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틀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터틀스는 1965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결성된 서프 록 밴드로, 밥 딜런의 곡을 커버하며 데뷔했다. 1967년 "Happy Together"가 빌보드 1위를 차지하며 전성기를 맞았고, 이후 "Elenore" 등의 히트곡을 발표했다. 1960년대 후반 화이트 웨일 레코드와의 갈등, 멤버 교체 등을 겪다 1970년 해체했다. 해체 후 멤버들은 플로 & 에디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며, 다른 아티스트의 앨범에 참여하기도 했다. 1980년대에는 밴드 이름을 되찾아 투어를 재개했으며, 2010년대에도 "Happy Together" 투어를 통해 활동을 이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해체된 음악 그룹 - 비틀즈
1960년대 영국에서 결성되어 혁신적인 음악과 문화적 현상을 일으키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지만 멤버 간의 갈등으로 1970년 해산한 존 레논, 폴 매카트니, 조지 해리슨, 링고 스타로 구성된 록 밴드가 비틀즈이다. - 1970년 해체된 음악 그룹 - 사이먼 & 가펑클
사이먼 & 가펑클은 폴 사이먼과 아트 가펑클로 이루어진 미국의 남성 듀오로, 1960년대에 "The Sound of Silence", "Mrs. Robinson", "Bridge over Troubled Water" 등의 히트곡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포크 록 기반의 실험적인 음악 스타일로 1990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65년 결성된 음악 그룹 - 스몰 페이시스
1965년 런던에서 결성된 영국의 록 밴드 스몰 페이시스는 스티브 마리엇, 로니 레인, 케니 존스, 이언 맥래건으로 구성되어 "Sha La La La Lee"와 "All or Nothing" 등의 히트곡으로 1960년대 후반 영국 모드 신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사이키델릭 앨범 발매 후 해체와 재결합을 거쳐 2012년 록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65년 결성된 음악 그룹 - 핑크 플로이드
핑크 플로이드는 1965년 영국에서 결성되어 실험적인 사운드와 컨셉추얼한 앨범으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록 밴드이며, 멤버 교체와 갈등, 재결합, 사실상 해체 후 우크라이나 지원 싱글 발표 등 다양한 활동을 보여주었다. - 2010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사운드가든
사운드가든은 1984년 시애틀에서 결성되어 그런지 음악의 선구자 역할을 한 미국의 얼터너티브 메탈 밴드였으나, 1997년 해체 후 2010년 재결합했으나 크리스 코넬의 사망으로 활동이 중단되었으며, 사운드가든이라는 이름으로의 활동 재개는 불투명하다. - 2010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토토 (밴드)
TOTO는 1970년대 최고의 세션 뮤지션들이 모여 결성된 미국의 록 밴드로,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음악성과 "Hold the Line", "Rosanna" 등의 히트곡으로 1980년대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현재까지도 활동 중이다.
터틀스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나이트라이더스 (1963년) 크로스파이어즈 (1963년–1965년) |
국적 |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 |
장르 | 포크 록 사이키델릭 팝 |
활동 기간 | 1965년–1970년 1983년–현재 ("플로 & 에디"로 활동) |
레이블 | 화이트 웨일 선데이즈드 |
웹사이트 | theturtles.com |
구성원 | |
현재 구성원 | 마크 볼먼 론 단테 |
이전 구성원 | 하워드 카일란 알 니콜 짐 터커 척 포츠 돈 머레이 칩 더글러스 조엘 라슨 조니 바베이타 짐 폰즈 존 사이터 |
관련 정보 | |
음반 목록 | 터틀스의 음반 목록 |
2. 역사
1963년 캘리포니아주 웨스트체스터 고등학교 출신의 하워드 케일런과 마크 볼먼을 중심으로 터틀스가 결성되었다. 초기에는 '나이트라이더스', '크로스파이어스'라는 이름의 서프 음악 밴드로 활동했다.[4] KRLA와 KFWB DJ이자 클럽 소유주인 레브 포스터의 도움으로, 크로스파이어스는 화이트 웨일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다.[5] 당시 유행하던 음악적 흐름에 따라 그룹은 포크 록 밴드로 변신하여 '''더 터틀스'''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는데, 이는 더 버즈와 비틀즈에서 영감을 얻어 의도적으로 철자를 틀리게 표기한 것이다.[5]
"서프 음악"에서 "포크 록"으로 스타일이 바뀌면서 케일런과 볼먼은 색소폰을 내려놓고 밴드의 보컬리스트가 되었다. 케일런은 리드 싱어 및 키보디스트가 되었고, 볼먼은 하모니와 함께 세 번째 기타리스트 및 퍼커셔니스트를 맡았다.
