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르페아 절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르페아 절벽은 고대 로마의 카피톨리노 언덕에 위치한 절벽으로, 로마 건국 초기에 타르페이아라는 여인이 배신 행위로 인해 처형된 후 그 이름을 얻었다. 이 절벽은 반역자나 적들을 처형하는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사형수들은 종종 절벽에서 던져졌다. 타르페아 절벽은 로마 역사에서 수치와 굴욕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셰익스피어의 '코리올라누스'와 같은 문학 작품에서도 언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피돌리오 언덕 - 카피톨리니 미술관
카피톨리니 미술관은 이탈리아 로마 캄피돌리오 언덕에 위치하며, 고대 청동 조각 컬렉션을 기반으로 설립되어 고대 로마 조각, 중세 및 르네상스 미술 등 다양한 소장품을 전시한다. - 캄피돌리오 언덕 - 타르페아
타르페아는 로마를 배신하려다 죽임을 당한 로마 건국 신화 속 인물로, 그녀가 던져진 절벽은 반역자 처형 장소로 사용되었다. - 고대 로마시의 지형 - 캄푸스 마르티우스
캄푸스 마르티우스는 고대 로마의 군사 훈련, 종교 행사, 선거 등이 이루어지던 중요한 지역으로, 공화정 시대에는 신전 건설이, 제정 시대에는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건축 사업으로 번영을 누렸으며, 현재는 이탈리아 왕국 로마의 일부이다. - 고대 로마시의 지형 - 비아 사크라
비아 사크라는 고대 로마의 주요 도로로, 네로 황제 시대에 재건 사업을 통해 경로가 변경되었으며, 포룸 로마눔을 지나 콜로세움까지 연결되었고, 양쪽에 상점과 열주가 건설되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타르페아 절벽 | |
---|---|
지리 정보 | |
일반 정보 | |
이름 | 타르페이아 절벽 |
로마자 표기 | Tarpheia jeolbyeok |
라틴어 이름 | Rupes Tarpeia 또는 Saxum Tarpeium |
이탈리아어 이름 | Rupe Tarpea |
설명 | 고대 로마에서 사형 집행 장소로 사용된 가파른 절벽 |
높이 | 약 24미터 (80피트) |
2. 역사
타르페아 절벽은 로마 건국 초기부터 처형 장소로 사용된 역사적인 장소이다. 초기 로마 역사에 따르면, 사비니 여인들의 강탈 이후 사비니의 통치자 티투스 타티우스가 로마를 공격했을 때, 베스타 신녀 타르페이아는 로마를 배신하고 사비니족에게 성문을 열어주는 대가로 금 팔찌와 보석으로 장식된 반지를 요구했다. 그러나 사비니인들은 그녀를 방패로 쳐서 죽이고 절벽에 던졌다.[21]
기원전 500년경, 로마의 7대 왕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는 바위 꼭대기를 평평하게 하고 유피테르 옵티무스 막시무스 신전을 세웠지만, 바위 자체는 술라 시대(기원전 1세기 초)까지 처형 장소로 계속 사용되었다.[22]
타르페아 절벽에서 처형되는 것은 단순한 죽음 이상의 의미를 지녔다. 이는 수치심이라는 낙인을 동반했기 때문에, 고대 로마의 표준 처형 방법인 툴리아눔에서의 교살보다 더 나쁜 운명으로 여겨졌다. 이 바위는 가장 악명 높은 반역자들을 위한 처형 장소였으며, 원로원 의원 가이우스 마르키우스 코리올라누스가 호민관에 의해 거의 처형될 뻔한 것과 같은 비공식적이고 초법적인 처형 장소로도 사용되었다.[23]
"타르페아 바위는 카피톨리노에 가깝다"(''Arx tarpeia Capitoli proxima'')라는 라틴어 경구는 영화에서 몰락하는 것은 순식간에 올 수 있다는 경고를 담고 있다.
2. 1. 전설과 기원
로마 건국 신화에 따르면, 사비니 여인의 강탈 이후 티투스 타티우스가 로마를 공격했을 때, 카피톨리노 언덕의 요새를 지키던 스푸리우스 타르페이우스의 딸이자 베스타의 무녀였던 타르페이아는 로마를 배신하고 "사비니족이 팔에 지니고 있는 것"을 받는 조건으로 사비니족을 위해 문을 열었다. 그녀는 금 팔찌를 받을 것으로 생각했지만, 사비니족은 방패를 던져 그녀를 죽이고, 그 시신을 절벽에서 던졌다. 이 때문에 그 절벽을 "타르페이아 절벽"이라고 부르게 되었다[21].[15]기원전 500년경, 제7대 왕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는 그 절벽의 윗부분을 깎아 평평하게 하고, 사비니족이 세운 신전도 철거하여, 언덕의 두 봉우리 사이의 intermontium|인테르몬티움la이라고 불리는 부분에 유피테르 옵티무스 막시무스 신전, 유노 신전, 미네르바 신전을 세웠다. 절벽 자체는 그 후에도 남아, 술라 시대에도 처형장으로 사용되었다[22].[5].[16]
타르페이아 절벽에서 떨어뜨려지는 것은 극히 불명예스러운 일로 여겨졌고, 어떤 의미에서는 단순한 사형보다 더 심한 처형 방법이었다. 고대 로마에서의 표준적인 사형은 툴리아눔에서의 교살이었다. 타르페이아 절벽은 유명한 반역자들의 처형이나 초법규적이고 비공식적인 처형의 장소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가이우스 마르키우스 코리올라누스는 호민관에 선동된 민중들에 의해 가까스로 타르페이아 절벽에서 처형될 뻔했다[23].[17]
2. 2. 처형 장소
초기 로마 역사에 따르면, 사비니의 통치자 티투스 타티우스가 사비니 여인들의 강탈 (기원전 8세기) 이후 로마를 공격했을 때, 카피톨리노 언덕에 있는 성채의 총독인 스푸리우스 타르페이우스의 딸인 베스타 신녀 타르페이아가 “사비니인들이 준 팔찌”(금 팔찌와 보석으로 장식된 반지)에 대한 대가로 티투스 타티우스가 지키는 성문을 열어서 로마를 배신했다.[21] 리비우스의 《로마사》 1권에 따르면, 그녀는 사비니인들을 성 안으로 끌어들였지만, 사비니인들은 방패를 던져 그녀를 죽이고, 시신을 절벽에 던졌다. 그녀의 시신은 현재 그녀의 이름을 딴 바위에 묻혔다. 타르페이아가 바위 자체에 묻혔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그녀의 기만행위로 바위 이름을 지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21]기원전 500년경, 로마의 7대 전설적인 왕인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는 바위 꼭대기를 평평하게 하여 사비니족이 지은 신전을 없애고, 언덕의 두 정상 사이에 있는 인터몬티움에 유피테르 옵티무스 막시무스 신전을 세웠다. 바위 자체는 리모델링에서 살아남았고, 술라 시대(기원전 1세기 초)까지 처형에 사용되었다.[22] 그러나 시몬 바르 조라의 처형은 베스파시아누스 시대만큼 늦었다.
