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튀니지의 총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튀니지 총리는 튀니지 정부의 수반이다. 1759년 알리 2세 통치 하에 처음 생겼으며, 튀니지 군주제 시대에는 베이에 의해 임명 및 해임되었다. 1956년 튀니지 독립 후 하비브 부르기바가 초대 총리가 되었으며, 1957년 공화국 수립과 함께 폐지되었다가 1969년 이원집정부제 도입으로 부활했다. 튀니지 총리는 대통령이 임명하며, 튀니지 헌법에 따라 국내 정책을 주로 담당하고, 대통령과 함께 튀니지를 대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니지 - 베르베르인
    베르베르인은 북아프리카 마그레브 지역의 토착 민족 집단으로, 아마지그라고도 불리며, 기원전부터 존재하며 여러 세력의 지배와 아랍화 과정을 거쳐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며 마그레브 국가에서 사회·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유럽 등지에 디아스포라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 튀니지 - 무어인
    무어인은 어원적으로 "검다"는 의미를 가지며, 역사적으로 검은 피부를 가진 사람들을 지칭했으나,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이슬람 정복 시대의 아랍인, 베르베르인, 이슬람교도를, 현대에는 모로코, 모리타니 주민을, 필리핀에서는 무슬림 주민을 가리키는 등 시대와 지역에 따라 의미가 다양하게 변화되어 사용된다.
  • 튀니지의 총리 - 하비브 부르기바
    튀니지의 독립을 이끈 초대 대통령 하비브 부르기바는 프랑스 식민 지배에 저항하며 독립 운동을 주도, 세속주의와 근대화를 추진했으나 권위주의적 통치와 경제 위기로 실각, 튀니지 현대화에 기여했으나 권위주의적 통치에 대한 논란이 있다.
  • 튀니지의 총리 - 제인 엘아비디네 벤 알리
    제인 엘아비디네 벤 알리는 1936년 튀니지에서 태어나 군 장교로 시작해 1987년 쿠데타로 대통령이 되었으며, 23년간 장기 집권하며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권위주의 통치와 인권 탄압으로 비판받다가 2010년 시위로 사우디 아라비아로 망명하여 2019년 사망했다.
튀니지의 총리
기본 정보
직책튀니지 총리
원어 명칭(아랍어)
해당 국가튀니지
휘장튀니지의 국장
튀니지 국장
튀니지 국장
총리카멜 마두리
취임일2024년 8월 7일
소속 부서튀니지 내각
직위 종류정부수반(사실상)
역할정부 수반
보고 대상대통령
의회
관저다르 엘 베이
임명권자튀니지 대통령
임기가변적
설립1759년 2월 12일
초대 총리레젭 하자나다르
급여월 8000 튀니지 디나르 (미화 약 $}} 달러)
공식 웹사이트www.pm.gov.tn
역사
최초 총리무스타파 딩기즐리(1922년 5월)
기타
직책 약칭 (비공식)총리
호칭 (공식, 외교)각하

2. 역사

무스타파 카즈나다르, 튀니지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총리 중 한 명


튀니지 군주제 시대의 총리는 정부 수반으로서 정부 업무를 담당했으며, 베이에 의해 임명 및 해임되었다. 이 직책은 알리 2세 통치가 시작된 1759년에 처음 생겼으며, 레제브 카즈나다르가 최초로 이 직책을 맡아 튀니지 역사상 최초의 총리가 되었다.

이 직책이 만들어지면서, 이 자리는 어린 나이에 튀니지로 끌려와 왕가와 마흐젠을 섬기던 외국 출신 맘루크의 전유물이 되었다. 무스타파 카즈나다르, 하이레딘 파샤 등이 그 예이다.

모하메드 아지즈 부아투르는 1882년에 이 직책을 맡은 최초의 토착민 튀니지인으로 여겨진다. 그는 거의 25년 동안 재임하여 튀니지 역사상 가장 오래 재임한 총리이며, 그의 임기 동안 프랑스 보호령이 튀니지에 수립되었다.

이 기간 동안 총리는 군주에 의해 임명되었고, 의회 선거가 튀니지 독립 전까지 없었기 때문에 당파적이지 않았다. 독립 후 하비브 부르기바가 1956년 선거를 통해 임명된 최초의 총리가 되었다.

