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르바리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르바리가(Parva Liga)는 불가리아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1924년에 시작되어 여러 차례의 리그 형식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리그는 2024-25 시즌 기준 16개 팀이 참가하며, 정규 시즌과 플레이오프 단계를 통해 우승팀과 유럽 대항전 진출팀을 결정한다. CSKA 소피아, 레프스키 소피아,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등이 주요 우승팀이며, 불가리아 축구 영원한 더비(CSKA 소피아 vs 레프스키 소피아)가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4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알스벤스칸
알스벤스칸은 1924-25 시즌에 시작된 스웨덴의 최상위 남자 프로 축구 리그이며, 16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30경기를 치러 우승팀은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한다.
파르바리가 | |
---|---|
기본 정보 | |
![]() | |
리그 이름 | 퍼스트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 |
또한 알려진 이름 | 퍼스트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 Efbet 리그 파르바리가 |
창립 연도 | 1924년 (단판 토너먼트) |
관리 기관 | 불가리아 축구 연맹 (BFU) |
소속 연맹 | UEFA |
참가 팀 수 | 16개 팀 |
강등 리그 | 세컨드 리그 |
리그 레벨 | 1 |
국내 컵 대회 | 불가리아 컵 불가리아 슈퍼컵 |
대륙 컵 대회 |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유로파리그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최근 우승팀 |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13회 우승) |
최근 시즌 | 2023–24 시즌 |
최다 우승팀 | CSKA 소피아 (31회 우승) |
최다 출장 선수 | 게오르기 일리에프 (461경기) |
최다 득점 선수 | 마르틴 캄부로프 (256골) |
방송사 | Nova Broadcasting Group |
웹사이트 | fpleague.bg |
현재 시즌 | 2024–25 시즌 |
기타 정보 | |
리그 종류 | 프로 축구 리그 |
2. 역사
불가리아 축구 선수권 대회를 주요 문서로 하여 불가리아 프로 축구 1부 리그의 역사를 간략하게 소개한다.
1924년 불가리아 최초의 축구 선수권 대회가 토너먼트 방식으로 개최되었고, 1937-38 시즌부터 1939-40 시즌까지는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 방식의 "국가 축구 디비전"으로 운영되었다.[2]
1948년 소련과 같은 춘추제 방식으로 A 공화국 축구 그룹이 시작되었다. 리그는 팀 수와 운영 방식에서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1958년에는 춘계 시즌 후 대회가 중단되기도 했으며, 1960년대에는 클럽 간 합병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2000년 불가리아 축구 연합은 14개 팀이 참가하는 프리미어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를 창설했다. 2003년에는 "불가리아 A 프로페셔널 풋볼 그룹"이 창설되어 16개 팀으로 운영되었다.
2016년 리그 명칭이 '''퍼스트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로 변경되었고,[3] 2022-23 시즌부터는 16개 팀이 참가하는 새로운 리그 형식이 도입되었다.
각 시즌별 우승, 준우승, 3위팀은 아래 표와 같다.
