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릭스 제르진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펠릭스 제르진스키는 벨라루스 출신의 폴란드계 혁명가로, 러시아 제국 치하에서 활동하며 마르크스주의 운동에 참여했다. 그는 볼셰비키에 가담하여 10월 혁명에 기여했으며, 레닌의 신임을 받아 반혁명 세력을 탄압하기 위한 비밀경찰 조직인 체카를 창설하고 이끌었다. 체카는 적색 테러를 자행하며 수많은 정적을 처형하는 등 공포 통치를 펼쳤고, 제르진스키는 이후 내무인민위원회, GPU/OGPU 국장 등 소련 정부의 요직을 역임했다. 1926년 사망 이후 그의 이름은 소련과 공산주의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나, 냉전 종식 후 그의 동상이 철거되는 등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러시아에서는 소련 시대에 대한 재평가와 함께 제르진스키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도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계 소련인 -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콘스탄틴 로코솝스키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의 주요 지휘관 중 한 명으로, 소련 원수와 폴란드 원수를 역임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에 참전했고 대숙청 시기에 수감되었다가 복권되어 독소 전쟁의 주요 전투에서 공을 세운 후 폴란드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다. - 소련의 인민위원 및 각료 - 라자리 카가노비치
라자리 카가노비치는 소련의 스탈린주의 정치인으로, 볼셰비키 혁명에 참여하여 스탈린의 측근이 되었고, 모스크바 지하철 건설을 주도하며 '철의 라자리'로 불렸지만, 스탈린 체제의 어두운 면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는 비판을 받으며 말년에는 공산당에서 축출되었다. - 소련의 인민위원 및 각료 - 보리스 푸고
보리스 푸고는 소련의 정치인으로, 라트비아 공산당 제1서기, 소련 내무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1991년 쿠데타에 참여한 후 자살했다.
펠릭스 제르진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펠릭스 제르진스키 |
출생일 | 1877년 9월 11일 (구력 8월 30일) |
출생지 | 제르진스키노 영지, 민스크 현, 러시아 제국 |
사망일 | 1926년 7월 20일 |
사망지 | 모스크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
국적 | 폴란드 |
민족 | 폴란드인 |
배우자 | 조피아 지기즈문토브나 무스카트 (1910년 결혼) |
자녀 | 얀 펠릭소비치 제르진스키 |
![]() |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폴란드 왕국 및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1895년 - 1896년)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1896년 - 1900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1900년 - 1917년) 전연방 공산당 (볼셰비키) (1917년 이후) |
기타 소속 정당 | 폴란드 왕국 및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1900년–1917년)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1896–1900년) 폴란드 왕국 사회민주당 (1895–1896년) |
주요 직책 | |
체카 의장 | 재임 시작: 1917년 12월 20일 재임 종료: 1922년 2월 6일 전임: (신설) 후임: 본인 (GPU 의장으로서) 수상: 블라디미르 레닌 |
