과 바르샤바 연결로 방어를 위해 병력을 배치하여 주력 부대의 전력이 약화되었다. 또한 1군과 2군은 5일의 시차를 두고 따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8월 17일 러시아 1군은 슈탈루푀넨(현 네스테로프)에서 공세를 감행했으나 독일군에 격파되었다. 프리트비츠는 러시아군의 반격을 우려하여 슈탈루푀넨에서 승리한 독일 1군단을 굼비넨으로 철수시켰다.[61]

1914년 8월 17일부터 23일까지의 전개(전역도)


1914년 8월 23일부터 26일까지의 전개


탄넨베르크 전투터에서의 힌덴부르크


초반 1주일은 독일군의 계획대로 진행되었다. 8월 17일, 러시아 1군은 쾨니히스베르크를 목표로 동프로이센을 침공했다. 독일 1군단은 슈탈루푀넨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프리트비츠는 군빈넨(현 구세프)으로 후퇴를 명령했다. 8월 20일 러시아군의 반격으로 독일 17군단은 궤멸 직전에 몰렸다(군빈넨 전투).[62]

8월 21일, 러시아 2군은 동프로이센 남부 국경에서 진격을 시작했다. 프리트비츠는 군빈넨에서의 패배와 러시아 2군의 진격에 동프로이센을 포기하고 비스와 강까지 후퇴하려 했으나, 헬무트 폰 몰트케에 의해 해임되었다. 후임으로 파울 폰 힌덴부르크에리히 루덴도르프가 임명되었다.[63]

두 러시아군 사령관은 봉천 전투 이후 사이가 좋지 않았고, 삼소노프는 레넨캄프의 도움을 받기 어려웠다.[64] 러시아 2군은 보급 상황이 악화되었지만, 레넨캄프는 이를 몰랐고 1군 재편성을 위해 진격을 지연시켰다.

독일 8군은 삼소노프의 진격을 막을 수 없었고, 쾨니히스베르크에 배치된 독일군은 포위될 위기에 처했다. 프리트비츠의 참모였던 막스 호프만 중령은 러시아군 사령관들 사이의 불화를 알아채고, 쾨니히스베르크 동쪽을 방어하던 독일군 대부분을 남서쪽으로 이동시키는 계획을 제안했다. 이 계획은 러시아군이 분산되어 행동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쾨니히스베르크 동쪽 방어를 위해 독일 1기병사단을 남기고, 나머지 병력을 남쪽으로 이동시켜 러시아 2군을 각개격파하는 것이었다. 러시아군은 암호화되지 않은 무선 통신을 사용했기 때문에 독일군은 러시아군의 계획을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힌덴부르크루덴도르프는 8월 23일에 도착하여 이미 시작된 작전 행동이 호프만의 계획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고 기뻐했다.[65] 루덴도르프는 프랑수아의 1군단에 아이라우(현 이와바)까지 이동하여 러시아 2군과 대치하고 있던 20군단의 우측을 엄호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루덴도르프는 몰트케가 서부 전선에서 3개 군단과 1개 기병사단을 동프로이센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도착이 늦어 필요 없다고 항의했다. 그러나 몰트케는 동프로이센을 잃는 것은 큰 패배라고 생각하여 루덴도르프의 항의를 무시했다.

8월 22일 삼소노프의 부대는 독일군과 조우하여 여러 지점에서 밀어내는 데 성공했다. 23일 삼소노프는 독일 20군단을 공격하여 올라우에서 프랑케나우까지 독일군을 밀어붙였다. 호프만은 레넨캄프의 새로운 명령이 1군을 서쪽으로 진군시키는 것이라는 무선 통신을 가로챘다. 또한 삼소노프가 독일군이 탄넨베르크까지 후퇴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2군을 북서쪽으로 진군시킬 계획이라는 정보도 가로챘다. 루덴도르프와 힌덴부르크는 이 정보를 믿고 프랑수아의 1군단이 러시아 2군의 좌익을 공격하고, 독일 17군단을 러시아 2군의 우익과 대치하기 위해 이동시키는 작전을 세웠다. 프랑수아는 보급을 위해 공격을 늦추려 했지만, 루덴도르프에게 거절당했다.[66]

3. 1. 독일 1군단 프랑수아의 독단 행동

8월 20일, 독일 제1군단장 헤르만 폰 프랑수아는 러시아군이 접근한다는 보고를 받고 굼빈넨(현 구세프)까지 진출하여 러시아 선봉 부대를 격파했다(굼비넨 전투).[62] 그러나 러시아군은 야습으로 큰 피해를 입고 약간 후퇴한 뒤, 굼빈넨 외곽에서 밤새 참호를 구축하고 지형과 건물을 활용해 강력한 방어선을 구축했다. 또한 포병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배치했다. 비록 독일 제1군단이 3개의 척탄병 연대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더 이상 러시아군을 향해 진격하기는 어려웠다. 오히려 러시아군의 포격과 사격에 막대한 피해를 입고, 러시아군의 측면 공격에 노출될 위험에 처했다.

