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사 쇼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털사 쇼크는 1998년 WNBA의 확장 팀으로 시작하여 2015년까지 존재했던 여자 프로 농구팀이다. 디트로이트 쇼크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여 2003년, 2006년, 2008년에 WNBA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성공적인 시기를 보냈다. 2010년 털사로 연고지를 이전했지만, 선수 이탈과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2015년 댈러스로 다시 연고지를 이전하며 털사 쇼크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클라호마주의 농구팀 - 오클라호마시티 선더
오클라호마시티 선더는 1967년 시애틀 슈퍼소닉스로 창단되어 2008년 오클라호마시티로 연고지를 이전한 NBA 팀이며, 서부 컨퍼런스 챔피언십 우승과 NBA 챔피언십 우승을 경험하고, 케빈 듀란트, 러셀 웨스트브룩 등을 중심으로 팀을 재건하여 2012년 NBA 파이널에 진출했으며, 현재 페이콤 센터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오클라호마주의 농구팀 - 오클라호마시티 블루
2001년 창단하여 두 번의 D-리그 챔피언십 우승 후 털사를 거쳐 2014년 오클라호마시티로 연고지를 이전한 오클라호마시티 블루는 NBA G 리그 소속의 프로 농구 팀이자 오클라호마시티 선더의 제휴팀이며, 2024년 G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 2015년 해체된 스포츠 클럽 - 오클라호마시티 배런스
오클라호마시티 배런스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AHL에 소속되었던 아이스하키 팀으로, 재정난과 낮은 관중 동원율로 인해 운영을 중단하고 프랜차이즈를 베이커스필드로 이전했다. - 2015년 해체된 스포츠 클럽 - 우스터 샤크스
우스터 샤크스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활동한 샌호세 샤크스의 제휴팀으로, 조 파벨스키, 더글러스 머레이 등이 주요 선수였고 로이 솜머가 감독을 맡았다. - 털사의 스포츠 - 오클라호마시티 블루
2001년 창단하여 두 번의 D-리그 챔피언십 우승 후 털사를 거쳐 2014년 오클라호마시티로 연고지를 이전한 오클라호마시티 블루는 NBA G 리그 소속의 프로 농구 팀이자 오클라호마시티 선더의 제휴팀이며, 2024년 G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 털사의 스포츠 - FC 털사
미국 오클라호마주 털사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 FC 털사는 USL 챔피언십에 참가하며 원오케이 필드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2014년 털사 러프넥스 FC로 창단되어 2020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털사 쇼크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털사 쇼크 |
원래 이름 | 디트로이트 쇼크 (1998년~2009년) |
후신 | 댈러스 윙스 (2016년~현재) |
창단 | 1998년 |
해체 | 2015년 |
연고지 | 오클라호마주 털사 |
홈 경기장 | BOK 센터 |
일반 | |
리그 | WNBA |
콘퍼런스 | 서부 콘퍼런스 |
색상 | 금색 검은색 하얀색 빨간색 |
스폰서 | 오세이지 카지노 |
웹사이트 | http://shock.wnba.com/ |
구단 정보 | |
구단주 | 털사 프로 훕스 LLC |
단장 | 스티브 스웨토하 |
감독 | 프레드 윌리엄스 (마지막 감독) |
코치 | 에드 볼드윈 브리짓 페티스 |
우승 기록 | |
리그 우승 | 3회 (2003년, 2006년, 2008년) |
콘퍼런스 우승 | 4회 (2003년, 2006년, 2007년, 2008년) |