GPU 의장 | 재임 시작: 1922년 2월 6일 재임 종료: 1923년 11월 15일 전임: 본인 (체카 의장으로서) 후임: 본인 (OGPU 의장으로서) 수상: 블라디미르 레닌 |
OGPU 의장 | 재임 시작: 1923년 11월 15일 재임 종료: 1926년 7월 20일 전임: 본인 (GPU 의장으로서) 후임: 뱌체슬라프 멘진스키 수상: 블라디미르 레닌, 알렉세이 리코프 |
VSNKh 인민위원 | 재임 시작: 1924년 2월 2일 재임 종료: 1926년 7월 20일 전임: 알렉세이 리코프 후임: 발레리안 쿠이비셰프 수상: 알렉세이 리코프 |
정치국 후보 위원 | 재임 시작: 1924년 6월 2일 재임 종료: 1926년 7월 20일 소속: 제13차, 제14차 정치국 |
서기국 위원 | 재임 시작: 1917년 8월 6일 재임 종료: 1918년 3월 8일 소속: 제6차 중앙위원회 |
기타 정보 | |
묻힌 곳 | 크렘린 벽 묘지, 모스크바 |
별칭 | 철의 펠릭스 () |
2. 초기 이력
펠릭스 제르진스키는 현재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폴란드계 아버지 에드문트 루핀 지에르진스키(Edmund Rufin Dzierżyńskipl)의 아들로 태어났다. 당시 폴란드는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어 있었다. 리투아니아 빌뉴스에 있던 러시아 김나지움에 다녔는데, 훗날 폴란드 독립의 아버지이자 소련-폴란드 전쟁에서 폴란드를 이끈 유제프 피우수트스키도 이 학교에 다녔다. 훗날 이들은 소련-폴란드 전쟁에서 서로 적으로 만나게 되었다. 피우수트스키는 훗날 제르진스키를 "거짓말을 할 줄 몰랐던 친구"라고 회상했다.[13]
제르진스키 가문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슐라흐타(기사 계급)에 속하는 가문으로, 러시아 제국 정부로부터 삼손 문장 사용을 허가받았다.[5] 그의 여동생 완다는 12세 때 형제 중 한 명이 사냥용 소총으로 실수로 쏴서 사망했다. 사건 당시 펠릭스와 그의 형 스타니스와프 중 누가 사고 책임이 있는지에 대한 상반된 주장이 있었다.[11]
어린 시절 제르진스키는 폴란드어, 러시아어, 독일어, 라틴어를 구사했다. 학교 문서에 따르면, 제르진스키는 첫 해를 두 번 다녔으며 8학년을 마치지 못했다. 그는 "제르진스키 펠릭스(18세)는 가톨릭 신앙을 가지고 있으며, 만족스러운 주의력과 부지런함으로 신법—"우수"; 논리학, 라틴어, 대수학, 기하학, 수학적 지리학, 물리학, 역사(러시아), 프랑스어—"만족"; 러시아어 및 그리스어—"불만족" 과목에서 성공을 거두었다."라는 내용의 졸업장을 받았다.[14]
2. 1. 출생과 가문
펠릭스 제르진스키는 1877년 9월 11일 벨라루스 민스크 인근 제르지노보에서 폴란드계 귀족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6][7][8] 그의 가문은 러시아 제국에 병합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슐라흐타(기사 계급) 출신으로, 삼손 문장을 사용했다.[5]아버지 에드문트 루핀 제르진스키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를 졸업하고 빌뉴스에서 가정교사로 일했으며, 헤르손 김나지움과 체호프 김나지움에서 물리학, 수학 교사로 재직했다.[12] 어머니 헬레나 이그나티예브나는 야누셰프스키 교수의 딸로 폴란드 출신이었다. 1875년, 에드문트 제르진스키는 건강 악화로 은퇴하여 가족과 함께 이뱐네츠와 라카우 근처의 영지로 이사했다. 1882년, 펠릭스의 아버지는 결핵으로 사망했다.[12]
제르진스키는 어린 시절 폴란드어, 러시아어, 독일어, 라틴어를 구사했다. 1887년부터 1895년까지 빌뉴스 김나지움에 다녔으며, 훗날 소련-폴란드 전쟁에서 적으로 맞서게 될 유제프 피우수트스키가 상급생이었다.[13] 피우수트스키는 훗날 제르진스키를 "거짓말을 할 줄 몰랐던 친구"라고 회상했다.[13] 학교 문서에 따르면 제르진스키는 첫 해를 두 번 다녔고, 8학년을 마치지 못했다.[14]
2. 2. 학창 시절과 혁명 운동 가담

제르진스키는 빌뉴스의 러시아 김나지움에 다녔다. 이곳에는 훗날 폴란드 독립의 아버지이자 소련-폴란드 전쟁에서 폴란드를 이끈 유제프 피우수트스키도 다니고 있었다.[15] 훗날 동창이었던 이들은 소련-폴란드 전쟁에서 서로 적으로 상대하게 되었다. 피우수트스키는 훗날 당시의 제르진스키를 "거짓말 할 줄 몰랐던 친구"라고 회상했다.