러시아 제3군단이 굼비넨 남쪽으로 이동하며 독일 1군단을 압박하자, 독일 제17군단은 1군단을 지원하기 위해 러시아 3군단을 공격했다. 그러나 사전 정찰 없이 공격을 감행한 독일 제17군단은 급조되었지만 잘 구축된 러시아 제3군의 참호 앞에서 무너지고 후퇴했다. 이에 오토 폰 벨로브(1857년~1944년) 장군이 이끄는 독일 제1예비군단이 독일 제17군단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전진하는 러시아 제4군단을 공격하면서, 굼비넨 지역 전투는 혼전 양상으로 전개되었고 독일군은 위기에 빠졌다.[62]

3. 2. 힌덴부르크와 루덴도르프의 등장

파울 폰 힌덴부르크는 당시 퇴역하여 고향에서 생활하고 있었다. 그러나 빌헬름 2세의 요청으로 현역에 복귀하여 동부 전선에 부임하게 된다.[63] 막스 호프만 중령의 작전 계획에 따라 이미 각 부대들이 이동하고 있었고, 힌덴부르크는 자신의 승인도 받지 않고 실행에 옮겨진 이 작전 계획을 사후 승인했다.

3. 3. 호프만 중령의 작전 계획

막스 호프만 중령은 러시아군 1군과 2군 사이에 간격이 크고, 서로 협력이 원활하지 않다는 점을 간파했다.[65] 마주리안 호수 지대는 러시아군의 기동로에 위치하여 1군과 2군을 남북으로 갈라놓고 있었다. 호프만은 러시아군의 이러한 약점을 이용하여 독일군을 기동시켜 러시아군을 각개격파하는 작전 계획을 수립하여 예하 군단에 하달했다.

호프만의 작전 계획은 다음과 같았다.

  • 북쪽의 렌넨캄프의 1군은 1 기병 사단으로 방해 작전을 펼치며 견제한다.
  • 독일 1군단과 3 예비 사단은 20군단의 우익으로 이동시킨다.
  • 1군단과 3 예비 사단의 이동 기간 동안 20군단은 러시아군과의 전투를 최대한 회피한다.
  • 17군단과 1 예비 군단은 서서히 서쪽으로 철수하다가 러시아 1군의 추격이 없음이 확실해지면, 이들을 바로 러시아 2군의 격파에 투입한다. 17군단과 1군단은 지도상에서 보면 러시아 2군의 북쪽이며, 우익에 해당한다.
  • 러시아 2군의 좌익은 프랑소와 군단장의 1군단이 맡았다.


이 계획대로라면, 렌넨캄프의 1군으로부터 독일군의 이동에 대해서 아무런 정보를 얻지 못하고 있던 러시아 2군은 말발굽과 같은 독일군 포위망에 빠지게 될 것이었다.

4. 결과 및 영향

탄넨베르크 전투는 독일군의 완벽한 승리로 끝났다. 러시아 제2군은 궤멸되었고, 사령관 삼소노프는 권총으로 자결했다.[45] 질린스키와 렌넨캄프는 직위 해제되었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 군적에서 군적 자체를 박탈당했다.

러시아 측 전투 손실은 역사가들 사이에서 자주 논의되는 주제이다. 힌덴부르크는 자신의 회고록에서 러시아 포로 수를 9만 2천 명으로 언급했고, 이는 라이히스아르히브(Reichsarchiv)의 자료와도 일치한다.[45] 전사자는 최대 5만 명으로 추정된다.[46] 그러나 러시아 자료에 따르면 손실은 8만 명을 넘지 않는다.[47]

이 승리로 러시아 제1군은 동프로이센에서 러시아 영토로 후퇴했다. 그러나 러시아의 동프로이센 침공은 독일군으로 하여금 서부전선에서 2개 군단을 빼내도록 강요하는 결과가 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마른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회복하는 데 일조했다.[70] 아이러니하게도 서부전선에서 이동된 군단은 탄넨베르크 전투에는 참가하지 못했다.[60]

이후 전투는 제1차 마주리 호 공세로 이어졌고, 독일 제8군에 대해 러시아 제1군만으로 맞서야 했던 러시아는 개전 전 국경 지대까지 후퇴해야 했다. 소련 시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이 지역을 탈환하지 못했다. 러시아는 첫 전투의 대패로 제2군 병력 약 20만 명을 사실상 잃었지만, 남쪽 동갈리치아에서는 오스트리아군에게 대승을 거두었고(갈리치아 전역), 동부전선의 전세를 결정짓는 전과는 되지 못했다.

이 승리는 힌덴부르크루덴도르프의 군공으로서 독일 국민에게 선전되었다. 1917년 이후 루덴도르프의 독재와 바이마르 공화국 대통령 힌덴부르크의 등장은 이 탄넨베르크의 영웅이라는 이미지에 기반한 것이었다.

