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판교 공연장 환풍구 붕괴 사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교 공연장 환풍구 붕괴 사고는 2014년 10월 17일 판교테크노밸리 유스페이스 광장에서 열린 축제에서 걸그룹 포미닛의 공연 중 환풍구 덮개가 붕괴되어 발생한 사고이다. 공연을 관람하기 위해 환풍구 위로 올라간 사람들이 덮개의 무게를 견디지 못해 20m 아래로 추락하여 16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을 입었다. 사고 이후 부실 시공 및 안전 점검 미흡, 주최 측의 책임 논란이 제기되었으며, 관련자들에 대한 수사 및 재판이 진행되었다. 또한, 사고를 계기로 공연법이 개정되어 공연시설 운영자의 안전 의무가 강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남시의 역사 - 광주군 (경기도)
    광주군(경기도)은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경기도의 옛 군으로, 고려 시대 광주를 거쳐 조선 시대 광주부로 승격되었으나, 일제강점기와 현대에 행정구역 개편 및 성남시, 하남시 분리 후 2001년 광주시로 승격되었다.
  • 성남시의 역사 - 2023년 대한민국 연쇄 흉기 난동 사건
    2023년 대한민국 연쇄 흉기 난동 사건은 2023년 7월부터 8월까지 신림역, 서현역 등 대한민국 각지에서 발생한 흉기 난동 사건과 온라인 흉기 난동 예고, 오인 신고 등의 문제들을 포괄한다.
  • 대한민국의 붕괴 사고 - 광주 화정 아이파크 외벽 붕괴 사고
    2022년 1월 광주 화정 아이파크 아파트 신축 공사 중 23층부터 38층까지 외벽과 슬래브가 붕괴되는 사고로 인명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부실 시공과 안전 불감증이 원인으로 지목되어 사회적 논란과 함께 건설 현장 안전 관리 강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었다.
  • 대한민국의 붕괴 사고 - 행주대교
    행주대교는 경기도 고양시와 서울특별시 강서구를 잇는 다리로, 1978년 구 행주대교가 개통되었고, 교통량 증가로 신행주대교와 제2신행주대교가 건설되었다.
  • 2014년 10월 -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7월 30일과 10월 29일에 국회의원 및 기초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7월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했고, 10월 선거는 새누리당의 승리로 끝나 야당이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 2014년 10월 - 2014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2014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는 딜마 루세프 현 대통령의 재선 도전, 페트로브라스 부패 스캔들과 경제 위기 등의 쟁점, 그리고 루세프와 아에시오 네베스 간의 결선 투표를 거쳐 루세프의 승리로 끝났으나, 이후 정치적 혼란으로 2016년 탄핵되는 결과를 낳았다.
판교 공연장 환풍구 붕괴 사고
사건 개요
명칭판교 테크노밸리 환풍구 붕괴 사고
발생 위치판교 테크노밸리, 대한민국
사망자16명
부상자11명
유형지하 주차장 환풍구 덮개 붕괴 사고
사건 정보
발생일2014년 10월 17일
발생 시간오후 5시 53분 (한국 표준시)
위치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원인관람객의 무게로 인한 환풍구 덮개 붕괴
최초 보고분당소방서
결과환풍구 붕괴
추가 정보
관련 뉴스BBC 뉴스 - 한국 4minute 콘서트 붕괴 사고, 다수 사망
참고판교 테크노밸리 축제 계획 담당자 사망 채 발견
한국 콘서트 사고, 경비 태세 수사
판교 사고 부상자 중 8명 중상... 추가 사망 가능성
또 안전 불감증... 이번에는 '공연장 대참사'
또 안전 불감증... 이번에는 '공연장 대재난'

2. 사고 경위

2014년 10월 17일 오후 5시 53분경, 판교테크노밸리 유스페이스 광장에서 열린 축하 공연 도중 환풍구 덮개가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하여 16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을 입었다.[10]

사고 원인은 공연을 잘 보기 위해 여러 사람이 한꺼번에 환풍구 위로 올라섰고, 덮개가 무게를 견디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11]

사고 다음 날인 10월 18일, 판교테크노밸리 축제의 안전대책을 계획했던 경기과학기술진흥원 담당자가 숨진 채 발견되었다.[13]

