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피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피 1세는 고대 이집트 제6왕조의 파라오로, 테티의 아들로 태어나 기원전 2332년 동생 우세르카레를 폐위시키고 왕위에 올랐다. 그는 콰이 가문의 딸과 결혼하고 웨니를 등용하는 등 안정을 추구했으나, 하렘 첩의 음모에 직면하기도 했다. 페피 1세는 49년간 통치하며 누비아로의 군사 원정을 감행하고 다양한 건축 사업을 벌였으며, 멘네페르 페피라는 이름의 피라미드 단지를 건설했다. 그의 치세는 외교와 무역의 번영을 누렸으나, 말년에는 공동 통치와 관련된 논란이 있었으며, 기원전 2283년에 붕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3세기 이집트 - 페피 2세
페피 2세는 6세에 이집트 파라오로 즉위하여 약 94년간 통치하며 고왕국의 쇠퇴, 지방 세력 부상, 중앙 정부 통제력 약화 등의 특징을 보였고, 어린 시절 어머니와 재상의 보좌를 받았으며, 사카라에 피라미드 단지를 건설했다. - 기원전 23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6왕조
이집트 제6왕조는 고왕국의 마지막 왕조로, 왕권 약화와 지방 귀족 성장이 두드러진 가운데 피라미드 텍스트 등장, 활발한 무역과 원정 활동 등의 특징을 보였으나, 쇠퇴 원인과 마지막 왕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 기원전 23세기 파라오 - 페피 2세
페피 2세는 6세에 이집트 파라오로 즉위하여 약 94년간 통치하며 고왕국의 쇠퇴, 지방 세력 부상, 중앙 정부 통제력 약화 등의 특징을 보였고, 어린 시절 어머니와 재상의 보좌를 받았으며, 사카라에 피라미드 단지를 건설했다. - 기원전 23세기 파라오 - 메렌레
메렌레는 이집트 제6왕조의 네 번째 파라오로, 페피 1세의 뒤를 이어 기원전 23세기 초에 통치했으며, 그의 치세 동안 지방 행정 발전, 하부 누비아 지역 외교 정책적 중요성 부각, 세 차례의 이집트 원정군 파견, 사카라 남쪽에 위치한 피라미드 단지 건설 등의 활동을 했다. - 기원전 24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6왕조
이집트 제6왕조는 고왕국의 마지막 왕조로, 왕권 약화와 지방 귀족 성장이 두드러진 가운데 피라미드 텍스트 등장, 활발한 무역과 원정 활동 등의 특징을 보였으나, 쇠퇴 원인과 마지막 왕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 기원전 24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5왕조
이집트 제5왕조는 기원전 25세기부터 24세기에 걸쳐 약 150년간 이집트를 다스린 왕조로, 라 신 숭배 강화, 태양 신전 건설, 피라미드 텍스트 등장, 군사 활동 및 교역 등의 특징을 보인다.
| 페피 1세 | |
|---|---|
| 기본 정보 | |
![]() | |
| 즉위명 (선왕명) | 네페르 자 호르 (nfr zꜣ ḥr, 호루스의 보호는 완벽하다/호루스의 보호는 훌륭하다) |
| 즉위명 | 메리레 (mry rꜥ, 레의 사랑을 받는 자) |
| 탄생명 | 페피 (ppy) |
| 호루스명 | 메리 타위 (mry tꜣwj, 두 땅의 사랑을 받는 자) |
| 네브티명 | 메리 케트 네브티 (mry ẖt nbtj, 두 여신의 몸의 사랑을 받는 자) |
| 황금 호루스명 | 비쿠 네부 (bjkw nbw, 세 마리의 매는 금빛이다) |
| 통치 | |
| 통치 기간 | 40년 이상 (기원전 24세기 후반 또는 기원전 23세기 초) |
| 공동 통치 | 불확실, 통치 말기에 그의 아들 메렌레 넴티엠사프 1세와 함께 통치했을 가능성이 있음 |
| 가족 | |
| 아버지 | 테티 |
| 어머니 | 이푸트 1세 |
| 배우자 | 안케세네페피 1세 안케세네페피 2세 누브웨네트 이네네크-인티 메하 세브웨테트 |