나치 독일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하였고 그 지역은 폴란드 영토가 되었으며, 탄넨베르크 전승 기념비는 파괴되었다.

옛 "탄넨베르크 전승 기념비"가 있던 곳(제2차 세계 대전 후 흔적도 없이 파괴됨). 1998년 촬영.

4. 1. 전후 유산

탄넨베르크 전투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중요한 전투 중 하나로 기억되며, 군사 전략 및 전술 연구의 중요한 사례로 활용되고 있다.

1927년 호헨슈타인에 탄넨베르크 전투를 기념하는 독일 기념비가 완공되었으나, 1945년 1월 독일군이 프로이센에서 후퇴하면서 폭파하였다.[48]

하인츠 파울 감독은 1932년 동프로이센에서 탄넨베르크 전투를 다룬 영화 ''탄넨베르크''를 제작했다.[49]

이 전투는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소설 ''1914년 8월''(1971년 출판)의 중심 소재이며, 비디오 게임 ''다크스트 오브 데이스''와 ''탄넨베르크''에도 등장한다.[50]

참조

[1] 서적 Sanitätsbericht über das deutsche Heer im Weltkriege 1914/1918, III. Band N/A 1934
[2]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First World War: Land, Sea and Air, 1914–1918 2014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World War I Intelligence 2014
[4] 간행물 Studies in Intelligence 2006
[5] 웹사이트 First World War https://gwar.mil.ru/[...]
[6] 웹사이트 First World War 1914–1918 https://gwar.mil.ru/[...]
[7] 서적 On the fronts of the First World War 2014
[8] 서적 The First World War. Volume I. To Arm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9] 서적 2001
[10] 서적 The First World War, Germany and Austria-Hungary 1914–1918 Arnold 1997
[11] 서적 Memories & Impressions of war and revolution in Russia, 1914–1917 John Murray 1918
[12] 서적 Secret warfare: the battle of codes and ciphers David & Charles 1973
[13] 서적 The Russian Origins of the First World War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14] 서적 1991
[15] 서적 1991
[16] 서적 1991
[17] 서적 Passage through Armageddon. The Russians in war & revolution 1914–1918 Simon & Schuster 1986
[18] 서적 The Russian army in the World War Oxford University Press 1931
[19] 서적 Out of my life Harper 1921
[20] 서적 1991
[21] 서적 Cannae E. S. Mittler 1925
[22] 서적 1986
[23] 서적 1991
[24] 서적 The German High Command at War; Hindenburg and Ludendorff conduct World War I William Morrow 1991
[25] 서적 Forgotten land: journeys among the ghosts of East Prussia Picador 2011
[26] 서적 1991
[27] 서적 1991
[28] 서적 1991
[29] 서적 The war of lost opportunities Battery Press 1999
[30] 서적 1921
[31] 서적 Memories & Impressions of war and revolution in Russia, 1914–1917 John Murray 1918
[32] 서적 1991
[33] 서적 2004
[34] 서적 1921
[35] 웹사이트 Battle of Tannenberg – Summary https://www.britanni[...] 2023-08-19
[36] 서적 Восточно-Прусская операция 1914 года LAP Lambert Academic Publishing 2012
[37] 문서 1991
[38] 서적 Chronicle of the First World War Oxford 1990
[39] harvnb 2004
[40] 서적 Tannenberg: The First Thirty Days in East Prussia W. Blackwood and Sons 1925
[41] 서적 Zhilinsky Garland 1996
[42] 문서 1919
[43] 문서 1991
[44] 서적 Memoirs A. Deutsch 1952
[45] 서적 Der Weltkrieg 1914–1918 Reichsarchiv
[46] 서적 Der Weltkrieg 1914–1918 Reichsarchiv
[47] 간행물 Потери русской и Германской армии в Восточно-Прусской операции 1914 2011
[48] 웹사이트 A Monument to German Pride: A history of the Tannenberg Memorial https://web.archive.[...] 2012-02-29
[49] 서적 Film Front Weimar: Representations of the First World War in German films of the Weimar Period (1919–1933)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03
[50] 잡지 Premature Evaluation: Tannenberg https://www.rockpape[...] 2017-11-28
[51] 문서 2013
[52] 서적 Catastrophe: Europe goes to war 1914 William Collins 2013
[53] 서적 Sanitätsbericht über das deutsche Heer im Weltkriege 1914/1918 Berlin 1934
[54] 문서 2004
[55] 서적 The Great War: 1914–1918 2014
[56] 서적 The First World War. Volume I. To Arm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57] 문서 2001
[58] 문서 1970
[59] 서적 Supplying War. Logistics from Wallenstein to Patt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60] 문서 2012
[61] 문서 2008
[62] 문서 1970
[63] 문서 2008
[64] 서적 Tannenberg. Clash of Empires Archon Books 1991
[65] 문서 1970
[66] 문서 1970
[67] 문서 1970
[68] 문서 1970
[69] 서적 Catastrophe: Europe goes to war 1914 William Collins 2013
[70] 문서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