유니폼 | |
홈 | 몸통: FFBF00 옆면 패턴: _blacksides 반바지: FFBF00 반바지 패턴: _blacksides |
원정 | 몸통: 000000 옆면 패턴: _goldsides 반바지: 000000 반바지 패턴: _goldsides |
로고 | |
![]() |
2. 역사
WNBA 확장 팀 중 하나였던 털사 쇼크는 1998년에 리그에 참가하여 신인 선수와 베테랑 선수를 빠르게 영입했다. 그러나 창단 후 5년 동안은 단 한 번만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이 기간 동안 쇼크는 농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 낸시 리버먼과 그렉 윌리엄스 등 두 명의 코치를 거쳤다. 이후 전 디트로이트 피스톤스의 레전드 빌 람비어를 고용했다. 2002 시즌 부진으로 쇼크가 해체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지만, 람비어는 구단주들을 설득하여 팀을 1년 더 유지하게 했고, 상황을 반전시킬 수 있다고 확신했다.[1]
빌 람비어는 2003 시즌 전 쇼크가 리그 챔피언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고, 이는 현실이 되었다. 쇼크는 25승 9패의 기록으로 정규 시즌을 마감했고, 7경기 차이로 1번 시드를 확보했다. 플레이오프에서 클리블랜드 로커스와 코네티컷 선을 꺾고 WNBA 파이널에 진출, 3차전에서 승리하며 WNBA 역사상 가장 많은 관중(22,076명)을 동원했다. 디트로이트는 한 시즌 최하위에서 다음 시즌에 WNBA 챔피언이 된 리그 역사상 최초의 팀이 되었다.[1]
2006년 쇼크는 23승 11패로 동부 컨퍼런스 2위를 기록, 인디애나 피버와 코네티컷 선을 꺾고 파이널에 진출하여 새크라멘토 모나크스를 3-2로 꺾고 두 번째 WNBA 타이틀을 차지했다.[1]
2008년 쇼크는 22승 12패로 동부 컨퍼런스 최고 기록을 세웠고, 파이널에서 샌안토니오 실버 스타스를 스윕하며 세 번째 챔피언십을 차지했다.[1]
2009년 10월 20일, 디트로이트 쇼크의 털사 이전이 발표되었다. 2010년 1월 23일, 팀 명칭은 쇼크로 유지하고, 팀 색상을 검정, 빨강, 금색으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2]
셰릴 포드는 부상으로 WNBA를 떠났고, 타지 맥윌리엄스-프랭클린은 뉴욕 리버티와 계약, 디앤나 놀란은 러시아로, 케이티 스미스는 워싱턴 미스틱스와 계약했다.[3] 새로운 감독 겸 단장 놀란 리처드슨은 2010년 털사 쇼크 시즌 중반까지 디트로이트 출신 선수를 모두 내보냈다.
쇼크는 6승 28패로 리그 최하위를 기록, 2002년 이후 처음으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2011년 WNBA 드래프트에서 2순위 지명권을 얻었다.
2012년에는 9승 25패, 2013년 11승 23패, 2014년 12승 22패를 기록했다.
2015년, 털사 쇼크는 10승 7패로 좋은 출발을 보였지만, 스카일라 디긴스의 부상 이후 플레이오프에서 피닉스 머큐리에 패했다.[6]
2015년 7월 20일, 팀의 댈러스 이전이 발표되었다. 7월 23일, WNBA 구단주들은 털사 쇼크의 댈러스-포트워스 이전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9월 13일 피닉스 머큐리와의 경기가 털사에서의 마지막 정규 시즌 홈 경기였다.[6]
2. 1. 디트로이트 쇼크 (1998-2009)
쇼크는 1998년 WNBA 확장 팀 중 하나로 리그에 참가하여, 신인 선수와 베테랑 선수를 빠르게 영입했다. 그러나 창단 후 5년 동안 단 한 번만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쇼크는 낸시 리버먼과 그렉 윌리엄스를 포함하여 두 명의 코치를 거친 후, 전 디트로이트 피스톤스의 레전드 빌 람비어를 고용했다. 2002 시즌 부진으로 쇼크가 해체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지만, 람비어는 구단주들을 설득하여 팀을 1년 더 유지하게 했고, 상황을 반전시킬 수 있다고 확신했다.[1]2. 1. 1. 초기 (1998-2002)
