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울라 히틀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울라 히틀러는 아돌프 히틀러의 여동생으로, 1896년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나 1960년 사망했다. 그녀는 6살에 아버지를, 11살에 어머니를 잃고 오빠 아돌프의 도움을 받으며 자랐으며, 비서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파울라는 1959년 인터뷰를 통해 오빠의 유년 시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했지만, 나치당에 가입하지 않았고, 전쟁 범죄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녀의 삶은 아돌프 히틀러의 개인적인 면모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틀러가 - 클라라 히틀러
    알로이스 히틀러의 세 번째 부인이자 아돌프 히틀러의 어머니인 클라라 히틀러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서 남편에게 학대받으면서도 자녀에게 헌신적이었으나 유방암으로 47세에 사망했다.
  • 히틀러가 - 에바 브라운
    아돌프 히틀러의 오랜 연인이자 유언에 따라 그의 아내가 되었던 에바 브라운은 하인리히 호프만 스튜디오에서 히틀러를 만나 1932년부터 연인 관계를 맺었으며, 정치에는 관여하지 않았지만 히틀러의 사생활에 깊숙이 관여하다 1945년 베를린 벙커에서 그와 함께 자살했다.
  • 오스트리아의 로마 가톨릭교도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20세기 중요한 철학자 중 한 명으로, 『논리철학논고』를 통해 초기 논리실증주의를 대표하고 『철학적 탐구』로 후기 일상언어철학의 기초를 세웠으며, 언어 게임 개념을 제시하여 현대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오스트리아의 로마 가톨릭교도 - 그레고어 멘델
    오스트리아 제국의 수도사이자 생물학자인 그레고어 멘델은 완두콩 교배 실험을 통해 유전 현상을 연구하여 멘델의 유전 법칙을 발견했으며, 그의 연구는 20세기 초 재발견되어 현대 유전학의 기초가 되었다.
  • 19세기 오스트리아 사람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20세기 중요한 철학자 중 한 명으로, 『논리철학논고』를 통해 초기 논리실증주의를 대표하고 『철학적 탐구』로 후기 일상언어철학의 기초를 세웠으며, 언어 게임 개념을 제시하여 현대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세기 오스트리아 사람 - 프란츠 슈베르트
    프란츠 슈베르트는 1797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나 600곡이 넘는 가곡을 포함한 1,200여 곡의 방대한 작품을 남긴 낭만주의 작곡가이다.
파울라 히틀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파울라 히틀러 (볼프)
다른 이름파울라 볼프, 파울라 히틀러-볼프
출생일1896년 1월 21일
출생지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피슐람 하펠트
사망일1960년 6월 1일
사망지서독 쇠나우
안장 장소베르히테스가덴/쇠나우 베르크프리트호프
국적오스트리아
독일
알려진 이유독일 독재자 아돌프 히틀러의 여동생
가족 관계
부모아버지: 알로이스 히틀러
어머니: 클라라 히틀러
형제자매아돌프 히틀러 (오빠)
앙겔라 히틀러 (이복 언니)
구스타프 히틀러 (오빠)
오토 히틀러 (오빠)
이다 히틀러 (언니)
에드문트 히틀러 (남동생)
알로이스 히틀러 2세 (이복 오빠)

2. 생애

파울라 히틀러는 오빠인 아돌프 히틀러와의 관계,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 전후의 삶을 통해 역사 속 인물로 기록되었다.

