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팜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팜훙은 베트남의 정치인으로, 1912년 빈롱 성에서 태어나 1988년 사망했다. 그는 청소년 시절부터 독립운동에 참여하여 인도차이나 공산당에 입당했으며, 프랑스 식민 정부에 체포되어 투옥되기도 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과 베트남 전쟁 시기에는 당 지도자로서 활동했으며, 1967년에는 남베트남에 파견되어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에서 정치 위원을 역임했다. 베트남 통일 이후에는 토지 개혁과 국유화 정책을 주도했으며, 1987년 총리에 취임했으나 재임 중 사망했다. 그는 레주언과 함께 남베트남 무장 투쟁을 지지한 강경파로 평가받으며, 그의 죽음은 베트남의 개혁 개방 정책인 도이머이 정책 추진의 배경이 되었다는 평가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롱성 출신 - 쩐반흐엉
    쩐반흐엉은 남베트남의 정치인으로 사이공 시장, 총리, 부통령,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반공주의 노선을 걸으며 베트남 전쟁 중 여러 정치적 격변기를 겪은 인물이다.
  • 빈롱성 출신 - 쯔엉티낌뚜옌
    쯔엉티낌뚜옌은 베트남 인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생성되었으나 현재 내용이 없는 문서이다.
  • 베트남의 정부수상 - 팜반동
    팜반동은 베트남의 공산주의 정치인이자 초대 총리로, 호찌민의 지도 아래 인도차이나 공산당에서 활동하며 베트남 독립과 통일에 기여하고, 32년간 총리직을 역임하며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베트남의 정부수상 - 응우옌쑤언푹
    응우옌쑤언푹은 베트남의 정치인으로,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경제 성장을 이끌고 코로나19 팬데믹에 성공적으로 대응했으며, 국가주석으로 경제 부양 정책을 추진했으나 부패 스캔들로 사임했다.
  • 베트남의 정부부수상 - 보찌꽁
    보찌꽁은 베트남의 공산당원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과 사회주의 건설에 기여했으며, 반프랑스 저항 운동 참여, 8월 혁명 참여,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활동, 부총리 및 국가평의회 주석 역임, 도이모이 개혁 기여 등의 활동을 했다.
  • 베트남의 정부부수상 - 쯔엉찐
    쯔엉찐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출신의 베트남 공산당 지도자로, 반식민주의 운동 참여, 비엣민 창립 주도, 토지 개혁 실시, 도이모이 정책 지지 등 베트남 건국과 정치·경제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공산주의 이념과 베트남 문화에 대한 저서를 남겼다.
팜훙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파​ㅁ 훙
파​ㅁ 훙
이름파​ㅁ 훙
원어 이름(베트남어)
한자 표기范雄
직책
직위각료평의회 의장
대수2대
임기 시작1987년 6월 18일
임기 종료1988년 3월 10일
대통령보찌꽁
전임팜반동
후임보반끼엣(대행)
출생과 사망
출생일1912년 6월 11일
출생지빈롱성,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사망일1988년 3월 10일
사망지호찌민시, 베트남
소속 정당
정당베트남 공산당(1930년–1988년)
군사 정보
계급경찰 상급 대령
소속군베트남 인민 공안

2. 생애

팜훙은 1912년 6월 11일 베트남 남부 메콩 삼각주의 빈롱 성에서 태어났다. 1930년부터 인도차이나 공산당 당원이었다. 이듬해 지주를 살해한 혐의로 프랑스 식민 당국에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징역형으로 변경되었다. 1936년 사면되었으나, 1939년 다시 체포되어 푸로 콘도르 섬에서 1945년까지 수감되었다. 수감 기간 동안 공산주의 수감자들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동안 베트남 남부의 활발한 당 지도자 중 한 명이었으며, 공식적으로는 하위 직책이었지만 남부 베트민 보안군의 상당 부분을 통제했다. 1951년 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2]

1932년 프랑스 식민주의자들의 포로로 잡힌 팜훙


1954년 제네바 협정 체결 후 팜훙은 하노이로 소환되었다. 1957년 당 정치국원이 되었다.[3] 1964년 초까지 북베트남의 실질적인 지도자가 된 레주언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레주언과 지지자들은 호찌민, 보응우옌잡과 같은 온건파와 대조적으로 남베트남 무장 투쟁에 대해 더 호전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했다.[3]

1967년 7월, 레주언의 동맹인 응우옌찌타인의 의문사 이후, 암호명 바이끄엉으로 남베트남 중앙국(COSVN) 지휘권을 잡았다.[3]

전쟁 후 정치국에서 역할을 다시 맡았다. 1979년 내무부 장관이 되었다. 1987년 팜반동 사퇴 후 총리직을 맡았다.[4] 베트남 전쟁 동안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의 정치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총리 역임 전에는 내무부 장관을 지냈다.[5]

2. 1. 초기 생애 및 독립운동

1912년 6월 11일 빈롱 성의 빈농 가정에서 태어났다. 청소년 시절부터 베트남의 독립에 관심을 가졌고, 1928년 남기 학생 연합회 및 공산주의 청년단에 참여했다. 1930년 인도차이나 공산당에 입당하였다.[11]

