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란툴라 성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란툴라 성운은 1751년에서 1753년 사이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에 의해 발견된 대마젤란 은하 내의 H II 영역이다. 겉보기 등급은 8등급으로, 약 49kpc(16만 광년) 거리에 위치하여 매우 밝은 비별 개체이며, 오리온 성운만큼 지구에 가깝다면 그림자를 드리울 정도로 광도가 높다. 국부 은하군에서 가장 활발한 별 생성 지역 중 하나이며, NGC 2070, R136과 같은 산개 성단을 포함한다. 타란툴라 성운 외곽에서는 초신성 1987A가 발생했고, 블랙홀 VFTS 243이 발견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51년 발견한 천체 - 용골자리 성운
    용골자리 성운은 1752년 라카유가 발견한 지구에서 약 8500 광년 떨어진 120 × 120 각분 크기의 성운으로, 내부에 용골자리 에타, 호문쿨루스 성운, 열쇠구멍 성운, 트럼플러 14, 트럼플러 16 등 다양한 천체가 있으며 특히 용골자리 에타는 초신성으로 생을 마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 1751년 발견한 천체 - 큰부리새자리 47
    큰부리새자리 47은 수백만 개의 별을 포함하는 밝고 조밀한 구상성단으로, 다양한 항성 종족과 엑스선원, 밀리초 펄서를 포함하고 있어 천문학적 연구 가치가 높으며, 중심부에 블랙홀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 대마젤란 은하 - 초신성 1987A
    초신성 1987A는 1987년 대마젤란 은하에서 발생한 핵붕괴 초신성으로, 푸른 초거성이 폭발하여 중성미자 폭발이 먼저 관측되었고, 중성자별로 추정되는 밝은 먼지구름과 세 개의 고리가 발견되었다.
  • 대마젤란 은하 - R136
    타란툴라 성운 중심부에 위치한 R136은 태양 질량의 약 45만 배에 달하는 거대한 성단으로, 높은 별의 밀도와 WNh형 별, O형 초거성 등 질량이 큰 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란툴라 성운의 주요 에너지원으로서 향후 구상 성단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있다.
  • 타란툴라 성운 - R136a1
    R136a1은 대마젤란은하 타란툴라 성운에 있는 가장 밝고 질량이 큰 별 중 하나로, 태양 질량의 약 197배, 밝기는 805만 배에 달하며 강력한 항성풍으로 질량을 잃고 쌍불안정형 초신성으로 생을 마감할 것으로 추정되는 울프-레이에 별이다.
  • 타란툴라 성운 - R136
    타란툴라 성운 중심부에 위치한 R136은 태양 질량의 약 45만 배에 달하는 거대한 성단으로, 높은 별의 밀도와 WNh형 별, O형 초거성 등 질량이 큰 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란툴라 성운의 주요 에너지원으로서 향후 구상 성단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있다.
타란툴라 성운
기본 정보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NIRCam으로 본 타란툴라 성운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NIRCam으로 본 타란툴라 성운
형태H II 영역
별자리황새치자리
겉보기 등급+8
시직경40′ × 25′
위치대마젤란운
다른 이름NGC 2070
도라도 성운
도르 성운
30 도라도
관측 정보
거리16만 ± 1만 광년(49 ± 3kpc)
반지름931광년
발견 정보
발견일1751년 12월 5일
발견자니콜라-루이 드 라카유
발견 장소희망봉

2. 발견

타란툴라 성운은 1751년부터 1753년까지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희망봉 탐험 중 관측했다. 그는 이 성운을 "제1급 성운" 중 두 번째로 분류했으며, "2피트 망원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별이 없는 성운"이자 20' 넓이의 확산 성운으로 묘사했다.[5]

요한 엘레르트 보데는 1801년 자신의 별 지도 ''우라노그라피아''에 타란툴라 성운을 포함시켰고, 부록 ''별들의 일반적인 설명과 지시'' 카탈로그에서 "Xiphias 또는 Dorado" 별자리의 30번 천체로 목록화했다. 별의 등급 대신 성운으로 기록되었다.[6]

