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펍지 글로벌 챔피언십 202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펍지 글로벌 챔피언십 2021은 2021년 11월 19일부터 12월 19일까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파라다이스시티에서 진행된 배틀그라운드 e스포츠 대회이다. 순위 결정전을 통해 32개 팀을 선발하고, 위클리 시리즈와 그랜드 서바이벌을 거쳐 최종 16개 팀이 그랜드 파이널에서 경쟁했다. 중국의 뉴해피가 최종 우승을 차지했으며, 최우수 선수(MVP)는 뉴해피의 MMing 선수가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틀그라운드 -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은 최대 100명의 플레이어가 경쟁하는 배틀로얄 방식의 PVP 슈팅 게임이며, 텐센트 게임즈가 배급하고, 무기 등을 활용하여 마지막까지 생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e스포츠 리그를 지원하고 높은 수익을 기록했다.
  • 배틀그라운드 - 칼리스토 프로토콜
    《칼리스토 프로토콜》은 2022년에 출시된 3인칭 서바이벌 호러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제이콥 리가 되어 칼리스토 행성의 교도소에서 탈출하기 위해 근접 및 원거리 전투를 벌이며, PC 버전의 기술적 문제와 낮은 판매량으로 인해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펍지 글로벌 챔피언십 2021
대회 정보
리그 이름펍지 글로벌 챔피언십 2021
이전 시즌펍지 글로벌 인비테이셔널.S
다음 시즌펍지 글로벌 챔피언십 2022
주최크래프톤
주관크래프톤
후원사에일리언웨어
투미
레드불
리그 시작일2021년 11월 19일
리그 종료일2021년 12월 19일
게임 버전14.1
참가 팀32팀
참가 선수128인 이상
총 상금$ 441만 2,928
개막전순위 결정전 A+B그룹 (16팀)

2. 진행 방식

순위 결정전은 3일 간 18경기를 통해 진행된다. 8팀씩 4개 그룹으로 나뉘어 경기를 치르며, 각 팀은 총 3경기를 치른 후 누적 점수에 따라 위클리 서바이벌 1주차에 1~31순위로 배정된다. 32순위는 위클리 서바이벌 1주차에 참여할 수 없다.

위클리 시리즈는 위클리 서바이벌, 위클리 파이널, 바텀16으로 구성된다. 위클리 서바이벌은 3일 동안 16경기를 치르며, 경기에서 1등을 한 팀은 위클리 파이널에 진출하고, 남은 한 자리는 17~31순위 팀으로 채워진다. 위클리 파이널은 이틀 간 10경기를 치러 총 점수가 가장 높은 팀이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하며, 진출한 16개 팀은 다음 주차 위클리 서바이벌 1~16순위에 배정된다. 바텀16은 하루에 6경기를 치러 누적 점수에 따라 다음 주차 위클리 서바이벌 17~31순위에 배정되며, 32순위는 다음 주간 위클리 서바이벌에 참여할 수 없다. 바텀16 일정은 2, 3주차에만 진행된다.

위의 일정은 총 3주 동안 진행되며(바텀16은 2회), 1~3주차 우승 팀을 제외한 누적 점수 상위 9개 팀이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한다. 나머지 19개 팀은 그랜드 서바이벌 1~16순위, 17~19순위에 배정되고, 최하위는 최종 탈락한다.

그랜드 서바이벌은 하루에 4경기를 치르며, 1~16순위 팀이 먼저 경기를 치른다. 경기에서 1등을 한 팀은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하고, 남은 한 자리는 17~20순위 팀으로 채워진다. 결과적으로 4개 팀이 그랜드 파이널에 추가 진출한다.

그랜드 파이널은 3일 간 15경기를 치러 누적 점수가 가장 높은 팀이 최종 우승한다.