| 배우자 (불확실) | 네제프테트 베헤누 |
| 자녀 | 메렌레 넴티엠사프 1세 (남) |
| 자녀 (추정) | 호르네트제르케트 (남) 테티앙크 (남) 메리테테스 4세 (여) 네이트 (여) 이푸트 2세 (여) |
| 자녀 (불확실) | 페피 2세 (남) |
| 정치 | |
| 왕조 | 제6왕조 |
| 이전 통치자 | 우세르카레 |
| 다음 통치자 | 메렌레 넴티엠사프 1세 |
| 음모 | "웨레트-얌테스"라는 칭호를 가진 한 배우자가 페피에 대한 음모에 책임이 있었음 (그녀의 칭호로만 알려짐) |
| 매장 | |
| 무덤 | 남쪽 사카라에 있는 페피 1세의 피라미드 |
| 건축물 | |
| 주요 건축물 | 페피 멘-네페르 피라미드 단지, 적어도 6개의 왕비 피라미드 및 수많은 카-채플 |
| 기타 | |
| 다른 이름 | 페피 피오스 피우스 |
2. 생애
테티의 아들로 태어난 페피 1세는 기원전 2332년, 동생이자 제2대 파라오인 우세르카라를 폐위시키고 왕위에 올랐다. 그는 콰이 가문의 딸과 결혼하고 웨니를 등용하는 등 테티의 정책을 이어받아 순조롭게 통치하였다. 즉위 과정과 통치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페피 1세는 49년간 평화롭게 통치한 뒤 기원전 2283년에 붕어했으며, 그의 피라미드는 '''멘네페르 페피'''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2. 1. 즉위 과정
테티의 아들로 태어났다. 기원전 2332년, 동생이자 제2대 파라오인 우세르카라를 폐위시키고 왕이 되었다. 우세르카라는 실질적인 반란을 일으킨것으로 보인다. 그는 테티의 정치 수법을 이어받아 유력 호족인 콰이 가문의 딸과 결혼했다. weni the Elder|웨니영어라는 인물을 등용하여 팔레스타인의 지배권을 얻는 등 순조롭게 정치를 펼쳐나갔다. 원래 웨니는 하급 관리였지만, 페피 1세의 왕비에 의한 음모가 발각되었을 때 이를 조사하는 재판관으로 임명되면서 고관이 되었다.2. 2. 통치
고대 이집트 왕국은 제5왕조 초부터 지방 분권화와 지역화가 진행되었다. 지방 가문들은 왕족과의 결혼, 국가 행정 최고위직 진출, 궁정 내 영향력 행사, 지역 권력 기반 통합을 통해 지역 왕조를 건설하며 점차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페피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이러한 과정은 왕권 약화와 행정 지배력 감소를 초래했고, 결국 제1중간기에 군주국이 등장하는 결과를 낳았다. 테티와 페피 1세는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몇 가지 정책을 시행했다. 이들은 재위 기간 동안 영토 행정 조직을 변경했는데, 특히 상 이집트에는 많은 지방 총독을 임명했고, 하 이집트는 왕실 직속 행정 하에 두었다.
페피 1세는 이집트 전역에 왕실 카 예배당을 건설하여 지방에서 왕실의 존재감을 강화했다. 이러한 정책은 페피 1세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가 번영했음을 보여준다. 역사적으로 왕실과 관련된 작은 지방 중심지가 중요해졌는데, 이는 제6왕조 파라오들이 지역 왕조의 권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파라오에게 충성하는 고위 관리를 채용했음을 시사한다. 이들 중 일부는 귀족 출신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이집트학자 후안 카를로스 모레노 가르시아에 따르면, 테티와 페피 1세 시대에는 고위 관료가 권력 핵심 직위에서 다른 직무로 빠르게 이동했는데, 이는 권력 집중을 막기 위한 의도적인 시도로 볼 수 있다.
제6왕조 왕실 연대기에는 페피 1세 통치 기간 동안 라의 축제를 위한 공물, "남쪽 예배당" 건설, 궁정에 사절단 도착 등의 활동이 기록되어 있다. 청금석, 소, 빵, 맥주 등의 공물과 신들, 호루스, 엔네아드에 대한 봉헌도 언급된다.
