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르시아라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르시아라임은 가시가 거의 없는 나무에서 열리는 감귤류 과일이다. 열매는 지름 약 6cm로, 녹색일 때 유통되며, 키 라임보다 크고 껍질이 두껍다. 베어스 라임, 페이지 라임, 페르시안 라임 SPB-7, 폰드 라임, 타히티 라임 등의 재배 품종이 있다. 접목이나 취목을 통해 번식하며, 멕시코, 브라질 등에서 대규모로 재배되어 미국, 유럽, 아시아 등으로 수출된다. 신선한 상태뿐만 아니라 말린 형태로도 사용되며, 특히 페르시아 요리에서 중요한 향신료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임 - 사이다
    사이다는 어원상 사과주에서 유래했으나, 국가별로 발포성 사과주, 비발효 사과 주스, 또는 설탕과 향료가 첨가된 무색 탄산 음료를 의미하며, 한국에서는 칠성사이다가 대표적인 탄산 음료로 꼽힌다.
  • 라임 - 키라임 파이
    키 라임 파이는 19세기 말 플로리다 키스에서 유래하여 키 라임, 연유, 달걀을 주재료로 사용하며 플로리다 주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2006년 플로리다 주의 공식 파이로 지정될 만큼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귤속 잡종 식물 - 영귤
    일본 도쿠시마현에서 주로 재배되는 영귤은 강한 신맛을 가진 작은 감귤류 과일로, 녹색일 때 수확하여 레몬이나 라임처럼 요리에 향을 더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유자와의 잡종으로 추정된다.
  • 귤속 잡종 식물 - 쓴귤
    쓴귤은 야생 만다린 오렌지와 자몽의 잡종으로, 아열대 지역에서 자라며 마멀레이드, 차, 리큐르, 향수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감귤류 식물이지만, 체중 감량 보조제로 사용 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다양한 품종이 있으며 감귤류 과수원의 대목으로도 활용된다.
  • 나무 - 커스터드애플
    커스터드애플은 중앙아메리카와 카리브 지역이 원산인 뽀뽀나무과에 속하는 작은 교목으로, 전 세계 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며, 단맛이 나는 열매는 생으로 먹거나 가공하여 섭취하고 씨앗, 잎, 나무껍질 등은 약재로도 사용되는 식물이다.
  • 나무 - 가로수길
    가로수길은 고대 이집트, 중국, 프랑스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유래되었으며, 주택이나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뻗어나가는 나무들의 배열로, 햇빛을 가리고 바람을 막아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이상 기후로 인한 피해와 교통사고의 위험도 존재하는 조경 요소이다.
페르시아라임
일반 정보
나무에 달린 라임
나무에 달린 라임
귤속
× latifolia
학명((Yu.Tanaka) Yu.Tanaka)
이명* Citrus aurantiifolia var. latifolia Yu.Tanaka
잡종키라임 × 레몬
품종 그룹페르시아라임(latifolia)
영어 이름Persian lime (퍼전 라임)
원산지불명

2. 특징

페르시아라임은 키 라임보다 크기가 크고 껍질이 두꺼우며, 감귤 향이 덜하다. 나무에는 가시가 거의 없다. 열매는 지름이 약 6cm이며, 끝이 약간 뾰족한 경우가 많고, 완전히 익으면 노랗게 변하지만 일반적으로 녹색일 때 판매된다. 키 라임보다 산도가 낮고 키 라임 특유의 풍미를 내는 쓴맛이 없다. 상업적 농업에서 페르시아라임은 키 라임에 비해 크기가 더 크고, 씨앗이 없고, 내한성이 강하며, 나무에 가시가 없고, 과일의 저장 수명이 더 길다는 장점이 있다.

2. 1. 재배 품종

다음은 페르시아라임의 대표적인 재배 품종이다.

  • 베어스 라임(Bearss lime): 1895년경 캘리포니아주 포터빌의 존 T. 베어스(John T. Bearss)가 자신의 묘목장에서 개발한 씨 없는 품종이다.[11]
  • 페이지 라임(Page lime)[12]
  • 페르시안 라임 SPB-7(Persian lime SPB-7)[13]
  • 폰드 라임(Pond's lime)[14]
  • 타히티 라임(Tahiti lime)[15]

3. 재배

페르시아 라임은 주로 접목이나 취목을 통해 번식한다.[8] 상업적으로는 110s, 150s, 175s, 200s, 230s, 250s의 6가지 크기로 판매된다.

3. 1. 주요 생산지 및 수출

페르시아 라임은 처음에는 페르시아(현재의 이란)와 남부 이라크에서 대규모로 재배되었다.[6][7]

주로 멕시코[9]에서 미국, 유럽 및 아시아 시장으로 많은 수의 페르시아 라임이 재배, 가공 및 수출된다. 2014년 기준, 브라질은 유럽으로의 신선한 라임 수출량의 약 70%를 차지했으며, 멕시코가 그 뒤를 이었다.[10]

4. 활용

페르시아라임은 신선한 상태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말린 형태로도 널리 사용된다. 특히 말린 라임은 페르시아 요리에서 중요한 향신료로 사용된다.

5. 사진

페르시아라임 단면

참조

[1] 간행물 Multilingual Multiscript Plant Name Database (M.M.P.N.D): Sorting Citrus Names http://www.plantname[...] The University of Melbourne
[2] 웹사이트 USDA GRIN Taxonomy https://npgsweb.ars-[...] 2016-06-30
[3] 간행물 Flora of China Online 2016-06-30
[4] 학술지 Phylogenetic origin of limes and lemons revealed by cytoplasmic and nuclear markers
[5] 간행물 The lime: botany, production and uses CAB International
[6] 뉴스 Small citruses yield tart juice, aromatic oils, big, fresh taste http://articles.balt[...] 1992-08-02
[7] 서적 Edible Medicinal and Non-Medicinal Plants: Volume 4, Fruit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06-11
[8] 간행물 Growing 'Tahiti' Limes in the Home Landscape http://edis.ifas.ufl[...] University of Florida, IFAS Extension
[9] 학술지 Greater Imports of Mangoes and Lime for Most of 2008's First Half, Early 2008/09 Grape Imports Also Up http://webarchives.c[...] Economic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8-07-30
[10] 웹사이트 CBI Product Factsheet: Fresh Limes in Europe https://www.cbi.eu/s[...]
[11] 웹사이트 Bearss lime http://www.citrusvar[...]
[12] 웹사이트 Page lime http://www.citrusvar[...]
[13] 웹사이트 Persian lime SPB-7 http://www.citrusvar[...]
[14] 웹사이트 Pond's lime http://www.citrusvar[...]
[15] 웹사이트 Tahiti lime http://www.citrusvar[...]
[16] 저널 https://academic.oup[...]
[17] 문서 Systematic pomology 14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