밥 딜런의 곡을 커버한 "잇 에인트 미 베이비"는 1965년 늦여름 ''빌보드'' 10위 안에 들었고, 밴드의 첫 앨범의 타이틀곡이 되었다.[5] 이후 "Let Me Be"는 30위 안에, "You Baby"는 1966년 초 20위 안에 들었다.[5]
1966년, 터틀스는 유니버설 픽처스의 영화 ''아웃 오브 사이트''에 출연하여 "She'll Come Back"을 불렀다.
같은 해 초, 드러머 돈 머레이와 베이시스트 척 포츠가 그룹을 떠났다. 머레이는 몇 달 동안 조엘 라르손으로 교체되었고, 1966년 말에는 존 바바타가, 포츠는 칩 더글러스로 교체되었다.[5]
개리 보너와 앨런 고든이 공동 작사한 〈Happy Together〉는 터틀스의 대표곡이자 최대 히트곡이 되었다. 1967년 봄, 〈Happy Together〉는 비틀즈의 〈페니 레인〉을 밀어내고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에 3주 동안 올랐으며, 영국 싱글 차트에서는 12위를 기록했다.[7] 동명의 앨범 《Happy Together》도 빌보드 200 차트 25위에 올랐다.
칩 더글러스의 스튜디오 편곡에 감명을 받은 마이클 네스미스는 위스키 어 고고에서 열린 터틀스 공연 후 그에게 몽키스의 프로듀서를 제안했고, 더글러스는 이를 수락하고 터틀스를 떠났다. 터틀스는 더글러스를 대신하여 새로운 베이시스트 짐 폰스와 함께 활동을 이어갔다.
1968년, 첫 두 싱글 〈사운드 슬립〉과 〈더 스토리 오브 록앤롤〉은 톱 100 중위권에 머물렀으나, 더글러스가 스튜디오 작업에 복귀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같은 해 9월 발매된 싱글 〈엘레노어〉는 미국 6위, 영국 7위, 뉴질랜드 1위를 기록했다.[29] 11월에는 개념 앨범 《The Turtles Present the Battle of the Bands》를 발표했다. 이 앨범에서는 〈You Showed Me〉[31]가 싱글로 발매되어 미국 6위를 기록했다.
1969년, 터틀스는 킨크스의 레이 데이비스를 프로듀서로 맞이한 앨범 《Turtle Soup》를 발표했다.[32] 이 앨범은 빌리지 그린 프리서베이션 소사이어티에 영향을 받았으며, "섬웨어 프라이데이 나이트"와 "러브 인 더 시티"가 수록되었고,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지만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
터틀스는 오랫동안 화이트 웨일 레코드와의 관계에 환멸을 느끼고 있었다. 경제적인 문제와 함께, 카일란과 볼먼은 터틀스를 대량 생산적인 팝 밴드로 만들려는 압력에 대항했다.
1970년, 두 번째 컴필레이션 앨범 《More Golden Hits》와 싱글 B면 수록곡을 편집한 《Wooden Head》를 발표하고 활동을 종료했다. 화이트 웨일도 1971년에 영업을 종료했다.[25]
1970년대 중반, 볼먼과 케일런은 프랭크 자파의 밴드 마더스 오브 인벤션에 합류했다.[5] 음반사와의 계약 문제로 본명 대신 플로 & 에디라는 예명을 사용했다. 플로 & 에디는 듀오 앨범을 발표하고, 로스앤젤레스의 KMET 등에서 라디오 쇼를 진행했다.[9]
1980년대에 들어서 이들은 KROQ-FM과 WXRK에서 라디오 쇼를 진행하고, 어린이 프로그램의 사운드트랙 음악을 녹음하는 등 활동을 이어갔다.[9] 1982년에는 라이노 레코드를 통해 터틀스의 오리지널 앨범이 재발매되었다.
