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패트릭 해밀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패트릭 해밀턴은 스코틀랜드의 귀족이자 종교 개혁가로, 1504년경에 태어나 1528년 화형에 처해졌다. 그는 파리 대학교에서 유학하며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 사상을 접했고, 스코틀랜드로 돌아와 교회 개혁을 위한 설교와 토론을 시작했다. 1527년 독일로 도피하여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수학한 후, 스코틀랜드로 돌아와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고 공개적으로 설파하다가 이단 혐의로 체포되어 처형당했다. 그의 순교는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저서 "패트릭의 장소들"은 루터의 사상을 스코틀랜드에 소개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형된 스코틀랜드 사람 - 윌리엄 월리스
    윌리엄 월리스는 스코틀랜드 독립전쟁에서 영국 지배에 맞서 싸운 영웅으로, 스털링 다리 전투 승리 후 스코틀랜드 수호관이 되었으나 폴커크 전투에서 패배 후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그의 투쟁은 스코틀랜드 독립의 상징으로 기억된다.
  • 사형된 스코틀랜드 사람 - 조지 위샤트
    조지 위샤트는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의 핵심 인물로서 칼뱅과 츠빙글리의 사상을 전파하고 교황청의 부패를 비판하며 스코틀랜드 전역에서 설교하다가 체포되어 화형당했고, 그의 순교는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스코틀랜드의 종교 개혁 - 존 녹스
    존 녹스는 16세기 스코틀랜드의 종교 개혁을 이끈 인물로, 가톨릭 사제에서 개혁 사상을 받아들여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 작성에 참여하고 메리 여왕과 대립했으며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수립에 기여했다.
  • 스코틀랜드의 종교 개혁 - 조지 위샤트
    조지 위샤트는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의 핵심 인물로서 칼뱅과 츠빙글리의 사상을 전파하고 교황청의 부패를 비판하며 스코틀랜드 전역에서 설교하다가 체포되어 화형당했고, 그의 순교는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504년 출생 - 매슈 파커
    매슈 파커는 1504년에 태어나 1575년에 사망한 잉글랜드의 종교 지도자이며, 앤 불린의 사제로서 1559년 캔터베리 대주교로 임명되어 잉글리칸 교회의 발전에 기여하고 학문적 업적과 사본 수집으로 알려져 있다.
  • 1504년 출생 - 교황 비오 5세
    교황 비오 5세는 1566년부터 1572년까지 재위하며 교회 개혁을 추진하고, 트리엔트 공의회 결정을 시행하며, 반종교 개혁 운동을 펼치고, 레판토 해전을 지원한 인물이다.
패트릭 해밀턴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패트릭 해밀턴 (존 스코걸 그림, c. 1645-1730). 순교자의 유일하게 알려진 초상화
이름패트릭 해밀턴
출생일1504년경
사망일1528년 2월 29일
국적스코틀랜드
직업성직자 및 개혁가
2.1미터
어머니캐서린 스튜어트
아버지킨카빌의 패트릭 해밀턴 경
친척여동생, 캐서린 해밀턴, 외조부, 알바니 공작 알렉산더

2. 생애

파리 유학 시절, 독일의 비텐베르크 대학에서 마르틴 루터의 글을 탐독하다가 마틴 루터와 필리프 멜란히톤을 만났다.[4]

