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은 토종벌에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KSBV)가 원인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일벌이 애벌레 사체를 벌통 밖으로 버리고, 벌통 내에 죽은 애벌레와 번데기가 많이 발견되며, 감염된 애벌레는 물찬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감염 경로는 꽃을 통한 전파가 유력하며, 오염된 봉군, 벌 기구 등을 통해서도 확산될 수 있다. 2009년 국내에서 발생하여 전국으로 확산되었으며, 현재까지 치료법이 없어 감염된 지역의 토종벌은 전멸하는 심각한 피해를 초래한다. 낭충봉아부패병과 비교하여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은 토종벌에만 발생하고, 예방 및 치료가 어려워 피해가 크다.

2. 증상

일벌들이 매일 수많은 애벌레 사체를 벌통 밖으로 버린다.[1][2] 벌통 바닥과 입구에는 유백색 애벌레 사체가 널려 있다.[1][2] 발병 후 약 1-2주 내에 벌통을 버리고 도망가는 현상이 나타나며, 도망간 후에도 애벌레를 계속 빼내다가 결국 망한다.[1][2]

벌집에는 봉개된 벌방 수가 매우 적고, 벌방 뚜껑을 열어보면 대부분 죽은 전용(前蛹) 상태의 애벌레나 번데기가 발견된다.[1][2] 즉, 번데기가 거의 없어 대가 끊겨 봉군이 망하게 된다. 병에 걸린 애벌레는 번데기로 탈바꿈하지 못하고 벌방 안에서 등을 뻗고 기대어 있는 모습으로 죽는다.[1][2]

감염된 애벌레는 피부가 질기고 물이 찬 듯한 모습을 보인다.[1][2] 일벌들이 애벌레 사체를 열심히 제거하므로, 벌방에는 사체가 많지 않다.[1][2]

2. 1.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의 주요 증상

일벌들이 매일 수많은 애벌레 사체를 벌통 밖으로 버린다.[1][2] 벌통 바닥과 입구에는 유백색 애벌레 사체가 널려 있다.[1][2] 발병 후 약 1-2주 내에 벌통을 버리고 도망가는 현상이 나타나며, 도망간 후에도 애벌레를 계속 빼내다가 결국 망한다.[1][2]

벌집에는 봉개된 벌방 수가 매우 적고, 벌방 뚜껑을 열어보면 대부분 죽은 전용(前蛹) 상태의 애벌레나 번데기가 발견된다.[1][2] 즉, 번데기가 거의 없어 대가 끊겨 봉군이 망하게 된다. 병에 걸린 애벌레는 번데기로 탈바꿈하지 못하고 벌방 안에서 등을 뻗고 기대어 있는 모습으로 죽는다.[1][2]

감염된 애벌레는 피부가 질기고 물이 찬 듯한 모습을 보인다.[1][2] 일벌들이 애벌레 사체를 열심히 제거하므로, 벌방에는 사체가 많지 않다.[1][2]

3. 병원체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의 원인 바이러스는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Korean Sacbrood Virus영어;KSBV)다.

한국에서의 발병 초기인 2010년에는 분류상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가 없었으며 극동아시아형인 중국형/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로 불리었으나 차후 유전자분석으로 같은 아시아형인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로 재분류되었다.

양봉(서양종꿀벌)에 낭충봉아부패병을 일으키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Sacbrood Virus영어;SBV)와 토종벌에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다르다.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KSBV)는 토종벌에만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을 일으킨다. 양봉에도 감염되기는 하지만 큰 문제 없이 해결된다. 두 바이러스는 피코르나바이러스 종류인데 피코르나바이러스에는 폴리오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구제역바이러스, A형 간염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등이 포함된다.[3][4]

3. 1.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KSBV)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의 원인 바이러스는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Korean Sacbrood Virus;KSBV)다.

한국에서의 발병 초기인 2010년에는 분류상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가 없었으며 극동아시아형인 중국형/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로 불리었으나 차후 유전자분석으로 같은 아시아형인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로 재분류되었다.

