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학교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학교론은 학교 교육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학교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학습할 수 있는 사회를 제시하는 이론이다. 이반 일리치는 학교가 학생들을 서열화하고, 성적과 자격증에 맞춰 학습을 유도하는 '숨겨진 교육 과정'을 가지고 있다고 비판하며, 존 홀트는 학교가 '기술 훈련'에만 집중하여 자연스러운 학습 과정을 간과한다고 지적했다. 탈학교론은 모든 사람이 학교 교육을 받을지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사회를 지향하며, 다양한 학습 방식을 존중하는 사회를 추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육 이론 - 진보주의 (교육)
진보주의 교육은 아동 중심 교육, 경험 학습, 자율성, 사회적 책임 의식 함양을 강조하는 교육 철학 및 실천으로, 21세기 역량 함양을 중시하며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천되고 있다. - 교육 이론 - 학습이론
학습 이론은 19세기 말 연합설부터 시작하여 S-R설, 인지설을 거쳐 현대의 구성주의, 사회 학습 이론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교육학, 심리학, 컴퓨터 과학 등 여러 분야에서 연구된다. - 교육철학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교육철학 - 평생교육
평생교육은 개인이 전 생애에 걸쳐 자아실현과 국가 경쟁력 향상을 목표로 학교, 가정, 직장, 사회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학습하는 교육 체계이다. - 대안 교육 - 오픈 대학교
오픈 대학교는 원격 교육을 통해 고등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자 1969년 영국에 설립된 공립 대학교로, 다양한 학습 방식과 폭넓은 분야의 교육 과정, 활발한 연구 활동, 그리고 전 세계 파트너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교육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 대안 교육 - 환경 교육
환경 교육은 인간과 환경의 지속가능한 공존을 위해 환경 문제에 대한 이해와 책임감 있는 행동을 증진시키는 교육 활동으로, 유네스코와 UNEP의 국제적인 주도하에 모든 계층의 시민 참여를 목표로 여러 관련 분야와 연관되어 현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인식되지만, 여러 장애물에 직면하며 학생들의 경험과 자료에 기반한 정보에 입각한 결정과 행동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탈학교론 |
---|
2. 배경
탈학교론은 이반 일리치가 그의 저서 『탈학교의 사회』에서 제창한 개념이다.[10] 일리치는 학교가 중요한 기술보다는 성적과 자격증에 맞춰 학습을 유도하는 "숨겨진 교육 과정"이 있다고 보았다. 그는 현대 학교 교육이 학교를 산업화된 시스템, 즉 가족이 스스로 형성해야 하는 교육을 전문으로 하는 유해한 산업으로 성장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믿었다.[11]
존 홀트 또한 탈학교론을 지지했는데, 그 이유는 그 역시 학교가 학생들이 알아야 할 모든 것을 배우는 곳이라고 확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10] 대신, 그들은 학생들이 자연 세계에 노출되는 것과 같은 다른 수단을 통해 지속적으로 배운다고 강조했다.[10]
일리치 외에 이안 리스터, 파울루 프레이리 등이 탈학교론의 논자로 언급된다.
야마모토 테츠시는 deschooling을 "비학교"로 번역할 것을 제창했다(『학교의 환상 교육의 환상』). 이 단어는 원래 자율학교를 둘러싼 회의 석상에서 이리치가 발언하려다 머뭇거리며 내뱉은 말에서 비롯되었으며, 1980년대 초에 상당히 화제가 되었다.
하지만, 이리치 자신은 "탈학교(비학교)"를 제창하기 위해 『탈학교의 사회』를 쓴 것이 아니라, 산업 사회의 진전에 따른 "제도화"를 비판하기 위해 이 책을 출간한 것이다.
