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투구새우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구새우속은 새엽류에 속하는 갑각류로, 2~10cm 크기를 가지며, 평평한 등갑과 퇴화된 제2촉각, 3개의 눈(겹눈 2개, 안점 1개)이 특징이다. 과거에는 고생대부터 존재했다고 여겨졌으나, 현재는 신생대 마이오세에 일본에서 발견된 화석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밝혀졌다. 투구새우류는 얕은 웅덩이나 논과 같이 건조에 강한 환경에 적응하여, 잡식성으로 진흙 속의 유기물을 섭취하며, 알 상태로 건조한 환경에서 휴면하다가 물이 차면 부화한다. 일부 종은 모기 유충을 잡아먹어 인간에게 이로운 역할을 하며, 애완동물로도 사육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새각강 - 긴꼬리투구새우
    긴꼬리투구새우는 최대 75mm까지 자라는 긴 꼬리와 두흉부가 없는 갑각을 가진 담수 갑각류로, 다양한 생식 전략을 보이며 잡식성이고 일시적 수역에 서식하며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 새각강 - 물벼룩
    물벼룩은 갑각류의 일종으로, 다양한 수생 서식지에 살면서 생태계에서 중요한 먹이 역할을 하며, 최초로 게놈이 해독된 갑각류로서 유전자 연구와 생태 독성 시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살아있는 화석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살아있는 화석 - 코알라
    코알라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며 유칼립투스 잎을 주식으로 하는 유대류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물을 마시지 않는다는 의미의 이름과는 달리 실제로 물을 마시기도 하고, 호주를 대표하는 동물 중 하나로서 국제적인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투구새우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긴꼬리투구새우
학명Triops
학명 명명자슈랑크, 1803
영어 이름올챙이 새우
한국어 이름투구새우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아문갑각아문
새각강
아강투구새우아강
배갑목
투구새우과
투구새우속
하위 분류Triops australiensis
Triops baeticus
Triops cancriformis
Triops emeritensis
Triops gadensis
Triops granarius
Triops longicaudatus
Triops mauritanicus
Triops newberryi
Triops vicentinus
고생물학적 정보
화석 범위마이오세 초기 - 현재

2. 특징

투구새우속(''Triops'')은 Lepidurus와 미절(꼬리 끝부분)의 형태가 다르다는 점이 특징이다. ''Triops''는 길고 얇은 미부 연장 한 쌍만 가지고 있는 반면, ''Lepidurus''는 중앙 판 모양의 돌기도 가지고 있다.[1]

성체 투구새우의 확대 사진으로, 유생의 홑눈이 보인다.


"트리옵스"는 그리스어로 '3개의 눈'이란 뜻으로, 갑각 위에 있는 3개의 눈에서 나온 이름이다. 그러나 실제로 눈 역할을 하는 것은 가장자리의 두 개의 눈이고 그 사이에 있는 것은 안점(Ocellus)으로서 단순히 빛을 감지하는 기관이다. 안점의 기능은 투구새우에게 방향성을 부여한다. 햇빛은 위에서 아래로 내리쬐기 때문에 배면이 위를 향할 경우 안점을 통해 빛을 감지하지 못한다. 반대로 배면이 아래를 향할 경우 안점을 통해 햇빛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빛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자신의 몸이 뒤집어졌다는 것을 알게 된다.

투구새우속은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수억 년 된 암석에서 이 속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화석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2] 분자 시계 추정치는 ''Triops''가 트라이아스기 또는 쥐라기 동안, 약 1억 5230만 년에서 2억 3350만 년 전에 ''Lepidurus''에서 갈라졌음을 시사한다.[3] 현존하는 ''Triops''의 가장 초기에 분기된 계통은 과거 초대륙 곤드와나의 일부였던 지역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Triops''가 곤드와나에서 기원했음을 시사한다.[3] 그러나 ''Triops''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장 초기의 확실한 화석은 일본의 초기 마이오세에서 발견되었으며,[4] 신생대 이전의 화석은 ''Triops''에 속하지 않으며 일부는 낫장갑판류에도 속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5][7]