해밀턴의 처형은 루터교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에 크게 기여했다. "패트릭 해밀턴 선생의 악취는 그 바람이 부는 곳마다 감염시켰다"고 전해진다.[4] 그의 처형 당시 보여준 불굴의 정신은 해밀턴의 잘못을 설득하도록 임명되었던 알렉산더 에일스를 루터교회로 이끌었다. 그의 순교는 종교 개혁의 루터교 단계에서 스코틀랜드에서 거의 홀로였던 점에서 특이하다. '''로키 코뮤네스'''(Loci communes)를 바탕으로 한 그의 유일하게 알려진 저술인 "패트릭의 장소들"(Patrick's Places)은 일련의 명확한 명제들 속에서 믿음으로 인한 의롭게 됨의 교리와 복음과 율법의 대조를 반영했다. '패트릭의 장소들'은 해밀턴 자신의 제목이 아니었고, 1564년 존 프리스가 영어로 번역하면서 붙여진 제목이며, 존 폭스의 "행위와 기념비들"(Acts and Monuments) 1570년판 8권에 실려 있다.''[http://www.johnfoxe.org/index.php?realm=text&gototype=modern&edition=1570&pageid=1148]''.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학생들은 전통적으로 세인트 살베이터 예배당 밖에 있는 해밀턴의 이니셜 문장을 밟는 것을 피하는데, 저주를 받고 기말고사에 떨어질까 봐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저주를 풀기 위해 학생들은 매년 5월에 열리는 메이 딥(May dip)에 참여하여 전통적으로 새벽 5시에 북해로 달려가 죄와 불운을 씻어낸다.

뉴질랜드 오클랜드에 있는 '세인트 켄티저른 칼리지'라는 학교에는 패트릭 해밀턴의 이름을 딴 기숙사가 있다.

패트릭의 여동생 캐서린 해밀턴(Katherine Hamilton)은 던바 성(Dunbar Castle)의 함장의 아내이자 독실한 프로테스탄트였다. 1539년 3월, 그녀는 자신의 신념 때문에 벌위크어폰트위드(Berwick upon Tweed)로 추방당했다. 그녀는 이전에도 잉글랜드에 머물며 잉글랜드의 왕비인 제인 시모어(Jane Seymour)를 만난 적이 있었다.[2]

역사가 존 스포티스우드(John Spottiswoode)에 따르면, 캐서린은 1534년 홀리루드하우스(Holyroodhouse)에서 제임스 5세 앞에서 이단 혐의로 재판을 받았고, 그녀의 다른 형제인 제임스 해밀턴 오브 리빙스턴(James Hamilton of Livingston)은 도망쳤다. 국왕은 검사의 질문에 짧지만 확고한 답변으로 일관한 그녀의 신념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국왕은 웃으며 그녀와 비밀리에 대화를 나누었고, 그녀의 신앙 고백을 버리도록 설득했다. 다른 피고인들도 당시에는 신앙을 철회했다.[3]

캐서린을 주인공으로, 패트릭을 조연으로 한 연극이 로나 먼로(Rona Munro)에 의해 쓰여졌으며, 2024년 순회 공연을 가졌다.

2. 1. 초기 생애

패트릭 해밀턴은 킨카빌의 패트릭 해밀턴 경(Sir Patrick Hamilton of Kincavil)과 제임스 2세의 차남인 올버니 공작 알렉산더(Alexander, Duke of Albany)의 딸 캐서린 스튜어트 사이에서 태어난 차남이었다. 그는 글래스고(Glasgow) 교구, 아마도 아버지의 란아크셔(Lanarkshire)에 있는 스테인하우스(Stanehouse) 영지에서 태어났으며, 리쓰고(Linlithgow)에서 교육받았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4] 1517년 14세 때 로스주 페어런의 명목상 수도원장이 되었다. 여기서 나온 비용으로 파리 대학교에 유학하여 연구하였다. 파리 대학교에서 당시 널리 퍼지고 있던 종교 개혁가 마르틴 루터의 교리를 배웠다. 1521년에는 에라스무스에게 배우기 위해 루뱅으로 갔다.[4]

2. 2. 스코틀랜드 귀국 및 활동

1527년 다시 스코틀랜드로 돌아와 공개 토론과 설교를 하며 교회 개혁을 시작하였다.[4] 스코틀랜드로 돌아온 해밀턴은 스코틀랜드 가톨릭교회의 중심지이자 교육의 중심지인 세인트앤드루스에 거주지를 정했다. 1523년 6월 9일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세인트 레오나드 칼리지의 회원이 되었고, 1524년 10월 3일 교양학부에 입학하여 르네상스 인문주의자이자 논리학자인 존 메이어의 학생이자 동료가 되었다. 대학교에서 해밀턴은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여 전례 담당자로서 자신의 작곡으로 장엄미사를 집전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개혁적인 교리는 젊은 수도원장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그는 이를 동포들에게 전파하기를 갈망했다. 1527년 초 제임스 비턴 세인트앤드루스 대주교는 젊은 사제의 이단적인 설교에 주목하여 해밀턴을 공식적으로 재판하도록 명령했다. 해밀턴은 독일로 도망쳐 1527년 5월 30일 필립이 개교한 새로운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프란시스 람베르트의 지도를 받았다. 그곳에서 그는 『어두운 사람들의 편지』의 기고자 중 한 명인 헤르만 폰 뎀 부셰, 존 프리스, 윌리엄 틴데일을 만났다.