2. 1. 설립 초기 (1924-1940)
1924년에 불가리아 최초의 축구 선수권 대회가 토너먼트 방식으로 개최되었으며, 이 대회는 불가리아 국립 스포츠 연맹(BNSF)이 주최했다.[2] 초기에는 지역 스포츠 연맹을 대표하는 팀들이 참가했다.[2] 예를 들어, 초대 대회에는 블라디슬라프 바르나, 오렐 브라차, 레프스키 소피아, 크라크라 페르니크, 포베다 플로브디프, 체르노모레츠 부르가스가 참가했다.[2] 그러나 이 대회는 블라디슬라프와 레프스키 간의 결승 재경기 문제로 중단되었다.[2] 1925년 시즌에 SK 블라디슬라프가 불가리아 최초의 챔피언이 되었다.[2]이후 1937-38 시즌부터 1939-40 시즌까지는 10개 팀이 참가하는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 방식의 "국가 축구 디비전"으로 재편되었다.[2]
시즌 | 우승 | 준우승 | 3위 |
---|---|---|---|
1924 | |||
1925 | 플라디슬라프 바르나 | 레프스키 소피아 | |
1926 | 플라디슬라프 바르나 | 슬라비아 소피아 | |
1928 | 슬라비아 소피아 | 플라디슬라프 바르나 | |
1929 | 보테프 플로브디프 | 레프스키 소피아 | |
1930 | 슬라비아 소피아 | 플라디슬라프 바르나 | |
1931 | AS 23 소피아 | 스파르타크 바르나 | |
1932 | 스파르타크 바르나 | 슬라비아 소피아 | |
1933 | 레프스키 소피아 | 스파르타크 바르나 | |
1934 | 플라디슬라프 바르나 | 슬라비아 소피아 | |
1935 | 스포츠클럽 소피아 | 티차 바르나 | |
1936 | 슬라비아 소피아 | 티차 바르나 | |
1937 | 레프스키 소피아 | 레프스키 루세 | |
1937-38 | 티차 바르나 | 플라디슬라프 바르나 | |
1938-39 | 슬라비아 소피아 | 티차 바르나 | |
1939-40 | ZHSK 소피아 | 레프스키 소피아 |
2. 2. A 공화국 축구 그룹 (1948-2000)
1948년 가을, A 공화국 축구 그룹의 첫 시즌이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10개 팀이 참가했으며, 소련과 같이 춘추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후 리그 팀 수는 12개, 15개, 14개, 10개 등으로 변동되었으며, 1958년에는 춘계 시즌 후 선수권 대회가 중단되기도 했다. 1960년대에는 팀 수의 빈번한 변화와 클럽 간의 합병이 이루어졌으며, 1968년부터 2000년까지는 대체로 16개 팀으로 유지되었다.
2. 3. 프리미어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 (2000-2003)
2000년 가을, 불가리아 축구 연맹은 프리미어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를 창설했으며, 14개 팀이 참가했다. 2001-02 시즌에는 챔피언십을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는 실험적인 규정이 도입되었으나, 다음 시즌에는 다시 14개 팀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돌아갔다.시즌 | 우승 | 준우승 | 3위 |
---|---|---|---|
2000-01 | 레프스키 소피아 | CSKA 소피아 | 베르브즈드 큐스텐딜 |
2001-02 | 리텍스 로베치 | 레프스키 소피아 | CSKA 소피아 |
2002-03 | CSKA 소피아 | 레프스키 소피아 | 리텍스 로베치 |
2. 4. A 그룹 (2003-2016)
2002-03 시즌에는 14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리그가 진행되었다. CSKA 소피아는 6년 만에 처음으로 챔피언이 되었다.[3]2. 5. 퍼스트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 (2016-현재)
2016년 6월, 2016-17 시즌부터 새로운 방식이 채택됨과 동시에 프로 리그인 1부 리그(A 그룹)와 2부 리그(B 그룹)의 명칭이 변경되었다.[49]- 1부 리그는 파르바리가(Първа лига)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14개 클럽이 참가한다.
- 참가하는 14개 클럽은 제1 스테이지에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2회전 총 2회전 방식(각 클럽 26경기)을 진행한다.
- 제2 스테이지에서는 제1 스테이지의 순위에 따라 상위 6개 클럽과 하위 8개 클럽으로 나뉜다. 하위 8개 클럽은 다시 4개 클럽씩 2개의 그룹(7위·10위·11위·14위, 8위·9위·12위·13위)으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2회전(상위 클럽 각 10경기, 하위 클럽 각 6경기)을 진행한다.
- 제1 스테이지의 승점은 삭감되지 않고 그대로 제2 스테이지로 이어진다. 상위 그룹의 1위가 리그 우승을 차지한다.
2022-23 시즌부터 불가리아 축구 연합은 각 참가 클럽의 경쟁력, 경기 관람 및 리그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리그 형식을 승인했다. 이 형식은 16개 팀이 정규 시즌과 플레이오프의 두 단계로 진행된다.
