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트리플스토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리플스토어는 트리플(주어, 술어, 객체)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트리플스토어는 자체 데이터베이스 엔진으로 개발되거나, SQL 기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또는 NoSQL 문서 지향 데이터베이스 위에 구축될 수 있다. 쿼드 스토어는 트리플에 이름을 추가한 형태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노드, 엣지, 프로퍼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하며 트리플스토어보다 일반화된 구조를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데이터베이스 유형 - 병렬 데이터베이스
    병렬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해 여러 프로세서나 디스크를 활용하여 작업을 병렬로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쿼리 간 병렬 처리와 질의 내 병렬 처리 방식으로 나뉘며, 대용량 데이터 처리 및 복잡한 쿼리 실행 시간을 단축시켜 효율성을 높인다.
  • 데이터베이스 유형 - 문서 지향 데이터베이스
    문서 지향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문서 형태로 저장하고 관리하며, XML, JSON 등의 형식으로 캡슐화하고 고유 키로 접근하며, 스키마를 강제하지 않는 NoSQL 데이터베이스의 한 종류이다.
  • 데이터베이스 이론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구성하여 관리하며, 1970년 E.F. 코드에 의해 정의되었고, RDBMS를 통해 ACID 트랜잭션, 저장 프로시저, 정규화, 인덱스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 데이터베이스 이론 - 데이터베이스 설계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 분류, 관계 식별, 논리 구조화 등을 포함하며, 개념적, 논리적, 물리적 설계를 거쳐 데이터 중복을 줄이고 데이터 무결성을 확보하는 과정이다.
  • 시맨틱 웹 - 시맨틱 네트워크
    시맨틱 네트워크는 개념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지식 표현 방법으로, 노드와 링크를 사용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며 인공지능, 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시맨틱 웹 - 웹 온톨로지 언어
    웹 온톨로지 언어(OWL)는 시맨틱 웹 구축을 위한 지식 표현 언어로, W3C 웹 표준이며, 온톨로지 명시적 표현을 통해 데이터 공유 및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기술 논리에 기반하여 표현력 수준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제공한다.
트리플스토어
개요
유형데이터베이스
모델RDF
다른 이름RDF 트리플 저장소, RDF 저장소, 시맨틱 저장소,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상세 정보
설명트리플스토어는 트리플이라고 불리는 주어–술어–객체 표현을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트리플은 RDF 데이터 모델의 기초이다.
예시주어: "프레드"
술어: "안다"
객체: "윌마"
쿼리 언어SPARQL
응용 분야지식 관리
데이터 통합
데이터 모델링
시맨틱 웹
링크드 데이터
추가 정보
특징대량의 트리플 데이터 저장 및 관리
효율적인 트리플 검색 및 쿼리
추론 및 규칙 기반 질의 지원
다양한 RDF 직렬화 형식 지원 (XML, Turtle, JSON-LD 등)
ACID 트랜잭션 지원
고려 사항트리플 데이터 모델의 이해 필요
SPARQL 쿼리 언어 학습 필요
데이터 모델링 및 온톨로지 설계 중요
성능 최적화를 위한 인덱싱 및 쿼리 튜닝 필요
관련 기술
관련 기술RDF
SPARQL
OWL
SKOS
Protege
참고 자료
참고 자료RDF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공식 웹사이트
SPARQL Query Language for RDF
W3C Semantic Web Standards

2. 구현

트리플스토어는 처음부터 데이터베이스 엔진으로 개발되기도 하고, 기존의 상용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엔진(예: SQL 기반)[2]이나 NoSQL 문서 지향 데이터베이스 엔진[3] 위에 구축되기도 한다. 온라인 분석 처리(OLAP) 데이터베이스 개발 초기처럼, 이러한 중간 접근 방식은 적은 프로그래밍 노력으로 크고 강력한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구축할 수 있게 하였다.

2. 1. SQL 기반 트리플스토어의 구현 상 어려움

일부 트리플스토어는 완전히 처음부터 데이터베이스 엔진으로서 개발되고 있는 반면, 그 밖의 트리플스토어는 기존의 상용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엔진(예: SQL 기반)[6]이나 NoSQL 문서 지향 데이터베이스 엔진 위에 개발되고 있다.[7] OLAP 데이터베이스의 초기 개발처럼 이 중간적인 접근은 대형의 강력한 데이터베이스 엔진들이 트리플스토어 개발의 초기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래밍을 거의 거치지 않도록 설계를 허용하였다. 네이티브 트리플스토어가 오랜 시간에 걸쳐 성능 상의 이점을 취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SQL을 통해 트리플스토어를 구현할 때의 어려운 점은 트리플이 저장될 수 있더라도 그래프 기반 RDF 모델의 효율적인 조회 방식을 SQL 쿼리에 구현하는 것(예: SPARQL로부터의 매핑)은 어렵다.[8]

3. 관련 데이터베이스 유형

트리플에 이름을 추가하면 "쿼드 스토어"(quad store) 또는 지명 그래프(named graph)가 된다.[1]

3. 1. 그래프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노드, 엣지, 프로퍼티가 있는 그래프 구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하고 저장하므로 트리플스토어에 비해 더 일반화된 구조를 지닌다.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인덱스에서 자유로운 인접(adjacency)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모든 요소가 인접 요소들에 직접적인 포인터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인덱스 검색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프를 저장할 수 있는 일반적인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들은 트리플스토어와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등의 특수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와는 구별된다.[1]

참조

[1] 간행물 TripleStore http://www.w3.org/20[...]
[2] 특허 Storage and management of semi-structured data 2005-04-27
[3] 웹사이트 Semantics + Search : MarkLogic 7 Gets RDF https://web.archive.[...] 2015-08-07
[4]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SPARQL can not be overestimated https://web.archive.[...] 2007-09-19
[5] 간행물 TripleStore http://www.w3.org/20[...]
[6] 특허 Storage and Management of Semi-structured Data
[7] 웹인용 Semantics + Search : MarkLogic 7 Gets RDF http://blogs.avalonc[...] 2015-08-07
[8] 웹인용 The importance of SPARQL can not be overestimated http://www.semantic-[...] 2007-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