모하메드 셰니크 (1943년과 1950년)와 1954년의 타하르 벤 아마르는 데스투르당 소속으로 베이에 의해 임명되었다는 두 가지 예외가 있었다. 특히 1943년에는 무함마드 7세 알-문시프가 새로운 총리의 임명에 대해 프랑스 총독과 조율하지 않아 정치적 위기를 초래했고, 이로 인해 해임되었다.

의회가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국을 수립한 후, 부르기바 총리가 튀니지 공화국 대통령으로 임명되면서 이 직책은 폐지되었다. 이 직책은 1969년 대통령제에서 이원집정부제로 제도가 개정될 때까지 공석으로 남아 있었다.

2. 1. 튀니지 왕국 시대 (1759년 ~ 1957년)



튀니지 군주제 시대의 총리는 정부 수반으로서 정부 업무를 담당했으며, 베이에 의해 임명 및 해임되었다. 이 직책은 알리 2세 통치가 시작된 1759년에 처음 생겼으며, 레제브 카즈나다르가 최초로 이 직책을 맡아 튀니지 역사상 최초의 총리가 되었다.

이 직책이 만들어지면서, 이 자리는 어린 나이에 튀니지로 끌려와 왕가와 마흐젠을 섬기던 외국 출신 맘루크의 전유물이 되었다. 무스타파 카즈나다르, 하이레딘 파샤 등이 그 예이다.

모하메드 아지즈 부아투르는 1882년에 이 직책을 맡은 최초의 토착민 튀니지인으로 여겨진다. 그는 거의 25년 동안 재임하여 튀니지 역사상 가장 오래 재임한 총리이며, 그의 임기 동안 프랑스 보호령이 튀니지에 수립되었다.

이 기간 동안 총리는 군주에 의해 임명되었고, 의회 선거가 튀니지 독립 전까지 없었기 때문에 당파적이지 않았다.

모하메드 셰니크 (1943년과 1950년)와 1954년의 타하르 벤 아마르는 데스투르당 소속으로 베이에 의해 임명되었다는 두 가지 예외가 있었다. 특히 1943년에는 무함마드 7세 알-문시프가 새로운 총리의 임명에 대해 프랑스 총독과 조율하지 않아 정치적 위기를 초래했고, 이로 인해 해임되었다.

#이름이미지태어난 년도 - 사망한 년도임기 시작임기 끝정당
1타하르 벤 아마르
80px
1889-19851956년 3월 20일1956년 4월 11일무소속
2하비브 부르기바
80px
1903-20001956년 4월 11일1957년 7월 25일신 데스투르당 (1956)
데스투르 사회당 (1956-1957)



독립 후 하비브 부르기바가 1956년 선거를 통해 임명된 최초의 총리가 되었다.

의회가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국을 수립한 후, 부르기바 총리가 튀니지 공화국 대통령으로 임명되면서 이 직책은 폐지되었다. 이 직책은 1969년 대통령제에서 이원집정부제로 제도가 개정될 때까지 공석으로 남아 있었다.

2. 2. 공화국 수립과 총리직 폐지 (1957년 ~ 1969년)

무스타파 카즈나다르는 튀니지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총리 중 한 명이었다. 알리 2세 통치가 시작된 1759년에 레제브 카즈나다르가 튀니지 역사상 최초의 총리가 되었다.

이 직책은 어린 나이에 튀니지로 끌려와 왕가와 마흐젠을 섬기던 외국 출신 맘루크의 전유물이었다. 무스타파 카즈나다르, 하이레딘 파샤 등이 그 예이다.

모하메드 아지즈 부아투르는 1882년에 이 직책을 맡은 최초의 토착민 튀니지인으로 여겨진다. 그는 거의 25년 동안 재임하여 튀니지 역사상 가장 오래 재임한 총리이며, 그의 임기 동안 프랑스 보호령이 튀니지에 수립되었다.

총선은 튀니지 독립 전까지 없었기 때문에, 총리는 군주에 의해 임명되었고 당파적이지 않았다. 독립 후 하비브 부르기바가 1956년 선거를 통해 임명된 최초의 총리가 되었다.