2023-24 시즌 현재까지의 리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즌 | 우승 | 준우승 | 3위 |
---|---|---|---|
2016-17 |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 CSKA 소피아 | 레프스키 소피아 |
2017-18 | |||
2018-19 | |||
2019-20 | 슬라비아 소피아 | ||
2020-21 | 로코모티프 플로브디프 | CSKA 소피아 | |
2021-22 | CSKA 소피아 | 보테프 플로브디프 | |
2022-23 | CSKA1948 소피아 | ||
2023-24 |
Първа професионална футболна лигаbg는 16개 팀이 참가하여 정규 시즌과 플레이오프를 거쳐 우승팀과 강등팀을 결정한다. 정규 시즌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각 팀당 30경기씩 치른다. 이후 상위 6개 팀은 챔피언십/유럽 대항전 플레이오프, 하위 8개 팀은 강등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3. 경기 방식
챔피언십 플레이오프에서는 상위 6개 팀이 다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우승팀은 UEFA 챔피언스 리그 2차 예선 라운드 진출권을 얻고, 2위 팀은 UEFA 유로파 리그 예선 라운드에 진출한다. 3위 팀은 하위 8개 팀 대표와 UEFA 컨퍼런스 리그 진출권을 두고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불가리아 컵 결과에 따라 4위 팀이 대신 플레이오프에 나설 수도 있다.
강등 플레이오프는 하위 8개 팀이 두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각 그룹 하위 두 팀은 강등 결정전을 치른다. 최종 두 팀은 세컨드 리그로 강등된다.
승점이 같을 경우, 승리 수, 골득실차, 득점, 실점, 퇴장 및 경고 카드 수, 추첨 순으로 순위를 결정한다.[5]
3. 1. 정규 시즌
Първа професионална футболна лигаbg는 16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각 팀당 30경기씩, 총 240경기를 치른다.[4]
3. 2. 챔피언십/유럽 대항전 플레이오프
상위 6개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서로 경쟁하며, 각 팀은 3경기씩 치른다. 정규 시즌 이후의 결과와 승점도 이 단계에 포함된다. 이 단계가 끝나면 모든 팀은 총 36경기를 치르게 된다.
그룹의 우승팀은 불가리아 챔피언으로 선언되며 UEFA 챔피언스 리그 2차 예선 라운드에 자동 진출한다. 2위를 차지한 팀은 UEFA 유로파 리그 예선 라운드 출전 자격을 얻는다. 최종 순위에서 3위를 차지한 팀은 하위 8개 팀의 대표 팀과 플레이오프 경기를 치러 UEFA 컨퍼런스 리그 진출 여부를 결정한다.[5]
불가리아 컵 결승전 우승팀에 따라 상위 6개 팀 중 4번째 팀이 3위 팀 대신 UEFA 유로파 리그 진출을 위한 플레이오프 경기에 출전할 수 있다. 만약 불가리아 컵 우승팀이 이미 파르바리가 성적으로 다음 시즌 유럽 토너먼트 진출 자격을 확보했다면, UEFA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 진출 자격은 최종 순위에서 4위를 차지한 팀에게 주어진다.[5]
두 개 이상의 클럽이 승점에서 동률을 이루는 경우, 다음 순서로 승자를 결정한다:[5]3. 3. 강등 플레이오프
정규 시즌 하위 8개 팀은 강등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잔류 경쟁을 벌인다. 마지막 두 팀은 세컨드 리그(2부 리그)로 자동 강등된다. 14위와 15위 팀은 세컨드 리그 3위, 4위 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3. 4. 국제 대회 진출권
리그 우승팀은 UEFA 챔피언스 리그 2차 예선 라운드 진출 자격을 얻는다.[6] 2위 팀은 UEFA 유로파 리그 예선 라운드 진출 자격을 얻는다.[6] 최종 순위에서 3위를 차지한 팀은 하위 8개 팀의 대표 팀과 플레이오프 경기를 치러 UEFA 유로파 리그 진출 여부를 결정한다.[6] 불가리아 컵 결승전 우승팀에 따라 상위 6개 팀 중 4번째 팀이 3위 팀 대신 UEFA 유로파 리그 진출을 위한 플레이오프 경기에 출전할 수 있다.[6]
4. 참가팀 (2024-25 시즌)
2024-25 시즌 파르바리가 참가팀들의 위치는 불가리아 지도와 소피아 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각 팀의 연고지, 창단 연도, 2023-24 시즌 순위 등은 하위 섹션에 표로 정리되어 있다.
4. 1. 참가팀 목록 및 연고지
(2023-24)1위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