테티의 아들로 태어난 페피 1세는 기원전 2332년, 동생이자 제2대 파라오인 우세르카라를 폐위시키고 왕위에 올랐다. 그는 테티의 정책을 계승하여 유력 호족인 콰이 가문의 딸과 결혼했다. 웨니(weni the Elder)라는 인물을 등용하여 팔레스타인 지배권을 확보하는 등 순조롭게 정치를 펼쳤다. 웨니는 원래 하급 관리였지만, 페피 1세 왕비의 음모를 조사하는 재판관으로 임명되면서 고위 관리가 되었다. 페피 1세는 49년간의 평화로운 통치를 마치고 기원전 2283년에 사망했다. 그의 피라미드는 '''멘네페르 페피'''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2. 3. 통치 말기와 왕위 계승
고대 이집트 왕국은 제5왕조 초부터 시작된 장기적인 추세에 따라 점점 더 분권화되고 지역화되었다. 지방 가문들은 왕족과 결혼하고, 국가 행정의 최고위직에 진출하며, 궁정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동시에 지역 권력 기반을 통합하여 지역 왕조를 창설함으로써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했다.페피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진행된 이러한 과정은 왕의 우위와 자신의 행정에 대한 지배력을 점진적으로 약화시켰고, 결국 제1중간기에 군주국이 등장하는 결과를 낳았다. 테티와 페피 1세는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몇 가지 정책을 개발한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모두 재위 기간 동안 영토 행정 조직을 변경했다. 특히 상 이집트에서 많은 지방 총독이 임명되었고, 하 이집트는 아마도 직접적인 왕실 행정 하에 있었다.
또한, 페피는 이집트 전역에 왕실 카 예배당을 건설하여 지방에 왕실의 존재감을 강화했다. 이러한 비용이 많이 드는 정책은 페피의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가 번영했음을 시사한다. 역사적으로 왕실과 관련된 지역의 작은 지방 중심지가 더 중요해졌는데, 이는 제6왕조의 파라오가 그들에게 속하지 않고 파라오에게 충성하는 고위 관리를 채용함으로써 지역 왕조의 권력을 약화시키려 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새로운 관리들 중 일부는 알려진 배경이 없으며, 이는 그들이 귀족 출신이 아니었음을 나타낸다. 이집트학자 후안 카를로스 모레노 가르시아에 따르면, 테티와 페피 1세 시대에는 권력의 핵심 직위에서 다른 직무로 고위 관료가 "놀라운" 속도로 이동했는데, 이는 몇몇 관료의 손에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한 의도적인 시도로 볼 수 있다.
제6왕조 왕실 연대기는 아직 판독 가능한 부분이 얼마 되지 않지만, 페피의 통치 기간 동안의 추가적인 활동을 기록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라의 축제를 위한 우유와 어린 암소의 공물, 새해를 기념하여 "남쪽 예배당" 건설, 궁정에 사절단 도착 등이 포함된다. 청금석, 소, 빵, 맥주에 대한 추가적인 공물도 언급되어 있으며, 신들, 호루스, 엔네아드에게 바쳐졌다.
테티의 아들로 태어난 페피 1세는 기원전 2332년, 실질적인 반란을 일으킨 동생이자 제2대 파라오인 우세르카라를 폐위시키고 왕이 되었다. 그는 테티의 정치 수법을 이어받아 유력 호족인 콰이 가문의 딸과 결혼했다. 웨니라는 인물을 등용하여 팔레스타인의 지배권을 얻는 등 순조롭게 정치를 펼쳐나갔다. 원래 웨니는 하급 관리였지만, 페피 1세의 왕비에 의한 음모가 발각되었을 때 이를 조사하는 재판관으로 임명되면서 고관이 되었다. 이렇게 평화로운 49년간의 통치를 마치고 기원전 2283년에 붕어했다. 현재 그의 피라미드는 '''멘네페르 페피'''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3. 가족
페피 1세는 여러 부인을 두었다. 앙크네스페피 1세Ankhesenpepi I영어와의 사이에서 메렌레 1세를, 앙크네스페피 2세Ankhesenpepi II영어와의 사이에서 페피 2세를 낳았다.
3. 1. 부모
페피 1세는 파라오 테티와 이푸트의 아들이었다. 콥토스에서 발견된 칙령의 부조에는 이푸트가 페피의 어머니로 언급되어 있으며, 그녀의 장례 사원 비문에는 왕의 어머니이자 페피의 어머니라는 칭호가 기록되어 있다. 이푸트의 무덤은 처음에는 마스타바 형태였으나, 아들 페피 1세가 왕위에 오르면서 피라미드로 변경되었다. 이는 이집트 제6왕조 왕실 연대기에서도 확인된다.이푸트는 이집트 제5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인 우나스의 딸일 가능성도 있지만, 이는 불확실하며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이푸트는 페피 1세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테티가 페피 1세의 아버지라는 사실은 왕비의 무덤이 테티의 피라미드 옆에 위치하는 관례에 따라 뒷받침된다.