1895년, 김나지움은 제르진스키를 "혁명 활동"과 학교에 사회주의 구호를 담은 표지판을 게시한 이유로 퇴학시켰다.[15] 그는 같은 해 마르크스주의 그룹인 노동자 연합에 가입했다. 1896년 4월 말, 그는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첫 번째 회의에 참석한 15명의 대표 중 한 명이었다.[15]
3. 폴란드 혁명가 시절
제르진스키는 1895년 평생을 혁명에 바치기로 결심하고 혁명 운동에 참여하기 위해 작위를 계승하지 않고 본가를 떠나 러시아 노동자 동맹에 참여했다. 1897년 20세에 노동 운동을 지도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시베리아 유형 처분을 받았다. 경찰은 용의자에 대한 자료에서 "이 청년은 신념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어떤 행위도 할 수 있다"라고 보고했다.[17] 1898년 유형지인 시베리아에서 탈출하여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창설에 참여하여 당 간부에 이름을 올렸다. 이듬해 12월에는 고향 폴란드의 사회민주당과 합류를 지도하여 폴란드 왕국·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SDKPiL)을 결성했다.
1900년 독일을 방문하여 로자 룩셈부르크와 만나 친목을 다지는 등 각국의 공산주의 운동 연대에 힘썼지만, 스위스인 약혼녀가 결핵에 걸려 잠시 정치 활동을 중단했다. 1904년 6월 4일 간호에도 불구하고 약혼녀가 사망했고, 제르진스키는 본가 누나에게 "귀족의 길을 버리고 선택한 길은 무의미했다"라는 편지를 보내는 등 정신적인 충격을 받았다.
1905년 7월 혁명 운동에 복귀하여 바르샤바 근교에서 당 대회를 소집했고, 직후 비밀 경찰에 체포되어 시베리아로 다시 유배되었다. 하지만 러시아 최초 혁명 발발에 따른 10월 선언으로 자유의 몸이 되어 혁명 운동에 합류했다. 곧 혁명 세력은 다시 쫓기는 신세가 되었고, 제르진스키도 각지를 도피했다. 그 와중에 동지였던 소피아 제르진스카야와 결혼하여 장남을 얻었다. 여러 번 체포될 뻔했지만 간신히 빠져나가며 당을 지도했다.
제르진스키는 폴란드계 세력 최대 지도자가 되었지만, 비밀 경찰의 추적은 더욱 집요해졌다. 1911년경 구속되어 황제 이름을 딴 폴란드 지방 정치 감옥에 수감되었다. 그 후 수년간 혹독한 강제 노동과 턱에 깊은 흉터를 남길 정도의 고문을 받았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군이 동유럽을 침공하자 죄수들은 러시아 국내로 이송되었다. 제르진스키에게는 최대 수난의 시기였지만, 1917년 2월 혁명으로 황제권이 무너지자 석방되었다. 상처를 치료한 후, 제르진스키는 즉시 러시아 혁명에 대해 행동을 취했다.
3. 1. 초기 혁명 활동과 투옥
제르진스키는 졸업 전 혁명 활동에 연루되어 학교에서 퇴학당했다. 이후 마르크스주의 혁명 단체인 리투아니아 사회혁명당에 가입했고, 폴란드-리투아니아 왕국 사회 민주주의 창립에 참여했다.[15] 혁명 활동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었는데, 당시 경찰 기록에 따르면 그는 '어떤 일도 저지를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인물'로 분류되었다.[17]1897년과 1900년 시베리아 유형을 떠났지만 탈출했고, 독일 베를린에서 로자 룩셈부르크 등을 만나 "외국인 위원회(Komitet Zagraniczny)"를 구성하여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혁명 활동에 깊숙이 개입하였다.
1904년 약혼녀 율리야 골드만이 결핵으로 사망하자 낙심하였으나, 1905년 러시아 혁명이 실패한 후 다시 체포되었다가 탈출했다. 이후 해체된 당을 재건하고 볼셰비키와 가까워졌다.
