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통가 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가 제국은 950년경 초대 통가 국왕 아호에이투에 의해 성립되어, 피지, 사모아, 서/중앙 폴리네시아, 멜라네시아, 미크로네시아까지 광대한 영토를 지배했다. 13세기 이후 투이 통가 왕조의 권위가 약화되었고, 1470년경 하아타칼라우아 왕조가 분립되었다. 1610년에는 투이 카노쿠폴루 지위가 만들어지며 권력이 분산되었고, 1799년 내전이 발발했다. 1845년 조지 투포우 1세는 내전을 종식시키고 통일 왕국을 수립했으며, 1875년 헌법 제정으로 통치를 확립했다. 통가 제국은 해군력을 바탕으로 해상 무역을 통해 번영했으며, 하아몽가 아 마우이, 랑기 등의 건축 유산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민제국 - 스타토 다 마르
    스타토 다 마르는 베네치아 공화국이 지배했던 해외 영토를 지칭하는 용어로, 달마티아 정복을 시작으로 아드리아 해를 중심으로 이스트리아, 달마티아, 이오니아 제도 등을 포함했으나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과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게 멸망하며 영토 대부분을 상실했다.
  • 식민제국 - 제노바 식민지
    제노바 식민지는 제노바 공화국이 지중해, 흑해, 서유럽 등에 건설했던 식민지들을 통칭하며, 십자군 원정 참여, 흑해 해협 장악 등을 통해 번성했으나 오스만 제국의 확장으로 1742년 마지막 식민지가 멸망하며 종말을 맞이했다.
  • 오세아니아의 옛 나라 - 하와이 왕국
    하와이 왕국은 1795년 카메하메하 1세가 하와이 제도를 통일하여 건국한 입헌군주국으로, 영국 문화 수용 및 미국인 이주를 거쳐 1893년 릴리우오칼라니 여왕 폐위 후 미국에 합병되어 하와이주가 되었다.
  • 오세아니아의 옛 나라 - 독일령 뉴기니
    독일령 뉴기니는 1884년부터 1919년까지 독일 제국의 식민지였으며, 독일의 식민 정책과 강제 노동, 선교 활동을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패배 후 호주, 일본, 미국 등에 분할되었다.
통가 제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통가 제국
일반 명칭투이 통가
시작 사건ʻ아호에이투가 그의 세력을 사모아로 데려옴
시작 연도950년 CE
종료 사건투이 통가 칭호 폐지
종료 연도1865년
수도무아
정부 형태군주제
공용어불명
지도
통가 제국의 영향권 내의 섬들
통가 제국의 영향권 내의 섬들
국기
통가의 국기 (1862–1866)
국기 (1862–1866)
통치자
초대 통치자ʻ아호에이투
초대 통치자 즉위년도950년 CE
마지막 통치자라우필통가
마지막 통치자 재위기간1827년–1865년
영향권

2. 역사

현대 고고학, 인류학, 언어학 연구에 따르면 통가 문화는 동우베아(East ʻUvea), 로투마(Rotuma), 후투나(Futuna), 사모아, 니우에, 미크로네시아(키리바시와 포나페), 바누아투, 뉴칼레도니아, 로열티 제도(Loyalty Islands) 등지에 널리 퍼져 있었다.[22][23] 일부 학자들은 "해양 족장국(maritime chiefdom)"이라는 용어를 선호하지만,[25] 다른 학자들은 "제국(empire)"이라는 용어가 더 적합하다고 주장한다.[26]

통가는 투이 포투(Tui Pōto) 대족장과 투이 마누아(Tui Manu'a) 대족장의 지배를 받았다. 여러 차례의 유혈 사태 이후 통가는 독립하여 통가 국왕 칭호 아래 왕조를 세웠다.