석탄기 후기의 ''Lynceites''는 한때 ''Triops''를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졌지만,[6] 이후 별개의 속으로 간주되었다.[7] 프랑스의 트라이아스기 전기와 독일의 트라이아스기 후기 화석은 ''Triops cancriformis''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불확실한 과에 속하는 멸종된 다른 분류군으로 재분류되었다. (낫장갑판류인 ''Apudites antiquus''와 두순갑류인 ''Olesenocaris galli'', ''Grauvogelocaris alsatica'')[7] 프랑스에서 발견된 ''Triops cancriformis''의 추정 페름기 전기 아종 또한 별도의 낫장갑판류 분류군인 ''Heidiops permiensis''로 재기술되었다.[8] 중국의 쥐라기 중기에서 알려진 ''Triops''의 두 가지 추정 화석 종(''T. hanshanensis''와 ''T. bashuensis'')은 현존하거나 멸종된 어떠한 낫장갑판류 종에서도 알려지지 않은 특징을 가진 별도의 속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7]

''Triops''는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남아메리카, 유럽(영국 포함[9]), 북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 발견될 수 있다.

2. 1. 신체 구조

''Triops''영어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τρίαel (tríael, "셋")와 ὤψel (opsel, "눈")에서 유래했다.[12] 머리에는 서로 가깝게 붙어 거의 융합된 한 쌍의 등 겹눈이 있고, 그 사이에 nauplius 홑눈("세 번째 눈")이 있다.[12] 겹눈은 머리 표면에 있지만, 홑눈은 머리 깊숙이 위치한다. 그러나 모든 눈은 머리를 덮는 껍질을 통해 쉽게 볼 수 있다.

위쪽과 아래쪽의 ''Triops''. '''1''' 눈, '''2''' 더듬이, '''3''' 꼬리, '''4''' 몸통, '''5''' 더듬이, '''6''' 첫 번째 몸통 부속지, '''7''' 아가미가 있는 다리, '''8''' 중간선, '''9''' 꼬리, '''10''' 항문


투구새우속의 크기는 2-10cm로, 새엽류에서는 상당히 큰 편이다.[24]

물벼룩류나 갯지렁이류와 함께 새엽류에 포함되지만, 몸의 좌우를 감싸는 등갑과 발달한 제2촉각을 가진 물벼룩류 및 갯지렁이류와 달리 투구새우의 등갑은 평평하게 펴져 있으며, 제2촉각은 현저하게 퇴화하여 완전히 결여된 경우도 있다. 짧은 제1촉각은 등갑 전방의 복측에 있으며, 큰턱은 발달한다. 등갑 전방에는 2개의 큰 겹눈, 1개의 눈에 띄지 않는 노플리우스 눈, 1개의 둥근 배기관(dorsal organ)이 모여 있다.[25] 흉부와 복부는 다수의 마디로 나뉘며, 복측에 있는 11쌍의 흉지와 수십 쌍의 복지는 지느러미 모양으로 호흡과 유영에 사용된다. 제1쌍의 흉지에서는 각각 3개의 실 모양 부분이 뻗어 나와 감각 기관 역할을 한다. 진짜 촉각은 불분명하므로, 이 촉각과 같은 제1흉지는 종종 촉각으로 오해되기도 한다. 복부 끝에는 1쌍의 미지가 있다.[26]

2. 2. 생태

투구새우류는 우기에 생긴 웅덩이에 단기간에 왕성하게 번식한다. 알은 물, 햇빛, 22°C-30°C의 온도, 유기물질이 적은 환경 등 생존에 적절한 조건이 갖춰지면 부화한다. 미네랄이 많은 물에서는 부화하지 않는데, 이는 포식자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햇빛 조건은 흙 속에 있는 알이 다른 개체에게 먹히지 않도록 해준다. 온도 조건은 15°C-30°C에서 생존에 적정하며, 시간 조건은 48-96시간 내에 부화하도록 하여 동족 포식을 피하게 한다.[36]

부화 후 24시간 만에 성체의 축소판처럼 보인다.[1] 대부분의 종은 유성 생식을 하지만, 일부 개체군은 자웅동체가 우세하며 내부 수정된 알을 낳는다. 유럽투구새우(''T. cancriformis'')는 서식 범위의 남쪽에서는 유성 생식, 북쪽에서는 처녀 생식이 우세하다.[10]