1910년 폴란드 크라쿠프에서 조피아 무슈카트와 결혼했으나, 무슈카트는 체포되어 감옥에서 출산 후 시베리아 종신 유형을 선고받았다. 제르진스키는 아이를 키우며 도피 생활을 했다.
제르진스키는 폴란드에 남아 "사회 민주당"을 이끌었으며, 그동안의 혁명 활동으로 음모나 계략에 능수능란하게 되어 차르의 비밀경찰인 오흐라나는 그를 체포할 수 없었다. 1912년 말이 되어서야 경찰은 그를 체포할 수 있었다.[20]
3. 2. 해외 활동과 로자 룩셈부르크와의 만남
제르진스키는 1897년과 1900년에 시베리아 유형을 떠났지만, 탈출하여 독일 베를린에서 로자 룩셈부르크 등과 함께 "외국인 위원회(Komitet Zagraniczny)"를 구성하였다. 그는 이 위원회의 대표로서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혁명 활동에 깊숙이 개입하였다.3. 3. 결혼과 가족
1910년 폴란드 크라쿠프에서 당원인 조피아 무슈카트와 결혼했다.[4] 무슈카트는 체포되어 감옥에서 아들을 출산했다.[4] 그녀는 시베리아 종신 유형을 선고받았고, 아들은 아버지인 제르진스키가 맡아 키웠다.[4]4. 볼셰비키 가담과 러시아 혁명
제르진스키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러시아 여러 곳에서 감옥 생활을 하며 간수들에게 지속적인 구타를 당해 턱과 입 모양이 이상해지고, 다리에 찬 족쇄 때문에 경련이 일어나 병원 신세를 지기도 했다. 회복 후에는 군복을 만드는 노역에 종사했다.[21]
2월 혁명 이후 석방된 제르진스키는 폴란드 혁명 동지들을 모아 폴란드로 돌아가 혁명 운동을 벌이려 했으나, 러시아 혁명에서 블라디미르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의 승리를 보면서 러시아에 남아 혁명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러시아 사회 민주 노동당에 입당하여 레닌에게 실력을 인정받아 12명의 볼셰비키파 중앙위원 중 한 명으로 선출되었다. 제르진스키는 같은 중앙위원인 니콜라이 부하린으로부터 "혁명의 검"(the Sword of Revolution)이라는 칭찬을 받았다.[22]
7월까지 제르진스키는 볼셰비키의 지도자급으로 부상하였다.
4. 1. 볼셰비키 가담과 레닌의 4월 테제 지지
2월 혁명으로 석방된 후, 제르진스키는 러시아에서 사회주의 혁명을 위해 투쟁하는 볼셰비키에 가담하여 러시아 혁명에 개입하게 되었다. 그는 레닌의 4월 테제를 지지하였다. 4월 테제는 임시정부에 대한 반대, 소비에트로의 권력이동, 전쟁의 무조건 중지를 요구하고 있었다.[22] 그는 모스크바에 머물면서 볼셰비키당에 가입하여 동지들에게 "볼셰비키당 조직은 프롤레타리아의 유일한 사회민주주의 조직이며, 만약 우리가 그 외부에 머문다면, 우리는 프롤레타리아 혁명 투쟁 밖에 있게 될 것입니다."라고 썼다. 4월까지 그는 볼셰비키의 모스크바 위원회에 들어갔고, 곧 모스크바 소비에트의 집행위원회에 선출되었다.[22]4. 2. 10월 혁명에서의 역할
10월 혁명 당시, 제르진스키는 페트로그라드에 머물면서 봉기의 성공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볼셰비키의 본부가 있던 스몰니 학원 경비를 책임졌다.[23] 블라디미르 레닌은 제르진스키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그에게 반혁명 세력을 제압할 기구 설립을 지시했다.