3. 2. 배우자
이집트 학자들은 페피 1세의 배우자 6명을 거의 확실하게 확인했다. 페피의 가장 잘 알려진 배우자는 안케센페피 1세와 안케센페피 2세였으며, 두 사람 모두 미래의 파라오를 낳았고, 아비도스의 노마르크 쿠이와 그의 아내 네베트의 딸이었다. 추가적인 배우자로는 누브웨네트, 페피의 재상이 된 이네네크-인티, 그리고 메하(하아헤루라고도 불림)가 있었다. 이들은 모두 페피의 피라미드에 인접한 곳에 묻혔다. 페피의 피라미드 주변 묘지에서 발견된 부조 파편에는 또 다른 배우자인 세브웨테트가 언급되어 있다.
페피 1세의 배우자로 부분적인 증거를 바탕으로 두 명이 더 제안되었다. 첫 번째는 페피의 피라미드에 인접한 묘지에서 발굴된 블록에 이름이 기록된 네제프테트이다. 네제프테트를 페피의 배우자로 식별하는 것은 그녀의 남편 이름을 명시적으로 언급하는 비문이 부족하여 불확실하다. 묘지에서 네제프테트의 블록 위치를 고려할 때, 그녀는 페피 서쪽에 있는 피라미드의 소유자일 수 있다. 두 번째는 베헤누라는 또 다른 배우자로, 페피 묘지의 두 번째로 큰 왕비 피라미드에 묻혔으며, 페피의 북쪽에 위치해 있다. 그녀는 그의 배우자 중 한 명이거나 페피 2세의 배우자일 수 있다.
"Weret-Yamtes" ("애정의 위대함"을 의미)라는 칭호로만 언급된 마지막 무명의 배우자는 페피를 섬기는 관료인 웨니의 자서전에 있는 비문에서 알려졌다. 웨니가 의도적으로 이름을 언급하지 않은 이 배우자는 페피에 반하는 음모를 꾸몄고, 음모가 발각되었을 때 기소되었다.
3. 3. 자녀
페피 1세는 여러 명의 부인을 두었고, 슬하에 최소 4명의 아들과 3명의 딸을 두었다.- 배우자: 메리테티스 4세
- 배우자: Ankhesenpepi I|앙케스엔페피 1세영어
- * 자녀: 메렌레 넴티엠사프 1세
- 배우자: Ankhesenpepi II|앙케스엔페피 2세영어
- * 자녀: 페피 2세 네페르카레
- 그 외 자녀: 테티-앙크, 호넷저케르트, 네이트, 이푸트 2세
4. 업적
고대 이집트 왕국은 제5왕조 초부터 지방 분권화와 지역화가 진행되었다. 지방 가문들은 왕족과 결혼하고, 국가 행정 최고위직에 진출하며, 궁정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동시에 지역 권력 기반을 통합하여 지역 왕조를 창설함으로써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했다.
페피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진행된 이러한 과정은 왕의 우위와 자신의 행정에 대한 지배력을 점진적으로 약화시켰고, 결국 제1중간기에 군주국이 등장하는 결과를 낳았다. 테티와 페피 1세는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영토 행정 조직을 변경하는 정책을 펼쳤다. 특히 상 이집트에는 많은 지방 총독이 임명되었고, 하 이집트는 왕실의 직접적인 행정 하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페피 1세는 이집트 전역에 왕실 카 예배당을 건설하여 지방에 왕실의 존재감을 강화했다. 고대 이집트인에게 카는 신체를 차지하여 그 사람을 살아있게 하는 생명력이었다. 사람이 죽으면 카는 단순히 신체를 떠나 계속 존재하며, 무덤과 관련된 카 예배당에서 행해지는 공물을 통해 유지되어야 했다. 이러한 비용이 많이 드는 정책은 페피 1세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가 번영했음을 시사한다. 역사적으로 왕실과 관련된 지역의 작은 지방 중심지가 더 중요해졌는데, 이는 제6왕조의 파라오가 파라오에게 충성하는 고위 관리를 채용함으로써 지역 왕조의 권력을 약화시키려 했음을 시사한다.
제6왕조 왕실 연대기는 아직 판독 가능한 부분이 얼마 되지 않지만, 페피 1세 통치 기간 동안 라의 축제를 위한 우유와 어린 암소 공물, 새해 기념 "남쪽 예배당" 건설, 궁정 사절단 도착 등의 활동을 기록하고 있다. 청금석, 소, 빵, 맥주 등의 공물도 언급되어 있으며, 신들, 호루스, 엔네아드에게 바쳐졌다.