1527년 가을, 해밀턴은 스코틀랜드로 돌아와 자신의 신념을 공개적으로 이야기했다. 그는 먼저 린리스고 근처 킨카벨에 있는 형의 집으로 가서 자주 설교했고, 그 후 곧 사제 독신 서약을 포기하고 귀족 여성과 결혼했다. 그녀의 이름은 기록되지 않았다. 해밀턴의 강력한 후원자들을 두려워한 데이비드 비턴 아브로스 수도원장은 세인트앤드루스에서 회의를 제안했다. 젊은 목사는 자신의 죽음을 통해 "진실된 교리 안에서 경건한 자들을 확증할 것"이라고 예언하며 초대를 받아들였고, 거의 한 달 동안 설교하고 논쟁할 수 있었다.

1528년 『패트릭의 장소들』(Patrick's Places)[1]이 출판되면서 그는 스코틀랜드 신학에 마르틴 루터율법과 복음 구분에 대한 강조를 도입했다.

2. 3. 귀국, 결혼, 그리고 순교

1527년 스코틀랜드로 돌아와 공개 토론과 설교를 하며 교회 개혁을 시작하였다.[4] 세인트앤드루스는 당시 스코틀랜드 가톨릭교회의 중심지이자 교육의 중심지였기에, 해밀턴은 이곳에 거주지를 정했다. 1523년 6월 9일 세인트앤드루스대학교 소속 세인트 레오나드 칼리지의 회원이 되었고, 1524년 10월 3일에는 교양학부에 입학하여 르네상스 인문주의자이자 논리학자인 존 메이어의 학생이자 동료가 되었다. 대학교에서 해밀턴은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여 전례 담당자로서 자신의 작곡으로 장엄미사를 집전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개혁적인 교리는 젊은 수도원장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그는 이를 동포들에게 전파하기를 갈망했다. 1527년 초 제임스 비턴 세인트앤드루스 대주교는 해밀턴의 이단적인 설교에 주목하여 공식 재판을 명령했다. 해밀턴은 독일로 도피하여 1527년 5월 30일 필립이 개교한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프란시스 람베르트의 지도를 받았다.

1527년 가을, 해밀턴은 스코틀랜드로 돌아와 자신의 신념을 공개적으로 설파했다. 린리스고 근처 킨카벨에 있는 형의 집에 머물며 자주 설교했고, 곧 사제 독신 서약을 포기하고 귀족 여성과 결혼했다. (그녀의 이름은 기록되지 않았다.) 해밀턴의 강력한 후원자들을 두려워한 데이비드 비턴 아브로스 수도원장은 세인트앤드루스에서 회의를 제안했다. 해밀턴은 자신의 죽음을 통해 "진실된 교리 안에서 경건한 자들을 확증할 것"이라고 예언하며 초대를 수락했고, 거의 한 달 동안 설교하고 논쟁할 수 있었다.

마침내 대주교가 주재하는 주교와 성직자들의 의회에 소환되었다. 13가지 혐의가 제기되었는데, 그중 7가지는 1521년 마르틴 루터의 성경 연구와 가르침에 대한 최초의 신학적 해설인 필립 멜랑히톤의 ''Loci Communes''에 근거한 것이었다. 심문에서 해밀턴은 그 진실을 믿는다고 밝혔고, 의회는 13가지 혐의 모두에 대해 사형을 선고했다. 해밀턴은 체포되었고, 부상 없이 친구들에게 돌아갈 것이라는 보장을 받고 군인들에게 항복했다고 한다. 그러나 프레이어 캠벨과의 논쟁 끝에 의회는 그를 세속 권력에 넘겨 세인트앤드루스의 세인트 살바토르 예배당 정문 밖에서 화형에 처했다. 삼촌과 친구들의 구출 시도를 막기 위해 형은 당일 집행되었다. 그는 정오부터 오후 6시까지 불타 죽었고, 마지막 말은 "주 예수여, 제 영혼을 받아주소서"였다.