1983년, 케일런과 볼만은 법적으로 "터틀스"라는 이름의 사용 권한을 되찾고, 새로운 멤버들과 함께 투어를 시작했다.[10] 1984년에는 "해피 투게더 투어"를 진행했다.[10]
1989년, 힙합 그룹 De La Soul이 터틀스의 노래를 무단 샘플링하여 소송을 제기, 큰 합의를 얻어내며 샘플링 관련 법적 선례를 세웠다.[11]
1990년대 이후, Music Club Records와 Rhino Records에서 앤솔로지 앨범과 라이브 앨범을 발매했다. 1996년에는 초대 드러머 돈 머레이가 사망했다.
2000년대에도 터틀스의 노래는 영화 ''어댑테이션''(2002), ''이매진 미 앤 유''(2005) 등에 사용되며 꾸준히 사랑받았다. 2009년에는 컴필레이션 CD가 발매되었다.[11]
2010년대, 터틀스는 "해피 투게더" 투어를 통해 꾸준히 공연 활동을 이어갔다.[12] 2018년, 케일런이 건강 문제로 투어를 중단하고 론 단테가 합류했다.[13][14] 2020년, 기타리스트 짐 터커가 사망했고,[15][16] 2024년에는 드러머 존 바바타가 사망했다.[17]
2. 1. 결성 및 초기 (1963-1966)
1963년, 캘리포니아주 웨스트체스터 고등학교 출신의 하워드 케일런과 마크 볼먼을 중심으로 터틀스가 결성되었다. 초기에는 '나이트라이더스', '크로스파이어스'라는 이름의 서프 음악 밴드로 활동했다.[4] KRLA와 KFWB DJ이자 클럽 소유주인 레브 포스터의 도움으로, 크로스파이어스는 새롭게 설립된 화이트 웨일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다.[5] 당시 유행하던 음악적 흐름에 따라 그룹은 포크 록 밴드로 변신하여 '''더 터틀스'''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는데, 이는 더 버즈와 비틀즈에서 영감을 얻어 의도적으로 철자를 틀리게 표기한 것이다. 그러나 이 표기는 오래가지 못했다.[5]"서프 음악"에서 "포크 록"으로 스타일이 바뀌면서 케일란과 볼먼은 색소폰을 내려놓고 밴드의 보컬리스트가 되었다. 케일란은 그룹의 리드 싱어가 되었고, 키보디스트가 되었지만 (그들의 히트곡에서는 키보드 파트의 대부분을 니콜에게 넘겨주었다). 볼먼은 케일란의 리드 보컬에 맞춰 하모니를 넣기 시작했고, 밴드의 세 번째 기타리스트이자 퍼커셔니스트가 되었다.
밥 딜런의 곡을 커버한 "잇 에인트 미 베이비"(It Ain't Me Babe)는 1965년 늦여름에 ''빌보드'' 10위 안에 들었고, 밴드의 첫 앨범의 타이틀곡이 되었다.[5] 그들의 두 번째 싱글인 "Let Me Be"는 30위 안에 들었고, "You Baby"는 1966년 초 20위 안에 들었다.[5] "You Baby"는 복잡한 보컬 하모니와 경쾌한 템포로 정치적이고 버즈 스타일의 포크 록에서 벗어난 밴드의 사운드에 영향을 미쳤으며,[5][6] 밴드의 새로운 사운드는 챔버 팝에서 단순한 팝 음악까지 다양했다.[1]
1966년, 터틀스는 유니버설 픽처스의 영화 ''아웃 오브 사이트''에 출연하여 "She'll Come Back"을 불렀다.