WNBA 확장 팀 중 하나였던 털사 쇼크는 1998년에 리그에 참가하여 신인 선수와 베테랑 선수를 빠르게 영입했다. 그러나 창단 후 5년 동안 단 한 번만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데 그쳤다. 이 기간 동안 쇼크는 전 농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 낸시 리버먼과 그렉 윌리엄스 등 두 명의 코치를 거쳤다. 이후 전 디트로이트 피스톤스의 레전드 빌 람비어를 고용했다. 2002 시즌의 부진으로 인해 쇼크가 해체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지만, 람비어는 구단주들을 설득하여 팀을 1년 더 유지하게 했고, 상황을 반전시킬 수 있다고 확신했다.[1]
2. 1. 2. 빌 레임비어 시대 (2003-2008)
빌 레임비어는 로스터에 대대적인 변화를 준 후, 2003 시즌 전에 쇼크가 리그 챔피언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고, 그의 예측은 놀랍게도 현실이 되었다. 쇼크는 25승 9패의 기록으로 시즌을 마감했고, 7경기 차이로 1번 시드를 확보했다. 플레이오프에서 쇼크는 클리블랜드 로커스와 코네티컷 선을 꺾고 WNBA 파이널에 진출했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쇼크는 2회 연속 챔피언인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의 엄청난 언더독으로 여겨졌다. 쇼크는 시리즈에서 승리하여 3차전에서 짜릿한 승리를 거두었고(2003년 파이널은 3전 2선승제), 이는 WNBA 역사상 가장 많은 관중(22,076명)을 동원했다. 디트로이트는 한 시즌 최하위에서 다음 시즌에 WNBA 챔피언이 된 리그 역사상 최초의 팀이 되었다.[1]
2004년과 2005년에 아쉽게 실패한 후, 2006년 쇼크는 23승 11패의 기록으로 시즌을 마쳤고, 동부 컨퍼런스 2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쇼크는 인디애나 피버와 코네티컷 선을 꺾고 다시 파이널에 진출하여, 디펜딩 챔피언 새크라멘토 모나크스와 맞붙었다. 쇼크는 시리즈에서 3-2로 승리하며 두 번째 WNBA 타이틀을 차지했다.[1]
2007년 쇼크는 다시 파이널에 진출했지만, 피닉스 머큐리에게 5경기 만에 패했다. 2008년 쇼크는 22승 12패의 정규 시즌 기록을 세우며, 다시 한번 동부 컨퍼런스 최고 기록을 세웠다. 파이널에서 쇼크는 시즌 내내 동부 컨퍼런스 팀에게 단 한 번도 패한 적이 없는 샌안토니오 실버 스타스와 맞붙었다. 놀랍게도 디트로이트는 샌안토니오를 스윕하며 구단 역사상 세 번째 챔피언십을 차지했다.[1]
2. 2. 털사 쇼크 (2010-2015)
2015년 7월 23일, WNBA 리그 구단주들은 털사 쇼크의 댈러스-포트워스 이전을 만장일치로 승인하였다. 9월 13일 피닉스 머큐리(Phoenix Mercury영어)와의 경기가 털사에서의 마지막 정규 시즌 홈 경기였다.[2] 쇼크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어린 선수들로 구성된 팀은 피닉스 머큐리에게 2연패로 휩쓸렸다. 댈러스 포트워스의 새로운 홈 경기장은 UT 알링턴 매버릭스의 홈구장인 칼리지 파크 센터이다.2009년 중반까지 털사는 WNBA 확장 가능성이 있는 도시로 언급되었지만, 구체적인 노력은 없었다. 이후 털사 사업가와 정치인들로 구성된 조직위원회가 팀 유치 노력을 시작했고, WNBA 회장 도나 오렌더는 원래 9월 1일이었던 마감일을 10월 중으로 연장했다. 투자 그룹은 전 아칸소 대학교 헤드 코치 놀란 리차드슨을 잠재적인 프랜차이즈 단장 겸 헤드 코치로 고용했다. 리차드슨은 털사 대학교에서 5년간 헤드 코치를 맡아 첫 해에 NIT 타이틀을 획득하는 등 지역에서 인기 있는 인물이었다. 프랜차이즈 확보 전에 코치를 고용한 것을 의아하게 여기는 시각도 있었지만, 투자자들은 리그에 팀을 유치하겠다는 진지함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2009년 10월 15일, 그룹은 리그 가입을 공식 요청했다.