같은 해에 베트남 농촌 지역에서 농민을 이끌고 소작 쟁의를 주도하다가 지주를 살해한 혐의로 프랑스 식민 정부에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이후 공판 과정에서 징역형으로 감형되었다. 1936년 프랑스 인민전선 정부의 사면으로 석방된 그는 다시 소작 쟁의를 주도하고, 인도차이나 공산당의 당무에 관여하다 1939년에 체포되었으며, 1945년 8월 혁명이 일어날 때까지 풀로 콩도르(Poulo Condore) 섬 감옥에 갇혀 있었다. 이곳에서 그는 공산주의 정치범들 사이에서 존경받는 지도자로 여겨졌다.[11]

2. 2.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시기

1945년 8월 혁명의 승리로 팜훙은 석방되어 남부 중앙국 위원으로서 남부에서 활동했다.[10] 오랫동안 베트남 중남부 농민 조직화에 힘쓴 공로로 1951년 베트남 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었다.[11] 제네바 협정 체결 후인 1954년 북베트남으로 소환되었다.[10]

2. 3. 베트남 전쟁 시기

1955년 8월, 베트남 노동당 제2기 중앙위원회 제8차 총회에서 당 정치국원으로 선출되었다.[6] 1957년, 북베트남 노동자당 정치국원이 되었다.[3] 1958년 서기국원으로 선출되었고, 같은 해 4월 부총리로 임명되었다.[6] 1960년 9월 제3차 당 대회에서 정치국원, 서기국원으로 재선되었다.[6]

1964년, 팜훙은 당내 급진파인 레주언 파벌의 주요 인물이 되었으며, 보응우옌잡과 달리 당내에서 더욱 적극적인 남베트남 무장 투쟁 지원을 호소하였다.[3] 1965년 4월 6일부터 1966년 10월까지 국가물가위원회 주임을 겸임했다.[6][7]

1967년, 팜훙은 남베트남에 파견되어 남베트남 중앙국(COSVN) 서기 겸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산하 인민해방군의 정치지도원 및 남베트남 해방군 정치위원을 역임했다.[12][8]

베트남 전쟁 말기인 1975년 4월 8일, 사이공 해방 작전(후에 호찌민 작전으로 개명) 지휘부 정치위원에 임명되어[9] 남부 해방을 지도했다.

2. 4. 통일 베트남 시기

1975년 11월, 팜훙은 "통일 베트남 문제 정치 협의회"에 남베트남 대표단 단장으로 참가했다.[10] 1976년 2월에는 베트남 전국 선거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10] 같은 해 7월, 부총리 겸 국방위원회 위원에 임명되었다.[10] 그해 12월, 베트남 공산당 제4차 당 대회에서 정치국원으로 재선되어 당 서열 4위가 되었다.[10]

전후 팜훙은 남베트남 지역의 토지 개혁, 농촌 소기업의 국유화, 지주 숙청을 지휘하였다.[13] 1979년 내무부 장관이 되었고,[13] 1980년 2월에는 내무상을 겸임했다.[10] 1981년 7월, 각료 평의회 부의장(부총리)으로 임명되었다.[10] 1982년 3월, 제5차 당 대회에서 정치국원으로 재선, 서열 4위가 되었다.[10] 1986년 12월, 제6차 당 대회에서는 정치국원으로 재선되며 서열 2위로 올라섰다.[10]

1987년 6월, 제8기 국회 제1차 회의에서 팜반동을 대신하여 각료 평의회 의장(총리)에 취임했다.[10] 그러나 1988년 3월 10일, 심장 발작으로 사망하면서[10] 역대 베트남 총리 중 최단 재임 기간을 기록했다.

3. 평가

팜훙은 레주언과 함께 남베트남 무장 투쟁을 적극적으로 지원한 강경파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베트남 통일 이후 남부 지역의 사회주의화 정책을 주도하며, 토지 개혁과 국유화 정책을 추진했다. 그의 급작스러운 죽음은 베트남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베트남의 개혁 개방 정책인 도이머이 정책 추진의 배경 중 하나로 작용했다는 평가도 있다.[6][7][8][9][10]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War in Vietnam
[2] 서적 Dictionnaire de la Guerre d'Indochine Paris
[3] 서적 Vietnam's American War A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Vietnam Oxford
[5] 뉴스 Obituary at the New York Times https://query.nytime[...]
[6] 웹사이트 第3期国会期政府(1964-1971年) http://www.chinhphu.[...]
[7] 웹사이트 内閣の人事任命に関する94号決議 https://vi.wikisourc[...]
[8] 간행물 アジア動向年報
[9] 문서 バン・ティエン・ズン
[10] 뉴스 Pham Hung, 75, Prime Minister Of Vietnam and Early Rebel, Dies. ''New York Times'', March 12, 1988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88-03-12
[11] 서적 Dictionnaire de la Guerre d'Indochine Paris
[12] 서적 Vietnam's American War A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Vietnam Oxfor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