초대 통가 국왕은 아호에이투(‘Aho'eitu)였다. 그의 어머니는 사모아 귀족 출신이었고, 아버지 탕갈로아 에이투마투푸아(Tangaloa ‘Eitumatupu'a)는 사모아 대사제였다. 이 때문에 왕조는 세속적, 종교적 권위를 모두 가진 것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와 유사했다. 아호에이투는 톨로아(Toloa)에 수도를 두었으나, 제9대 통가 국왕 때 헤케타(Heketa)로 수도를 옮겼다.

10대 통가 국왕 모모와 그의 아들 11대 통가 국왕 투이타투이 시대에 통가 제국은 피지 전역과 사모아 일부를 포함할 정도로 확장되었다. 제국은 서폴리네시아, 중앙 폴리네시아, 멜라네시아 일부, 미크로네시아까지 영토를 넓혔다. 전성기에는 300만 평방킬로미터가 넘는 해양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직접 지배하지 않는 지역에도 조공을 바치게 했다. 투이타투이의 아들 대에 수도는 무아(Mu'a)로 옮겨졌고, 이곳은 제국 역사상 가장 번영한 곳이 되었다.

통가의 항해 카누

2. 1. 통가 제국의 성립 (950년경)

The Tuʻi Tonga Empire|통가 제국영어은 950년경 초대 통가 국왕(투이 통가)인 아호에이투(ʻAhoʻeitu)에 의해 건국되었다.[5] 통가와 사모아의 구전 전통에 따르면, 아호에이투는 통가의 신 탕갈로아(Tangaloa)의 아들이었다.[5] 그의 어머니는 사모아의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 아버지 탕갈로아 에이투마투푸아(Tangaloa ‘Eitumatupu'a)는 사모아의 대사제로 신성한 권위를 지니고 있었다. 이 때문에 왕조는 세속적, 종교적 지위 모두에서 권능을 지닌 것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와 유사했다.

초기 통가 왕들에게 사모아의 마누아 제도는 신성한 곳으로 여겨졌다. 이는 투이 통가 왕조의 시조가 살던 고향이자, 타갈로아 에이투마투푸아, 통가 후시폰우아, 타바타바이마누카와 같은 신들이 거주하는 곳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6] 아호에이투는 수도를 톨로아(Toloa)에 두었으나, 제9대 통가 국왕 때 수도는 헤케타(Heketa)로 옮겨졌다.

2. 2. 제국의 확장 (1200년-1600년)

10대 투이 통가 모모와 그의 아들 11대 투이 통가 투이타투이 시대에 통가 제국은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이 시기 통가 제국은 피지, 사모아, 투발루 등 주변 섬들을 정복하고 조공을 받았다.[8] 통가 제국은 광대한 해양 무역망을 구축하여 경제적, 문화적 번영을 누렸다.

사모아 최고급 매트인 ‘ie tōga는 "귀중한 천"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ie" = 천, "tōga" = 여성 용품)[9] 사모아 귀족 여성들과의 혼인을 통해 통가 왕실에 유입되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투이 카노쿠폴루인 응가타의 어머니 토후이아는 사모아 우폴루 출신이었다. 이러한 매트들은 현재 투포우 왕가의 왕관 보석으로 여겨진다.[10]

통가 제국의 성공은 주로 제국 해군에 기반을 두었다. 가장 일반적인 선박은 삼각형 돛이 달린 장거리 이중 카누였으며, 통가의 칼리아 유형 중 가장 큰 카누는 최대 100명을 수송할 수 있었다. 대표적인 카누로는 통가푸에시아, 오키나아키헤우호, 로미페우, 타카오키나이포마나 등이 있었다. 타카오키나이포마나는 사모아 칼리아였는데, 사롯 여왕과 궁중 기록에 따르면 토후이아 리마포를 사모아에서 데려와 투이 하아타칼라우아와 결혼시킨 사모아 이중 선체 카누였다.[11] 거대한 해군 덕분에 통가는 많은 무역과 공물이 왕실 금고로 흘러들어와 부유해졌다.[7]

