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투스 리비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투스 리비우스는 기원전 59년경 이탈리아 북부 파타비움에서 태어난 로마의 역사가이다. 그는 로마 건국부터 아우구스투스 시대까지의 역사를 다룬 방대한 저서 《로마 건국사》를 저술했으며, 연대기적 서술과 소설적 서술을 결합한 독특한 방식으로 역사를 기록했다. 《로마 건국사》는 142권으로 구성될 예정이었으나, 현재 35권만이 현존하며, 로마의 정치, 군사,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측면을 다루고 있다. 그는 로마의 도덕적 가치와 공화주의 정신을 강조하며, 역사를 통해 독자들에게 교훈을 전달하고자 했다. 리비우스의 저술은 고대부터 중세, 르네상스 시대를 거쳐 현대까지 큰 영향을 미쳤으며, 후대 역사가, 사상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년 사망 -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는 스페인 또는 알렉산드리아 출신으로 추정되는 고대 로마의 학자이자 작가로, 노예 생활 후 아우구스투스 황제에 의해 팔라티누스 도서관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신화집》과 《천문시》를 통해 신화와 별자리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고, 비록 비판도 있지만 고대 자료의 정보원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이름을 딴 달의 크레이터와 소행성도 존재한다. - 기원전 1세기 역사가 -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 역사가로, 3부 40권의 역사서 《역사총서》를 저술했으며, 이 책은 선대 역사가들의 저서를 종합하여 사료적 가치가 높다. - 기원전 1세기 역사가 - 살루스티우스
살루스티우스는 기원전 1세기 로마의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적 부패와 도덕적 쇠퇴를 비판적으로 조명한 《카틸리나의 음모》와 《유구르타 전쟁》 등의 역사 저술을 남겼으며, 간결하고 고풍스러운 문체와 사회 비판적인 주제 의식으로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세기 역사가 - 타키투스
타키투스는 로마 제정 초기 역사를 다룬 저서를 남긴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황제와 원로원 간의 권력 관계, 지배층의 부패, 언론 자유의 중요성 등을 다루며 후대 역사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세기 역사가 - 플루타르코스
플루타르코스는 46년에 태어난 고대 그리스의 작가이자 전기 작가로, 『플루타르코스 영웅전』과 『모랄리아』 등의 저서를 통해 서양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티투스 리비우스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티투스 리비우스 |
출생 | 기원전 59년 |
출생지 | 파타비움, 로마 공화국 (현재의 이탈리아 파도바) |
사망 | 17년 (74~75세) |
사망지 | 파타비움, 로마 제국 |
직업 | 역사학자 |
학문 분야 | 역사, 전기, 웅변 |
시대 | 라틴어 황금시대 |
영향 | 폴리비오스 키케로 |
주요 작품 | 로마 건국사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Titus Livius |
2. 생애
리비우스는 기원전 59년경 이탈리아 북부 파타비움(현재의 파도바)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3][4][5][6] 당시 파타비움은 이탈리아 반도에서 두 번째로 부유한 도시였으며, 키살피나 갈리아(이탈리아 북부)에서 가장 큰 도시였다. 키살피나 갈리아는 리비우스가 살아있는 동안 로마 이탈리아(로마 이탈리아)에 합병되었고, 주민들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로마 시민권을 부여받았다. 리비우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파타비움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을 자주 드러냈으며, 파타비움은 도덕과 정치에서 보수적인 가치관으로 유명했다.
리비우스의 10대 시절은 기원전 40년대로, 로마 내전이 벌어진 시기였다. 이로 인해 리비우스는 정상적인 교육을 받지 못하고 그리스 여행도 가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8] 하지만, 그는 철학과 수사학을 공부하며 역사 저술에 대한 열정을 키웠다.
기원전 30년대에 리비우스는 로마로 이주하여, 아우구스투스 황제와 친분을 맺으며 《로마 건국사》 집필에 전념했다.[9] 그는 황실의 후원을 받았지만, 공화정의 가치를 옹호하며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려 노력했다.