2. 1. 사고 발생

사고 당일 해당 야외광장에서는 '2014년 제1회 판교테크노밸리축제'[9]가 열려 유명 가수들의 축하 공연이 진행될 예정이었다. 사고는 오후 5시 53분경, 첫 순서로 걸그룹 포미닛이 공연하던 도중 유스페이스 주차장과 연결된 환풍구 덮개가 무너지면서 발생했다. 이 사고로 덮개 위에서 공연을 보던 관람객 27명이 약 20m 아래 6층 높이 유스페이스 주차장 환풍구 바닥으로 추락했다. 환풍구 바닥에는 길이 1.2m의 스파이크 수십 개가 있어 피해가 더욱 컸다. 이 사고로 16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을 입었다.[10]

2. 2. 사고 원인

사고 원인은 공연을 잘 보기 위해 여러 사람이 한꺼번에 환풍구 위로 올라섰고, 덮개가 무게를 견디지 못해 무너진 것으로 추정된다.[11] 이 사건의 수사를 맡은 경기지방경찰청 수사본부는 10월 23일 환풍구 시공업체 관계자 등을 불러 조사하였다. 경찰은 부실시공과 불량자재 사용 여부를 밝혀내는 데 주력하였고, 시공업체와 납품업체 관계자 및 유스페이스 건물 시공사인 포스코건설, 설계와 감리를 진행한 건축사무소 관계자 등 5명을 추가로 출국금지 조치하여 사건과 관련된 11명을 출국금지하였다.[12]

3. 사고 현장

사고 현장 환풍구는 15m2 넓이로, 1m2당 1500kg (65kg 성인 23명)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4] 그러나 유스페이스2 건물은 여러 차례 시설물 정기점검을 받았음에도 환풍구는 점검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15]

3. 1. 환풍구 구조 및 설계 결함

사고 현장 환풍구의 총 넓이는 15m2로, 1m2당 1500kg, 즉 65kg 성인 기준 23명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4] 그러나 사고가 발생한 유스페이스2 건물은 5차례에 걸쳐 시설물 정기 점검을 받았음에도 '이상 없음' 판정을 받았으며, 환풍구는 당시 점검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15]

3. 2. 안전 점검 미흡

사고 현장 환풍구의 총 넓이는 15m2로, 65kg 성인 23명이 올라설 수 있는 1500kg의 무게를 견디도록 설계되었다.[14] 환풍구 붕괴 사고가 발생한 유스페이스2 건물은 시설물 정기점검을 5차례 받았으나 '이상 없음' 판정을 받았고, 환풍구는 당시 점검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15]

4. 주최 측 책임 논란

경기도, 성남시,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이 주최하고 이데일리TV가 주관한 것으로 표시된 행사 현수막에 대해, 경기도와 성남시는 명의 도용을 주장했고, 이데일리TV는 이를 반박했다.[1] 이재명 성남시장은 이데일리 측이 언론사 지위를 이용해 특혜 청탁을 했으나 성남시가 모두 거절했다고 밝혔다.[1]

4. 1. 명의 도용 및 특혜 의혹

경기도, 성남시,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이 주최하고 이데일리TV가 주관한 것으로 표시된 행사 현수막에 대해, 경기도와 성남시는 명의 도용을 주장했고, 이데일리TV는 이를 반박했다.[1] 이재명 성남시장은 이데일리 측이 언론사 지위를 이용해 부지, 건물, 문화행사 공동 개최, 3000만 협찬 등을 요구하는 특혜 청탁을 했으나 성남시가 모두 거절했다고 밝혔다.[1]

4. 2. 경기과학기술진흥원 담당자 사망

사고 다음 날인 10월 18일, 판교테크노밸리축제의 안전대책을 계획했던 경기과학기술진흥원 담당자가 숨진 채 발견되었다.[13]

5. 후속 조치

사고 이후, 수사 및 재판, 보상, 법률 개정 등 후속 조치가 이루어졌다.