같은 해 초, 드러머 돈 머레이와 베이시스트 척 포츠가 그룹을 떠났다. 머레이는 몇 달 동안 조엘 라르손으로 교체되었고, 1966년 말에는 존 바바타가 밴드의 새로운 드러머가 되었다. 포츠는 칩 더글러스로 교체되었다.[5]
2. 2. 전성기 (1966-1968)
1966년 초, 드러머 돈 머레이와 베이시스트 척 포츠가 그룹을 떠났다. 머레이는 몇 달 동안 조엘 라르손으로 교체되었고, 1966년 말에는 존 바바타가 밴드의 새로운 드러머가 되었다. 포츠는 칩 더글러스로 교체되었다.[5]개리 보너와 앨런 고든이 공동 작사한 〈Happy Together〉는 수많은 연주자들에게 거절당했으나, 터틀스의 대표곡이자 최대 히트곡이 되었다. 이 곡은 터틀스와 편곡을 담당한 칩 더글러스 모두에게 전환점을 가져다주었다.[5] 1967년 봄, 〈Happy Together〉는 비틀즈의 〈페니 레인〉을 밀어내고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에 3주 동안 올랐으며, 영국 싱글 차트에서는 12위를 기록했다.[7] 동명의 앨범 《Happy Together》도 빌보드 200 차트 25위에 올랐다. 같은 해, 터틀스는 존 윌리엄스가 작곡하고 레슬리 브리커스가 작사한 곡을 20세기 폭스의 침실 코미디 영화 ''유부남을 위한 안내서''에서 연주했다.
칩 더글러스의 스튜디오 편곡에 감명을 받은 마이클 네스미스는 위스키 어 고고에서 열린 터틀스 공연 후 그에게 몽키스의 프로듀서를 제안했다. 더글러스는 이를 수락하고 터틀스를 떠나 몽키스의 앨범 ''Headquarters''(1967), ''물고기자리, 물병자리, 염소자리 & 존스 주식회사''(1967), ''새, 벌과 몬키스''(1968)를 프로듀싱했다. 마지막 앨범은 밴드와 공동 프로듀싱했다. 한편, 터틀스는 더글러스를 대신하여 새로운 베이시스트 짐 폰스와 함께 활동을 이어갔다.
1968년, 첫 두 싱글 〈사운드 슬립〉과 〈더 스토리 오브 록앤롤〉은 톱 100 중위권에 머물렀다. 그러나 더글러스가 스튜디오 작업에 복귀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같은 해 9월 발매된 싱글 〈엘레노어〉는 미국 6위, 영국 7위, 뉴질랜드 1위를 기록했다.[29] 11월에는 개념 앨범 《The Turtles Present the Battle of the Bands》를 발표, 빅 브라더스, 네이처스 칠드런 등 11개의 다른 밴드를 가장하여 각기 다른 장르의 곡을 불렀다. 이 앨범에서는 〈You Showed Me〉[31]가 싱글로 발매되어 미국 6위를 기록했다. 1968년 2월 26일, 터틀스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마이크 더글러스 쇼'에 출연했고, 1969년 4월에 다시 출연했다.
2. 3. 후기 및 해체 (1969-1970)
1969년 연말, 터틀스는 킨크스의 레이 데이비스를 프로듀서로 맞이한 앨범 《Turtle Soup》를 발표했다.[32] 이 앨범은 킨크스의 콘셉트 앨범 《빌리지 그린 프리서베이션 소사이어티》(1968년)에 영향을 받았다. "섬웨어 프라이데이 나이트"와 "러브 인 더 시티"가 수록되었고,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지만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터틀스는 오랫동안 화이트 웨일 레코드와의 관계에 환멸을 느끼고 있었다. 경제적인 문제도 있었고, 카일란과 볼먼은 터틀스를 대량 생산적인 팝 밴드로 만들려는 압력에 대항했다. 화이트 웨일은 두 사람에게 밴드와 뮤지션을 고용한 투어를 중단하고 그들의 보컬에 멤피스 세션 멤버가 연주하는 백킹 트랙을 추가할 것을 요구했다. 이러한 압력을 받아, 그들은 싱글 "후 우드 에버 싱크 댓 아이 우드 에버 마리 마가렛?"을 수록했다.