모하메드 셰니크 (1943년과 1950년)와 1954년의 타하르 벤 아마르는 데스투르당 소속으로 베이에 의해 임명되었다. 특히 1943년에는 무함마드 7세 알-문시프가 새로운 총리의 임명에 대해 프랑스 총독과 조율하지 않아 정치적 위기를 초래했고, 이로 인해 해임되었다.

의회가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국을 수립한 후, 부르기바 총리가 튀니지 공화국 대통령으로 임명되면서 총리직은 폐지되었다. 이 직책은 1969년 대통령제에서 이원집정부제로 제도가 개정될 때까지 공석으로 남아 있었다.

2. 3. 총리직 부활과 현재 (1969년 ~ 현재)

1957년 공화국 수립 이후 하비브 부르기바 총리가 대통령으로 임명되면서 총리직은 폐지되었다.[5] 1969년 대통령제에서 이원집정부제로 제도가 개정되면서 총리직이 부활하였다.

부활 이후, 바히 라드함이 1969년 11월 7일 초대 총리로 임명되었고, 1970년 11월 2일 헤디 누이라가 그 뒤를 이었다.[5] 이후 무함마드 므잘리(1980년 4월 23일), 라시드 스파르(1986년 7월 8일), 제인 엘아비디인 벤 알리(1987년 10월 2일)가 차례로 총리직을 수행했다.[6] 제인 엘아비디인 벤 알리는 1987년 쿠데타를 일으켜 대통령에 취임했다.

벤 알리 대통령 집권 기간 동안 헤디 바쿠시(1987년 11월 7일), 하메드 카루이(1989년 9월 27일), 모하메드 가누치(1999년 11월 17일)가 총리를 역임했다. 2010~2011년 튀니지 혁명으로 벤 알리 정권이 무너진 후, 가누치는 2011년 2월 27일까지 총리직을 유지했다.[7][8] 이후 베지 카이드 에셉시가 2011년 12월 24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했다.

2011년 튀니지 제헌 의회 선거 이후 안나흐다 소속의 하마디 제발리가 2011년 12월 24일 총리로 임명되어 2013년 3월 14일까지 재임했다. 이후 알리 라라이에드가 2014년 1월 29일까지,[9] 메흐디 조마아가 2015년 2월 6일까지 총리직을 역임했다. 2015년에는 하비브 에시드가 총리로 임명되어 2016년 8월 27일까지 재임했고, 유세프 샤헤드가 2020년 2월 27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했다.

2019년 8월 22일부터 9월 13일까지는 카멜 모르잔이 총리 대행을 맡았다. 2020년 2월 27일 일리에스 파흐파흐가 총리로 임명되었으나 2020년 7월 25일에 해임되었고, 같은 날 히쳄 메시시가 총리로 임명되어 2021년 7월 25일까지 재임했다.[10] 2021년 10월 11일, 나즐라 부덴이 튀니지 최초의 여성 총리로 임명되어 2023년 8월 2일까지 재임했다. 현 총리는 2023년 8월 2일 임명된 아흐메드 하샤니이다.

3. 튀니지 총리의 권한과 역할

선거 이후, 대통령은 한 달 이내에 최다 득표 정당의 후보자를 지명하여 정부를 구성하도록 한다. 지명된 후보자는 인민 대표 의회에 자신의 프로그램을 제출하고, 대통령에 의해 공식적으로 총리로 임명되기 전에 의원 과반수의 신임을 얻어야 한다.[2] 정부를 구성하는 데 실패하거나 신임을 얻지 못할 경우, 대통령은 정치 정당들과 협의하여 최적의 후보자를 찾는다.[2] 선거 후 4개월이 지나도록 의회가 총리에게 신임을 주지 않으면, 대통령은 새로운 선거를 소집할 수 있다.[2]

총리는 대통령 앞에서 다음과 같은 선서를 한다.[2]

2014년의 현행 튀니지 헌법은 총리의 권한을 규정하고 있다.[2] 총리는 주로 국내 정책을 담당하며, 외교 정책, 국방 및 국내 안보는 대통령이 처리한다.[2]

총리는 다음의 권한을 갖는다.[2]