타란툴라 성운이라는 이름은 20세기 중반, 심층 사진 노출에서 그 모습이 거미와 비슷하게 나타나면서 생겨났다.[7]

3. 특징

타란툴라 성운은 겉보기 등급이 8등급이다. 약 49 kpc[2] (16만 광년) 거리를 고려하면, 별이 아닌 천체 중에서는 매우 밝은 편이다. 만약 오리온 성운만큼 지구에 가까이 있다면, 타란툴라 성운은 그림자를 드리울 정도로 밝을 것이다.[13] 실제로 타란툴라 성운은 국부 은하군에서 가장 활발한 별 생성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타란툴라 성운의 별 생성 지역과 그 중심에 있는 R136 초성단에 대한 허블의 고해상도 뷰


타란툴라 성운은 지름이 약 200~570 pc (650~1860 광년)으로, 가장 큰 H II 영역 중 하나이다.[2][3] 삼각형자리 은하NGC 604와 같은 다른 H II 영역이 더 클 수도 있지만,[3] 타란툴라 성운은 대마젤란 은하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램 압력 박리와 성간 물질 압축이 활발하게 일어나 별 생성이 촉진되는 곳이다.

3. 1. NGC 2070

RMC 136a의 상세 모습, NGC 2070 성단


타란툴라 성운 중심부에는 산개성단 NGC 2070이 있다. NGC 2070에는 성운을 밝히는 주요 에너지원인 매우 밀집된 별들의 집합체 R136[14]이 포함되어 있다. R136의 질량은 태양의 약 45만 배로 추정되며, 미래에는 구상성단이 될 가능성이 높다.[15]

4. 초신성 1987A (SN 1987A)

망원경 발명 이후 가장 가까이에서 관측된 초신성[17] 초신성 1987A는 타란툴라 성운 외곽에서 발생했다.[18] NGC 2060이라는 산개 성단을 둘러싼 뚜렷한 초신성 잔해가 있다. 그러나 복잡한 성운 속에서 다른 많은 초신성의 잔해를 탐지하기는 어렵다.[19]

5. 블랙홀 VFTS 243

타란툴라 성운에서는 은하수 은하 외부에서 처음으로 강한 X선을 방출하지 않는 블랙홀VFTS 243이 발견되었다. 이 블랙홀은 최소 9 태양 질량을 가지며, 25 태양 질량의 청색 거성과 함께 쌍성계를 이루고 있다.[20]