2. 1. 순위 결정전 (Rank Decision)

2. 2. 위클리 시리즈 (Weekly Series)

위클리 시리즈는 3주 동안 진행되며, 매주 위클리 서바이벌, 위클리 파이널, 바텀16(2, 3주차만 진행)으로 구성된다.
위클리 서바이벌: 3일 동안 16경기를 치러 매 경기 1등 팀이 위클리 파이널에 진출한다. 1~16순위 팀이 먼저 경기를 치르고, 1등 팀은 '''위클리 파이널'''에 직행한다. 남은 한 자리는 17~31순위 팀이 순서대로 채워 경기를 진행하며, 총 16개 팀이 위클리 파이널에 진출한다. 나머지 팀은 '''바텀16'''으로 진출한다.
위클리 파이널: 이틀 동안 10경기를 치러 총점이 가장 높은 팀이 그랜드 파이널에 직행한다. 위클리 파이널에 진출한 16개 팀은 다음 주차 '''위클리 서바이벌''' 1~16순위에 배정된다.
바텀16: 하루에 6경기를 치러 누적 총점에 따라 다음 주차 '''위클리 서바이벌''' 17~31순위에 배정된다. 32순위는 다음 주 '''위클리 서바이벌'''에 참여할 수 없다. 바텀16은 2, 3주차에만 진행된다.

2. 3. 그랜드 파이널 (Grand Finals)

3. 일정

펍지 글로벌 챔피언십 2021은 2021년 11월 19일부터 12월 19일까지 진행되었다. 순위 결정전은 11월 19일부터 11월 21일까지 3일간 진행되었으며, A+B그룹과 C+D그룹(11월 19일), B+D그룹과 A+C그룹(11월 20일), A+D그룹과 B+C그룹(11월 21일)의 경기가 진행되었다. 위클리 시리즈는 1주차(11월 23일 ~ 11월 29일), 2주차(11월 30일 ~ 12월 6일), 3주차(12월 7일 ~ 12월 12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주차는 위클리 서바이벌, 위클리 파이널, 바텀16으로 구성되었다. 1주차 위클리 서바이벌은 11월 23일 ~ 11월 25일, 위클리 파이널은 11월 27일 ~ 11월 28일, 바텀16은 11월 29일에 진행되었다. 2주차 위클리 서바이벌은 11월 30일 ~ 12월 2일, 위클리 파이널은 12월 4일 ~ 12월 5일, 바텀16은 12월 6일에 진행되었다. 3주차 위클리 서바이벌은 12월 7일 ~ 12월 9일, 위클리 파이널은 12월 11일 ~ 12월 12일에 진행되었다. 그랜드 서바이벌은 12월 16일에, 그랜드 파이널은 12월 17일부터 12월 19일까지 진행되었다.

4. 경기장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파라다이스시티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1] 중국팀은 온라인으로 참전하였다.[1]

5. 참가 팀

펍지 글로벌 챔피언십 2021(PGC 2021)에 참가하는 팀은 다음과 같다.

권역약칭리그자격
아시아 페트리코 로드PeRoPCLPGC 포인트 상위(펍지 챔피언스 리그)
멀티 서클 게이밍MCG
17 게이밍17
카이신 e스포츠KX
뉴해피NH펍지 챔피언스 리그 2021 서머 우승
다나와 e스포츠DNWPWSPGC 포인트 상위(펍지 위클리 시리즈: 동아시아)
기블리 e스포츠GBL
매드 클랜MaD
GNL e스포츠[2]GNL
Gen.GGEN2021 펍지 위클리 시리즈: 동아시아 페이즈 2 우승
엔터 포스.36E36PWS일본 지역 PGC 포인트 최상위팀
글로벌 e스포츠 엑셋GEXPWS중화 타이베이, 홍콩, 마카오 지역 PGC 포인트 최상위팀
아시아 태평양 부리람 유나이티드 e스포츠BRUPTS/O펍지 콘티넨탈 시리즈 4 APAC 우승
바오남 유나이티드BNPVS/O펍지 콘티넨탈 시리즈 5 APAC 우승
아크엔젤 프레데터AAPPCRPGC 포인트 상위(APAC 권역)
퓨리FURYLPL
어택 올 어라운드AAAPTS/O태국 지역 PGC 포인트 최상위팀
게임홈 하동[3]GHDPVS/O베트남 지역 PGC 포인트 최상위팀
유럽 버투스 프로VPESL EU펍지 콘티넨탈 시리즈 5 유럽 우승
나투스 빈체레NAVIPGC 포인트 상위(유럽 권역)
팀 리퀴드TL
유니크[4]Uniq
히로익HERO
엔스ENCE
페이즈 클랜FaZe서유럽 지역 PGC 포인트 최상위팀
BBL e스포츠BBL중동, 아프리카 지역 PGC 포인트 최상위팀
(PCS 5 유럽 우승 지역 제외)[5]동유럽 지역 PGC 포인트 최상위팀
아메리카 오스 게이밍OATHESL AM펍지 콘티넨탈 시리즈 5 아메리카 우승
소닉스SQPGC 포인트 상위(아메리카 권역)
TSM FTXTSM
디그니타스DIG
스페이스스테이션 게이밍SSG
KPI 게이밍[6]KPI라틴아메리카 지역 PGC 포인트 최상위팀
(PCS 5 아메리카 우승 지역 제외)[7]북아메리카 지역 PGC 포인트 최상위팀