2. 1. 이반 일리치와 존 홀트의 비판
이반 일리치는 학교가 중요한 기술보다는 성적과 자격증에 맞춰 학습을 유도하는 '숨겨진 교육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고 믿었다.[10][11] 그는 현대 학교 교육이 학교를 산업화된 시스템으로 성장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보았으며,[10] 이는 가족이 스스로 형성해야 하는 교육을 전문으로 하는 유해한 산업이라고 생각했다. 일리치에 따르면 학교는 서류상의 성공을 학문적 우수성과 동일시한다. 그 결과 학교, 성적, 졸업장은 학생들이 특정 교육 개념에 대해 지식을 습득했다는 잘못된 확신을 준다.존 홀트는 탈학교론을 지지한 교육자였다. 그의 생각은 일리치와 밀접하게 일치했는데, 둘 다 학교가 학생들이 알아야 할 모든 것을 배우는 곳이라고 확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10] 대신, 그들은 학생들이 자연 세계에 노출되는 것과 같은 다른 수단을 통해 지속적으로 배운다고 강조했다.[10] 일리치와 홀트는 '기술 훈련'에 초점을 맞추고 다른 학습 방법을 소홀히 하는 학교를 부적절하다고 여겼다.[10]
2. 2. 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비판
탈학교론 이론가들은 교육이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고 보았다.[12] 이들은 교육 기관이 교육과 학습에 대한 독점적 지위를 가진다는 점을 비판하고자 했다.[12] 이반 일리치는 학교가 중요한 기술보다는 성적과 자격증에 맞춰 학습을 유도하는 "숨겨진 교육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고 믿었다.[11] 그는 현대 학교 교육이 학교를 산업화된 시스템으로 성장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보았으며,[10] 이는 가족이 스스로 형성해야 하는 교육을 전문으로 하는 유해한 산업이라고 생각했다. 존 홀트 또한 학교가 "기술 훈련"에만 집중하고 다른 학습 방법을 소홀히 한다고 비판했다.[10]3. 탈학교 사회
이반 일리치와 존 홀트는 탈학교 사회에서는 모든 사람이 학교에 다닐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학교에 강제로 가거나, 입학 시험을 보거나, 원하는 주제를 배울 기회를 박탈당하는 대신, 사람들은 학습 방법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13]
『탈학교의 사회』에서 제창한 개념으로, 이반 일리치 외에 이안 리스터, 파울루 프레이리 등이 논자로 언급된다.
야마모토 테츠시는 deschooling을 "비학교"로 번역할 것을 제창했다(『학교의 환상 교육의 환상』). 이 단어는 원래 자율학교 관련 회의에서 이반 일리치가 발언하려다 머뭇거리며 입 밖에 낸 말이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의 흥미를 끌면서 탄생했으며, 1980년대 초에는 상당히 화제가 되었다.
하지만, 이반 일리치 자신은 "탈학교(비학교)"를 제창하기 위해 『탈학교의 사회』를 쓴 것이 아니라, 산업 사회의 진전에 따른 "제도화"를 비판하기 위해 이 책을 출간한 것이다.
3. 1. 학습 선택의 자유
탈학교 사회에서는 모든 사람이 학교 교육을 받을지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강제적인 교육 시스템에서 벗어나 자신의 학습 방식과 내용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13] 언스쿨링 옹호자인 존 홀트는 탈학교 사회를 학교에서든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든 원하는 것을 배우는 데 있어 가능한 가장 넓고 자유로운 선택권을 갖는 사회로 보았다.[13]3. 2. 다양한 학습 방식의 존중
사람을 "탈학교화"한다는 것은 학교에서 배우거나 공부하는 행위를 무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반 일리치와 존 홀트는 언스쿨링 사회에서는 모든 사람이 학교에 다닐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강제로 학교에 가거나, 입학하기 전에 시험을 치르거나, 원하는 주제를 배울 기회를 거부당하는 대신, 사람들은 학습 방법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언스쿨링 옹호자인 존 홀트에 따르면, 탈스쿨링된 사회는 모든 사람이 학교에서든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든 자신이 배우고 싶은 것은 무엇이든 배울 수 있는 가장 넓고 자유로운 선택권을 갖는 사회가 될 것이다.[13]4. 탈학교론의 한국적 맥락
탈학교론은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교육 분야에서 다양한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이반 일리치를 비롯한 탈학교론자들의 주장은 한국 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논의될 수 있다.