4. 1. 정치
테티의 아들로 태어난 페피 1세는 기원전 2332년, 동생이자 제2대 파라오인 우세르카라를 폐위시키고 왕위에 올랐다. 그는 테티의 정책을 이어받아 유력 호족인 콰이 가문의 딸과 결혼했다. 웨니를 등용하여 팔레스타인 지배권을 확보하는 등 순조롭게 정치를 펼쳤다. 웨니는 원래 하급 관리였지만, 페피 1세의 왕비가 연루된 음모를 조사하는 재판관으로 임명되면서 고위 관리가 되었다. 페피 1세는 49년간의 평화로운 통치를 마치고 기원전 2283년에 붕어했다. 그의 피라미드는 '''멘네페르 페피'''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고대 이집트 왕국은 제5왕조 초부터 분권화와 지역화가 진행되었다. 지방 가문들은 왕족과의 결혼, 국가 행정 최고위직 진출, 궁정 내 영향력 행사, 지역 권력 기반 통합 및 지역 왕조 창설 등을 통해 점차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페피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왕의 우위와 행정 지배력을 약화시켰고, 결국 제1중간기에 군주국이 등장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테티와 페피 1세는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영토 행정 조직을 변경하는 정책을 펼쳤다. 특히 상 이집트에는 많은 지방 총독이 임명되었고, 하 이집트는 왕실의 직접적인 행정 하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페피 1세는 이집트 전역에 왕실 카 예배당을 건설하여 지방에서 왕실의 존재감을 강화했다. 이러한 정책은 페피 1세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의 번영을 시사한다.
제6왕조의 파라오는 자신에게 충성하는 고위 관리를 채용하여 지역 왕조의 권력을 약화시키려 했으며, 이로 인해 왕실과 관련된 지역의 작은 지방 중심지가 중요해졌다. 이들 중 일부는 귀족 출신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이집트학자 후안 카를로스 모레노 가르시아에 따르면, 테티와 페피 1세 시대에는 권력 핵심 직위에서 다른 직무로 고위 관료가 "놀라운" 속도로 이동했는데, 이는 몇몇 관료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한 의도적인 시도로 볼 수 있다.
제6왕조 왕실 연대기에는 페피 1세 통치 기간 동안 라의 축제를 위한 우유와 어린 암소 공물, 새해 기념 "남쪽 예배당" 건설, 궁정 사절단 도착 등의 활동이 기록되어 있다. 청금석, 소, 빵, 맥주 등의 공물도 언급되어 있으며, 신들, 호루스, 엔네아드에게 바쳐졌다.
페피 1세는 통치 기간 중 어느 시점에 "웨레트-얌테스"라는 칭호로만 알려진 하렘 첩이 꾸민 음모에 직면했다. 재판에서 판사로 활동한 웨니는 범죄의 정확한 성격을 보고하지 않았지만, 왕의 인격이 무결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 사건에 대응하여 페피 1세는 자신의 프레노멘(즉위명)을 네페르사호르에서 "라의 사랑을 받는 자"라는 의미의 메리레로 변경하고, 피라미드 내부 비문까지 수정했다. 이러한 변화는 라의 영향력 있는 사제단과의 합의를 반영했을 수 있다. 이 시기에 페피 1세는 아비도스 지방 총독 쿠이의 두 딸과 결혼했다. 이는 강력한 가문의 충성을 확보하여 중부 및 상 이집트에 대한 왕권 약화를 상쇄하는 데 기여했을 수 있다. 보드와 크리스토퍼 에어에 따르면, 이는 제6왕조 시대에 정부와 권력이 관료 제도보다는 가족 관계에 의해 결정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혼의 정치적 중요성은 약 1800년 후인 제26왕조까지 쿠이의 아내 네베트가 상 이집트 재상 칭호를 가졌다는 사실에서 더욱 강화된다. 이 칭호가 명예적인 것인지, 아니면 실제로 재상 임무를 수행했는지에 대해서는 이집트학자들 사이에 논쟁이 있다. 이후 쿠이와 네베트의 아들 자우 역시 재상이 되었다. 페피 1세의 결혼은 고대 왕국 사회 붕괴 동안 콥토스의 민 신전(쿠이의 권력 기반)이 왕실 후원의 초점이 되었던 제6왕조 후반과 제8왕조 동안 계속된 경향의 기원일 수 있다. 연이은 파라오들이 신전에 세금 면제를 부여하고, 왕들이 지역 통치 가문에 수여한 공식적인 명예를 기록한 콥토스 칙령이 이를 보여준다.
