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퍼센트 포인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퍼센트 포인트는 백분율로 표시되는 두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예를 들어, 50%에서 60%로 증가한 것은 10%p 증가한 것으로 표현하며, 2%에서 1%로 감소한 것은 1%p 감소한 것으로 표현한다. 퍼센트 포인트는 경제 지표, 위험 및 확률 표현, 통계적 편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퍼센트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관련 단위로는 퍼센트(%), 퍼밀(‰), 퍼마이리어드(‱), 베이시스 포인트(bp)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계학 용어 - 편차
    편차는 관측값과 참값의 차이인 오차를 의미하며 통계적 분산 측정에 중요하고, 데이터 분석, 과학 실험, 무선 공학 등에서 활용된다.
  • 통계학 용어 - 산포도
    산포도는 빈도분포에서 변량이 흩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데이터 간 차이가 클수록 커지며 표준 편차, 범위, 사분위 범위 등으로 측정하고, 물리학의 측정 오차나 생물학의 개체 차이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한다.
  • 수학 용어 - 정리
    정리는 논리학과 수학에서 공리를 바탕으로 증명된 참인 명제로서, "만약 A이면 B이다" 형태의 가정적 조건문으로 표현되며, 수학 외 다양한 분야에서도 사용되지만 수학에서의 엄밀한 증명과는 차이가 있다.
  • 수학 용어 - 이론
    이론은 특정 주제를 이해, 설명, 예측하기 위한 분석적 도구로, 논리적 원칙을 따르며, 과학에서는 관찰과 실험으로 확인된 사실에 기반한 자연 세계에 대한 설명으로, 반증 가능성을 지니고 학문 분야에서 지식 축적과 논리적 설명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퍼센트 포인트
정의
정의두 퍼센트 값의 산술적 차이를 나타내는 단위
용도
의미백분율 값의 변화나 차이를 명확히 표현하는 데 사용
혼동 방지퍼센트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 명시적으로 사용
예시
금리금리가 5%에서 10%로 상승한 경우, 5%p 상승했다고 표현
지지율지지율이 30%에서 35%로 상승한 경우, 5%p 상승했다고 표현
투표율투표율이 60%에서 55%로 하락한 경우, 5%p 하락했다고 표현
계산
계산 방법두 백분율 값의 차이 계산 (예: 10% - 5% = 5%p)
백분율과 비교백분율 값 자체의 변동률과는 구별됨
주의사항
중요성백분율 변화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필요
오해 방지퍼센트 값 자체의 변화와 백분율 변화를 구분해야 함
활용 분야
통계통계 분석 결과 제시
경제경제 지표 변화 분석
정치여론 조사 결과 비교
사회사회 현상 변화 측정
퍼센트와의 비교
퍼센트 (%)전체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단위
퍼센트 포인트 (%p)두 퍼센트 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단위

2. 퍼센트와 퍼센트포인트의 차이

퍼센트와 퍼센트포인트는 모두 변화를 나타내는 단위이지만, 그 의미와 계산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성장, 수익률, 박출분획과 같이 퍼센트를 단위로 사용하는 측정값, 통계적 편차, 표준편차, 평균제곱근 오차를 포함한 관련 기술 통계량의 경우, 결과는 퍼센트 대신 퍼센트포인트 단위로 표현해야 한다.[3] 표준편차에 대해 퍼센트를 단위로 잘못 사용하면 혼란스러울 수 있는데, 퍼센트는 상대 표준편차, 즉 표준편차를 평균값으로 나눈 값(변동 계수)의 단위로도 사용되기 때문이다.

2. 1. 정의


  • '50%에서 60%로 증가하였다'를 표현할 때 10%p 증가하였다고 표현한다. 10%가 증가하였다고 표현하면 틀린 표현이 된다.[3]
  • '2%에서 1%로 감소하였다'를 표현할 때 1%p 감소하였다고 표현한다. 1%가 감소하였다는 틀린 표현이다.[3]


경제학적 면에서 실업률이 10%일 때, 실업률이 4%p 감소했다면, 실업률이 6%라는 의미이다. 실업률이 4% 감소했다고 한다면 다음과 같다.[3]

  • 10% = 0.1
  • 4% = 0.04
  • 감소 = 10%의 4% = 0.04 X 0.1 = 0.004
  • 새 실업률 = 0.1 - 0.004 = 0.096 = 9.6%