2009년 10월 20일, WNBA 회장 도나 오렌더, 수석 투자자 빌 캐머런과 데이비드 박스, 털사 시장 캐시 테일러, 오클라호마 주지사 브래드 헨리, 그리고 헤드 코치 놀란 리차드슨이 참석한 기자 회견에서 디트로이트 쇼크가 털사로 이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10년 1월 23일, 프랜차이즈는 팀 명칭을 쇼크로 유지하고, 팀 색상을 검정, 빨강, 금색으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2]
2. 2. 1. 연고지 이전 (2010)
2009년 10월, 디트로이트 쇼크는 오클라호마주 털사로 연고지 이전을 발표했다. 그러나 털사 쇼크는 투자자들의 기대와는 달리, 디트로이트 시절 핵심 선수 4명이 이적하지 않았다. 셰릴 포드는 부상으로 WNBA를 떠나 해외에서 뛰었고, 타지 맥윌리엄스-프랭클린은 뉴욕 리버티와 자유 계약을 맺었다. 디앤나 놀란도 WNBA를 떠나 러시아에서 뛰었으며, 케이티 스미스는 워싱턴 미스틱스와 계약했다. 새로운 감독 겸 단장 놀란 리처드슨은 선수단 구성에 대한 자신만의 비전을 가지고 있었고, 2010년 털사 쇼크 시즌 중반까지 팀에는 디트로이트 출신 선수가 한 명도 남지 않았다.2. 2. 2. 어려운 시기 (2010-2014)
셰릴 포드는 지속적인 부상으로 인해 경기에 출전하지 않기로 결정했고, 결국 WNBA를 떠나 해외에서 뛰었다. 타지 맥윌리엄스-프랭클린은 뉴욕 리버티와 자유 계약을 맺었다. 디앤나 놀란은 포드처럼 WNBA를 떠나 러시아에서 뛰었다. 케이티 스미스는 (구두 합의에 불과했던) 쇼크와 계약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워싱턴 미스틱스와 계약했다.[3] 이러한 선수들의 부재와 함께, 새로운 감독 겸 단장 놀란 리처드슨은 선수단 구성에 대한 자신만의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2010년 털사 쇼크 시즌 중반까지 팀에는 디트로이트 출신 선수가 한 명도 남지 않았다.리처드슨의 첫 번째 드래프트 지명 선수인 아만다 톰슨은 실패작이었다. 그녀는 7경기(선발 출전 없음)만 출전했고, 시즌 한 달 만에 방출되었다. 또 다른 주요 계약 선수인 몰락한 올림픽 육상 스타 마리온 존스 또한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그녀는 13년 전 노스캐롤라이나 타힐스 여자 농구 시절 이후 의미 있는 농구 경기에 출전한 적이 없었다.
팀은 일관성이 부족했고, 때로는 리처드슨이 매 경기마다 선수 명단을 변경하는 것처럼 보였다. 선수들은 또한 리처드슨의 격렬한 "40분 지옥" 스타일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3] 쇼크는 6승 28패라는 처참한 성적으로 리그 최하위를 기록했다. 그들은 디트로이트에서 2002년 이후 처음으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귀중한 선수들을 잃고 좋지 않은 출발을 보인 쇼크는 드래프트 로터리에 진출했고, 2011년 WNBA 드래프트에서 2순위 지명권을 얻었다.
쇼크는 19세의 오스트레일리아 센터 리즈 캠비지를 선발하여 그녀를 중심으로 성공적인 팀을 구축하고자 했다. 팀은 또한 베테랑이자 WNBA의 창립 선수 중 한 명인 셰릴 스웁스와 계약했다. 그러나 선수단 변화는 충분하지 않았고, 팀이 시즌을 1승 10패로 시작한 후, 리처드슨 감독이 사임했다. 어시스턴트 코치 테레사 에드워즈가 임시로 그의 자리를 맡았다. 며칠 후 존스가 방출되었다. 쇼크는 2011년 WNBA 올스타전에 1승 14패로 진입하며 상황이 나아지지 않았다. 시즌 후반에 쇼크는 20연패를 기록하며 WNBA 역사상 최장 연패 기록을 세웠다.
2012년에도 불행은 계속되어 팀은 시즌을 1승 11패로 시작했고, 9승 25패로 시즌을 마감했다.[4] 팀은 2013년 11승 23패, 2014년 12승 22패로 약간 더 나은 성적을 기록했다.