서기 17년, 리비우스는 고향 파타비움에서 사망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리비우스는 기원전 59년경 이탈리아 북부 파타비움(현재의 파도바)에서 태어났다.[3][4][5][6] 당시 그의 고향 파타비움은 이탈리아 반도에서 두 번째로 부유한 도시이자 키살피나 갈리아(이탈리아 북부) 주에서 가장 큰 도시였다. 키살피나 갈리아는 그의 생애 동안 로마 이탈리아(로마 이탈리아)에 병합되었고, 주민들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로마 시민권을 부여받았다.리비우스는 10대 시절(기원전 40년대)에 로마 내전으로 인해 로마에서 고등 교육을 받거나 당시 귀족 소년들에게 일반적이었던 그리스 여행을 가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8] 하지만 그는 철학과 수사학을 공부했으며, 재정적으로 여유가 있어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었다. 그는 재정적 자유 덕분에 저술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8]
2. 2. 로마 이주와 저술 활동
리비우스는 기원전 30년대에 로마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높으며,[9] 이후 로마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로마가 그의 주된 거주지는 아니었을 수도 있다. 로마에 있는 동안 그는 상원의원이나 정부 직책을 맡은 적이 없다. 그의 저서에는 군사 문제에 대한 초보적인 실수가 있어, 로마 군대 복무 경험이 없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하지만 그는 철학과 수사학 교육을 받았으며, 재정적으로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을 만큼 여유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이러한 재정적 자유 덕분에 그의 삶의 많은 부분을 저술에 바칠 수 있었다.리비우스는 소규모 청중에게 낭독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당시 유행하던 웅변술에 참여했다는 기록은 없다. 그는 아우구스투스 황제 및 황실과 친분이 있었다. 수에토니우스는 리비우스가 어린 시절의 미래 황제 클라우디우스[10]에게 역사 저술을 하도록 격려했다고 기록했다.[11]
리비우스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로마의 역사에 관한 책이다. 그는 로마 건국부터 아우구스투스 통치 시기까지 로마 도시의 완전한 역사를 서술하고자 했다. 아우구스투스 통치하에 저술되었기 때문에, 리비우스의 역사는 로마의 위대한 승리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그는 아우구스투스가 시행한 새로운 형태의 정부를 홍보하기 위해 로마 영웅주의를 미화한 이야기를 담아 역사를 썼다.[12] 리비우스는 그의 역사 서문에서 "세계 최고 국가의 업적에 대한 기억을 보존하는 데" 자신의 작품이 도움이 된다면 개인적인 명성은 중요하지 않다고 말했다.[13] 리비우스는 주로 수백 년 전의 사건에 대해 썼기 때문에 그의 작품의 역사적 가치는 의문스럽지만, 많은 로마인들은 그의 설명을 사실로 받아들였다.[14]
2. 3. 황실과의 관계
리비우스는 아우구스투스 황제 및 황실과 친분이 있었다.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리비우스는 훗날 황제가 되는 클라우디우스[10]가 어린 시절 역사 저술을 하도록 격려했다.[11]역사가 타키투스(Tacitus)는 아우구스투스를 리비우스의 친구로 묘사했다. 타키투스는 아울루스 크레무티우스 코르두스(Aulus Cremutius Cordus)의 재판을 묘사하면서, 그가 티베리우스 앞에서 "많은 사람들이 브루투스와 카시우스를 칭찬했고 아무도 칭찬 없이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티투스 리비우스는 폼페이우스를 격찬했는데, 아우구스투스는 그를 폼페이아누스라고 불렀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그들의 우정에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았습니다."라고 변호하는 장면을 보여준다.[21] 이를 통해 리비우스가 공화주의적 가치를 옹호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우구스투스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음을 알 수 있다.