1980년에는 인구의 50%가 흡연했지만, 1990년에는 40%만 흡연했다고 가정하면, 흡연율(인구 대비 흡연자 비율)은 1980년부터 1990년까지 10년 동안 "10%p" 감소했다고 말한다. "10%" 감소했다고 말하지 않는 것은 "50% 중에서 10% 감소했다" 즉, 50 - (50 × 0.1) = 45로 45%가 되었다고 해석될 수 있어 모호하기 때문이다. 또한, 1980년과 1990년의 총 인구가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비교할 수 없다는 이유도 있다.[3]

%p 차이는 위험이나 확률을 나타내는 한 가지 방법이다. 예를 들어, 어떤 질병이 70%의 확률로 치유되는 약이 있고, 그 약을 사용하지 않으면 50%의 확률로 자연 치유된다고 가정하면, 이 약은 절대적 위험을 20%p 감소시킨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수치를 절대적 위험 감소율이라고 하며, 그 역수를 치료 필요 환자 수(NNT)라고 한다. 앞의 예에 비추어 보면, 이 약의 NNT는 1/(20%p) = 1/0.20 = 5가 되어, 5명의 환자에게 약을 투여하면 약을 투여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1명 더 많은 환자가 치유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3]

2. 2. 예시


  • '50%에서 60%로 증가하였다'는 표현은 다음 2가지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 * 20%가 증가하였다.
  • * 10%p가 증가하였다.
  • '2%에서 1%로 감소하였다'는 표현은 다음 2가지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 * 50%가 감소하였다. (= 절반으로 감소하였다 또는 반절로 감소하였다.)
  • * 1%p가 감소하였다.


경제학에서 실업률이 10%일 때, 실업률이 4%p 감소했다면 실업률은 6%가 된다. 반면 실업률이 4% 감소했다면,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10% = 0.1
  • 4% = 0.04
  • 감소 = 10%의 4% = 0.04 × 0.1 = 0.004
  • 새 실업률 = 0.1 - 0.004 = 0.096 = 9.6%[3]


1980년에는 인구의 50%가 흡연했고, 1990년에는 40%만 흡연했다고 가정했을 때, 1980년부터 1990년까지 흡연율은 10%p 감소했다(또는 인구의 10% 감소)고 말할 수 있다. 흡연자만 고려하면 20% 감소했다고 할 수 있다.

퍼센트는 전체에 대한 비례적인 부분을 나타내는 반면, 퍼센트포인트는 그 차이를 나타낸다. 퍼센트포인트 차이는 위험 또는 확률을 표현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예를 들어 특정 질병을 치료하는 약물이 모든 경우의 70%에서 효과가 있고, 약물 없이 자연 치유되는 경우는 50%라면, 이 약물은 절대 위험을 20%p 감소시킨다. 이 경우, 치료 필요 환자 수(NNT)는 1/(20%p) = 1/0.20 = 5가 된다. 즉, 5명의 환자를 약물로 치료하면 치료를 받지 않고도 회복되었을 환자보다 한 명 더 많은 환자를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2. 3. 혼동 방지


  • '50%에서 60%로 증가하였다'라고 표현할 때, '10% 증가하였다'라고 표현하면 틀린 표현이다. 옳은 표현은 다음과 같다.
  • * 20%가 증가하였다.
  • * 10%p가 증가하였다.
  • '2%에서 1%로 감소하였다'라고 표현할 때, '1% 감소하였다'는 틀린 표현이다. 옳은 표현은 다음과 같다.
  • * 50%가 감소하였다. (= 절반으로 감소하였다.)
  • * 1%p가 감소하였다.


실업률이 10%일 때, 실업률이 4%p 감소했다면 실업률은 6%가 된다. 반면, 실업률이 4% 감소했다면 다음과 같이 계산되어 9.6%가 된다.[3]

  • 10% = 0.1
  • 4% = 0.04
  • 감소 = 10%의 4% = 0.04 × 0.1 = 0.004
  • 새 실업률 = 0.1 - 0.004 = 0.096 = 9.6%


1980년에는 인구의 50%가 흡연했고, 1990년에는 40%만 흡연했다면, 1980년부터 1990년까지 흡연율은 10%p 감소했다(또는 인구의 10% 감소)고 말할 수 있다. 흡연자만 고려하면 20% 감소했다고 말할 수 있다.