1970년, 그들은 두 번째 컴필레이션 앨범 《More Golden Hits》와 싱글 B면 수록곡을 편집한 《Wooden Head》를 발표하고 활동을 종료했다. 상업적으로 가망 있는 밴드를 잃은 화이트 웨일도 1971년에 영업을 종료했다.[25]
2. 4. 해체 이후 (1970년대-현재)
1970년대 중반, 볼먼과 케일런은 프랭크 자파의 밴드 마더스 오브 인벤션에 합류했다.[5] 이들은 음반사와의 계약 문제로 본명 대신 플로 & 에디라는 예명을 사용했다. 플로 & 에디는 듀오 앨범을 발표하고, 로스앤젤레스의 KMET 등에서 라디오 쇼를 진행하며 활동했다.[9] 또한 T. 렉스의 여러 음반에 백 보컬로 참여했고, 경매를 통해 터틀스의 마스터 녹음을 획득하여 자신들의 음반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게 되었다.[5]1980년대에 들어서 이들은 KROQ-FM과 WXRK에서 라디오 쇼를 진행하고, 어린이 프로그램의 사운드트랙 음악을 녹음하는 등 활동을 이어갔다.[9] 앨리스 쿠퍼와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앨범에 백 보컬로 참여하기도 했다. 1982년에는 라이노 레코드를 통해 터틀스의 오리지널 앨범이 재발매되었다.
1983년, 케일런과 볼만은 법적으로 "터틀스"라는 이름의 사용 권한을 되찾고, 새로운 멤버들과 함께 투어를 시작했다.[10] 1984년에는 다른 밴드들과 함께 "해피 투게더 투어"를 진행했다.[10] 1987년에는 영화 ''Making Mr. Right'' 홍보를 위해 "Happy Together" 뮤직 비디오에 출연했고, 라이노 레코드에서 미발매 앨범과 회고 CD를 발매했다.
1989년, 힙합 그룹 De La Soul이 터틀스의 노래를 무단 샘플링하여 소송을 제기, 큰 합의를 얻어내며 샘플링 관련 법적 선례를 세웠다.[11]
1990년대 이후, Music Club Records와 Rhino Records에서 앤솔로지 앨범과 라이브 앨범을 발매했다. 1996년에는 초대 드러머 돈 머레이가 사망했다.
2000년대에도 터틀스의 노래는 영화 ''어댑테이션''(2002), ''이매진 미 앤 유''(2005) 등에 사용되며 꾸준히 사랑받았다. 2009년에는 컴필레이션 CD가 발매되었다.[11]
2010년대, 터틀스는 "해피 투게더" 투어를 통해 꾸준히 공연 활동을 이어갔다.[12] 2018년, 케일런이 건강 문제로 투어를 중단하고 론 단테가 합류했다.[13][14] 2020년, 기타리스트 짐 터커가 사망했고,[15][16] 2024년에는 드러머 존 바바타가 사망했다.[17]
3. 구성원
터틀스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1967년은 터틀스에게 수익성이 좋은 해였다. 고든/보너가 작곡한 "Happy Together"의 후속곡인 "She'd Rather Be with Me"는 미국 차트에서 3위에 올랐고, 영국에서는 4위에 오르며 "Happy Together"보다 더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7] 그 뒤로 톱 15에 오른 곡은 "You Know What I Mean"과 "She's My Girl" 두 곡이었다. 그 해에 밴드는 ''Happy Together''와 ''Golden Hits'' 두 개의 앨범을 발매했다.