파울라는 빈으로 이주한 후, 1920년대 초 유대인 대학생을 위한 기숙사에서 가사 도우미로 일했다.[11] 1921년에는 기숙사에서 일하던 중 오빠 아돌프의 갑작스러운 방문을 받기도 했다.[11] 이후 비서로 일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과 뮌헨에서의 초기 정치 활동 시기에는 오빠와 거의 접촉하지 않았다. 1930년대 초 빈에서 다시 오빠를 만나 기뻐했다.[12]

파울라는 정치 활동을 하지 않았고 나치당에 가입한 적도 없지만,[16] 오빠의 강한 독일 민족주의de 신념을 공유했다는 증거가 있다. 전쟁이 거의 끝나갈 무렵, 49세의 파울라는 마르틴 보어만의 요청으로 베르히테스가덴으로 가 오버잘츠베르크의 히틀러 별장 베르크호프에서 여러 가지 소일을 맡았다.[22]

1945년 5월, 미군 정보 요원에게 체포되어 심문을 받았는데,[17] 이 과정에서 파울라는 오빠가 홀로코스트제2차 세계 대전 발발에 책임이 있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지만, 이를 부인했다.[22] 얼마 후 풀려난 파울라는 빈으로 돌아가 저축한 돈으로 생활하며 예술/공예품 상점에서 일하다가 1952년 독일의 베르히테스가덴으로 돌아가 작은 집에서 살았다.[22]

2. 1. 어린 시절

파울라는 오스트리아 하펠트에서 태어났는데, 6살 때 아버지인 알로이스 히틀러가 사망하고 11살 때 클라라 히틀러가 사망했다.[19] 이후 오스트리아 정부는 파울라와 오빠 아돌프 히틀러에게 연금을 제공했다. 그러나 그 금액은 적었고, 스스로를 부양하기에 충분한 나이였던 아돌프는 여동생 파울라에게 더 많은 연금을 넘겨주었다.[19]

2. 2. 빈에서의 생활과 오빠와의 관계

파울라는 으로 이주하여 비서 등으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아돌프 히틀러가 빈 미술 아카데미 시험에 낙방하고 힘든 시기를 보내는 동안에는 서로 연락이 뜸했다.[20] 1921년, 파울라는 빈의 한 기숙사에서 일하던 중 우연히 오빠 아돌프와 재회했다.[3][11]

1920년대에는 서로 거의 연락하지 못했지만,[20] 1930년대부터는 1년에 한 번 정도 만나는 등 관계를 회복했다.[21] 파울라는 히틀러의 원래 성인 "히들러(Hiedler)"를 사용하기도 했다.[5][13] 1930년, 파울라는 자신의 신분이 알려지면서 직장을 잃게 되었고,[21][14] 이후 아돌프 히틀러의 재정적 지원을 받으며 생활했다.[21] 아돌프 히틀러는 파울라에게 매달 250실링을 지원했고, 파울라는 "볼프(Wolff)"라는 가명으로 생활했다.[14] "볼프"는 히틀러가 어린 시절부터 보안을 위해 사용하던 별명이었다.

히틀러는 파울라와 이복 누이 안젤라를 "멍청한 거위(dumme Gans)"라고 부르며, 파울라의 지능을 낮게 평가하기도 했다.[6][14]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전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파울라는 군 병원에서 비서로 일했다.[21] 1945년, 종전 직전 마르틴 보어만의 요청으로 베르히테스가덴으로 이동하여 히틀러의 별장인 베르크호프에서 지냈다.[2] 종전 후, 미군 정보부에 체포되어 심문을 받았지만, 홀로코스트와 전쟁에 대한 책임은 부인했다.[17] 파울라는 에바 브라운을 한 번 만났다고 진술했다.[2] 석방 후, 으로 돌아가 공예품 가게에서 일하다가[2] 1952년 독일 베르히테스가덴으로 이주하여 여생을 보냈다.[2]

2. 4. 언론과의 인터뷰

1959년 파울라는 영국의 다큐멘터리 제작자 피터 모리와 인터뷰를 가졌다. 이 인터뷰는 ITV 채널의 어소시에이티드-레디퓨전에서 제작한 "폭정: 아돌프 히틀러의 시대"라는 프로그램의 일부로 방송되었으며, 주로 히틀러의 어린 시절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었다. 파울라는 이 인터뷰에서 정치적인 질문에는 답변을 거부했다.[23] 이 인터뷰는 파울라가 응한 유일한 촬영 인터뷰였다.[2]

이 인터뷰 영상과 피터 모리와의 동시대 인터뷰는 2005년 올리버 할름버거와 토마스 슈탈러가 감독한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히틀러 가족"(독일 원제 "Familie Hitler: Im Schatten des Diktators")에 포함되었다.