퍼센트는 전체에 대한 비례적인 부분을 나타낸다. 퍼센트포인트 차이는 위험 또는 확률을 표현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예를 들어 특정 질병을 치료하는 약물이 70%의 경우 효과가 있고, 약물 없이 자연 치유되는 경우는 50%라면, 이 약물은 절대 위험을 20%p 감소시킨다. 이 수치를 절대적 위험 감소율이라고 하며, 그 역수를 치료 필요 환자 수(NNT)라고 한다. 이 약의 NNT는 1/(20%p) = 1/0.20 = 5가 되어, 5명의 환자에게 약을 투여하면 약을 투여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1명 더 많은 환자가 치유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성장, 수익률, 박출분획과 같이 퍼센트를 단위로 사용하는 측정값, 통계적 편차, 표준편차, 평균제곱근 오차를 포함한 관련 기술 통계량의 경우, 결과는 퍼센트 대신 퍼센트포인트 단위로 표현해야 한다. 표준편차에 대해 퍼센트를 단위로 잘못 사용하면 혼란스러울 수 있는데, 퍼센트는 상대 표준편차, 즉 표준편차를 평균값으로 나눈 값(변동 계수)의 단위로도 사용되기 때문이다.

1980년 인구의 50%가 흡연했지만, 1990년에는 40%만 흡연했다고 가정했을 때, 흡연율(인구 대비 흡연자 비율)은 1980년부터 1990년까지 10년 동안 "10%p" 감소했다고 말한다. "10%" 감소했다고 말하지 않는 이유는 "50% 중에서 10% 감소했다" 즉, 50 - (50 × 0.1) = 45로 45%가 되었다고 해석될 수 있어 모호하기 때문이다. 또한, 1980년과 1990년의 총 인구가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비교할 수 없다는 이유도 있다.

3. 위험 및 확률 표현

퍼센트포인트는 위험 또는 확률의 변화를 나타내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1980년에는 인구의 50%가 흡연했지만, 1990년에는 40%만 흡연했다면, 흡연율은 10퍼센트포인트 감소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는 "10퍼센트 감소"와는 다른 의미인데, "10퍼센트 감소"는 50%에서 10%가 감소한 45%를 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로, 특정 질병을 치료하는 약물이 70%의 확률로 효과가 있고, 약물 없이 자연 치유되는 확률이 50%라면, 이 약물은 절대 위험을 20퍼센트포인트 감소시킨다.

3. 1. 절대적 위험 감소

어떤 질병을 치료하는 약물이 모든 경우의 70%에서 효과가 있는 반면, 약물 없이 자연적으로 치유되는 경우는 50%에 불과하다고 가정해 보자. 이 약물은 절대 위험을 20퍼센트포인트 감소시킨다. 이 경우, 퍼센트포인트 차이의 역수는 1/(20pp) = 1/0.20 = 5가 된다. 이는 치료 필요 환자 수(NNT)와 같다. 따라서 5명의 환자를 약물로 치료하면 치료를 받지 않고도 회복되었을 환자보다 한 명 더 많은 환자를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3. 2. 치료 필요 환자 수

퍼센트포인트 차이는 위험이나 확률을 표현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예를 들어, 특정 질병을 치료하는 약물이 모든 경우의 70%에서 효과가 있는 반면, 약물 없이 자연적으로 치유되는 경우는 50%에 불과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약물은 절대 위험을 20퍼센트포인트 감소시킨다. 통계 소비자에게는 역수(또는 치료 필요 환자 수)와 같이 다른 대안이 더 의미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퍼센트포인트 차이의 역수 변환은 1/(20pp) = 1/0.20 = 5가 된다. 따라서 5명의 환자를 약물로 치료하면 치료를 받지 않고도 회복되었을 환자보다 한 명 더 많은 환자를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4. 관련 단위

퍼센트(%)와 퍼센트포인트 외에도 비율을 나타내는 다양한 단위들이 있다.

단위설명
퍼센트 (%)100분의 1
퍼밀 (‰)1,000분의 1
퍼마이리어드 (‱)10,000분의 1
베이시스 포인트 (bp)10,000분의 1의 차이
퍼센트 밀 (pcm)100,000분의 1
ppm 등백만분율(ppm) 등


4. 1. 백분율

퍼센트(%)는 100분의 1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4. 2. 천분율

퍼밀 (‰)은 1,000분의 1을 나타낸다.[1]

4. 3. 만분율

퍼마이리어드 (‱) 또는 베이시스포인트 (bp)는 10,000분의 1을 나타낸다.[1]

4. 4. 기타


  • 퍼센트 (%) - 100분의 1
  • 퍼밀 (‰) - 1,000분의 1
  • 퍼마이리어드 (‱) - 10,000분의 1
  • 베이시스 포인트 (bp) - 10,000분의 1의 차이
  • 퍼센트 밀 (pcm) - 100,000분의 1
  • ppm 등의 표기법 - 백만분율(ppm) 등

참조

[1] 서적 Contemporary Mathematics for Business and Consumers, Brief Edition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5-05-07
[2] 서적 Math Tools for Journalist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5-05-07
[3] 웹인용 Why Percents and Percentage Points Are Cousins, But Not Twins http://economics.abo[...] 2014-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