2015년 1월 22일 분당경찰서는 행사 주관자를 포함해 사고 책임자 17명을 입건해 검찰에 넘겼으며, 경찰 수사 결과 사고 현장 환풍구는 시공 면허가 없는 자재 납품 업체가 설치한 것으로 드러났다.[16] 3월 23일 수원지검 성남지청은 안전 의무를 소홀히 한 혐의로 행사 대행 업체 총괄 이사 등 13명을 기소했다.[17]

2014년 11월 신성범 새누리당 의원 등이 공연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고, 이 법안은 이듬해 2015년 4월 30일 대한민국 국회를 통과했다. 이 개정안은 공연시설 운영자가 공연장 등록, 안전 검사, 재해 방지 계획 등을 의무적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18]

2015년 2월 6일에는 행사 주관자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과 (주)이데일리가 경기도의 중재를 받아 보상금 지급 방법에 합의했다.[19]

5. 1. 수사 및 재판

2015년 1월 22일 분당경찰서는 행사 주관자를 포함하여 사고에 책임이 있는 17명을 입건하여 검찰에 송치했다. 경찰의 수사 결과 사고 현장의 환풍구는 시공 면허가 없는 자재 납품 업체가 설치를 맡았던 것으로 밝혀졌다.[16] 2015년 3월 23일 수원지검 성남지청은 안전 의무를 소홀히 한 혐의로 행사 대행 업체 총괄 이사를 포함하여 모두 13명을 기소했다.[17]

5. 2. 보상 합의

2015년 2월 6일, 행사 주관자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과 (주)이데일리는 경기도의 중재를 받아 보상금 지급 방법에 대한 합의를 마쳤다.[19]

5. 3. 공연법 개정

2014년 11월 신성범 새누리당 의원 등이 공연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고, 이 법안은 이듬해 2015년 4월 30일 대한민국 국회를 통과했다. 이 개정안은 공연시설 운영자가 공연장 등록, 안전검사, 재해방지계획 등을 의무적으로 마련해야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8]

참조

[1] 뉴스 판교 환풍구 붕괴참사…사망 16명·부상 11명(상보) http://news.naver.co[...]
[2] 뉴스 Many dead in collapse at South Korea 4Minute concert https://www.bbc.com/[...] BBC News 2023-11-22
[3] 뉴스 板橋テクノバレーフェスティバルの計画担当者が死亡したまま発見 http://news.naver.co[...] 2014-10-18
[4] 뉴스 韓国 コンサートで事故 警備態勢を捜査 http://www3.nhk.or.j[...] 2014-10-18
[5] 뉴스 板橋事故の負傷者のうち8人致命傷...追加死亡の可能性 http://news.naver.co[...] 2014-10-18
[6] 뉴스 板橋穴墜落事故27人の死傷...また「安全不感症」 http://news.naver.co[...] 2014-10-18
[7] 뉴스 また安全不感症...今度は「会場の大災害」 http://news.naver.co[...] 2014-10-18
[8] 뉴스 안전장치 없는 '죽음의 환풍구' 붕괴사고로 27명 사상(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4-10-18
[9] 웨이백 2014년 제1회 판교테크노밸리축제 개최 안내 http://www.gstep.re.[...] 경기과학기술진흥원 2014-10-08
[10] 뉴스 판교 환풍구 붕괴참사…사망 16명·부상 11명(상보) https://news.naver.c[...]
[11] 뉴스 '죽음의 구멍' 된 환풍구…하중 못이기고 철망 추락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10-19
[12] 뉴스 경찰,판교테크노밸리 '부실시공'으로 수사방향 잡아 http://www.weeklytod[...] 위클리 오늘 2014-10-24
[13] 뉴스 판교테크노밸리 축제 안전대책 담당직원 숨진 채 발견(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10-19
[14] 뉴스 <국감> 판교 환풍구 버틸 수 있는 무게 450kg 초과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14-10-21
[15] 뉴스 판교 건물, 환풍구는 보지도 않고 안전상태 '양호' 판정?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4-10-23
[16] 뉴스 "판교환풍구, 하청에 재하청…무면허 자재업체가 시공"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5-09
[17] 뉴스 檢, 판교 환풍구사고 '시공·안전 부실' 결론… 13명 기소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5-05-09
[18] 뉴스 판교 환풍구 사고의 교훈…공연장 안전강화법 국회 통과 http://the300.mt.co.[...] the 300 2015-05-09
[19] 뉴스 판교환풍구사고 4개월만에 수습 매듭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5-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