제르진스키는 당 운영에 관여하게 되면서 모스크바에서 페트로그라드로 옮겨 1917년 10월 10일 당 중앙위원회에 참석했다. 그는 군사 혁명 위원회를 조직하여 무장 봉기를 일으켜 임시 정부를 무력으로 타도하는(폭력 혁명) 레닌의 안에 찬성표를 던진 위원 중 한 명이었다. 레닌은 제르진스키를 군사 혁명 위원에 지명하여 지배 지역의 치안 유지를 일임했다. 10월 혁명에서 제르진스키는 보안 부대를 이끌고 혁명군 참모 본부가 위치한 스몰니 수도원을 경호하는 역할을 맡았다.[23]
5. 체카 창설과 반혁명 세력 탄압
10월 혁명 이후, 국내에서 반대파의 파업과 시위가 활발해졌고, 열강들이 이러한 움직임을 지원하는 형태로 군사 개입(러시아 내전)을 시작했다. 이러한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블라디미르 레닌은 반정부 운동을 감시·적발하는 치안 부대의 필요성을 느꼈다. 레닌은 혁명에 헌신해 온 제르진스키를 신뢰하여 그에게 반혁명 세력에 대한 단호한 대처를 명령했다.
제르진스키가 이끄는 체카 부대는 반정부 그룹을 체포하고 처형했다. 거리에서는 체카에 의해 반혁명으로 간주된 사람들이 가로등에 매달렸고, 각지의 수용소에서 수만 명의 정치범이 노동에 종사했다. 체카는 성직자와 자본가·자유주의자에 대해서는 설령 정부에 따르더라도 발견 즉시 사살했다. 제르진스키는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무장된 팔"로 체카를 지도하여 국내 반대파 적발에 큰 공을 세웠으며, 혁명 직후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내전 종결 후, 체카는 "내무인민위원회 부속 국가 정치국(GPU)"으로 개편되었다. 제르진스키는 GPU의 초대 국장에 취임하여 감시와 숙청을 계속하도록 지시하며, 민중에게 두려움을 주는 존재로 남았다.
5. 1. 체카 창설과 권한 강화
레닌은 제르진스키의 역량을 높이 평가하여 그에게 반혁명세력을 제압할 기구 설립을 지시하였다. 1917년 12월 20일, "반혁명 사보타지 분쇄를 위한 전러시아 위원회"(약칭 ЧК, Cheka, 체카)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24][25] 제르진스키는 체카의 총수가 되었고, 야코프 페테르스, 요시프 운슐리프트, 아브람 베렌키, 뱌체슬라프 멘진스키 등과 함께 반체제파 적발을 시작했다. 러시아 내전이 확대됨에 따라 제르진스키는 체카의 조직을 확대하고 내부 치안군을 조직하여 반혁명세력과 싸웠다.
왼쪽부터 야코프 페테르스, 요시프 운슐리프트, 아브람 베렌키, '''펠릭스 제르진스키''', 뱌체슬라프 멘진스키
체카는 적색 테러 기간 동안 대규모 약식 처형을 자행했다.[26] 수만 명의 정치적 반대자와 사보타주 분자들이 재판 없이 총살당했다.[27][28] 제르진스키는 "우리는 조직적인 테러를 대표한다—이것은 매우 분명하게 말해야 한다"라고 말했고, "적색 테러는 반혁명주의자의 '근절'을 목적으로 행해진다"고 철저한 숙청을 엄명했다.