참조

[1] simbad NAME 30 Dor Nebula 2006-12-22
[2] 웹사이트 Results for Tarantula Nebula http://messier.seds.[...] 2007-05-08
[3] 간행물 Chemical Composition and Mixing in Giant H II Regions: NGC 3603, 30 Doradus, and N66 2008-06-01
[4] 문서 distance × sin( diameter_angle / 2 ) = 931 ly. radius
[5] 간행물 The search for the nebulae - VI
[6] 서적 Allgemeine Beschreibung und Nachweisung der Gestirne: Nebst Verzeichniss der geraden Aufsteigung und Abweichung von 17240 Sternen, Doppelsternen, Nebelflecken und Sternhaufen:(zu dessen Uranographie gehörig) https://books.google[...] Selbstverl.
[7] 간행물 A Study of the 30 Doradus Region of the Large Magellanic Cloud
[8] 간행물 Large Magellanic Cloud
[9] 간행물 Notes on some Points connected with the Progress of Astronomy during the past Year
[10] 간행물 The Low-Mass Initial Mass Function in the 30 Doradus Starburst Cluster
[11] 서적 The Stellar Content of 30 Doradus
[12] 간행물 The Spectrum of Integrated Millimeter Flux of the Magellanic Clouds and 30 Doradus from Top ''Hat'' and DIRBE Data
[13] 웹사이트 National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Press Release: NEIGHBOR GALAXY CAUGHT STEALING STARS http://www.noao.edu/[...]
[14] 간행물 Star Formation in R136: A Cluster of O3 Stars Revealed by Hubble Space Telescope Spectroscopy 1998-01-01
[15] 간행물 Gemini/GMOS Search for Massive Binaries in the Ionizing Cluster of 30 Dor
[16] 간행물 Hubble Space Telescope Photometry of Hodge 301: An "Old" Star Cluster in 30 Doradus 2000-01-01
[17] 웹사이트 Tarantula Nebula's Cosmic Web a Thing of Beauty http://www.space.com[...] SPACE.com 2011-03-26
[18] 서적 Encyclopedia of Space https://books.google[...] DK Publishing
[19] 간행물 Supernova Remnant Candidates in the 30 Doradus Nebula
[20] 간행물 An X-ray-quiet black hole born with a negligible kick in a massive binary with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21] 웹사이트 電波&赤外線で観測された大マゼラン雲の「タランチュラ星雲」 株式会社sorae 2022-06-19
[22] 간행물 An X-ray-quiet black hole born with a negligible kick in a massive binary with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23] 서적 星座の事典 ナツメ社
[24] 간행물 Star Formation in R136: A Cluster of O3 Stars Revealed by Hubble Space Telescope Spectroscopy https://ui.adsabs.ha[...] 1998-01-01
[25] 웹사이트 SEDS Students for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Space http://www.messier.s[...] 2020-04-23
[26] 간행물 Chemical Composition and Mixing in Giant H II Regions: NGC 3603, 30 Doradus, and N66 https://ui.adsabs.ha[...] 2008-06-01
[27] 웹사이트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https://simbad.u-str[...] 2020-04-23
[28] 간행물 Gemini/GMOS Search for Massive Binaries in the Ionizing Cluster of 30 Dor https://ui.adsabs.ha[...]
[29] 간행물 Hubble Space Telescope Photometry of Hodge 301: An "Old" Star Cluster in 30 Doradus https://ui.adsabs.ha[...]
[30] 간행물 The search for the nebulae - VI
[31] 서적 Allgemeine Beschreibung und Nachweisung der Gestirne: Nebst Verzeichniss der geraden Aufsteigung und Abweichung von 17240 Sternen, Doppelsternen, Nebelflecken und Sternhaufen:(zu dessen Uranographie gehörig) https://books.google[...] Selbstverl.
[32] 간행물 A Study of the 30 Doradus Region of the Large Magellanic Cloud
[33] 간행물 Large Magellanic Cloud
[34] 간행물 New Double Stars, discovered in 1892, and measures
[35] 간행물 The Low-Mass Initial Mass Function in the 30 Doradus Starburst Cluster
[36] 서적 The stellar content of 30 Doradus
[37] 간행물 The Spectrum of Integrated Millimeter Flux of the Magellanic Clouds and 30 Doradus from Top Hat and DIRBE Data
[38] 웹사이트 National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Press Release: NEIGHBOR GALAXY CAUGHT STEALING STARS http://www.noao.edu/[...] 2020-04-23
[39] 웹사이트 Tarantula Nebula's Cosmic Web a Thing of Beauty http://www.space.com[...] Space.com 2020-04-23
[40] 서적 Encyclopedia of Space https://books.google[...] DK Publishing
[41] 간행물 Supernova Remnant Candidates in the 30 Doradus Nebula
[42] 웹사이트 A Crowded Neighbourhood https://www.eso.org/[...] 2020-04-23
[43] 웹사이트 Sharper Images for VLT Infrared Camera - Adaptive optics facility extended to HAWK-I instrument https://www.eso.org/[...] 2020-04-23
[44] 웹인용 SEDS Students for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Space http://messier.seds.[...] 2007-05-08
[45] 저널 Chemical Composition and Mixing in Giant H II Regions: NGC 3603, 30 Doradus, and N66 2008-06
[46] URL http://www.noao.edu/[...]
[47] 저널 Star Formation in R136: A Cluster of O3 Stars Revealed by Hubble Space Telescope Spectroscopy 1998-01
[48] 저널 Gemini/GMOS Search for Massive Binaries in the Ionizing Cluster of 30 Dor 2009
[49] 저널 Hubble Space Telescope Photometry of Hodge 301: An "Old" Star Cluster in 30 Doradus 2000
[50] 웹인용 Tarantula Nebula's Cosmic Web a Thing of Beauty http://www.space.com[...] SPACE.com 2011-03-21
[51] 서적 Encyclopedia of Space http://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