5. 1. 아시아

5. 2. 아시아 태평양

5. 3. 유럽

5. 4. 아메리카

6. 결과

wikitext

결과
#상금비고
1뉴해피/纽哈皮중국어$ 1,378,264최종 우승
2히로익/Heroic영어$ 666,209최종 준우승
3버투스 프로/Virtus.proru$ 344,591최종 3위
4TSM FTX/TSM FTX영어$ 275,673
5다나와 e스포츠$ 153,917
6팀 리퀴드$ 140,269
7페트리코 로드/PeRo중국어$ 133,242
8Gen.G$ 121,891
9글로벌 e스포츠 엑셋/Global Esports Xssetzh-Hant$ 121,755
10KPI 게이밍/KPI Gaminges$ 110,405
11엔스/ENCEfi$ 101,080
12나투스 빈체레/Natus Vincereru$ 84,999
13기블리 e스포츠$ 75,810
14퓨리/FURY영어$ 73,513
15카이신 e스포츠/KX중국어$ 71,215
16스페이스스테이션 게이밍/SST영어$ 68,918
17GNL e스포츠$ 34,459
18오스/Oath영어
19멀티 서클 게이밍/MCG중국어
20디그니타스/Dignitas영어
21매드 클랜$ 29,865
22부리람 유나이티드 e스포츠/BRUth
23BBL e스포츠/BBLtr
2417 게이밍/17중국어
25어택 올 어라운드/AAAth$ 22,973
26엔터 포스 36/E36일본어
27페이즈 클랜/FaZe영어
28소닉스/Soniqs영어
29게임홈 하동/GFHvi
30유니크/UNQru
31아크엔젤 프레데터/AAP영어
32바오남 유나이티드/BNUvi



특별 시상
부문이름아이디소속 팀상금
최우수 선수천이난중국어MMing뉴해피/纽哈皮중국어-
위클리 파이널 우승1주차KPI 게이밍/KPI Gaminges$ 30,000
2주차팀 리퀴드$ 30,000
3주차Gen.G$ 30,000
최다 킬파보 보우틸라이넌fiPaG3히로익/Heroic영어$ 10,000
최고의 팀팀 리퀴드$ 20,000
최고의 선수 4인짐 군나르 엘리아센nojeemzz팀 리퀴드$ 5,000
루크 크레이퍼영어TeaBone히로익/Heroic영어$ 5,000
나희주한국어InonixGen.G$ 5,000
천이난중국어MMing뉴해피/纽哈皮중국어$ 5,000


6. 1. 순위 결정전

펍지 글로벌 챔피언십 2021의 순위 결정전은 그룹 스테이지 결과에 따라 A, B, C, D의 4개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그룹은 8개 팀으로 구성되었으며, 그룹별 상위 4개 팀은 1주차 위클리 서바이벌에 진출하고, 나머지 팀들은 1주차 바텀 16으로 이동한다.

순위 결정전은 A+B, C+D, B+D, A+C, A+D, B+C 그룹 간의 매치 결과를 합산하여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순위 결정전 결과

#1위 횟수킬 횟수총 점수결과
1엔스4981821주차 서바이벌
2Gen.G488165
3뉴해피2109164
4오스293145
5버투스 프로194140
6팀 리퀴드183133
7퓨리277132
8기블리 e스포츠382128
917 게이밍191119
10페이즈 클랜274118
11멀티 서클 게이밍081116
12다나와 e스포츠279115
13바오남 유나이티드063111
14TSM FTX267110
15부리람 유나이티드 e스포츠272108
16매드 클랜26793
17나투스 빈체레158921주차 서바이벌
18KPI 게이밍05989
19BBL e스포츠15389
20GNL e스포츠06585
21페트리코 로드15983
22스페이스스테이션 게이밍05680
23글로벌 e스포츠 엑셋05279
24유니크05178
25카이신 e스포츠14573
26히로익05971
27엔터 포스 3613468
28어택 올 어라운드04967
29아크엔젤 프레데터04365
30게임홈 하동03864
31소닉스14759
32디그니타스03956진출 실패