  • 부처의 신설, 개정 및 해산 (국방부 및 외무부는 대통령의 승인이 필요).[2]
  • 공공 기관, 공공 단체 및 행정 부서의 신설, 개정 및 해산.[2]
  • 각료회의와 협의 후 정부령 발령.[2]
  • 장관이 발령한 규제 명령을 적절한 경우 승인하고 서명한다.[2]
  • 의회에 정부에 대한 신임 투표를 요청한다.[2]


총리는 대통령과 함께 국내외에서 튀니지를 대표한다.[2]

대통령이 일시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총리가 최대 60일 동안 대통령 권한 대행을 수행한다.[2] 만약 대통령의 질병이 영구적이거나 사임 또는 사망으로 인한 경우에는 국민대표자회의 의장이 45일에서 90일 동안 임시 대통령이 되어 새로운 선거를 치른다.[2]

4. 역대 총리 목록

본 항목에서는 튀니스 군주국 시대부터 기술한다.

1956년 3월 20일 타하르 벤 암마르가 튀니지 왕국의 총리로 임명되었으며,[4] 1956년 4월 11일까지 재임하였다.[4] 그는 무소속이었다.[4]

1956년 4월 11일 하비브 부르기바가 총리로 임명되어 1957년 7월 25일까지 재임하였다.[4] 그는 신 데스투르당(1956)과 데스투르 사회당(1956-1957) 소속이었다.[4]

#이름이미지태어난 년도 - 사망한 년도임기 시작임기 끝정당
1타하르 벤 암마르1889-19851956년 3월 20일1956년 4월 11일무소속
2하비브 부르기바1903-20001956년 4월 11일1957년 7월 25일신 데스투르당 (1956)
데스투르 사회당 (1956-1957)



1969년 튀니지 공화국 총리직이 신설된 이후 현재까지 총리직을 역임한 인물들의 목록이다. 1957년 7월 25일부터 1969년 11월 7일까지는 총리직이 공석이었다.[5]

#이름이미지태어난 년도 - 사망한 년도임기 시작임기 끝정당
1바히 라드감
80px
1913-19981969년 11월 7일1970년 11월 2일데스투르 사회당
2헤디 아마라 누이라
80px
1911-19931970년 11월 2일1980년 4월 23일데스투르 사회당
3모하메드 음잘리
80px
1925-20101980년 4월 23일1986년 7월 8일데스투르 사회당
4라치드 스파르
80px
1933-20231986년 7월 8일1987년 10월 2일데스투르 사회당
5제인 엘아비디네 벤 알리
80px
1936-20191987년 10월 2일1987년 11월 7일[6]데스투르 사회당
6헤디 바쿠시
80px
1930-20201987년 11월 7일1989년 9월 27일데스투르 사회당 (1987-1988)
입헌민주연합 (1988-1989)
7하메드 카루이
80px
1927-20201989년 9월 27일1999년 11월 17일입헌민주연합
8모하메드 간누시
80px
1941-1999년 11월 17일2011년 2월 27일[7]입헌민주연합 (1999-2011)
무소속 (2011)
9베지 카이드 에셉시
80px
1926-20192011년 2월 27일2011년 12월 24일무소속
10하마디 제발리
80px
1949-2011년 12월 24일2013년 3월 14일엔나흐다당
11알리 라라예드
80px
1955-2013년 3월 14일2014년 1월 29일[9]엔나흐다당
12메흐디 조마
80px
1962-2014년 1월 29일[9]2015년 2월 6일무소속
13하비브 에센스
80px
1949-2015년 2월 6일2016년 8월 27일무소속
14유세프 차헤드
80px
1975-2016년 8월 27일2020년 2월 27일튀니지의 소리(2016-2019)
롱 라이브 튀니지 (2019)
15엘리스 파크 파크
80px
1972-2020년 2월 27일2020년 9월 2일에타카톨
16히셈 메시시
80px
1974-2020년 9월 2일2021년 7월 25일[10]무소속
공석 (2021년 7월 25일 ~ 2021년 10월 11일)
17나일라 부덴
80px
1958-2021년 10월 11일2023년 8월 2일무소속
18아흐메드 하샤니80px1957-2023년 8월 2일2024년 8월 7일무소속
19카멜 마두리/Kamel Madouri영어2024년 8월 7일(현직)무소속


4. 1. 튀니지 왕국 총리 (1956년 ~ 1957년)