파울라는 인터뷰에서 오빠와의 어린 시절 관계를 끊임없는 다툼과 강한 애정의 관계로 묘사했으며, 오빠가 홀로코스트에 책임이 있다고 믿을 수 없다고 말했다. 또한 에바 브라운을 단 한 번 만났다고 증언했다.[2]

2. 5. 죽음과 매장

1960년 6월 1일, 64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23] 히틀러 가문의 직계 중 마지막 생존자였다.[18] 베르히테스가덴/쇤아우의 베르크프라이트호프(Bergfriedhofde)에 묻혔다.[23] 2005년 6월, 다른 매장으로 인해 나무 묘비와 유해가 제거되었으나,[9] 2006년 5월, 묘비는 다시 설치되었다.[9]

그녀의 사망 5개월 후, 베르히테스가덴 연방 법원은 파울라 히틀러에게 히틀러 유산의 3분의 2를 할당하는 상속 증서를 발급했다.[2]

3. 평가 및 의의

파울라 히틀러는 아돌프 히틀러의 여동생이었지만, 정치적으로는 오빠와 거리를 두었고 나치당에는 가입하지 않았다.[21][16] 그녀의 증언과 생애는 아돌프 히틀러의 개인적인 면모와 가족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1959년 파울라는 영국의 텔레비전 방송 《Associated-Rediffusion》의 피터 머레이(Peter Morley)와의 인터뷰에서 히틀러의 어린 시절을 공개했고, 이를 통해 히틀러의 생애에 대한 많은 사실들이 새롭게 밝혀졌다.[23]

대한민국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파울라 히틀러를 나치즘에 동조하지 않은 평범한 인물로 평가하며, 아돌프 히틀러와 그의 가족사를 객관적으로 조명하는 데 기여했다고 본다. 파울라는 오빠와 강한 애정으로 맺어져 있었지만, 홀로코스트에 대한 책임은 믿을 수 없다고 부인했다.[17]

참조

[1] 서적 Die Hitlers Campus Verlag GmbH
[2] 서적
[3] 서적 East West Street - On the Origins of 'Genocide' and 'Crimes Against Humanity'
[4] 문서 The Mind of Adolf Hitler
[5] 서적 Inside Europe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6] 서적 Hitler:Diagnosis of a Destructive Prophet Oxford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Interview with Paula Wolff http://www.usd230.k1[...] 2013-03-05
[8] 뉴스 Paula Hitler https://pqasb.pqarch[...] 2008-05-17
[9] 웹사이트 Berchtesgaden http://www.thirdreic[...]
[10] 서적 Die Hitlers Campus Verlag GmbH
[11] 서적 East West Street - On the Origins of 'Genocide' and 'Crimes Against Humanity'
[12] 문서 The Mind of Adolf Hitler
[13] 서적 Inside Europe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14] 서적 Hitler:Diagnosis of a Destructive Prophet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ヒトラーの死を見届けた男 草思社 2006-11-28
[16] 웹사이트 Interrogation II with Paula Hitler http://www.shoah.dk/[...]
[17] 웹사이트 Interview with Paula Wolff http://www.usd230.k1[...] 2018-01-14
[18] 뉴스 Paula Hitler https://pqasb.pqarch[...] 2008-05-17
[19] 서적 East West Street - On the Origins of 'Genocide' and 'Crimes Against Humanity'
[20] 문서 The Mind of Adolf Hitler
[21] 서적 Inside Europe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22] 서적 Hitler:Diagnosis of a Destructive Prophet Oxford University Press
[23] 웹사이트 Berchtesgaden http://www.thirdre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