패트릭 해밀턴의 이니셜. 그의 순교를 기념하기 위해 처형 장소의 포장 도로에 새겨져 있다.


오늘날 그가 처형된 자리는 북쪽 거리 포장 도로에 그의 이니셜(PH)이 새겨진 문장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학생들은 시험 성적이 나빠지는 것을 막고 존경심을 표하기 위해 그 위를 밟지 않는다.

3. 영향 및 유산

해밀턴의 처형은 그 어느 때보다 루터교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에 크게 기여했다. "패트릭 해밀턴 선생의 악취는 그 바람이 부는 곳마다 감염시켰다"고 전해진다.[1] 그의 처형 당시 보여준 불굴의 정신은 해밀턴의 잘못을 설득하도록 임명되었던 알렉산더 에일스를 루터교회로 이끌었다.[2] 그의 순교는 종교 개혁의 루터교 단계에서 스코틀랜드에서 거의 홀로였던 점에서 특이하다. '''로키 코뮤네스'''(Loci communes)를 바탕으로 한 그의 유일하게 알려진 저술인 "패트릭의 장소들"(Patrick's Places)은 일련의 명확한 명제들 속에서 믿음으로 인한 의롭게 됨의 교리와 복음과 율법의 대조를 반영했다. '"패트릭의 장소들"'은 해밀턴 자신의 제목이 아니었고, 1564년 존 프리스가 영어로 번역하면서 붙여진 제목이며, 존 폭스의 "행위와 기념비들"(Acts and Monuments) 1570년판 8권에 실려 있다.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학생들은 전통적으로 세인트 살베이터 예배당 밖에 있는 해밀턴의 이니셜 문장을 밟는 것을 피하는데, 저주를 받고 기말고사에 떨어질까 봐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저주를 풀기 위해 학생들은 매년 5월에 열리는 메이 딥(May dip)에 참여하여 전통적으로 새벽 5시에 북해로 달려가 죄와 불운을 씻어낸다.

뉴질랜드 오클랜드에 있는 세인트 켄티저른 칼리지에는 패트릭 해밀턴의 이름을 딴 기숙사가 있다.

4. 가족 관계

패트릭의 여동생 캐서린 해밀턴(Katherine Hamilton)은 던바 성(Dunbar Castle) 함장의 아내이자 독실한 프로테스탄트였다.[2] 그녀는 1539년 3월, 자신의 신념 때문에 벌위크어폰트위드(Berwick upon Tweed)로 추방당했다.[2] 그녀는 이전에도 잉글랜드에 머물며 잉글랜드의 왕비인 제인 시모어(Jane Seymour)를 만난 적이 있었다.[2]

역사가 존 스포티스우드(John Spottiswoode)에 따르면, 캐서린은 1534년 홀리루드하우스(Holyroodhouse)에서 제임스 5세(James V of Scotland) 앞에서 이단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 그녀의 다른 형제인 제임스 해밀턴 오브 리빙스턴(James Hamilton of Livingston)은 도망쳤다. 국왕은 검사의 질문에 짧지만 확고한 답변으로 일관한 그녀의 신념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국왕은 웃으며 그녀와 비밀리에 대화를 나누었고, 그녀의 신앙 고백을 버리도록 설득했다. 다른 피고인들도 당시에는 신앙을 철회했다.[3]

참조

[1] 웹사이트 Patrick's Places http://www.thereform[...] 1528
[2] 서적 State Papers Henry VIII 1836
[3] 서적 The History of the Church of Scotland 1668
[4] 웹인용 패트릭 해밀톤의 순교 http://www.igoodnews[...] 2020-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