2. 4. 파타비움 귀향과 죽음
리비우스는 만년에 고향 파타비움으로 돌아가 여생을 보내다 서기 17년에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3. 저서: 《로마 건국사》
리비우스의 유일하게 남아있는 저서는 일반적으로 ''로마사''(혹은 Ab Urbe Condita|links=|lit=도시 건설로부터|label=nonela)로 알려져 있으며, 폴리비우스의 저서와 함께 포에니 전쟁에 대한 주요 기록 중 하나로 여겨진다.[16]
리비우스는 이 저술을 33세 무렵에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아우구스투스 사후 티베리우스 치세에 로마를 떠나 파도바로 갈 때까지 이 작업을 계속했다. 세네카[17]는 그가 웅변가이자 철학자였으며, 그 분야에서 몇몇 역사 논문을 썼다고 전한다.
《로마 건국사》는 로마 도시국가의 전설적 기원에서 시작하여 왕정시대를 거쳐 공화정 초기까지(1~10권), 그리고 포에니 전쟁과 마케도니아 전쟁 (21~45권)을 다루고 있다. 현존하는 것은 35권(1~10권, 21~45권, 41권과 43권은 불완전)뿐이다. 리비우스는 로마를 위대하게 만든 옛 로마 사람들을 묘사하고, 그가 사는 시대의 혼란을 야기한 도덕적 퇴폐를 탐구하여 독자에게 교훈을 주고자 했다. 이러한 윤리적 주제에 대한 진지한 정열과 극적인 묘사, 풍부하고 명확한 문체는 이 《로마사》를 연대기적 역사기술의 정상에 올려놓았다.
리비우스의 저서 규모는 방대하며, 직역 제목인 『도시의 건설부터』(Ab Urbe Condita)에서도 이를 알 수 있다. ''로마사''는 에트루리아인 기원에 관한 "북방 이론"의 원동력이 되었다. 리비우스는 "그리스인들은 그들을 '티레니아인'과 '아드리아...'라고 부르기도 한다. 알프스 부족들은 분명히 같은 종류이며, 특히 레티아인들은 그들의 국가의 특성 때문에 그렇게 미개해져서 그들의 원래 상태의 흔적을 언어를 제외하고는 전혀 남기지 않았고, 심지어 이것도 부패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라고 언급했다.[18] 많은 학자들은 이를 에트루리아인(티레니아인)이 북쪽에서 이주해 왔고 레티아인으로 알려진 알프스 부족의 후손이라는 증거로 사용했다.[19]
리비우스는 퀸투스 파비우스 픽토르, 퀸투스 클라우디우스 콰드리가리우스 등 연대기 작가들을 참고했다. 반대로 아우렐리우스 빅토르, 카시오도루스, 에우트로피우스 등은 리비우스의 업적을 참고했다. 율리우스 옵섹웬스의 『기이한 이야기』도 리비우스의 발췌를 이용하여 쓰여졌다.
3. 1. 내용 구성
《로마 건국사》는 연대기적 서술 방식을 따르며, 로마의 정치, 군사,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측면을 포괄한다.[16] 특히, 로마 공화정의 발전 과정과 포에니 전쟁, 마케도니아 전쟁 등 주요 사건들을 상세하게 다룬다. 리비우스는 새로운 집정관 선출을 알리기 위해 이야기를 자주 중단하는 서술 방식을 사용했는데, 이는 로마인들이 역사 저술에 자주 사용하던 방법이었다.3. 2. 역사 서술 방식과 특징
리비우스는 연대기와 소설을 결합한 듯한 독특한 서술 방식을 사용했다. 그는 저술에서 새로운 집정관 선출을 알리기 위해 이야기를 자주 중단하는 방식을 취했는데, 이는 로마인들이 역사 저술을 할 때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었다.[16] 리비우스는 기원전 387년 갈리아인의 로마 파괴로 인한 사료 부족을 토로하기도 했다.리비우스는 카이사르나 키케로와 같은 필자들과는 다르게, 시적이고 고전적인 산문을 구사했다. 그는 로마의 이탈리아 반도 및 지중해 세계 정복에 대해 로마인의 덕을 강조하기 위해 로마에 저항하는 사람들의 관점에서 저술했다. 또한 시적 표현을 위해 사실과 허구를 명확히 구별하지 않았으며, 과거 작가들의 기록을 인용하기도 했지만, 이는 과거의 도덕적 교훈을 통해 당시 로마 사회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이었다.