1956년 3월 20일 타하르 벤 아마르가 튀니지 왕국의 총리로 임명되었으며,[4] 1956년 4월 11일까지 재임하였다.[4] 그는 무소속이었다.[4]

1956년 4월 11일 하비브 부르기바가 총리로 임명되어 1957년 7월 25일까지 재임하였다.[4] 그는 신 데스투르당(1956)과 데스투르 사회당(1956-1957) 소속이었다.[4]

#이름이미지태어난 년도 - 사망한 년도임기 시작임기 끝정당
1타하르 벤 아마르1889-19851956년 3월 20일1956년 4월 11일무소속
2하비브 부르기바1903-20001956년 4월 11일1957년 7월 25일신 데스투르당 (1956)
데스투르 사회당 (1956-1957)


4. 2. 튀니지 공화국 총리 (1969년 ~ 현재)

1969년 튀니지 공화국 총리직이 신설된 이후 현재까지 총리직을 역임한 인물들의 목록이다. 1957년 7월 25일부터 1969년 11월 7일까지는 총리직이 공석이었다.[5]

#이름이미지태어난 년도 - 사망한 년도임기 시작임기 끝정당
1바히 라드감1913-19981969년 11월 7일1970년 11월 2일데스투르 사회당
2헤디 아마라 누이라1911-19931970년 11월 2일1980년 4월 23일데스투르 사회당
3모하메드 음잘리1925-20101980년 4월 23일1986년 7월 8일데스투르 사회당
4라치드 스파르1933-20231986년 7월 8일1987년 10월 2일데스투르 사회당
5제인 엘아비디네 벤 알리1936-20191987년 10월 2일1987년 11월 7일[6]데스투르 사회당
6헤디 바쿠시1930-20201987년 11월 7일1989년 9월 27일데스투르 사회당 (1987-1988)
입헌민주연합 (1988-1989)
7하메드 카루이1927-20201989년 9월 27일1999년 11월 17일입헌민주연합
8모하메드 간누시1941-1999년 11월 17일2011년 2월 27일[7]입헌민주연합 (1999-2011)
무소속 (2011)
9베지 카이드 에셉시1926-20192011년 2월 27일2011년 12월 24일무소속
10하마디 제발리1949-2011년 12월 24일2013년 3월 14일엔나흐다당
11알리 라라예드1955-2013년 3월 14일2014년 1월 29일[9]엔나흐다당
12메흐디 조마1962-2014년 1월 29일[9]2015년 2월 6일무소속
13하비브 에센스1949-2015년 2월 6일2016년 8월 27일무소속
14유세프 차헤드1975-2016년 8월 27일2020년 2월 27일튀니지의 소리(2016-2019)
롱 라이브 튀니지 (2019)
15엘리스 파크 파크1972-2020년 2월 27일2020년 9월 2일에타카톨
16히셈 메시시1974-2020년 9월 2일2021년 7월 25일[10]무소속
공석 (2021년 7월 25일 ~ 2021년 10월 11일)
17나일라 부덴1958-2021년 10월 11일2023년 8월 2일무소속
18아흐메드 하샤니80px1957-2023년 8월 2일2024년 8월 7일무소속
19카멜 마두리/Kamel Madouri영어2024년 8월 7일(현직)무소속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La Misère de nos députés https://www.leaders.[...]
[2] 웹사이트 Tunisia's unpredictable elections https://www.ecfr.eu/[...] European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19-09-12
[3] 문서 在任中に死亡。
[4] 문서 ムハンマド8世アル=アミーンを廃し、自ら初代大統領に就任。
[5] 문서 この期間、大統領秘書の[[ベヒ・ラドガム]]が、[[デ・ファクト|事実上の]]首相を務めた
[6] 문서 "''[[w:1987 Tunisian coup d'état|クーデター]]''によりブルギーバが辞任したことにより大統領就任。"
[7] 문서 [[ジャスミン革命]]中に辞任。
[8] 뉴스 Tunisia: New government leaders quit ruling party http://www.bbc.co.uk[...] BBC News 2011-01-18
[9] 뉴스 Tunisia’s new government of independents sworn in http://www.dailynews[...] 2014-01-29
[10] 문서 2020年9月2日まで代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