투구새우의 알은 건조하면 장기간 휴면 상태에 들어가며, 최대 98°C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견딜 수 있다. 하지만 성체는 34°C 이상의 온도에서는 24시간, 40°C 이상에서는 2시간 이상 생존할 수 없다.[11] 휴면 상태는 알이 너무 빨리 부화하는 것을 방지하며, 연못이 충분한 물로 채워져야 휴면 상태가 깨진다.[11]

크기는 2-10cm로, 새엽류로서는 상당히 대형이다.[24]

일본에서는 6-7월, 에 대량 발생한다. 논에 물을 댄 후 10시간 정도에 부화가 시작되어 6일 정도 지속적으로 부화한다.[27] 부화 후 10일 정도에 산란하며, 1-2개월의 짧은 일생을 마친다. 성장 속도와 생존 기간은 수온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수온이 21°C인 경우, 아시아 투구새우는 8일째, 아메리카 투구새우는 10일째, 유럽투구새우는 16일째부터 산란한다.[34] 논의 물이 마르면 진흙 속에 알이 남는다. 다른 지역에서는 빈번하게 마르는 얕은 웅덩이나 연못에 서식하는 경우가 많으며, 건조에 강한 내구란을 가지고 있어 논과 같은 환경에 적응한 것으로 생각된다. 잡식성이며, 진흙 속의 동식물 사체의 파편이나 소형 조류, 플랑크톤을 진흙과 함께 포식한다.

3. 종

투구새우속(''Triops'')은 Lepidurus와 미절의 형태가 다르다. ''Triops''는 길고 얇은 미부 연장 한 쌍만 가지고 있는 반면, ''Lepidurus''는 중앙 판 모양의 돌기도 가지고 있다. 부화 후 24시간 만에 성체의 축소판처럼 보인다.[1]

''Triops''는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 속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화석이 수억 년 된 암석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2] 분자 시계 추정치는 ''Triops''가 트라이아스기 또는 쥐라기 동안, 약 1억 5230만 년에서 2억 3350만 년 전에 ''Lepidurus''에서 갈라졌음을 시사한다. 현존하는 ''Triops''의 가장 초기에 분기된 계통은 과거 초대륙 곤드와나의 일부였던 지역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Triops''가 곤드와나에서 기원했음을 시사한다.[3] 그러나, ''Triops''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장 초기의 확실한 화석은 일본의 초기 마이오세에서 발견되었으며,[4] 신생대 이전의 화석에 대한 면밀한 분석 결과, 이들이 ''Triops''에 속하지 않으며 일부는 심지어 낫장갑판류에도 속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5][7]

석탄기 후기의 속인 ''Lynceites''는 한때 ''Triops''를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졌지만,[6] 이후의 분석에서는 이를 별개의 속으로 간주한다.[7] 프랑스의 트라이아스기 전기와 독일의 트라이아스기 후기의 화석은 이전에 ''Triops cancriformis''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며, 일부는 아종 ''T. c. minor''의 표본으로 묘사되기까지 했지만, 이후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트라이아스기 표본들을 불확실한 과에 속하는 멸종된 다른 분류군으로 재분류했다. 즉, 낫장갑판류인 ''Apudites antiquus''와 두순갑류인 ''Olesenocaris galli'', 그리고 ''Grauvogelocaris alsatica''이다.[7] 프랑스에서 발견된 ''Triops cancriformis''의 추정 페름기 전기 아종 또한 별도의 낫장갑판류 분류군, 즉 ''Heidiops permiensis''로 재기술되었다.[8] 중국의 쥐라기 중기에서 알려진 ''Triops''의 두 가지 추정 화석 종인 ''T. hanshanensis''와 ''T. bashuensis''는 현존하거나 멸종된 어떠한 낫장갑판류 종에서도 알려지지 않은 특징을 가진 별도의 속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7]

''Triops''는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남아메리카, 유럽(영국 포함[9]), 그리고 기후가 적합한 북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 발견될 수 있다.

3. 1. 한국 서식종

다음은 일본에 서식하는 투구새우속의 종들이다.