2. 2. 3. 털사에서의 성공과 마지막 시즌 (2015)
2015년, 털사 쇼크는 10승 7패로 좋은 출발을 보였으며, 특히 BOK 센터에서 6승 1패를 기록했다. 그러나 6월에 주전 포인트 가드 스카일라 디긴스가 무릎 부상을 당해 남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털사 쇼크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피닉스 머큐리(Phoenix Mercury영어)에 2연패로 휩쓸리고 말았다.[6]2015년 7월 20일, 과반수 소유주 빌 카메론은 팀을 댈러스로 이전할 것이라고 발표하여 털사 팬들과 WNBA에 큰 충격을 주었다. 다음 날, 소수 지분 소유주 스튜어트 프라이스는 팀을 털사에 유지하기 위해 카메론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지만 실패했다.[5] 7월 23일, WNBA 구단주들은 털사 쇼크의 댈러스-포트워스 이전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털사에서 쇼크의 마지막 정규 시즌 홈 경기는 9월 13일 피닉스 머큐리와의 경기였다.[6] 2015년 시즌을 끝으로 털사 쇼크는 댈러스-포트워스 지역으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3. 유니폼
디트로이트 쇼크는 홈 유니폼으로 흰색 바탕에 검정색과 파란색 팀 로고와 WNBA 농구공이 새겨진 유니폼을 착용했고, 원정 유니폼으로는 파란색 바탕에 "Detroit"이라는 단어가 새겨진 유니폼을 착용했다. 털사 쇼크는 홈 유니폼으로 금색 바탕에 검정색과 금색 팀 로고가 새겨진 유니폼을 착용했고, 원정 유니폼으로는 검은색 바탕에 금색으로 "Tulsa"라는 단어가 비스듬히 새겨진 유니폼을 착용했다.[7] 오세이지 카지노(Osage Casino) 로고는 쇼크의 홈 및 원정 유니폼에 모두 표시되었다.[8]
4. 역대 시즌별 성적
시즌 | 팀 | 컨퍼런스 | 정규 시즌 | 플레이오프 결과 | 감독 | |||
---|---|---|---|---|---|---|---|---|
승 | 패 | 승률 | ||||||
디트로이트 쇼크 | ||||||||
1998 | 1998 | 동부 | 4위 | 17 | 13 | .567 | 진출 실패 | 낸시 라이버먼 |
1999 | 1999 | 동부 | 2위 | 15 | 17 | .469 | 컨퍼런스 준결승 (샬럿) 0–1 패배 | 낸시 라이버먼 |
2000 | 2000 | 동부 | 5위 | 14 | 18 | .438 | 진출 실패 | 낸시 라이버먼 |
2001 | 2001 | 동부 | 7위 | 10 | 22 | .313 | 진출 실패 | 그레그 윌리엄스 |
2002 | 2002 | 동부 | 8위 | 9 | 23 | .281 | 진출 실패 | 그레그 윌리엄스(0–10) 빌 레임비어(9–13) |
2003 | 2003 | 동부 | 1위 | 25 | 9 | .735 | 컨퍼런스 준결승 (클리블랜드) 2–1 승리 컨퍼런스 결승 (코네티컷) 2–0 승리 WNBA 결승 (로스앤젤레스) 2–1 승리 | 빌 레임비어 |
2004 | 2004 | 동부 | 3위 | 17 | 17 | .500 | 컨퍼런스 준결승 (뉴욕) 1–2 패배 | 빌 레임비어 |
2005 | 2005 | 동부 | 4위 | 16 | 18 | .471 | 컨퍼런스 준결승 (코네티컷) 0–2 패배 | 빌 레임비어 |
2006 | 2006 | 동부 | 2위 | 23 | 11 | .676 | 컨퍼런스 준결승 (인디애나) 2–0 승리 컨퍼런스 결승 (코네티컷) 2–1 승리 WNBA 결승 (새크라멘토) 3–2 승리 | 빌 레임비어 |
2007 | 2007 | 동부 | 1위 | 24 | 10 | .706 | 컨퍼런스 준결승 (뉴욕) 2–1 승리 컨퍼런스 결승 (인디애나) 2–1 승리 WNBA 결승 (피닉스) 2–3 패배 | 빌 레임비어 |
2008 | 2008 | 동부 | 1위 | 22 | 12 | .647 | 컨퍼런스 준결승 (인디애나) 2–1 승리 컨퍼런스 결승 (뉴욕) 2–1 승리 WNBA 결승 (샌안토니오) 3–0 승리 | 빌 레임비어 |
2009 | 2009 | 동부 | 3위 | 18 | 16 | .529 | 컨퍼런스 준결승 (애틀랜타) 2–0 승리 컨퍼런스 결승 (인디애나) 1–2 패배 | 빌 레임비어(1–3) 릭 마혼(17–13) |
털사 쇼크 | ||||||||
2010 | 2010 | 서부 | 6위 | 6 | 28 | .176 | 진출 실패 | 놀란 리처드슨 |
2011 | 2011 | 서부 | 6위 | 3 | 31 | .088 | 진출 실패 | 놀란 리처드슨(1–10) 테레사 에드워즈(2–21) |
2012 | 2012 | 서부 | 5위 | 9 | 25 | .265 | 진출 실패 | 게리 클로펜버그 |
2013 | 2013 | 서부 | 6위 | 11 | 23 | .324 | 진출 실패 | 게리 클로펜버그 |
2014 | 2014 | 서부 | 5위 | 12 | 22 | .353 | 진출 실패 | 프레드 윌리엄스 |
2015 | 2015 | 서부 | 3위 | 18 | 16 | .529 | 컨퍼런스 준결승 (피닉스) 0–2 패배 | 프레드 윌리엄스 |
정규 시즌 | 269 | 331 | .448 | 컨퍼런스 우승 4회 | ||||
플레이오프 | 30 | 21 | .588 | WNBA 우승 3회 |
디트로이트 쇼크는 3번의 WNBA 우승을 차지했다. (2003, 2006, 2008) 털사 쇼크 시절에는 2015년에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5. 주요 선수
다음은 털사 쇼크의 주요 선수들이다.