투이 통가 제국 시대의 항해는 투발루 군도까지 이어졌다. 나누메아의 구전 역사는 건국 조상이 통가 출신이라고 전한다.[12] 니우타오의 구전 역사에는 15세기와 16세기에 통가 전사들이 침략했지만 패배했다는 기록이 있다.[13]

15세기와 16세기 통가의 왈리스 푸투나 제도 침략 당시, 이 제도들은 저항과 동화의 정도가 다양했다. 푸투나는 통가 문화 이전의 특징을 더 많이 유지했지만, 왈리스는 사회, 언어, 문화에서 더 큰 변화를 겪었다.[14]

모모 왕과 그의 아들 투이타투이 시대에 무역 제국은 피지 전역과 사모아 일부를 포함할 정도로 확장되었다. 제국은 서폴리네시아, 중앙 폴리네시아 전역, 멜라네시아 일부, 그리고 미크로네시아까지 영향력을 미쳤다. 무역 제국의 전성기에는 300만 평방킬로미터가 넘는 해양 지역에 영향력을 미쳤으며, 직접적인 지배하에 있지 않은 많은 지역들은 조공을 바쳐야 했다. 수도는 투이타투이의 아들 대에 이르러 제국 역사상 가장 번영했던 무아로 천도되었다.

2. 3. 투이 통가 왕조의 쇠퇴와 권력 분할 (1470년경)

1470년경, 23대 투이 통가였던 타카라우가 암살당하면서 투이 통가 왕조의 권력 분할이 시작되었다.[15] 잦은 전쟁과 내부 갈등으로 왕조의 권위가 약화된 상황에서, 타카라우의 암살은 결정적인 사건이었다. 그는 폭정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전의 투이 통가였던 하베아 1세(19대)와 하베아 2세(22대) 역시 폭정을 펼쳤다는 기록이 있다.[15]

타카라우가 암살된 후, 그의 아들 카우오키나울루포누아 1세는 투이 통가를 계승했지만, 실질적인 통치권은 카우오키나울루포누아 1세의 동생 모웅가모투아에게 주어졌다. 모웅가모투아는 '투이 하아타칼라우아'라는 새로운 칭호를 받고, 투이 하아타칼라우아 왕조를 세웠다. 이로써 투이 통가는 종교적 권위만을 갖게 되었고, 실질적인 통치는 투이 하아타칼라우아 왕조가 담당하게 되었다.[16]

이러한 권력 분할은 투이 통가 왕조의 쇠퇴를 가속화했으며, 이후 투이 카노쿠폴루 왕조로 권력이 넘어가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2. 4. 투이 카노쿠폴루 왕조의 등장과 내전 (1610년-1875년)

1610년, 여섯 번째 투이 하아타칼라우아인 모웅가통가는 반(半) 사모아인 응가타를 위해 투이 카노쿠폴루 지위를 만들었다. 이는 지역 통치를 분할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투이 카노쿠폴루의 권력은 통가에서 점점 더 우세해졌다. 투이 카노쿠폴루 왕조는 사모아의 정치와 칭호 제도를 많이 도입했으며, 통가 학자들에 따르면 이러한 "사모아화된" 정부와 관습은 오늘날 통가 왕국에서도 계속되고 있다.[19]

두 세력은 '할라 포누아 모아'(육지 도로)라는 옛 해안 도로를 경계로 나뉘었다. 투이 통가로부터 권위를 얻는 현대 족장들은 '카우 할라 우타'(내륙 도로 사람들)로 불리는 반면, 투이 카노쿠폴루로부터 권위를 얻는 사람들은 '카우 할라 라로'(낮은 도로 사람들)로 알려져 있다.

1799년, 제14대 투이 카노쿠폴루인 투쿠아호(Tuku'aho)가 암살당하면서 통가는 50년간의 내전에 돌입했다. 이 내전은 1845년, 투이 카노쿠폴루 왕조의 19대 통치자인 조지 투포우 1세(타우파아하우)가 기독교 세례를 받고 조지라는 세례명을 얻으면서 종식되었다. 조지 투포우 1세는 성문법전을 도입하여 일반 백성들의 지지를 얻고, 투이 통가의 종교적 권력과 카노쿠폴 족장들의 권위를 약화시켰다. 그는 1875년 헌법을 제정하여 왕국을 통합하고 자신의 통치를 확고히 했다.