라틴어 어구인 ‘''타르페아 바위는 카피톨리노에 가깝다''’(''Arx tarpeia Capitoli proxima'')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영화에서 몰락하는 것은 순식간에 올 수 있다는 경고이다.
타르페아 바위에서 쫓겨나는 것은 수치심이라는 낙인을 동반했기 때문에 어떤 관점에서 보면 단순한 죽음보다 더 나쁜 운명이었다. 고대 로마의 표준 처형 방법은 툴리아눔에서 목을 졸라 죽이는 것이었다. 이 바위는 가장 악명 높은 반역자들을 위해 예비되었으며, 원로원 의원 가이우스 마르키우스 코리올라누스가 평민 호민관에 의해 광란에 빠진 폭도들에 의해 거의 처형될 뻔한 것과 같은 비공식적이고, 초법적인 처형 장소였다.[23]

이곳에서 처형된 사람은 다음과 같다.
처형된 사람 | 처형 시기 | 죄목 |
---|---|---|
스푸리우스 카시우스 베첼리누스 | 기원전 485년 | 반역죄[24] |
마르쿠스 만리우스 카피톨리누스 | 기원전 384년 | 소요죄[25] |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크리소고누스 | 기원전 80년 | |
살라에우스 또는 실라이오스 | 기원전 6년 | |
아일리우스 사투르니누스 | 23년 | |
섹스투스 마리우스 | 서기 33년 | 근친상간 혐의, 티베리우스에 의해 재산 몰수[26] |
시몬 바르 조라 | 70년 |
2. 3. 처형된 사람
타르페아 절벽에서 처형된 사람들은 다음과 같다.
인물 | 죄목 | 처형 년도 |
---|---|---|
스푸리우스 카시우스 베첼리누스 | 반역죄[24] | 기원전 485년 |
마르쿠스 만리우스 카피톨리누스 | 소요죄[25] | 기원전 384년 |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크리소고누스 | 기원전 80년 | |
살라에우스 또는 실라이오스 | 기원전 6년 | |
아일리우스 사투르니누스 | 23년 | |
섹스투스 마리우스 | 티베리우스에 의해 재산 몰수 및 근친상간 혐의로 기소[26] | 33년 |
시몬 바르 기오라 | 70년 |
3. 대중문화 속 타르페이아 절벽
참조
[1]
웹사이트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https://penelope.uch[...]
2024-02-17
[2]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E. Duychinck, Collin & co.
2010-12-17
[3]
서적
Ab Urbe Condita
Macmillan Education Ltd.
1991-06-01
[4]
서적
Parallela Graeca et Romana
[5]
서적
Lives – Sylla
http://classics.mit.[...]
2008-02-16
[6]
서적
The Genetics of Human Populations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24-12-17
[7]
서적
Lives – Coriolanus
[8]
문서
Plutarch, ''Lives''; Livy, ''Ab Urbe Condita''; M. Grant, ''Roman Myths''
[9]
문서
Livy. Book 6 [20.9]
[10]
문서
Haley 2010:143
[11]
문서
Tacitus Annals 6.19.1
[12]
논문
"To See What Men Cannot: Teichoskopia in ''Don Quixote'' I"
[13]
서적
A Capitol Death
Hodder & Stoughton
2019
[14]
서적
I, Claudius
Arthur Barker
1934
[15]
서적
Parallela Graeca et Romana
[16]
서적
Lives - Sylla
http://classics.mit.[...]
[17]
서적
Lives - Coriolanus
[18]
문서
ティトゥス・リウィウス、『ローマ建国史』 6 [20.9]
[19]
웹사이트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https://penelope.uch[...]
[20]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E. Duychinck, Collin & co.
2010-12-17
[21]
서적
Parallela Graeca et Romana
[22]
서적
Lives – Sylla
http://classics.mit.[...]
2022-08-25
[23]
서적
Lives – Coriolanus
[24]
문서
Plutarch, ''Lives''; Livy, ''Ab Urbe Condita''; M. Grant, ''Roman Myths''
[25]
문서
리비. Book 6 [20.9]
[26]
문서
Haley 2010:14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