1967년 말, 리듬 기타리스트 짐 터커는 투어와 새로운 음반 녹음의 압박을 이유로 밴드를 탈퇴했다. 그는 캘리포니아 주 그래스 밸리로 이주하여 전기 기술자가 되었다. 그는 존 레논이 그에게 무례하게 굴어서 밴드를 떠난 것은 아니라고 부인했다.[8]
3. 1. 현재 구성원
- 마크 볼먼 – 하모니 및 백 보컬, 기타, 타악기 (1965년–1970년, 1983년–현재)
- 론 단테 – 리드 보컬, 기타 (2018년–현재)
3. 2. 이전 구성원
멤버 | 역할 | 활동 기간 | 비고 |
---|---|---|---|
하워드 케일런 | 리드 보컬, 키보드 | 1965년–1970년, 1983년–2018년 | |
알 니콜 | 리드 기타, 키보드, 백 보컬 | 1965년–1970년 | |
짐 터커 | 어쿠스틱 및 일렉트릭 리듬 기타, 백 보컬 | 1965년–1967년 | 2020년 사망 |
척 포츠 | 베이스 기타 | 1965년–1966년 | |
돈 머레이 | 드럼 | 1965년–1966년 | 1996년 사망 |
칩 더글러스 | 베이스 기타, 백 보컬 | 1966년–1967년 | |
조엘 라슨 | 드럼 | 1966년 | |
존 바바타 | 드럼, 퍼커션 | 1966년–1969년 | 2024년 사망 |
짐 폰스 | 베이스 기타, 백 보컬 | 1967년–1970년 | |
존 사이터 | 드럼 | 1969년–1970년 |
1967년 말, 리듬 기타리스트 짐 터커는 투어와 새로운 음반 녹음의 압박을 이유로 밴드를 탈퇴하고 캘리포니아 주 그래스 밸리로 이주하여 전기 기술자가 되었다. 그는 존 레논이 그에게 무례하게 굴어서 밴드를 떠난 것은 아니라고 부인했다.[8]
3. 3. 타임라인 (1965-1970년 오리지널 밴드)
1969년 말, 더 킨크스의 레이 데이비스가 프로듀싱을 맡은 터틀 수프(Turtle Soup) 앨범이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평론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는데, 레이 데이비스가 더 킨크스의 1968년 컨셉 앨범 '''더 킨크스 아 더 빌리지 그린 프리저베이션 소사이어티'''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었다. 터틀 수프는 레이 데이비스가 다른 밴드를 위해 제작한 유일한 앨범이다. "Somewhere Friday Nite"와 "Love in the City"가 주목할 만한 트랙으로 꼽힌다. 터틀 수프는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상업적인 성공은 크지 않았고, 결국 밴드는 해체 수순을 밟게 되었다.
4. 음반 목록
연도 | 음반 | US Top 200 | 레이블 |
---|---|---|---|
1967 | 골든 히츠 | White Whale | |
1970 | 모어 골든 히츠 | White Whale |
터틀스는 1970년 두 번째 컴필레이션 앨범인 ''More Golden Hits''와 B-사이드 및 희귀곡 앨범인 Wooden Head를 발매하며 활동을 마무리했다. 터틀스의 해체로 화이트 웨일 레코드는 가장 큰 수익원을 잃었고, 상업적으로 성공할 만한 밴드가 거의 없어져 곧 운영을 중단했다.
- 참고: 스튜디오 음반과 관련된 내용은 이미 하위섹션에 상세하게 나와있어 중복을 피하기 위해 간략하게 표로 정리하였습니다.
4. 1. 스튜디오 음반
연도 | 음반 | US Top 200 | 레이블 |
---|---|---|---|
1965 | 'It Ain Me Babe | 98 | White Whale |
1966 | You Baby | — | White Whale |
1967 | Happy Together | 25 | White Whale |
1968 | The Turtles Present the Battle of the Bands | 128 | White Whale |
1969 | Turtle Soup | 117 | White Whale |
1970 | Wooden Head | — | White Whale |
1986 | Chalon Road | — | Rhino |
1986 | Shell Shock | — | Rhino |
참조
[1]
웹사이트
The Turtles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1-09-20
[2]
서적
The Encyclopedia of Dead Rock Stars
https://books.google[...]
Chicago Review Press
[3]
웹사이트
The Turtles Biography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08-12-24
[4]
웹사이트
The Turtles {{!}} Biography, Albums, Streaming Links
https://www.allmusic[...]
2021-03-04
[5]
서적
The Virgin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Virgin Books
1997
[6]
웹사이트
You Baby - The Turtles {{!}} Song Info {{!}} AllMusic
https://www.allmusic[...]
2021-03-04
[7]
서적
Complete UK Hit Singles 1952–2004
Collins
[8]
웹사이트
eTerritorial Dispatch: Interview With A Turtle
http://eterritoriald[...]