타이리쿠투구새우는 재래종으로 여겨지지만[30], 나머지 2종은 모두 이입종으로, 1916년 가가와현에서 아메리카투구새우가 발견[35]된 후, 각지에서 발견되고 있다. 간토 지방 · 주부 지방 이서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또한, 타이리쿠투구새우도 중국으로부터의 귀화 동물이라는 연구도 있다[31]

또한, 일본 주변에서는 '''헤라오투구새우''' ''Lepidurus arcticus''가 쿠릴 열도에서 기록되어 있다[32]

3. 2. 기타 종


  • ''Triops australiensis'' (Spencer & Hall, 1895)
  • ''Triops baeticus'' Korn, 2010
  • 유럽투구새우(''Triops cancriformis'' (Bosc, 1801))
  • ''Triops emeritensis'' Korn & Pérez-Bote, 2010
  • ''Triops gadensis'' Korn & García-de-Lomas, 2010
  • ''Triops granarius'' (Lucas, 1864)
  • 긴꼬리투구새우(''Triops longicaudatus'' (LeConte, 1846))
  • ''Triops mauritanicus'' Ghigi, 1921
  • ''Triops newberryi'' Thomas, 1921
  • ''Triops vicentinus'' Korn, Machado, Cristo & Cancela da Fonseca, 2010


일본 국내에는 다음 4종이 서식한다.

학명분포 지역
아메리카투구새우Triops longicaudatus간토 이서
유럽투구새우Triops cancriformis야마가타현, 나가노현, 도치기현, 미야기현[28][29]
타이리쿠투구새우Triops sinensis돗토리현, 긴키 지방 (※ 종래 아시아투구새우(T. granarius)로 여겨졌던 것)
시라하마오스트레일리아투구새우Triops strennus와카야마현



타이리쿠투구새우는 재래종으로 여겨지지만[30], 나머지 2종은 모두 이입종으로, 1916년 가가와현에서 아메리카투구새우가 발견된 후[35] 각지에서 발견되고 있다. 간토 · 주부 지방 이서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타이리쿠투구새우도 중국으로부터의 귀화 동물이라는 연구도 있다[31]

일본 주변에서는 헤라오투구새우 ''Lepidurus arcticus''가 쿠릴 열도에서 기록되어 있다[32]

4. 분류

''Triops''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τρία|트리아el에서 유래되었으며, "셋"을 의미하고, ὤψ|옵스el는 "눈"을 의미한다.[12] 프란츠 폰 파울라 슈랑크는 1803년 바이에른의 동물상에 관한 저술에서 ''Triops''라는 명을 처음 사용했다.[13]

루트비히 카이략은 1909년 독일의 담수 동물상 식별 안내서에서 조반니 안토니오 스코폴리가 이미 ''Apus''라는 이름으로 조류 속을 기술했기 때문에 ''Apus'' 대신 ''Triops''를 사용하자고 제안했다.[13] 그러나 로버트 거니는 ''Apus'' Schäffer라는 이름을 선호하며, ''Triops''는 사용하지 말 것을 제안했다.[13]

이 논쟁은 1950년대까지 지속되었는데, 앨런 R. 롱허스트가 1955년 Notostraca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에서 ''Triops''를 지지하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13] 국제 동물 명명 규약 위원회(ICZN)는 1958년 롱허스트의 의견을 따라 ''Triops'' Schrank, 1803을 공식 속명으로 인정했다.(ICZN 이름 번호 1246)[13]

1955년 이후 이 속에 대한 분류가 검토되지 않았지만, 다음 종들이 알려져 있다:[14][15]

Triops australiensis (Spencer & Hall, 1895)
Triops baeticus Korn, 2010
Triops cancriformis (Bosc, 1801)
Triops emeritensis Korn & Pérez-Bote, 2010
Triops gadensis Korn & García-de-Lomas, 2010
Triops granarius (Lucas, 1864)
Triops longicaudatus (LeConte, 1846)
Triops mauritanicus Ghigi, 1921
Triops newberryi Thomas, 1921
Triops vicentinus Korn, Machado, Cristo & Cancela da Fonseca, 2010