2. 5. 통일 왕국의 성립과 근대화 (1845년-1875년)

1799년, 제14대 투이 카노쿠폴루(Tuʻi Kanokupolu|투이 카노쿠폴루tga) 투쿠아호(Tuku'aho)가 암살당하면서, 통가는 50년간 지속되는 내전에 돌입했다. 투이 카노쿠폴루 왕조의 19대 통치자인 조지 투포우 1세(George Tupou I, Taufaʻahau|타우파아하우tga)는 1845년 내전을 기회로 삼았다. 타우파아하우는 기독교 세례를 받고 조지라는 세례명을 얻어 조지 투포우 1세가 되었다.

타우파아하우는 성문법전을 도입함으로써 일반 백성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 최초의 법전은 1839년의 바바우 법전(Vavaʻu Code)이었다. 같은 이유로 선교사들 또한 그를 후원했다. 법률 제정을 이용하여 그는 투이 통가(Tuʻi Tonga|투이 통가tga)의 종교적 권력을 약화시키고, 강력한 카노쿠폴루(Kanokupolu) 족장들의 권위를 낮추었다. 그는 왕국을 통합하고 1875년 국가에 대한 자신의 통치를 확실히 하기 위한 헌법을 제정했다.

3. 정치

통가 제국의 정치 체제는 복잡하고 유동적이었다. 최고 통치자인 투이 통가는 종교적 권위와 정치적 권력을 모두 가졌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 권력은 점차 분산되었다. 13세기 또는 14세기에 사모아인들이 투이 통가를 몰아낸 후, 팔레파라는 정치 고문 제도가 만들어졌지만, 내부적인 불만은 계속되어 여러 통치자들이 암살당했다.

1535년 타칼라우아 왕이 암살당한 후, 그의 아들 카우오키나울루포누아 1세는 하아 타칼라우아라는 새 왕조를 세우고, 그의 형제에게 투이 하아타칼라우아 칭호를 주었다. 투이 통가는 종교적 지도자 역할을 맡았지만, 여전히 백성의 생사에 대한 최종 결정권을 가졌다.[15][16]

1610년경, 여섯 번째 투이 하아타칼라우아인 모웅가통가는 자신의 아들 응아타를 위해 투이 카노쿠폴루 직위를 만들었다. 투이 카노쿠폴루는 "우폴루의 심장"으로 번역되는 칭호와 함께 상당한 권력을 부여받았다.[19] 시간이 지남에 따라 투이 카노쿠폴루의 권력은 통가에서 점점 더 우세해졌다.

3. 1. 투이 통가

Tuʻi Tonga사모아어는 통가 제국의 최고 통치자였다. Tuʻi Tonga사모아어는 종교적 권위와 정치적 권력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초대 Tuʻi Tonga사모아어950년경 아호에이투(ʻAhoʻeitu)로, 그의 아버지는 탕갈로아(Tangaloa)라는 신이었다고 한다.[5] Tuʻi Tonga사모아어 왕조는 세속적 지위와 종교적 지위 모두에서 권능을 지닌 것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와 유사했다.

13세기 또는 14세기에 사모아인들이 Tuʻi Tonga사모아어 탈라카이파이키(Talakaifaiki)를 몰아낸 후, 팔레파(falefā)라는 정치 고문 제도가 만들어졌다. 그러나 불만 증가로 인해 여러 통치자들이 암살당했고, 1535년 타칼라우아(Takalaua) 왕이 암살당한 후, 그의 아들 카우오키나울루포누아 1세(Kauʻokinaulufonua I)는 하아 타칼라우아(Haʻa Takalaua)라는 새 왕조를 세우고, 그의 형제에게 투이 하아타칼라우아(Tuʻi Haʻatakalaua) 칭호를 주었다. Tuʻi Tonga사모아어는 국가의 정신적 지도자 역할을 맡았지만, 여전히 백성의 생사에 대한 최종 결정권을 가졌다.[15][16]