선수 | 포지션 | 털사 쇼크 활동 기간 | 주요 경력 |
---|---|---|---|
셰릴 포드 | 포워드 | 2003-2008 | 2003년 WNBA 올해의 신인, 2007년 WNBA 올스타 게임 MVP |
디애나 놀란 | 가드/포워드 | 2001-2009 | 2006년 WNBA 파이널 MVP |
스카일라 디긴스 | 가드 | 2013-2015 | 2014년 WNBA 최우수 기량 발전상 |
리즈 캠비지 | 센터 | 2011, 2013 | 2011년 WNBA 올루키 팀 |
매리언 존스 | 가드 | 2010-2011 | 전 올림픽 육상 스타 |
연도 | 선수 |
---|---|
1999 | 샌디 브론델로 |
2000 | 웬디 파머 |
2003 | 스윈 캐시 |
셰릴 포드, 디애나 놀란 | |
2004 | 셰릴 포드, 디애나 놀란 |
2005 | 스윈 캐시, 셰릴 포드, 디애나 놀란, 루스 라일리 |
2006 | 셰릴 포드, 디애나 놀란, 케이티 스미스 |
2007 | 카라 브랙스턴, 셰릴 포드, 디애나 놀란 |
2009 | 케이티 스미스 |
2011 | 리즈 캠비지 |
2013 | 글로리 존슨 |
2014 | 스카일라 디긴스, 글로리 존슨 |
2015 | 스카일라 디긴스, 플레네트 피어슨, 리쿠나 윌리엄스 |
연도 | 선수 | 상 |
---|---|---|
2003 | 루스 라일리 | 파이널 MVP |
셰릴 포드 | 올해의 신인 | |
빌 램비어 | 올해의 코치 | |
2006 | 디애나 놀란 | 파이널 MVP |
2007 | 셰릴 포드 | 올스타 게임 MVP |
플레네트 피어슨 | 올해의 식스우먼 | |
2008 | 케이티 스미스 | 파이널 MVP |
2013 | 리쿠나 윌리엄스 | 올해의 식스우먼 |
2014 | 스카일라 디긴스 | 최우수 기량 발전상 |
코트니 파리스 | 피크 퍼포머 (리바운드) | |
2015 | 코트니 파리스 | 피크 퍼포머 (리바운드) |
연도 | 선수 | 팀 |
---|---|---|
1998 | 신디 브라운 | 세컨드 팀 |
2003 | 스윈 캐시 | 세컨드 팀 |
셰릴 포드 | 세컨드 팀 | |
디애나 놀란 | 세컨드 팀 | |
2004 | 스윈 캐시 | 세컨드 팀 |
2006 | 디애나 놀란 | 세컨드 팀 |
2008 | 디애나 놀란 | 세컨드 팀 |
2009 | 디애나 놀란 | 세컨드 팀 |
2014 | 스카일라 디긴스 | 퍼스트 팀 |
연도 | 선수 | 팀 |
---|---|---|
2005 | 디애나 놀란 | 세컨드 팀 |
2006 | 셰릴 포드 | 세컨드 팀 |
디애나 놀란 | 세컨드 팀 | |
2007 | 디애나 놀란 | 퍼스트 팀 |
2008 | 디애나 놀란 | 세컨드 팀 |
케이티 스미스 | 세컨드 팀 | |
2009 | 디애나 놀란 | 세컨드 팀 |
2013 | 글로리 존슨 | 세컨드 팀 |
연도 | 선수 |
---|---|
2009 | 샤본테 젤러스 |
2011 | 리즈 캠비지 |
2012 | 글로리 존슨 |
리쿠나 윌리엄스 | |
2013 | 스카일라 디긴스 |
2014 | 오디세이 심스 |
6. 라이벌
코네티컷 선, 인디애나 피버, 로스앤젤레스 스파크스, 미네소타 링크스는 털사 쇼크의 라이벌이다.