  • 1위: 엔스 (1위 4회, 98킬, 182점)
  • 2위: Gen.G (1위 4회, 88킬, 165점)
  • 3위: 뉴해피 (1위 2회, 109킬, 164점)


상위 16개 팀은 1주차 위클리 서바이벌에 진출했으며, 17위부터 31위까지의 팀은 1주차 바텀 16으로 이동했다. 디그니타스는 32위를 기록하며 1주차 바텀 16 진출에 실패했다.

6. 2. 위클리 시리즈

펍지 글로벌 챔피언십 2021은 매주 위클리 시리즈를 통해 그랜드 파이널 진출팀을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8] 각 주차는 위클리 서바이벌, 위클리 파이널, 바텀 식스틴(Bottom 16)으로 구성된다.
위클리 서바이벌은 3일 동안 16경기를 치러 각 경기에서 1위를 한 팀이 즉시 위클리 파이널로 진출하는 방식이다. 1주차에는 멀티 서클 게이밍(중국), Gen.G, 퓨리(오스트레일리아), 오스(미국), TSM FTX(미국), 버투스 프로(러시아), 다나와 e스포츠, 기블리 e스포츠, 17 게이밍(중국), GNL e스포츠, 팀 리퀴드, 히로익(유럽), 엔스(핀란드), KPI 게이밍(스페인), 스페이스스테이션 게이밍(미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e스포츠(태국)가 진출했다. 2주차에는 멀티 서클 게이밍, GNL e스포츠, 부리람 유나이티드 e스포츠, BBL e스포츠(터키), 엔스, 다나와 e스포츠, 히로익, 디그니타스(미국), 나투스 빈체레(러시아), 스페이스스테이션 게이밍, 버투스 프로, 팀 리퀴드, 글로벌 e스포츠 엑셋(대만), 페트리코 로드(중국), 매드 클랜, 뉴해피(중국)가 진출했다. 3주차에는 나투스 빈체레, 팀 리퀴드, 히로익, 다나와 e스포츠, 뉴해피, 버투스 프로, 기블리 e스포츠, 디그니타스, 퓨리, 매드 클랜, 오스, 카이신 e스포츠(중국), 엔터 포스 36(일본), 어택 올 어라운드(태국), 글로벌 e스포츠 엑셋, Gen.G가 진출했다.
위클리 파이널은 1, 2, 3주차에 걸쳐서 위클리 서바이벌에서 진출한 팀들이 총 10경기를 진행하여, 주간 1위를 차지한 팀은 그랜드 파이널에 직행하고, 나머지 팀들은 다음 주차 위클리 서바이벌에 다시 참가하는 방식이다. 1주차에는 KPI 게이밍이 1위를 차지하여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했다. 2주차에는 팀 리퀴드가 1위를 차지하여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하였다. 3주차에는 Gen.G가 1위를 차지하여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하였다.
바텀 식스틴(Bottom 16)은 위클리 파이널에 진출하지 못한 나머지 16개 팀이 순위 경쟁을 펼치는 경기다. 이 경기 결과에 따라 다음 주차 위클리 서바이벌 순서가 정해진다. 1주차에는 BBL e스포츠가 1위를 차지했고, 2주차에는 17 게이밍이 1위를 차지했다.

1~3주차 위클리 파이널 결과, KPI 게이밍, 팀 리퀴드, Gen.G가 그랜드 파이널에 직행했다.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팀들 중 위클리 파이널 누적 점수 상위 9개 팀인 버투스 프로, 기블리 e스포츠, 히로익, 나투스 빈체레, 뉴해피, 글로벌 e스포츠 엑셋, 스페이스스테이션 게이밍, 다나와 e스포츠, 엔스가 그랜드 파이널에 추가로 진출했다. 그랜드 파이널에 진출하지 못한 팀들 중 상위 16개 팀은 그랜드 서바이벌에 진출하고, 최하위 4개 팀 중 3개팀은 그랜드 서바이벌 17~19위로, 최하위 1개팀은 최종 탈락을 하게 되었다.