''T. mauritanicus''는 1955년 앨런 R. 롱허스트에 의해 ''T. cancriformis''의 아종으로 간주되었지만, 2006년 Korn ''et al.''에 의해 다시 종 지위를 획득했다.[16]

이 종들 중 일부는 서로 다른 변종이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최근 아종 또는 별도의 종으로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T. longicaudatus''는 여러 종이 묶인 것일 수 있으며, ''T. cancriformis''는 일반적으로 ''T. cancriformis cancriformis'', ''T. c. mauretanicus'', ''T. c. simplex''의 세 가지 아종을 가진다.[17] 또한, 알비노 형태는 ''T. cancriformis'' var. ''Beni-Kabuto Ebi''라는 특별한 이름으로 불린다.

새엽류 중에서 투구새우는 카이새우나 물벼룩류와 단일 계통군을 이룬다. 이들은 엽각아강 Phyllopoda로 묶이거나, 투구새우는 스스로 투구새우아강 Calmanostraca를 구성하여[23] 다른 새엽류와 구별된다. 투구새우(배갑목 Notostraca)는 투구새우과 Triopsidae만으로 구성되며, 이 과는 투구새우속 ''Triops''와 ''Lepidurus''속을 포함한다. 두 속은 제1흉지의 실 모양 부분의 길이(''Triops''는 길고, ''Lepidurus''는 짧다)와 ''Lepidurus''속 꼬리마디의 주걱 모양 돌기 유무로 구별된다.


  • ''Triops'' 투구새우속
  • ''T. australiensis'' 호주 투구새우
  • ''T. baeticus''
  • ''T. cancriformis'' 유럽 투구새우 (자웅동체)
  • ''T. emeritensis''
  • ''T. gadensis''
  • ''T. longicaudatus'' 아메리카 투구새우 (자웅동체)
  • ''T. mauritanicus''
  • ''T. newberryi''
  • ''T. sinensis'' 중국 투구새우 (자웅이체)
  • ''T. vicentinus''
  • ''Lepidurus'' 속
  • ''L. apus''
  • ''L. arcticus''
  • ''L. batesoni''
  • ''L. bilobatus''
  • ''L. couesii''
  • ''L. cryptus''
  • ''L. lemmoni''
  • ''L. lynchi''
  • ''L. mongolicus''
  • ''L. packardi'' (멸종 위기 종)


5. 진화 (살아있는 화석)

투구새우속(''Triops'')은 현존하는 다른 낫장갑판류 속인 Lepidurus와 미절(꼬리 끝부분) 형태에서 구별된다. ''Triops''는 길고 얇은 미부 연장 한 쌍만 가지는 반면, ''Lepidurus''는 중앙 판 모양의 돌기도 가지고 있다. 부화 후 불과 24시간 만에 이미 성체의 축소판처럼 보인다.[1]

''Triops''는 때때로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리는데, 이 속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화석이 수억 년 된 암석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2] 분자 시계 추정치는 ''Triops''가 트라이아스기 또는 쥐라기 동안, 약 1억 5230만 년에서 2억 3350만 년 전에 ''Lepidurus''에서 갈라졌음을 시사한다. 현존하는 ''Triops''의 가장 초기에 분기된 계통은 과거 초대륙 곤드와나의 일부였던 지역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Triops''가 곤드와나에서 기원했음을 시사한다.[3] 그러나 ''Triops''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장 초기의 확실한 화석은 일본의 초기 마이오세에서 발견되었으며,[4] 신생대 이전의 화석에 대한 면밀한 분석 결과, 이들이 ''Triops''에 속하지 않으며 일부는 심지어 낫장갑판류에도 속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5][7]