양봉(서양종꿀벌)에 낭충봉아부패병을 일으키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Sacbrood Virus;SBV)와 토종벌에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다르다.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Korean Sacbrood Virus;KSBV)는 토종벌에만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을 일으킨다. 양봉에도 감염되기는 하지만 큰 문제 없이 해결된다. 두 바이러스는 피코르나바이러스 종류인데 피코르나바이러스에는 폴리오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구제역바이러스, A형 간염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등이 포함된다.[3][4]

4. 감염 경로

낭충봉아부패병의 정확한 확산 경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꽃을 통한 전파가 유력한 가설로 제시되고 있다. 오염된 봉군 이동, 벌기구, 벌자재, 도봉, 벌 쏠림, 관리자 등에 의해서도 확산될 수 있다.

'''벌통 간 및 벌통 내 확산 과정 (추정)'''

# 감염된 밖일벌이 꽃에서 꽃가루/꽃꿀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꽃에 바이러스를 묻혀둔다. 일부는 바이러스를 묻힌 꽃가루/꽃꿀을 벌통으로 가져간다.

# 미감염 봉군의 미감염 밖일벌이 1의 꽃에서 바이러스가 포함된 꽃가루/꽃꿀을 수집해간다. 이 과정에서 미감염 밖일벌이 감염될 수도 있다.

# 벌통속에 들여온 바이러스가 포함된 꽃가루/꽃꿀을 안일벌과 애벌레가 먹는다.

# 바이러스를 먹은 안일벌과 애벌레의 몸 속에서 바이러스가 증식하여 그 수가 엄청나게 는다.

# 감염된 애벌레는 죽는다. 감염된 안일벌의 분비물 먹이를 먹은 애벌레가 감염돼 죽는다(분비물 먹이에 바이러스가 섞여나옴).

# 이 질병으로 죽은 애벌레 사체를 내다버리는 안일벌이 감염된다. 감염된 안일벌은 당분간 안일을 더 하면서 애벌레를 감염시키거나 밖일벌로 전환된다. 밖일벌로 전환되면 1로 순환한다.

종합해보면, 벌통 안과 밖이 맞물린 바이러스의 확대 재생산 과정이다.

4. 1. 벌통 간 및 벌통 내 확산 과정 (추정)

이 병의 확산 경로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꽃을 통해 벌통 간에 전파되는 것이 거의 확실해 보인다. 바이러스에 오염된 봉군 이동, 벌 기구, 벌 자재, 도봉, 벌 쏠림, 관리자 등을 통해서도 확산될 수 있지만, 벌들의 일상적이고 정상적인 활동 중 감염 봉군에서 미감염 봉군으로, 그리고 봉군 내에서의 확산 과정은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 감염된 밖일벌이 꽃에서 꽃가루/꽃꿀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꽃에 바이러스를 묻혀둔다. 일부는 바이러스를 묻힌 꽃가루/꽃꿀을 벌통으로 가져간다.

# 미감염 봉군의 미감염 밖일벌이 1의 꽃에서 바이러스가 포함된 꽃가루/꽃꿀을 수집해 간다. 이 과정에서 미감염 밖일벌이 감염될 수도 있다.

# 벌통 속에 들여온 바이러스가 포함된 꽃가루/꽃꿀을 안일벌과 애벌레가 먹는다.

# 바이러스를 먹은 안일벌과 애벌레의 몸 속에서 바이러스가 증식하여 그 수가 엄청나게 늘어난다.

# 감염된 애벌레는 죽는다. 감염된 안일벌의 분비물 먹이를 먹은 애벌레가 감염돼 죽는다(분비물 먹이에 바이러스가 섞여 나옴).

# 이 질병으로 죽은 애벌레 사체를 내다 버리는 안일벌이 감염된다. 감염된 안일벌은 당분간 안일을 더 하면서 애벌레를 감염시키거나 밖일벌로 전환된다. 밖일벌로 전환되면 1로 순환한다.

종합해보면, 벌통 안과 밖이 맞물린 바이러스의 확대 재생산 과정이다.