이 시기에 Tuʻi Tonga사모아어는 사모아 여성과 결혼하여 사모아에 거주하는 등 사모아 중심으로 변모했다.[16] 카우울루포누아 1세(Kauʻokinaulufonua)의 어머니는 마누아(Manuʻa) 출신 사모아인이었다.[17] 이후 Tuʻi Tonga사모아어인 바카후후(Vakafuhu), 타푸오시(Tapu'osi), 울루아키마타(Uluakimata)는 "통가인"보다 "사모아인"에 더 가까웠다고 한다.[18]

3. 2. 팔레파

팔레파(falefa)는 투이 통가(통가 대수장)를 보좌하는 정치 고문단으로, 통가 제국의 행정과 외교를 담당했다. 투이 통가의 권력이 약화되면서 발생한 수많은 전쟁과 내부적 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팔레파는 초기에는 왕조 운영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지만, 내부적인 압력은 계속되었고, 결국 하베아 1세, 하베아 2세, 타카라우 등 몇몇 통치자의 암살로 이어졌다.

3. 3. 투이 하아타칼라우아

1470년경 타카라우(Takalau) 암살 이후, 통가 제국은 재편되었다. 투이 통가의 권한은 약화되어 종교적인 역할에 그쳤고, 실질적인 통치는 새로운 왕조인 Tuʻi Haʻatakalaua영어가 담당하게 되었다.[16] 투이 하아타칼라우아의 초대 통치자는 모웅가모투아(Moʻungamotuʻa)로, 타칼라우의 장남이자 24대 투이 통가 계승자인 카우오키나울루포누아 1세(Kauʻokinaulufonua I)의 형이었다.[15]

투이 하아타칼라우아 왕조는 제국의 일상적인 통치를 맡았고, 투이 통가는 국가의 정신적 지도자 역할을 수행했지만 백성의 생사에 대한 최종 결정권은 여전히 보유했다. 이 시기 투이 통가 제국은 투이 통가 국왕이 사모아 여성과 결혼하고 사모아에 거주하면서 사모아 중심으로 변화하였다.[16]

3. 4. 투이 카노쿠폴루

1610년경, 여섯 번째 투이 하아타칼라우아인 모웅가통가는 자신의 아들이자 반(半) 사모아인인 응아타를 위해 투이 카노쿠폴루 직위를 만들었다. 이 직위는 응아타에게 상당한 권력을 부여했으며, 그의 어머니의 유산에 대한 직접적인 경의를 담은 새로운 칭호인 투이 카노쿠폴루("우폴루의 심장"으로 번역됨)는 그의 권력 기반을 더욱 강화했다.[19] 투이 카노쿠폴루 왕조는 사모아의 정책과 칭호를 많이 도입하고 제정하였는데, 통가 학자들에 따르면 이러한 "사모아화"된 정부와 관습은 오늘날 통가 왕국에서도 계속되고 있다고 한다.[19]

새 왕조는 이전의 두 왕조를 대체하지는 않았지만, 세속적인 지배 면에서 투이 하아타칼라우아와 경쟁하였다. 카노쿠폴루 대족장(투이 카노쿠폴루)은 어머니가 사파타 출신 사모아의 고위 족장 아마의 딸이었기 때문에 사모아의 정치 상황에 큰 영향을 받았다. 그 결과, 통가 제국의 체제는 더욱 유동적이고 분산된 형태로 변화하였으며, 이는 민주화의 시작으로 평가받는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투이 카노쿠폴루의 권력은 통가에서 점점 더 우세해졌다. 두 세력은 '할라 포누아 모아'(육지 도로)라는 옛 해안 도로를 경계로 나뉘었다. 투이 통가로부터 권위를 얻는 현대 족장들은 '카우 할라 우타'(내륙 도로 사람들)로 불렸고, 투이 카노쿠폴루로부터 권위를 얻는 사람들은 '카우 할라 라로'(낮은 도로 사람들)로 불렸다.