석탄기 후기의 속인 ''Lynceites''는 한때 ''Triops''를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졌지만,[6] 이후 분석에서는 이를 별개의 속으로 간주한다.[7] 프랑스의 트라이아스기 전기와 독일의 트라이아스기 후기 화석은 이전에 ''Triops cancriformis''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며, 일부는 아종 ''T. c. minor''의 표본으로 묘사되기까지 했지만, 이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트라이아스기 표본들을 불확실한 과에 속하는 멸종된 다른 분류군으로 재분류했다. 즉, 낫장갑판류인 ''Apudites antiquus''와 두순갑류인 ''Olesenocaris galli'', 그리고 ''Grauvogelocaris alsatica''이다.[7] 프랑스에서 발견된 ''Triops cancriformis''의 추정 페름기 전기 아종 또한 별도의 낫장갑판류 분류군, 즉 ''Heidiops permiensis''로 재기술되었다.[8] 중국의 쥐라기 중기에서 알려진 ''Triops''의 두 가지 추정 화석 종인 ''T. hanshanensis''와 ''T. bashuensis''는 현존하거나 멸종된 어떠한 낫장갑판류 종에서도 알려지지 않은 특징을 가진 별도의 속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7]

투구새우속은 석탄기부터 출현했으며, 특히 쥐라기부터의 화석도 존재하며, 갑각류 중에서도 오래된 형질을 남긴 것으로 생각된다. 분화된 당시부터 현재까지 거의 같은 모습을 유지해온 살아있는 화석이다. 그 원시적인 특징으로, 노플리우스 눈이 있다. 큰 눈이 두 개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중심에 있는 작은 눈을 합쳐서 모두 3개의 눈이다. 일반적으로 갑각류의 노플리우스 눈은 유생에게만 존재하기 때문에, 이 노플리우스 눈이 성체에도 남아 있다는 점에서 원시적인 특징으로 여겨진다.

6. 인간과의 관계

투구새우속은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의 매개체인 ''Culex'' 모기 유충을 잡아먹어 인간에게 이로움을 준다.[18] 일본에서는 논의 잡초를 제거하는 생물학적 방제 방법으로 활용되며, 특히 ''T. cancriformis''의 Beni-Kabuto Ebi Albino 변종이 효과적이다. 와이오밍 주에서는 ''T. longicaudatus''의 존재가 아메리카 삽발가락두꺼비 부화 가능성을 높이는 지표로 사용된다.

건조된 ''T. longicaudatus'' 알은 "아쿠아사우르스", "트리곤", "트리옵스" 등의 이름으로 판매되는 수족관 애완동물 키트로 인기가 높다. 애호가들은 ''T. cancriformis'' 외에도 ''T. australiensis'', ''T. newberryi'', ''T. granarius'' 등 다양한 종을 사육한다.

사육되는 투구새우는 주로 당근, 새우 펠릿, 건조 새우를 먹으며,[19] 살아있는 새우나 ''Daphnia''를 주기도 한다.[20] 잡식성이 강해 점심 고기, 크래커, 감자 등도 먹는다.[21]

"Triops" 등의 이름으로 판매되는 투구새우 사육 세트는 키우기 쉬워 중학생들의 자유 연구 과제로도 인기가 많다. 학연의 「과학과 학습」 중 「2년의 과학」 교재 부록으로 매년 여름 투구새우 사육 세트가 제공되기도 했다.

6. 1. 농업

''T. longicaudatus''는 ''Culex'' 모기 유충을 먹어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를 막는 데 도움을 준다.[18] 또한 일본에서는 벼 에서 잡초를 제거하는 생물학적 방제로 사용된다. 특히 ''T. cancriformis''의 Beni-Kabuto Ebi Albino 변종이 이러한 용도로 유용하다. 와이오밍 주에서는 ''T. longicaudatus''가 있으면 아메리카 삽발가락두꺼비의 부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육된 ''Triops cancriformis''(왼쪽)와 ''Triops longicaudatus''(오른쪽)가 당근을 먹고 있다.


