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리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택리지는 조선 후기 실학자 이중환이 저술한 인문 지리서로, 사민총론, 팔도총론, 복거총론, 총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팔도총론에서는 조선 팔도의 지리적 특성, 인물, 풍속 등을 설명하며, 복거총론은 사람이 살기 좋은 곳의 조건으로 지리, 생리, 인심, 산수를 제시하며 핵심 내용을 이룬다. 풍수 사상과 실학적 관점을 결합하여 지역의 농업 생산과 도시 형성에 대한 내용도 담고 있으며, 현대 사회에도 지속 가능한 발전, 지역 균형 발전, 공동체 의식 함양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지리지 - 대동지지
《대동지지》는 김정호가 《동여도지》와 《여도비지》를 바탕으로 1862년에서 1866년 사이에 편찬한 15책의 지리서로, 65종의 방대한 사료를 인용하여 정확성을 높였으며, 특히 정사 중시의 역사 의식이 반영되었다. - 한국의 지리지 - 신증동국여지승람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이행, 윤은보, 홍언필 등이 《동국여지승람》을 보완하여 편찬한 지리지로, 각 도의 지리, 역사, 인물, 풍속 등을 기록하고 사림파의 성리학적 이념이 반영된 조선 시대의 중요한 사료이며 현대 문화 콘텐츠로도 활용된다. - 조선의 책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조선의 책 - 난중일기
《난중일기》는 이순신이 임진왜란 중 군중에서 직접 쓴 친필 일기로, 전쟁 상황과 개인적인 소회, 사회상 등이 기록된 7권의 일기이며 국보 제76호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다.
택리지 | |
---|---|
택리지 | |
![]() | |
저자 | 이중환 |
저술 시기 | 영조 시대 (1751년 ~ 1765년) |
종류 | 인문지리서 |
내용 | |
구성 | 총 8권 사민총론 (四民總論) 팔도총론 (八道總論) 복거총론 (卜居總論) 총론 (總論) |
사민총론 | |
내용 | 사농공상의 직업관과 사회관 서술 |
팔도총론 | |
내용 | 조선 팔도의 지리, 역사, 인물, 풍속 등을 서술 |
복거총론 | |
내용 | 거주지 선택의 기준 제시 |
중요 요소 | 지리 (地理) 생리 (生理) 인심 (人心) 산수 (山水) |
가치 | |
평가 | 조선 후기 실학 사상의 발달과 사회 변화를 반영한 역사적 가치를 지님. |
2. 구성
《택리지》는 사민총론(四民總論), 팔도총론(八道總論), 복거총론(卜居總論), 총론(總論)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거총론은 지리, 생리, 인심, 산수를 다룬다. 풍수 사상이 짙게 반영되었지만, 실학적 관점에서 지역의 농업 생산이나 도시 형성사에 대한 검토도 포함되어 있다.
2. 1. 팔도총론 (八道總論)
조선 팔도를 나누어 각 지방의 지역성을 그곳 출신 인물과 연결 지어 설명하였다.[5] 각 도의 특산물과 경제 상황을 상세히 기록하였으며, 실학적 관점에서 지역의 농업 생산과 도시 형성사에 대한 기술도 포함되어 있다.[5] 특히 사람과 자연환경의 관계를 중요하게 다룬 지인상관론(地人相關論)을 설명하였다.[5]2. 2. 복거총론 (卜居總論)
이중환은 사람이 살 만한 곳의 입지조건으로 지리, 생리, 인심, 산수를 꼽았다. 지리가 좋아도 생리가 부족하면 오래 살 수 없고, 생리가 좋아도 지리가 나쁘면 역시 오래 살 수 없다고 보았다. 지리와 생리가 모두 좋아도 인심이 좋지 않으면 후회할 일이 생기며, 산수가 좋지 않으면 정서를 함양할 수 없다고 보았다.[5]이중환은 '''지리'''가 가장 중요하고, '''생리'''는 그 다음이며, '''인심'''과 '''산수'''는 그 다음으로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 네 가지 요소 중 하나라도 빠지면 살기 좋은 땅이 아니라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해거(海居), 강거(江居), 계거(溪居)를 비교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설명하였다.
3. 사상적 배경
이 책에는 풍수 사상이 짙게 반영되어 있지만, 실학적 관점에서 지역의 농업 생산이나 도시 형성사에 대해 검토한 기술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5] 특히 사람과 자연환경과의 관계를 중시한 지인상관론(地人相關論)을 설명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한국역사정보 통합시스템
http://yoksa.aks.ac.[...]
[2]
서적
(서적 제목 미상)
2006
[3]
서적
(서적 제목 미상)
2006
[4]
서적
(서적 제목 미상)
2006
[5]
서적
(서적 제목 미상)
2006
[6]
웹사이트
한국역사정보 통합시스템
http://yoksa.aks.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