4. 사회

사모아의 투이 마누아 해양 제국이 쇠퇴하면서, 남쪽에서 새로운 제국이 일어섰다.[5] 950년경, 최초의 투이 통가 아호에이투가 통가 외부로 지배를 확장하기 시작했다. 통가 학자 오쿠시티노 마히나 박사에 따르면, 통가와 사모아의 구전 전통에서는 초대 투이 통가가 탕갈로아 신의 아들이었다고 한다.[5] 초기 통가 왕들에게 신성한 곳으로 여겨졌던 사모아의 마누아 제도는 투이 통가 왕조 시조의 고향이자, 타갈로아 에이투마투푸아, 통가 후시폰우아, 타바타바이마누카와 같은 신들이 거주하는 곳으로 여겨졌다.[6]

10대 투이 통가 모모와 그의 후계자 투이타투이 시대에 투이 통가 제국은 확장되었고, 마누아 제도를 제외한 투이 피티와 투이 마누아의 이전 영토 대부분을 포함하게 되었다. 투이 통가는 광대한 영토를 더 잘 통치하기 위해 통가타푸의 무아(Lapaha)에 있는 석호 근처로 왕좌를 옮겼다. 투이 통가의 영향력은 태평양 전역에 걸쳐 유명했고, 많은 이웃 섬들이 자원과 새로운 아이디어의 광범위한 교역에 참여했다.[7]

사모아의 사파타 고위 족장 아마 렐레는 투이 마누아의 딸 솔리아이와 결혼하여 아들 페세타와 딸 토후이아 리마포를 낳았다. 리마포는 아버지, 가족, 사파타 전사들과 함께 통가의 여섯 번째 투이 하아타칼라우아의 요청으로 통가로 갔다. 이 결혼으로 응가타가 태어났다. 1610년, 모웅가통가는 응가타를 위해 투이 카노쿠폴루 지위를 만들었고, 이는 지역 통치를 분할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투이 카노쿠폴루의 권력은 통가에서 점점 더 우세해졌다. 투이 카노쿠폴루 왕조는 많은 사모아 정책과 칭호의 수입과 제정을 감독했으며, 이러한 "사모아화된" 정부와 관습은 오늘날 통가 왕국에서도 계속되고 있다.[19]

1616년 네덜란드 탐험가 빌렘 쇼텐과 야코프 르 메르가 니우아토푸타푸 해안에서 통가인들이 카누를 타고 있는 것을 발견하면서 최초의 유럽인들이 도착했고,[20] 1643년 1월 20일에는 아벨 타스만이 섬을 지나갔다.[21] 그러나 이러한 방문은 짧았고 섬에 큰 변화를 가져오지 않았다.[20][21]

제국의 수도인 무아는 기원전 500년 이전에 건설되었다. 그러나 정확한 날짜는 알 수 없다. 홍수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수도는 이후 새로운 곳인 누쿠알로파로 옮겨졌다.

4. 1. 계급

통가 제국 사회는 왕족, 귀족, 평민, 노예 등으로 구성된 엄격한 신분 제도였다.[15][16][17][18][19]

15세기경, 투이 통가로부터 권위를 얻는 족장들은 '카우 할라 우타'(Kau Hala Uta, 내륙 도로 사람들)로 불렸고, 투이 카노쿠폴루로부터 권위를 얻는 사람들은 '카우 할라 라로'(Kau Hala Lalo, 낮은 도로 사람들)로 알려졌다. 투이 하아타칼라우아 지지자들은 처음에는 카우할랄로였으나, 투이 카노쿠폴루에게 제압당한 후 카우할라우타로 충성을 바꿨다.