3. 3. 소실된 부분과 복원 노력
리비우스의 《로마 건국사》는 총 142권으로 이루어진 방대한 저술이었으나, 현재는 1권부터 10권까지와 21권부터 45권까지 총 35권만이 남아있다.[16] 후대 학자들은 소실된 부분을 복원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1772년 바티칸 도서관에서 덮어쓰여진 사본(팔림프세스트)을 발견하여 91권의 내용 중 약 1000단어를 찾아냈다.[16] 1900년경부터는 이집트에서 파피루스 조각들이 발견되기 시작했는데, 여기에는 이전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다.[16] 1980년대에는 11권의 약 40단어 분량의 단편이 발굴되기도 했다.[16]고대 시점에 이미 《로마 건국사》의 개요와 요약본이 만들어졌으며, 그중 1권으로 요약된 것이 현재까지 전해진다.[16] 이 요약본을 다시 간추린 '페리오카이'(Periochae)도 현존한다.[16] 옥시린쿠스 파피루스에서는 37권부터 40권, 48권부터 55권까지의 요약본이 발견되었다.[16] 이러한 자료들을 통해 소실된 부분의 내용을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다.
4. 역사관과 영향
리비우스는 로마를 위대하게 만든 옛 로마인들을 묘사하고, 그가 살던 시대의 혼란을 야기한 도덕적 퇴폐를 탐구하여 독자들에게 교훈을 주고자 했다. 그는 로마인의 덕을 강조하기 위해 로마에 저항하는 사람들의 관점에서 저술하기도 하고, 시적 표현을 위해 사실과 허구를 엄격히 구별하지 않았다.[3] 이러한 윤리적 주제에 대한 진지한 열정과 극적이고 명확한 문체는 그의 《로마사》를 연대기적 역사 기술의 정상에 올려놓았다.
리비우스는 퀸투스 파비우스 픽토르, 퀸투스 클라우디우스 콰드리가리우스 등 연대기 작가들을 참고했고,[3] 아우렐리우스 빅토르, 카시오도루스, 에우트로피우스 등은 리비우스의 업적을 참고했다.[3] 율리우스 옵섹웬스의 《기이한 이야기》도 리비우스의 저서를 발췌하여 쓰여졌다.[3]
4. 1. 공화주의적 가치관
리비우스는 아우구스투스 치세에 저서 대부분을 저술했지만, 공화정에 대한 강한 애정을 가지고 있었으며 로마가 다시 공화정으로 복귀하기를 바랐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공화정의 종언과 아우구스투스의 정권 장악까지 기록했어야 할 후반부의 권이 상실되었기 때문에 이 점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3] 확실히 리비우스는 새로운 정체의 가치에 의문을 품고 있었다. 그렇다고 단순히 제정이나 공화정 중 한쪽을 지지했다는 것이 아니라, 더 복잡한 입장에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3] 아우구스투스는 리비우스를 제정 반대자로 여기지 않았고, 자신의 의붓손자인 클라우디우스의 지도를 맡겼다.[3] 리비우스가 클라우디우스에게 끼친 영향은 훗날 황제가 되어 행한 연설에 리비우스의 로마사관이 충실하게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명백하다.[3]4. 2. 도덕적 교훈 강조
리비우스는 역사를 통해 독자에게 교훈을 주고자 했다. 그는 로마를 위대하게 만든 것은 로마 시민들의 용기, 절제, 정의감 등이라고 보았으며, 그가 살던 시대의 혼란은 도덕적 퇴폐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윤리적 주제에 대한 진지한 열정과 극적이고 명확한 문체는 그의 《로마사》를 연대기적 역사 기술의 정점에 올려놓았다.4. 3. 후대에 미친 영향
리비우스의 《로마 건국사》는 발표 직후부터 큰 찬사를 받았으며, 전권이 완성되기 전부터 10권 단위로 출판되었다. 역사 서술에 문학적 표현을 섞은 이 작품은 고대부터 중세,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로마의 성립과 공화정 초기 시대를 다룬 처음 10권과 포에니 전쟁을 주제로 한 21권부터 30권까지는 천 년이 넘도록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았다. 특히 처음 10권은 르네상스 시대의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공화정 정치에 관한 저서 《티투스 리비우스의 첫 열 권에 대한 논고》를 집필하는 데 소재로 사용되기도 했다.