2017-03-17
[9]
웹사이트
Flo and Eddie by the Fireside op Myspace Music – Gratis Gestreamde MP3s, Fotos, en Videoclips
http://www.myspace.c[...]
Myspace.com
2011-01-25
[10]
웹사이트
HAPPY TOGETHER TOUR
http://www.kingcente[...]
2019-08-27
[11]
웹사이트
Save The Turtles: The Turtles Greatest Hits: Turtles: Music
https://www.amazon.c[...]
2011-01-25
[12]
웹사이트
Happy Together Tour Returns In Summer 2011
http://neufutur.com/[...]
2011-05-12
[13]
웹사이트
Happy Together Tour 2018: 'The Show Must Go On'
https://bestclassicb[...]
2018-12-21
[14]
웹사이트
A pioneering Jewish rock band got its start in 1965; they're still slowly and steadily turtling along
https://forward.com/[...]
2024-04-19
[15]
웹사이트
James Roy Tucker
https://www.hooperan[...]
2021-03-23
[16]
뉴스
Jim Tucker, rhythm guitarist for The Turtles and Grass Valley resident, dies at 74
https://www.theunion[...]
The Union
2020-11-16
[17]
웹사이트
John Barbata, Drummer for the Turtles and Jefferson Starship, Dead at 79
https://www.rollings[...]
2024-05-15
[18]
AllMusic
The Turtles Biography
2021-09-26
[19]
서적
The End: 50 Apocalyptic Visions From Pop Culture That You Should Know About...Before It's Too Late
Lerner Publishing Group
[20]
서적
The Encyclopedia of Dead Rock Stars
https://books.google[...]
Chicago Review Press
[21]
웹사이트
The Turtles Biography
http://www.rollingst[...]
Rolling Stone
2008-12-24
[22]
문서
二人はタートルズが解散した後、[[フランク・ザッパ]]のソロ・アルバム『[[チャンガの復讐|チュンガの復讐]]』に参加して、さらに[[マザーズ・オブ・インヴェンション|ザ・マザーズ・オブ・インヴェンション]]に加入した。その際、契約の都合でマーク・ボルマンとハワード・カイランの名前を使用できなかったので、タートルズ時代の2人のローディーに因んでThe Florescent Leech and Eddieと名乗ることにした。この名が短くなってFlo and Eddieになった。因みにカイランはザ・マザーズ・オブ・インヴェンションのマネージャーだった[[:en:Herb_Cohen|ハーブ・コーヘン]]の従兄弟に当たる。
[23]
서적
Zappa
Grove Press
[24]
웹사이트
The Turtles official website
http://www.theturtle[...]
[25]
웹사이트
Discogs
https://www.discogs.[...]
2024-11-05
[26]
문서
後に[[クロスビー・スティルス・ナッシュ&ヤング]]のアルバム『[[4ウェイ・ストリート]]』(1970年)に参加した後、[[ジェファーソン・エアプレイン]]、[[ジェファーソン・エアプレイン|ジェファーソン・スターシップ]]のメンバーとして活動した。
[27]
문서
タッカー本人は否定している。
[28]
웹사이트
Howard Kaylan interview: "My Dinner with Jimi". Musoscribe.com by Bill Kopp'
http://musoscribe.co[...]
[29]
서적
Complete UK Hit Singles 1952-2004
Collins
[30]
문서
作曲[[ジョン・ウィリアムズ (作曲家)|ジョン・ウィリアムズ]]、作詞レスリー・ブリカス。
[31]
문서
バーズの[[ジーン・クラーク]]と[[ロジャー・マッギン]]によって1964年に作られた。
[32]
문서
デイヴィスが他のバンドのアルバムの制作に携わった唯一の例である。
[33]
서적
Zappa
Grove Press
[34]
문서
カイラン、ボルマン(フロ&エディ)と共に[[マザーズ・オブ・インヴェンション|ザ・マザーズ・オブ・インヴェンション]]で活動した。
[35]
웹사이트
The Turtles Chart History (Billboard 200)
https://www.billboar[...]
Billboard
2021-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