4. 2. 문화

통가 사람들은 정교한 도로와 운하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으며, 거대한 피라미드를 비롯한 큰 돌 건축물을 만들었다.[7] 통가 제국의 문화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항해술, 건축술, 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문화를 발전시켰다는 것은 분명하다.

통가에서 가장 유명한 경계표 중 일부에는 13세기 투이타투이의 통치하에 건설된 Haʻamonga ʻa Maui|하아몽가 아 마우이영어가 포함된다. 통가의 왕과 여왕들은 거대한 돌 무덤인 랑기에 매장되었다.

5. 경제

통가 제국은 강력한 해군력을 바탕으로 광범위한 해상 무역을 전개하여 경제를 발전시켰다.[11] 통가는 무역과 공물을 통해 부를 축적했다.[7] 주요 무역 상대는 피지, 사모아, 투발루 등 주변 섬들이었다. 10대 통가의 최고 지도자인 모모 왕과 그의 아들 11대 최고 지도자 투이타투이 시대에 무역 제국은 피지 전역과 사모아 일부를 포함할 정도로 확장되었다.

5. 1. 해상 무역

통가 제국은 강력한 해군력을 바탕으로 광범위한 해상 무역을 전개했다. 제국의 해군은 역삼각형 돛을 갖춘 항해용 카누를 주력으로 사용했으며, 가장 큰 배는 최대 100명까지 수송할 수 있었다. 유명한 배로는 통가푸에시아(Tongafuesia), 아키헤우호(Akihe'uho), 로미페아우(Romipeau), 타카이포마나(Takaipo'mana) 등이 있었다.[11] 이러한 해군력을 바탕으로 통가는 많은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했고, 공물이 왕실 금고로 흘러들어왔다.[7]

주요 무역 상대는 피지, 사모아, 투발루 등 주변 섬들이었다. 10대 통가의 최고 지도자인 모모 왕과 그의 아들 11대 최고 지도자 투이타투이 시대에 무역 제국은 피지 전역과 사모아 일부를 포함할 정도로 확장되었다.

6. 군사

통가 제국의 성공은 주로 해군력에 기반했다.[7] 통가 해군은 칼리아라고 불리는 대형 이중 선체 카누를 주력 함선으로 사용했으며, 최대 100명의 병력을 수송할 수 있었다.[7]

13세기 또는 14세기에 Tuʻi Tonga통가어 탈라카이파이키(Talakaifaiki)는 사모아에서 말리에토아 가문의 시조인 투나(Tuna), 파타(Fata), 사베아(Savea) 형제와의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통가인들은 사모아에서 축출되었다.[15]

6. 1. 해군

통가 제국의 성공은 주로 해군력에 기반했다.[7] 통가 해군은 칼리아라고 불리는 대형 이중 선체 카누를 주력 함선으로 사용했으며, 최대 100명의 병력을 수송할 수 있었다.[7] 주요 함선으로는 통가푸에시아(Tongafuesia), 오키나(ʻokina)아키헤우호(Ākiheuho), 로미페우(Lomipeau), 타카오키나(Takaʻokina)이포마나(ipōmana) 등이 있었다.[11] 특히 타카오키나이포마나는 사모아의 칼리아였는데, 사롯(Sālote) 여왕과 궁중 기록에 따르면 토후이아 리마포(Tohuʻia Limapō)를 사모아에서 데려와 투이 하아타칼라우아(Tuʻi Haʻatakalaua)와 결혼시킨 사모아 이중 선체 카누였다고 한다.[11] 이처럼 강력한 해군 덕분에 통가는 무역과 공물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할 수 있었다.[7]

6. 2. 주요 전투

Tuʻi Tonga통가어 탈라카이파이키(Talakaifaiki)는 13세기 또는 14세기에 사모아에서 말리에토아 가문의 시조인 투나(Tuna), 파타(Fata), 사베아(Savea) 형제와의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통가인들은 사모아에서 축출되었다.[15]