단테 알리기에리는 자신의 작품에서 리비우스를 높이 평가했으며,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는 리비우스와 관련된 미술 작품을 의뢰하기도 했다. 초대 로마 황제가 후계자의 가정교사로 리비우스를 선택했다는 사실은 위대한 작가이자 현인으로서 그의 명성을 더욱 높였다. 또한, 리비우스가 다룬 주제는 로마사의 쟁점을 논할 때 사용되었고, 작품 전체 또는 일부가 교과서로 사용되기도 했다.
리비우스는 운문의 베르길리우스와 함께 산문으로 라틴 문학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작가라고 할 수 있다.
5.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리비우스의 역사 서술은 급변하는 현대 한국 사회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리비우스가 강조한 공화주의적 가치와 시민 정신, 도덕적 리더십, 역사 교육의 강화 등은 한국 사회의 당면 과제를 해결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데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다.
5. 1. 공화주의적 가치와 시민 정신 함양
리비우스는 로마 공화정의 성공 요인을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헌신에서 찾았다. 이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들의 적극적인 정치 참여와 공동체 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5. 2. 도덕적 리더십의 중요성
리비우스는 로마가 쇠퇴한 원인을 지도층의 도덕적 타락과 부패에서 찾았다. 이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지도층의 청렴성과 도덕성은 사회 통합과 발전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5. 3. 역사 교육의 강화
리비우스는 과거의 역사를 통해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를 위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관점은 역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역사는 단순한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지혜와 통찰력을 제공하는 중요한 자산이라는 것이다.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역사 교육이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올바른 역사 교육을 통해 미래 세대에게 건강한 시민 의식과 역사관을 심어주는 것은 국가의 미래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일제 강점기와 한국 전쟁 등 격동의 근현대사를 겪은 한국은 역사 교육을 통해 과거의 아픔을 극복하고, 미래를 향해 나아갈 힘을 얻어야 한다.
역사 교육은 단순한 사실 암기를 넘어, 비판적 사고력과 역사적 통찰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과거의 사건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현재의 문제를 올바르게 인식하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될 것이다.
참조
[1]
서적
Annales
[2]
서적
Claudius
[3]
논문
Gertrude Hirst (1869-1962)
1997-02-00
[4]
논문
Livy and Clodius Licinus
1992-00-00
[5]
논문
Roman Papers by Ronald Syme, E. Badian
1981-00-00
[6]
서적
A Companion to Livy
Wiley-Blackwell
2014-00-00
[7]
서적
Philippics
https://www.loebclas[...]
2024-08-00
[8]
웹사이트
Livy | Roman Historian & Author of Ab Urbe Condita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1-00
[9]
서적
Who's Who in the Roman World
https://archive.org/[...]
Routledge
[10]
서적
The Roman Triumph
Robert Hale
[11]
서적
Claudius
[12]
서적
The Romans: 850 BC – AD 337
Alfred A. Knopf
[13]
서적
Spectacle and Society in Livy's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4]
서적
A History of the Roman People
Prentice-Hall
[15]
서적
Companion to Livy
[16]
서적
Ancient Rome: A Sourcebook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0-28
[17]
서적
Moral Letters to Lucilius
[18]
서적
History of Rome
http://www.perseus.t[...]
E. P. Dutton and Co.
1912-00-00
[19]
서적
The Etruscans
Indiana University Press
[20]
서적
Epistlae
[21]
서적
Annales
[22]
서적
Waverley
Adam and Charles Black
[23]
서적
The Bodleian Manuscript of Jerome's Version of the Chronicle of Eusebius
https://archive.org/[...]
The Clarendon Press
1905-00-00
[24]
웹사이트
St. Jerome (Hieronymus): Chronological Tables
http://www.attalus.o[...]
2016-02-29
[25]
서적
Livy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