7. 경기장
털사 쇼크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오클라호마주 털사에 있는 BOK 센터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했다. BOK 센터의 농구 경기 매진 관중 수는 17,839명이다.[1]
디트로이트 쇼크 시절에는 오번힐스 팰리스를 홈 경기장으로 사용했으며, 농구 경기 매진 관중 수는 22,076명이었다.
연도 | 평균 | 최고 | 최저 | 매진 | 연간 총 관중 | WNBA 경기 평균 |
---|---|---|---|---|---|---|
디트로이트 쇼크 | ||||||
1998 | 10,229 (6위) | 16,246 | 7,102 | 0 | 153,434 | 10,869 |
1999 | 8,485 (9위) | 12,378 | 6,771 | 0 | 135,753 | 10,207 |
2000 | 6,716 (13위) | 10,147 | 4,480 | 0 | 107,449 | 9,074 |
2001 | 6,834 (14위) | 13,378 | 4,013 | 0 | 109,348 | 9,105 |
2002 | 5,886 (16위) | 10,893 | 3,315 | 0 | 94,171 | 9,228 |
2003 | 7,862 (9위) | 12,414 | 3,532 | 0 | 133,647 | 8,826 |
2004 | 9,462 (4위) | 14,435 | 6,542 | 0 | 160,860 | 8,589 |
2005 | 9,374 (3위) | 14,932 | 5,635 | 0 | 159,356 | 8,172 |
2006 | 9,643 (1위) | 12,985 | 6,932 | 0 | 163,924 | 7,476 |
2007 | 9,749 (1위) | 14,109 | 7,421 | 0 | 165,738 | 7,819 |
2008 | 9,569 (1위) | 15,210 | 6,842 | 0 | 162,669 | 7,948 |
2009 | 8,011 (5위) | 14,439 | 5,239 | 0 | 136,184 | 8,029 |
털사 쇼크 | ||||||
2010 | 4,812 (11위) | 7,806 | 3,333 | 0 | 81,811 | 7,834 |
2011 | 4,828 (12위) | 7,509 | 3,435 | 0 | 82,069 | 7,954 |
2012 | 5,203 (12위) | 7,509 | 4,102 | 0 | 88,453 | 7,452 |
2013 | 5,474 (12위) | 7,381 | 4,107 | 0 | 93,055 | 7,531 |
2014 | 5,566 (12위) | 7,256 | 4,107 | 0 | 94,626 | 7,578 |
2015 | 5,168 (11위) | 7,256 | 4,145 | 0 | 87,854 | 7,184 |
8. 영구 결번
털사 쇼크에는 영구 결번이 없다.
9. 미디어 보도
털사 시절 일부 경기는 콕스 채널(COX)을 통해 방송되었는데, 이는 오클라호마 주의 특정 지역을 위한 지역 텔레비전 방송국이었다. 대부분의 경우, NBA TV가 지역 방송의 피드를 받아 전국적으로 방송했다. 털사 쇼크 경기의 해설자는 마이크 울프와 샤나 크로슬리였다.
참조
[1]
간행물
WNBA Approves Relocation of Shock from Tulsa to Dallas-Fort Worth
http://www.wnba.com/[...]
WNBA
2015-07-23
[2]
웹사이트
NBA.com
http://www.wnba.com/[...]
WNBA
2013-03-22
[3]
뉴스
Leaving Detroit for Tulsa, the Shock Lost Their Wa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1-09-05
[4]
웹사이트
2012 Regular Season Conference Standings
http://www.wnba.com/[...]
WNBA
2013-03-22
[5]
뉴스
Tulsa Shock announces plans to move to Dallas-Fort Worth; minority owner Stuart Price files suit
http://www.tulsaworl[...]
2015-07-21
[6]
뉴스
WNBA owners unanimously approved relocation of Tulsa Shock to Dallas-Fort Worth area
http://www.seattleti[...]
2015-08-03
[7]
웹사이트
Tulsa Shock, Osage Casino Enter Partnership
https://gtrnews.com/[...]
D. Forrest Cameron
2020-08-01
[8]
웹사이트
SHOCK: Osage Casino Partnership
http://www.wnba.com/[...]
WNBA
2015-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