5. 국내외 발생 현황

국내에서는 2009년 봄 중부지방 일부 지역에서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가을에 전북 북부 지역까지 확산되었다.[5] 2010년 9월 현재 섬과 일부 시·군을 제외한 전국으로 확산되어 90% 이상의 토종벌이 폐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감염된 마을에서는 약 한 달 안에 모든 봉군이 감염되고, 약 두 달 안에 모두 폐사하는 양상을 보인다.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는 중국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변종으로 추정되며, 아시아 대륙에 토착하여 오랜 세월 동양종꿀벌과 함께 진화해온 것으로 보인다.[5] 1981년 태국에서 처음 발견된 이래 인도, 파키스탄, 네팔 등 동양종꿀벌이 분포하는 거의 모든 아시아 국가에서 발견되고 있다.[6] 중국에서는 1971년 겨울, 광동성의 불강, 종화, 증성 등지에서 처음 발생하여 이듬해 광동성 전체에 유행하였다. 이후 복건성, 강소성, 강서성, 절강성, 안휘성, 호남성, 사천성, 청해성, 귀주성 등지로 빠르게 확산되어 현재는 중국 전역에 만연해 있다.[6] 몇몇 보고에 따르면 안일벌이 이 질병의 매개체이며, 애벌레는 일벌의 먹이 분비선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통해 감염된다.[2] 이 전염병이 도착한 마을에서는 약 한 달 안에 모든 봉군이 감염되며 약 두 달이면 모두 폐사된다. 바이러스가 마을에 도착하지 않아야 봉군이 살아남을 수 있으며 일단 바이러스가 도착했다면 현재로서는 예방과 치료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확산방지를 위해서는 봉군의 이동을 막고 반경 6킬로미터 안의 모든 토종벌을 살처분해야 한다. 대체로 미발병 벌터는 발병 벌터와 토종벌의 활동영역이 겹치지 않으며 중간에 토종벌이 거의 없는 곳이다.

5. 1. 해외 발생 현황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는 중국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변종으로 추정되며, 아시아 대륙에 토착하여 오랜 세월 동양종꿀벌과 함께 진화해온 것으로 보인다.[5] 1981년 태국에서 처음 발견된 이래 인도, 파키스탄, 네팔 등 동양종꿀벌이 분포하는 거의 모든 아시아 국가에서 발견되고 있다.[6] 중국에서는 1971년 겨울, 광동성의 불강, 종화, 증성 등지에서 처음 발생하여 이듬해 광동성 전체에 유행하였다. 이후 복건성, 강소성, 강서성, 절강성, 안휘성, 호남성, 사천성, 청해성, 귀주성 등지로 빠르게 확산되어 현재는 중국 전역에 만연해 있다.[6]

5. 2. 국내 발생 현황

국내에서는 2009년 봄 중부지방 일부 지역에서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가을에 전북 북부 지역까지 확산되었다.[5] 2010년 9월 현재 섬과 일부 시·군을 제외한 전국으로 확산되어 90% 이상의 토종벌이 폐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감염된 마을에서는 약 한 달 안에 모든 봉군이 감염되고, 약 두 달 안에 모두 폐사하는 양상을 보인다.

6. 치료 및 예방 대책

2010년 9월 당시에는 여러 예방법 및 치료법이 제시되었으나, 효과가 재현된다는 보고는 없었다. 감염 초기 주변 지역의 모든 토종벌을 살처분하는 것이 인접 지역으로의 확산을 막는 유일한 대책이었다.

현재는 치료제 개발 및 이 질병에 내성이 있는 토종벌 봉군을 육종하여 보급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6. 1. 진보적 관점에서의 제언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의 확산은 양봉 농가에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고, 토종벌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대한 진보적인 관점에서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정부 주도의 철저한 역학조사 및 방역이 필요하다. 낭충봉아부패병의 정확한 발병 원인과 확산 경로를 규명하고, 과학적인 방역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감염 초기에는 반경 6km 이내의 모든 토종벌을 살처분하여 확산을 막는 강력한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

둘째, 피해를 입은 양봉 농가에 대한 적절한 지원과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장기적인 관점에서 토종벌 생태계 복원을 위한 연구와 투자가 필요하다. 내병성 품종 개발 및 보급을 통해 질병에 강한 토종벌 군집을 육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화학적 방제에 의존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양봉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하여 꿀벌의 건강과 생태계 보전에 기여해야 한다.

