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가니카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탕가니카 주는 콩고 민주 공화국에 위치한 주로, 역사를 통해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다. 과거에는 카탕가국의 루바족 반란 지역이었으며, 1962년부터 1966년까지 "노르-카탕가"주로 불리기도 했다. 2015년 카탕가 주가 폐지된 후 탕가니카 지구가 탕가니카 주로 재설치되었다. 2차 콩고 전쟁 중에는 분쟁 지역으로, 현재도 일부 마이마이 민병대가 활동하고 있다. 주도는 칼레미이며, 여러 행정 구역과 주요 도시를 포함한다. 역대 주지사로는 프로스퍼 음밤바-일룽가, 조에 카빌라 등이 있으며, 현재는 크리스티앙 키퉁과 무테바가 주지사 직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탕가니카주 - 탕가니카호
탕가니카호는 동아프리카 지구대 내 알버틴 지구대에 위치한 아프리카 최대의 지구대 호수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로 부피가 큰 호수로서, 다양한 고유종 서식지이며 주변 국가의 어업 자원 및 수운 교통로로 기능하지만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탕가니카주 - 카탕가주
카탕가주는 콩고 민주 공화국 남부에 위치하며 구리 등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콩고 민주 공화국의 광업 중심지인 루붐바시가 있는 주이다. - 탕가니카호 - 부줌부라
부줌부라는 1889년 독일령 동아프리카의 군사 기지로 개발되어 부룬디 독립 후 수도가 되었으며, 1962년 명칭이 변경되었고, 정치적 혼란을 겪었지만, 탕가니카 호 북동쪽 해안에 위치한 도시이다. - 탕가니카호 - 칼레미
칼레미는 콩고 민주 공화국 탕가니카 호반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알베르빌로 불렸으나 현재는 구리, 코발트 등 광물 자원의 유통 중심지이자 철도 및 수로 교통의 요지이며, 칼레미 대학교를 비롯한 교육 기관이 있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주 - 카사이주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주 - 루알라바주
루알라바주는 과거 카탕가주에서 분리되었다가 통합된 주였으며, 현재는 콩고 민주 공화국 내에 위치하여 여러 주 및 앙골라, 잠비아와 국경을 접한다.
탕가니카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탕가니카주 |
로마자 표기 | Tanganyika |
현지 이름 (프랑스어) | Province du Tanganyika |
현지 이름 (루바어) | Bukata wa Tanganyika |
별칭 (스와힐리어) | Jimbo la Tanganyika |
명칭 유래 | 탕가니카호 |
국가 | 콩고 민주 공화국 |
주 종류 | 주 |
수립 | 2015년 |
수도 | 칼레미 |
공용어 | 프랑스어 |
국어 | 키루바어 |
지리 | |
면적 | 134,940 제곱킬로미터 |
위치 좌표 | 남위 6.69도 동경 28.07도 |
인구 통계 | |
총 인구 | 3,062,000명 (2015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거주민 명칭 | 미제공 |
행정 | |
주지사 | 크리스티앙 키퉁와 |
州知事 | 줄리 응웅와 (Julie Ngungwa Mwayuma) |
시간대 | |
시간대 | CAT |
협정 세계시 오프셋 | +2 |
기타 정보 | |
차량 등록 번호판 | CGO / 24 |
ISO 3166-2 | CD-TA |
웹사이트 | 탕가니카 주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탕가니카 주는 루바-카탕가족이 카탕가국에 반란을 일으킨 곳이다. 1961년 카탕가국에 의해 재정복되었지만, 그 해 말 킨샤사 정부에 의해 다시 빼앗겼다. 1962년 7월 11일부터 1966년 12월 28일까지는 노르-카탕가 주로 알려졌으나, 1966년 중앙 정부에 의해 카탕가 주에 통합되어 탕가니카 구로 행정되었다.
2006년 7월, 제2차 콩고 전쟁 동안 카탕가 주는 콩고 민주주의 연합 – 고마(RCD-G) 파벌과, 르완다의 지원을 받고 지역 마이마이 부대의 지원을 받는 전 정부 파벌 사이의 전투로 분열되었다.[2] RCD-G와 일부 마이마이 민병대는 FARDC에 편입되었지만, 많은 마이마이 세력은 여전히 정부의 통제를 벗어나 있었다.
2. 1. 카탕가 국 분리독립과 루바족의 반란 (1960년대)
1960년 루바족이 카탕가국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1961년 카탕가국이 반란을 진압했지만, 같은 해 후반에 콩고 민주 공화국 중앙 정부에 의해 다시 빼앗겼다. 1962년 7월 11일 북카탕가 주가 설치되었다. 1966년 12월 28일 북카탕가 주는 카탕가 주에 통합되었고, 해당 지역은 탕가니카 구로 행정되었다.2. 2. 노르카탕가 주와 카탕가 주 재통합 (1962~1966)
1960년, 카탕가 공화국 독립에 반대하여 루바족이 반란을 일으켰다. 1961년, 카탕가 공화국이 반란을 진압했지만, 같은 해 후반에 콩고 민주 공화국 정부에 의해 타도되었다.1962년 7월 11일, 북카탕가 주가 설치되었다. 1966년 12월 28일, 남동부 4개 주를 합쳐 카탕가 주가 설치되었고, 북카탕가 주가 있던 지역에는 탕가니카 지구가 설치되었다.