캘리포니아에서 ''T. longicaudatus''는 어린 벼 묘목을 뿌리째 뽑아 벼 재배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간주된다.[22] 에서는 잡초를 먹는 것 외에도, 먹이를 찾거나 산란을 위해 물속의 흙을 휘저어 물을 흐리게 하여 빛을 차단함으로써 잡초의 발아와 성장을 억제한다. 이 때문에 "논의 풀 제거 벌레"라고도 불린다.[33] 논 잡초 제거를 위해서는 생존 기간이 가장 긴 아시아 투구새우가 가장 적합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34] 또한, 유기 농법을 시행하는 논에서는 물의 pH가 낮아 부화해도 죽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35]

6. 2. 질병 예방

T. longicaudatus영어는 Culex영어 모기 유충을 먹기 때문에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를 막는데 도움이 된다.[18] 또한 일본에서는 벼 의 잡초를 제거하는 생물학적 방제 방법으로 사용된다. 특히 T. cancriformis영어의 Beni-Kabuto Ebi Albino 변종이 이러한 용도로 유용하다. 와이오밍 주에서는 T. longicaudatus영어가 서식하는 곳에서 아메리카 삽발가락두꺼비의 부화 가능성이 높게 나타난다.

6. 3. 교육 및 애완

''T. longicaudatus''는 ''Culex'' 모기 유충을 먹이로 삼기 때문에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18] 또한 일본에서는 벼 의 잡초를 제거하는 생물학적 방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특히 ''T. cancriformis''의 Beni-Kabuto Ebi Albino 변종이 이러한 용도로 유용하다. 와이오밍 주에서는 ''T. longicaudatus''가 서식한다는 것은 아메리카 삽발가락두꺼비의 부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투구새우속(''Triops cancriformis'') "Beni-Kabuto Ebi Albino". 투명한 갑각을 가지고 있으며, 성장하면서 갑각은 불투명해지지만 ''T. cancriformis'' 특유의 색상 패턴은 나타나지 않는다.


''T. longicaudatus''의 건조된 알은 "아쿠아사우르스", "트리곤", "트리옵스" 등의 이름으로 판매되는 수족관 애완동물 사육 키트로 판매된다. ''T. cancriformis'' 또한 애호가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다. 이 외에도 ''T. australiensis'', ''T. newberryi'', ''T. granarius'' 등이 사육 환경에서 자주 발견된다.

사육되는 ''Triops''는 주로 당근, 새우 펠릿, 건조 새우 등을 먹는다.[19] 살아있는 새우나 ''Daphnia''를 먹이로 주기도 한다.[20] 이들은 거의 모든 것을 먹을 수 있어, 점심 고기, 크래커, 감자 등도 섭취한다.[21]

캘리포니아에서는 ''T. longicaudatus''가 어린 벼 묘목을 뿌리째 뽑아 벼 재배에 큰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22]

"Triops" 등의 이름으로 판매되는 사육 세트에는 대부분 미국 투구새우가 들어있지만, 다른 종류의 투구새우, 논병아리새우, 물벼룩 등이 섞여 있기도 하다. 사육 방법은 건조된 알을 물에 넣으면 1일에서 수일 내에 부화하는 간단한 방식이며, 열대어용 먹이를 사용하여 사육할 수 있다. 수명은 수개월로 짧지만, 알을 남기는 경우가 많아 수조의 모래를 건조시킨 후 다시 물에 넣으면 다음 세대가 부화하기도 한다. 이러한 간편함 덕분에 중학생들의 자유 연구 과제로도 많이 활용된다.

