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툼부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툼부카어는 툼부카족이 사용하는 반투어군의 언어이다. 5개의 모음(/a/, /ɛ/, /i/, /ɔ/, /u/, /m̩/)을 가지며, 문법, 어휘, 회화 등 다양한 특징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언어 - 코이라치니어
    코이라치니어는 송가이, 송게이, 송하이, 송호이 등으로 불리는 언어로, 지역 방언이 다양하고 단모음과 장모음을 포함한 음운 체계를 가지며, 라틴 문자와 아랍 문자(아자미)로 표기되는 언어이다.
  • 말라위의 언어 - 체와어
    체와어는 말라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이며 잠비아 동부와 모잠비크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되는 체와족의 언어로, 다양한 방언, 복잡한 모음과 자음 체계, 접두사를 사용하는 문법, 다양한 시제와 어미를 사용하는 동사 체계, 풍부한 구전 문학을 특징으로 한다.
  • 말라위의 언어 - 영어
    영어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에서 유래하여 잉글랜드에서 발전한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대영제국과 미국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잠비아의 언어 - 체와어
    체와어는 말라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이며 잠비아 동부와 모잠비크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되는 체와족의 언어로, 다양한 방언, 복잡한 모음과 자음 체계, 접두사를 사용하는 문법, 다양한 시제와 어미를 사용하는 동사 체계, 풍부한 구전 문학을 특징으로 한다.
  • 잠비아의 언어 - 쇼나어
    쇼나어는 짐바브웨와 모잠비크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치쇼나어, 스위나어 등으로도 불리고 은다우어, 칼란가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와 관련이 있으며 20세기 초에 공식화되어 1950년대에 표준화된 다양한 방언이 있는 언어이다.
툼부카어
언어 정보
계통색니제르콩고어족
이름툼부카어
자기 이름Chitumbuka
사용 국가말라위
탄자니아
잠비아
사용자 수700만 명
지역남아프리카
문자라틴 문자
므왕웨고 문자
소수 언어말라위
탄자니아
잠비아
계통 1니제르콩고어족
계통 2대서양콩고어파
계통 3볼타콩고어군
계통 4베누에콩고어군
계통 5반투제어군
계통 6남부반투제어군
계통 7니아사어족
ISO 639-2tum
ISO 639-3tum
민족툼부카족

2. 문자 및 음운

툼부카어에는 /a/, /ɛ/, /i/, /ɔ/, /u/, /m̩/ 이렇게 총 5개의 모음이 있다.

2. 1. 자모

툼부카어에는 /a/, /ɛ/, /i/, /ɔ/, /u/, /m̩/ 이렇게 총 5개의 모음이 있다.

2. 1. 1. 모음

툼부카어에는 /a/, /ɛ/, /i/, /ɔ/, /u/, /m̩/ 이렇게 총 5개의 모음이 존재한다.

3. 회화

툼부카어 회화
툼부카어한국어
Moni안녕하세요
Monile안녕하세요 (여러 사람들에게)
Muli makola?어떻게 지내세요?
Muli makola?어떻게 지내세요? (여러 사람들에게)
Nili makola괜찮아요
Tili makola우리는 괜찮아요
Naonga감사합니다
Yewo감사합니다
Chomene정말 감사합니다
Ndiwe njani zina lako?이름이 뭐예요?
Zina lane ndine ...제 이름은 ... 입니다
Nyengo ili uli?지금 몇 시에요?
Ningakuvwila?도와드릴까요?
Uyende makola안녕히 가세요
Mwende makola안녕히 가세요 (여러 사람들에게)
Enya/ Eh
Yayi/Chala아니요
Kwali저도 모르겠어요
Mukumanya kuyowoya Chizungu?영어로 말할 수 있으신가요?
Nayambapo kusambilila ChiTumbuka저는 이제 막 툼부카어를 배우기 시작했어요
Mukung'anamula vichi?무슨 뜻이죠?
Chonde, ningaluta kubafa?화장실 좀 다녀와도 될까요?
Nakutemwa/Nkhukutemwa사랑해요
Phepa죄송합니다
Phepani죄송합니다 (여러 사람들에게)
Banja가족
Yowoya말하다


참조

[1] 서적 Kiso 2012
[2] 서적 University of Malawi: Language Mapping Survey for Northern Malawi 2006
[3] 서적 See Language Mapping Survey for Northern Malawi 2006
[4] 서적 Chavula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