7. 낭충봉아부패병과의 비교

낭충봉아부패병은 주로 양봉에 발생하며, 유밀기가 되면 비교적 쉽게 치료되고 피해 정도가 크지 않다. 반면, 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은 토종벌에만 발생하며, 유밀기에 오히려 더 확산 속도가 빨라지고 예방 및 치료가 되지 않아 바이러스가 도달한 지역의 토종벌은 모두 감염되어 전멸하는 심각한 피해를 초래한다.

구분토종벌낭충봉아부패병낭충봉아부패병
병원체Korean Sacbrood Virus (KSBV)Sacbrood Virus (SBV)
숙주토종벌(동양종꿀벌)의 애벌레·전용·성봉양봉(서양종꿀벌)의 애벌레·전용·성봉
주전염경로꽃가루
부전염경로봉군 이동, 벌 기구, 벌 자재, 꿀, 도봉, 관리자 등 바이러스를 묻혀서 옮길 수 있는 모든 것
벌통 내에서의 확산바이러스가 묻은 꽃가루를 일벌이 애벌레에게 먹여 감염. 감염된 애벌레는 며칠 후 죽고 이 애벌레를 물어다 버리는 일벌도 감염. 감염된 일벌로부터 먹이를 받아먹은 애벌레도 감염. (감염된 일벌의 입에서 나오는 분비물에 바이러스가 묻어 나옴)
증상애벌레와 전용이 물컹해져서 죽고 그 사체를 일벌들이 내다 버림
성봉에 감염성봉에 감염되어 수명이 약간 단축되는데 바로 죽지는 않음
발병 가능 시기육아 시기면 언제나 발병 가능
발병 성기봄철 육아 확장 시기, 유밀기봄철 육아 확장 시기
자연 잠복/치유없음(다만, 겨울에는 성봉에서 잠복)유밀기
피해 정도전멸 (발병 마을에서는 모든 봉군이 감염되어 전멸)중간 (봉군이 망하는 경우는 많지 않음)
치유 난이도치료 불가, 벌을 빈 벌통에 옮겨 담아 놓아도 치유 안 됨보통
예방 난이도단 한 통이라도 발병 확인됐다면 이미 늦어서 마을에 확산 방지 불가능보통
치료법아직은 치료법 없음, 조기에 모든 벌통을 소각해야 인접 지역으로의 확산 방지 가능격리, 감염 벌집 제거, 적절한 사양, 약물 투여(항생제 등)
봉아 사체 청소 행위봉아 사체를 열심히 내다 버리지만 병은 치유되지 않음유밀기에 열심히 내다 버리고 병이 비교적 잘 치유됨
바이러스의 수명/감염력전혀 치유되지 않고 확산 속도가 매우 빠른 것으로 보아 벌 몸 밖에서도 장기간 생존하거나 매우 적은 수의 바이러스 입자로도 쉽게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됨벌과 봉아의 몸속에서는 계속 생존, 벌과 봉아의 몸 밖에서 며칠 생존, 벌과 봉아의 사체에서는 몇 주 생존
감기에 비유스페인 독감, 조류 독감, 신종플루보다 독함 (마을의 모든 봉군이 감염되어 전멸)며칠 만에 낫는 몸살감기



참조

[1] 웹인용 Definition of the disease General epidemiology https://web.archive.[...] 2010-09-16
[2] 웹인용 http://www.fao.org/ag/ags/subjects/en/industFoodAg/pdf/AGST_techrep_4.pdf https://web.archive.[...] 2010-09-16
[3] 웹사이트 피코르나바이러스 https://terms.naver.[...]
[4] 간행물 Sacbrood Virus of the Honeybee (Apis mellifera): Rapid Identifica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Using Reverse Transcription-PCR http://cvi.asm.org/c[...]
[5] 보고서 꿀벌 낭충봉아부패병 발생에 따른 방역 및 피해대책 농림수산식품부 2010-09
[6] 웹인용 중국에서의 발병 https://web.archive.[...] 2010-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