학연의 「과학과 학습」 중 「2년의 과학」 교재 부록으로 매년 여름 투구새우 사육 세트가 제공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Light and Smith manual: intertidal invertebrates from central California to Oreg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Triops'' http://mytriops.com/[...] MyTriops.com 2010-10-04
[3]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Notostraca https://linkinghub.e[...] 2013-12
[4] 논문 Three-dimensionally preserved ''Triops'' sp. (Crustacea, Branchiopoda) from a Miocene volcaniclastic sediment in Ota City, Gunma Prefecture, central Japan https://www.gmnh.pre[...]
[5] 논문 Ontogenetic sequence comparison of extant and fossil tadpole shrimps: no support for the "living fossil" concept http://link.springer[...] 2017-12
[6] 논문 The fossil record of the Cladocera (Crustacea: Branchiopoda): Evidence and hypotheses https://linkinghub.e[...] 2016-12
[7] 논문 The end of the ‘living fossil’ tale? A new look at Triassic specimens assigned to the tadpole shrimp Triops cancriformis (Notostraca) and associated phyllopods from the Vosges region (eastern France) https://onlinelibrar[...] 2024
[8] 논문 New branchiopod crustaceans from the late Carboniferous and early Permian of the Thuringian Forest Basin, Germany, with a review of Permian notostracans from the Lodève basin, France https://www.research[...] 2023
[9] 방송 2015-11-05
[10] 서적 The masterpiece of nature: the evolution and genetics of sexual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Tropical ecosystems and ecological concep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Medical and biological terminologies: classical origins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3] 논문 SEM studies on the early larval development of ''Triops cancriformis'' (Bosc) (Crustacea: Branchiopoda, Notostraca) http://www.zmuc.dk/i[...]
[14] 웹사이트 A Brief Overview of the Species http://mytriops.com/[...] MyTriops.com 2010-10-04
[15] 논문 Phylogeny, molecular ecology and taxonomy of southern Iberian lineages of ''Triops mauritanicus'' (Crustacea: Notostraca) http://www.ebd.csic.[...]
[16] 논문 Sister species within the Triops cancriformis lineage (Crustacea, Notostraca) http://www.triops.es[...] 2011-12-14
[17] 웹사이트 Species list http://mytriops.com/[...] Mytriops.com 2016-07-23
[18] 논문 Prey-size selection by Triops longicaudatus (Notostraca: Triopsidae) feeding on immature stages of Culex quinquefasciatus. https://pubmed.ncbi.[...] 2023-03-03
[19]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eb.archive.[...] triops.com
[20] 웹사이트 Triops food http://mytriops.com/[...] Mytriops.com 2016-07-23
[21] 웹사이트 Triops and their food http://triops-eggs.c[...] Triops-eggs.com 2016-07-23
[22] 논문 Effect of Rice Winter Cultural Management Practices on the Size of the Hatching Population of Triops longicaudatus (Notostraca: Triopsidae) in California Rice Fields https://academic.oup[...] 2020-06-06
[23]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Calmanostraca http://www.marinespe[...] Flanders Marine Institute 2019-01-15
[24] 서적 The Light and Smith Manual: Intertidal Invertebrates from Central California to Oregon https://books.google[...] カリフォルニア大学出版
[25] 논문 A review of the Notostraca http://www.biodivers[...] 1955
[26] 웹사이트 Crustacea, the Higher Taxa - Notostraca (Branchiopoda) http://crustacea.net[...] Australian Museum 2019-01-15
[27] 논문 アジアカブトエビ(''Triops granarius'')休眠卵が孵化する時間と幼生の変態段階 http://ir.lib.osaka-[...] 大阪教育大学
[28] 웹사이트 カブトエビ類 / 国立環境研究所 侵入生物DB https://www.nies.go.[...] 2024-08-07
[29] 논문 長野県の水田で採集されたヨーロッパカブトエビ https://doi.org/10.1[...] 日本甲殻類学会
[30] 논문 カブトエビによる水田雑草の生物学的制御 日本応用動物昆虫学会 1973-04-03
[31] 문서 出典:片山寛之、高橋史樹(1890)カブトエビ-日本への侵入と生体。川合貞次等編「日本の淡水生物-侵入と攪乱の生態学」東海大学出版協会
[32] 논문 ''Lepidurus arcticus''(PALLAS)千島に分布す : 鰓脚類雜記5 https://dl.ndl.go.jp[...] 東京動物學會
[33] 웹사이트 田んぼの生きもの~甲殻類編~ https://www.pref.miy[...] 2024-08-07
[34] 논문 カブトエビ3種の生命表の比較 https://agriknowledg[...] 日本応用動物昆虫学会
[35] 논문 慣行農法水田と有機農法水田におけるアメリカカブトエビ ''Triops longicaudatus''(LeConte)の発生 https://agriknowledg[...] 日本応用動物昆虫学会
[36] 저널 The end of the ‘living fossil’ tale? A new look at Triassic specimens assigned to the tadpole shrimp Triops cancriformis (Notostraca) and associated phyllopods from the Vosges region (eastern France) https://onlinelibrar[...] 2024
[37] 저널 Three-dimensionally preserved ''Triops'' sp. (Crustacea, Branchiopoda) from a Miocene volcaniclastic sediment in Ota City, Gunma Prefecture, central Japan https://www.gmnh.p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