탈학교론은 과도한 입시 경쟁과 획일적인 교육 방식 등 한국 교육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논의를 촉발하였다. 또한, 한국의 대안 교육 운동에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며, 홈스쿨링, 대안학교 등 다양한 교육 방식의 등장과 확산에 기여했다. (하위 섹션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요약하여 간결하게 수정)
4. 1. 대안 교육 운동과의 연관성
탈학교론은 이반 일리치가 저서 《탈학교의 사회》에서 제창한 개념이다.[1] 이안 리스터, 파울루 프레이리 등이 탈학교론의 주요 논자로 언급된다.[1]야마모토 테츠시는 'deschooling'을 "비학교"로 번역할 것을 제창했다.[2] 이 단어는 자율학교 관련 회의에서 이리치가 발언하려다 머뭇거리며 한 말이 사람들의 흥미를 끌어 탄생했으며, 1980년대 초 화제가 되었다.[2]
이리치는 《탈학교의 사회》를 통해 "탈학교(비학교)"를 제창한 것이 아니라, 산업 사회의 "제도화"를 비판했다.[2]
탈학교론은 한국의 대안 교육 운동에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며, 홈스쿨링, 대안학교 등 다양한 교육 방식의 등장과 확산에 기여했다.
4. 2. 한국 교육 현실에 대한 비판
탈학교론은 과도한 입시 경쟁과 획일적인 교육 방식 등 한국 교육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논의를 촉발한다. 이반 일리치는 저서 《탈학교의 사회》에서 이러한 개념을 제창하였다. 일리치 외에도 이안 리스터, 파울루 프레이리 등이 탈학교론의 주요 논자로 언급된다.야마모토 테츠시는 'deschooling'을 '비학교'로 번역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1] 이 단어는 원래 자율학교를 둘러싼 회의 석상에서 일리치가 발언하려다 머뭇거리며 입 밖에 낸 말이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의 흥미를 끌면서 탄생하게 되었고, 1980년대 초에는 상당한 화제를 불러일으켰다.[1]
하지만, 일리치 자신은 '탈학교(비학교)'를 주장하기 위해 《탈학교의 사회》를 쓴 것이 아니라, 산업 사회의 진전에 따른 '제도화'를 비판하기 위해 이 책을 출간한 것이라고 밝혔다.[1]
5. 비판과 논쟁
야마모토 테츠시는 deschooling을 "비학교"로 번역할 것을 제창하고 있다.[1] 이 단어는 원래 자율학교를 둘러싼 회의 석상에서 이리치가 발언하려다 머뭇거리며 입 밖에 낸 말이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의 흥미를 끌면서 탄생했으며, 1980년대 초에는 상당히 화제가 되었다.
하지만, 이리치 자신은 "탈학교(비학교)"를 제창하기 위해 『탈학교의 사회』를 쓴 것이 아니라, 산업 사회의 진전에 따른 "제도화"를 비판하기 위해 이 책을 출간한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Learn The Difference Between Unschooling and Deschooling
https://www.time4lea[...]
2020-11-29
[2]
웹사이트
Deschooling: Starting Out Right at Home
https://www.thehomes[...]
2020-11-29
[3]
웹사이트
What is Deschooling?
https://observatory.[...]
2020-11-29
[4]
웹사이트
What, When, Why & How of Deschooling
https://www.time4lea[...]
2020-11-29
[5]
웹사이트
Deschooling: How Long Does it Take?
http://www.abrome.co[...]
2017-05-31
[6]
웹사이트
Deschooling: Important Homeschooling Step Or Useless Buzzword?
https://www.offthegr[...]
2012-08-31
[7]
웹사이트
Deschooling and Decompression – Home Education Network
https://home-ed.vic.[...]
2020-11-30
[8]
웹사이트
Homeschool 101: What to expect when deschooling
https://raisingroyal[...]
2020-02-06
[9]
웹사이트
From School to Homeschool: What is Deschooling?
https://www.thehomes[...]
2014-02-25
[10]
웹사이트
DESCHOOLING SOCIETY
http://www.davidtina[...]
2018-11-19
[11]
간행물
Deschooling Environmental Education
https://cjee.lakehea[...]
1996-01-01
[12]
서적
Encyclopedia of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2016-03
[13]
간행물
Deschooling Society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