6. 3. 그랜드 서바이벌

wikitext

경기우승 팀킬 횟수INOUT
1 퓨리61경기1경기
2 TSM FTX141경기2경기
3 카이신 e스포츠91경기3경기
4 페트리코 로드181경기4경기


6. 4. 그랜드 파이널

펍지 글로벌 챔피언십 2021 그랜드 파이널은 16개 팀이 경쟁하여 최종 순위와 상금을 결정하는 대회였다. 1위를 차지한 뉴해피/纽哈皮중국어는 4번의 1위와 98킬로 총 159점을 획득하여 137만 8,264달러의 상금을 받으며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2위는 히로익/Heroic영어으로, 2번의 1위와 102킬로 총 155점을 획득하여 66만 6,209달러의 상금을 받았다. 3위는 버투스 프로/Virtus.proru가 차지했으며, 2번의 1위와 62킬, 총 105점으로 34만 4,591달러의 상금을 획득했다.

한국 팀 중에서는 다나와 e스포츠가 5위, Gen.G가 8위, 기블리 e스포츠가 13위를 기록했다. 다나와 e스포츠는 15만 3,917달러, Gen.G는 12만 1,891달러, 기블리 e스포츠는 7만 5,810달러의 상금을 획득했다.

대회 최우수 선수(MVP)는 뉴해피/纽哈皮중국어 소속의 MMing/천이난중국어 선수가 선정되었다. 최다 킬(Kill Leader)은 히로익/Heroic영어 소속의 PaG3/파보 보우틸라이넌fi 선수가 차지했다. 최고의 팀(Insane Squad)에는 팀 리퀴드/Team Liquid영어가 선정되었다. 최고의 선수 4인(All-PGC Team)에는 팀 리퀴드/Team Liquid영어의 jeemzz/짐 군나르 엘리아센no, 히로익/Heroic영어의 TeaBone/루크 크레이퍼영어, Gen.G의 Inonix/나희주한국어, 뉴해피/纽哈皮중국어의 MMing/천이난중국어이 선정되었다.

결과
#1위 횟수킬 횟수총 점수상금
1 뉴해피498159$ 137만 8,264
2 히로익2102155$ 66만 6,209
3 버투스 프로262105$ 34만 4,591
4 TSM FTX158101$ 27만 5,673
5 다나와 e스포츠05992$ 15만 3,917
6 페트리코 로드16290$ 13만 3,242
7 글로벌 e스포츠 엑셋15990$ 12만 1,755
8 팀 리퀴드06186$ 14만 269
9 엔스23680$ 10만 1,080
10 Gen.G15074$ 12만 1,891
11 나투스 빈체레15471$ 8만 4,999
12 KPI 게이밍04758$ 11만 405
13 기블리 e스포츠03454$ 7만 5,810
14 퓨리04153$ 7만 3,513
15 카이신 e스포츠13151$ 7만 1,215
16 스페이스스테이션 게이밍03245$ 6만 8,918


6. 5. 특별 시상

참조

[1] 기타 중화인민공화국 소속팀은 온라인으로 경기를 진행한다.
[2] 기타 '베로니카7'의 팀 소유권이 'GNL e스포츠'에 이전됨.
[3] 기타 '유니콘 피닉스 다낭'이 불참하면서 베트남 지역 PGC 포인트 차순위팀인 '게임홈 하동'이 시드권 승계함.
[4] 기타 '퀘스천 마크'의 팀 소유권이 '유니크'에 이전됨.
[5] 기타 PCS 5 유럽 우승 팀인 '버투스 프로'가 동유럽 지역에 소속으로 동유럽 지역 PGC 포인트 최상위팀 시드는 자동 소멸됨.
[6] 기타 '피움바'의 팀 소유권이 'KPI 게이밍'에 이전됨.
[7] 기타 PCS 5 아메리카 우승 팀인 '오스'가 북아메리카 지역에 소속으로 북아메리카 지역 PGC 포인트 최상위팀 시드는 자동 소멸됨.
[8] 기타 24~29위는 위클리 파이널 기록이 없어 바텀16 기록으로 총 점수 산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