2. 3. 제2차 콩고 전쟁과 분쟁의 지속 (1998~현재)
1998년부터 2003년까지 이어진 제2차 콩고 전쟁에서 카탕가주는 콩고 민주 연합과 르완다가 지원하는 고마 기구, 그리고 지역 무장 세력인 마이마이에 의해 분할되었다.[9] 고마 기구와 마이마이의 대부분은 국군에 흡수되었지만, 일부는 독립했다.칼레미의 유엔 콩고 민주 공화국 안정화 임무에 따르면, 탕가니카 지구에는 약 5,000명에서 6,000명으로 추정되는 마이마이가 마노노-미트와바-프웨토를 잇는 이른바 "죽음의 삼각지대"에서 여전히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MONUC 관계자는 당시 이러한 마이마이의 대부분이 지휘 체계가 없는 작고 비조직적인 부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주로 일반적인 강도로 전락했다고 말했다.
2. 4. 탕가니카 주 재설치 (2015)
1960년, 카탕가 공화국 독립에 반대하여 루바족이 반란을 일으켰다.1961년, 카탕가 공화국이 반란을 진압했지만, 같은 해 후반에 콩고 민주 공화국 정부에 의해 타도되었다.
1962년 7월 11일, 북카탕가주가 설치되었다.
1966년 12월 28일, 남동부 4개 주를 합쳐 카탕가주가 설치되었고, 북카탕가주가 있던 지역에는 탕가니카 지구가 설치되었다.
1998년~2003년 제2차 콩고 전쟁에서 카탕가 주는 콩고 민주 연합과 르완다가 지원하는 고마 기구, 지역 무장 세력인 마이마이에 의해 분할되었다.[9] 고마 기구와 마이마이의 대부분은 국군에 흡수되었지만, 일부는 독립했다. 칼레미의 유엔 콩고 민주 공화국 안정화 임무에 따르면, 탕가니카 지구의 "죽음의 삼각지대"라고 불리는 지역에서 약 5,000~6,000명의 마이마이가 아직 활동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2015년, 카탕가 주가 폐지되고 탕가니카 지구의 영역에 탕가니카 주가 설치되었다.
3. 행정
탕가니카 주의 주도는 칼레미이다.[3] 탕가니카 주는 카발로 영토, 칼레미 영토, 콩골로 영토, 마노노, 모바 영토, 뉼주로 구성된다.[3]
3. 1. 주요 도시
칼레미는 탕가니카 주의 주도이다.[3] 탕가니카 주의 주요 도시는 다음과 같다.도시명 | 인구 |
---|---|
칼레미 | 146,974명 |
콩골로 | 62,455명 |
마노노 | 47,632명 |
카발로 | 46,896명 |
모바 | 46,890명[10] |
3. 2. 하위 행정 구역
탕가니카 주는 다음과 같은 하위 행정 구역으로 구성된다.[3]영토 | 주도 |
---|---|
카발로 영토 | |
칼레미 영토 | 칼레미 |
콩골로 영토 | |
마노노 | |
모바 영토 | 콩고 민주 공화국 모바 |
뉼주 |
4. 역대 주지사
취임일 | 이름 | 비고 |
---|---|---|
1960년 10월 20일 | 프로스퍼 음밤바-일룽가 (1차) | |
1962년 9월 11일 | 프로스퍼 음밤바-일룽가 (2차) | |
1963년 9월 27일 | 제이슨 센드웨 (1차) | 1917년 출생, 1964년 사망 |
1964년 3월 15일 | 포르투나 카방게 누비 | 1934년 출생, 1964년 사망 |
1964년 4월 21일 | 제이슨 센드웨 (2차) | 1917년 출생, 1964년 사망 |
1964년 6월 22일 | 일데폰스 마셍고 | 1935년경 출생, 1969년 사망, 실질적으로 인민 공화국 군대에 점령된 영토인 전체 카탕가 주의 임시 정부 수반 |
1965년 7월 22일 | 앙리 은달라 캄볼라 | 1964년 8월부터 행정관 |
2019년 | 조에 카빌라 | 전 대통령 조제프 카빌라의 형제 |
2022년 6월 20일 | 줄리 응웅구와 므와유마[4] | -- |
2024년 7월 15일 | 크리스티앙 키퉁과 무테바[5] |
참조
[1]
뉴스
Le Katanga officiellement démembré en quatre nouvelles provinces
https://www.radiooka[...]
2015-07-16
[2]
문서
06KINSHASA1080 North Katanga: The Weakest Security Link In The Volatile East?
https://web.archive.[...]
U.S. Embassy Kinshasa
2006-07-06
[3]
웹사이트
Provinces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http://www.statoids.[...]
Statiods.com
2012-01-25
[4]
뉴스
Tanganyika : Après la Remise et Reprise, Julie Ngungwa Mwayuma Entre en Fonction Officiellement.
https://foxtimes.cd/[...]
2022-06-21
[5]
뉴스
RDC : Christian Kitungwa, nouveau gouverneur du Tanganyika, a pris officiellement ses fonctions
https://actualite.cd[...]
2024-07-16
[6]
뉴스
RDC : Félix Tshisekedi investit six gouverneurs de provinces et un vice-gouverneur
https://actualite.cd[...]
2022-06-10
[7]
웹사이트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6-05-10
[8]
웹사이트
Constitution de la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Article 2
http://fr.wikisource[...]
Wikisource
2016-11-27
[9]
문서
06KINSHASA1080 North Katanga: The Weakest Security Link In The Volatile East?
http://www.cablegate[...]
U.S. Embassy Kinshasa
2006-07-06
[10]
웹사이트
Provinces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http://www.statoids.[...]
Statiods.com
2016-1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