7. 유산

현대 고고학, 인류학, 언어학 연구에 따르면 통가 문화는 동우베아, 로투마, 후투나, 사모아, 니우에, 미크로네시아(키리바시와 포나페), 바누아투, 뉴칼레도니아, 로열티 제도 등지에 널리 퍼져 있었다.[22][23] 일부 학자들은 "해양 족장국"이라는 용어를 선호하지만,[25] 다른 학자들은 비록 다른 지역의 사례와는 매우 다르지만, "제국"이라는 용어가 가장 편리하다고 주장한다.[26]

7. 1. 문화 유산

무아는 기원전 500년 이전에 건설되었으나, 정확한 건설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통가 사람들은 정교한 도로와 운하 체계를 갖추고 있었으며, 거대한 피라미드를 비롯한 큰 돌 건축물들을 건설했다. 이후 홍수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수도는 누쿠알로파로 옮겨졌다.

통가에서 가장 유명한 유적 중 하나는 13세기 투이타투이 통치 시기에 건설된 Haʻamonga ʻa Maui|하아몽가 아 마우이영어 삼석탑이다. 통가 왕과 여왕들은 거대한 돌 무덤인 랑기에 매장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Bandiere: passato e presente – Tonga http://www.rbvex.it/[...]
[2] 웹사이트 Tonga Pule'anga Tonga, Kingdom of Tonga https://www.fotw.inf[...]
[3] 논문 Eighteenth Century Tonga: New Interpretations of Tongan Society and Material Culture at the Time of Captain Cook https://www.jstor.or[...] 1971-06-01
[4] 논문 An Account of Eighteenth Century Tonga – Chapter 1: Captain Cook's view of Tonga https://www.yumpu.co[...] 2014-03-15
[5] 문서 O Tama a Aiga
[6] 서적 The Pacific Islands: An Encyclopedia
[7] 서적 Tongan society at the time of Captain Cook's visits : discussions with Her Majesty Queen Salote Tupou Polynesian Society
[8] 서적 The art of Tonga University of Hawai'i Press
[9] 웹사이트 http://collections.t[...]
[10] 논문 Named Mats,' 'le Tôga 'Fine. Mats' and Other Treasured Textiles of Samoa and Tonga 1999-06-01
[11] 서적 Songs and Poems of Queen Salote
[12] 서적 Tuvalu: A History, Chapter 1, Genesis Institute of Pacific Studies, Un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and Government of Tuvalu
[13] 서적 A Brief History of Niutao Institute of Pacific Studies, Un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14] 논문 A View from the West: Samoa in the Culture History of 'Uvea (Wallis) and Futuna (Western Polynesia)
[15] 논문 Note Upon the Natives of Savage Island, or Niue https://zenodo.org/r[...] 1901-01-01
[16] 문서 The Pacific Islands: An Encyclopedia
[16] 논문 Great Families of Polynesia: Inter-island Links and Marriage Patterns 1997
[17] 논문 Great Families of Polynesia: Inter-island Links and Marriage Patterns 1997
[17] 문서 Deconstructing the Island Group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8] 논문 Great Families of Polynesia: Inter-island Links and Marriage Patterns 1997
[18] 문서 Tongan Society
[18] 문서 Tongan Society at the Time of Captain Cook's Visits
[19] 웹사이트 Planet Tonga http://planet-tonga.[...] 2006-03-05
[2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Discovery and Exploration of the Pacific Islands The Scarecrow Press
[21] 백과사전 Tasman, Abel Janszoon
[22] 논문 Recent Advances in the Archaeology of the Fiji/West-Polynesia Region http://www.anthropol[...]
[23] 서적 Hawaiki, Ancestral Polynesia: An Essay in Historical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24] 서적 Language Contact and Change in the Austronesian World https://books.google[...]
[25] 논문 Monumentality in the development of the Tongan maritime chiefdom http://antiquity.ac.[...]
[26] 서적 Vaka Moana, voyages of the ancestors: the discovery and settlement of the Pacific David Bateman
[27] 서적 The Pacific Islands: An Encyclo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