4. 2. 군사
Weni the Elder영어를 등용하여 팔레스타인의 지배권을 얻는 등 순조롭게 정치를 펼쳐나갔다. 웨니는 원래 하급 관리였지만, 페피 1세의 왕비에 의한 음모가 발각되었을 때 이를 조사하는 재판관으로 임명되면서 고관이 되었다.4. 3. 경제
고대 이집트 왕국은 제5왕조 초부터 지방 분권화와 지역화가 진행되었다. 지방 가문들은 왕족과 결혼하고, 국가 행정 최고위직에 진출하며, 궁정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동시에 지역 권력 기반을 통합하여 지역 왕조를 창설함으로써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했다.페피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진행된 이러한 과정은 왕의 우위와 자신의 행정에 대한 지배력을 점진적으로 약화시켰고, 결국 제1중간기에 군주국이 등장하는 결과를 낳았다. 테티와 페피 1세는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몇 가지 정책을 개발한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모두 재위 기간 동안 영토 행정 조직을 변경했다. 특히 상이집트에서 많은 지방 총독이 임명되었고, 하이집트는 아마도 직접적인 왕실 행정 하에 있었다.
또한, 페피는 이집트 전역에 왕실 카 예배당을 건설하여 지방에 왕실의 존재감을 강화했다. 이러한 비용이 많이 드는 정책은 페피의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가 번영했음을 시사한다. 역사적으로 왕실과 관련된 지역의 작은 지방 중심지가 더 중요해졌는데, 이는 제6왕조의 파라오가 그들에게 속하지 않고 파라오에게 충성하는 고위 관리를 채용함으로써 지역 왕조의 권력을 약화시키려 했음을 시사한다. 이 새로운 관리들 중 일부는 알려진 배경이 없으며, 이는 그들이 귀족 출신이 아니었음을 나타낸다. 이집트학자 후안 카를로스 모레노 가르시아에 따르면, 몇몇 관료의 손에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한 의도적인 시도로 보일 수 있는 테티와 페피 1세 시대에는 권력의 핵심 직위에서 다른 직무로 고위 관료가 "놀라운" 속도로 이동했다.
제6왕조 왕실 연대기는 아직 판독 가능한 부분이 얼마 되지 않지만, 페피의 통치 기간 동안 추가적인 활동을 기록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라의 축제를 위한 우유와 어린 암소 공물, 새해 기념 "남쪽 예배당" 건설, 궁정에 사절단 도착 등이 포함된다. 청금석, 소, 빵, 맥주에 대한 추가 공물도 언급되어 있으며, 신들, 호루스, 엔네아드에게 바쳐졌다.
4. 4. 건축
페피 1세는 이집트 전역에 왕실 카 예배당을 건설하여 지방에 왕실의 존재감을 강화했다. 이러한 비용이 많이 드는 정책은 페피의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가 번영했음을 시사한다.제6왕조 왕실 연대기는 아직 판독 가능한 부분이 얼마 되지 않지만, 페피의 통치 기간 동안의 추가적인 활동으로 라의 축제를 위한 우유와 어린 암소 공물, 새해 기념 "남쪽 예배당" 건설, 궁정 사절단 도착 등을 기록하고 있다. 청금석, 소, 빵, 맥주에 대한 추가적인 공물도 언급되어 있으며, 이는 신들, 호루스, 엔네아드에게 바쳐졌다.
5. 피라미드와 묘역
페피 1세의 치세는 제6왕조의 외교 정책이 절정에 달했던 시기로, 번성하는 무역, 여러 광산 및 채석 원정, 그리고 대규모 군사 작전이 특징이다. 그는 테티의 아들로 태어났다. 기원전 2332년, 실질적인 반란을 일으킨 동생이자 제2대 파라오인 우세르카라를 폐위시키고 자신이 왕이 되었다. 그는 테티의 정치 수법을 이어받아 유력 호족인 콰이 가문의 딸과 결혼했다. 웨니를 등용하여 팔레스타인의 지배권을 얻는 등 순조롭게 정치를 펼쳐나갔다. 원래 웨니는 하급 관리였지만, 페피 1세의 왕비에 의한 음모가 발각되었을 때 이를 조사하는 재판관으로 임명되면서 고관이 되었다. 이렇게 평화로운 49년간의 통치를 마치고 기원전 2283년에 붕어했다. 현재 그의 피라미드는 '''멘네페르 페피'''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