간섭 전쟁이 격화되면서 체카의 권한은 강화되었고, 최종적으로는 영장 없이 수색하고 약식 재판에서 처형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5. 2. 적색테러 자행
체카는 러시아 전역에서 반혁명 세력뿐만 아니라 단순히 반혁명에 가담할 수 있다는 의심자(주로 학자, 자본가, 사제 등)에 대해 재판 없이 수만 명을 처형하는 적색테러를 자행하였다.[24][25][26] 체카의 우두머리였던 제르진스키는 하룻밤에 1,500명의 인원을 총살하기도 했는데, 비명과 총소리를 묻어버리기 위해 자동차 시동을 걸어놓고 총살을 시행했다. 제르진스키는 "적색테러는 계급에 근거해 혁명의 적을 박멸하는 것이다"라고 이를 합리화하였다.[27][28] 그는 체카 구성원들에게 "우리는 조직화된 공포가 되어야 한다"고 훈시한 후, "적색 테러는 반혁명주의자의 '근절'을 목적으로 행해진다"고 철저한 숙청을 엄명했다.6. 소련 정부 요직 역임
10월 혁명 이후, 반대파의 파업과 시위, 열강의 군사 개입(러시아 내전)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레닌은 치안 부대의 필요성을 느꼈다. 레닌은 혁명에 헌신해 온 제르진스키를 신뢰하여, 1917년 12월 20일 "반혁명 및 사보타주 단속 전 러시아 비상 위원회(체카)"를 창설하고 제르진스키에게 반혁명 세력에 대한 단호한 대처를 명령했다.[32] 제르진스키는 체카를 이끌며 적색 테러를 주도하여 국내 반대파 적발에 큰 공을 세웠다.
내전 종결 후, 체카는 "내무 인민 위원부 부속 국가 정치국(GPU)"으로 개편되었고, 제르진스키는 초대 국장에 취임하여 치안 유지 활동을 계속했다. 1921년에는 교통 인민 위원, 1924년에는 최고 국민 경제 회의 의장 등을 역임했다.
레닌 사후, 소련 선전은 레닌과 제르진스키의 정치적 일치를 강조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제르진스키는 종종 레닌의 정책을 비판했으며, 민족 자결 문제를 두고 격렬한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레닌은 제르진스키를 "대 러시아주의 침략자"라고 비판하기도 했다.[32] 이러한 사상적 대립에도 불구하고 레닌은 제르진스키의 실무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중용했으며, 제르진스키는 막강한 권한을 가졌지만 레닌의 후계자 경쟁에는 가담하지 않았다.
제르진스키는 민족 자결에 대해 "사회주의는 소국의 분리주의 경향을 조장해서는 안 된다"는 신념을 가졌으며, 이는 코스모폴리타니즘적이며 페더럴리즘적인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다민족 국가 이념과 일치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평등주의는 소련에서 혁명 전제 정체와 함께 나타났다. 훗날 제르진스키의 민족 정책은 이오시프 스탈린의 중앙 집권주의 정책을 뒷받침하고 비러시아 민족 억압을 정당화하는 결과를 낳았다는 비판을 받았다.[32]
6. 1. 내무인민위원회, GPU/OGPU 수장
10월 혁명 이후, 국내에서 반대파의 파업과 시위가 활발해졌고, 열강들이 이러한 움직임을 지원하는 형태로 군사 개입을 시작했다. (러시아 내전) 이러한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레닌은 반정부 운동을 감시·적발하는 치안 부대의 필요성을 느꼈다. 레닌은 혁명에 헌신한 제르진스키를 신뢰하여, 1917년 12월 20일 "반혁명 및 사보타주 단속 전 러시아 비상 위원회(체카)"를 창설하도록 했다. 제르진스키는 야코프 페테르스, 요시프 운슐리프트, 아브람 베렌키, 뱌체슬라프 멘진스키 등과 함께 반체제파 적발을 시작했다.내전이 끝나고, 체카는 "내무 인민 위원부 부속 국가 정치국(GPU)"으로 개편되어 상설 기관이 되었다. 제르진스키는 GPU의 초대 국장에 취임하여, 구성원들에게 감시와 숙청을 계속하도록 지시하며, 민중에게 두려움을 받는 존재로 남았다.
6. 2. 레닌과의 관계
제르진스키는 1917년에야 볼셰비키에 가담했기 때문에, 소련 역사서에서 묘사하는 것처럼 레닌의 오랜 동료는 아니었다. 실제로 혁명 전에도 운동 방향을 두고 레닌과 많은 견해차를 보였고, 혁명 후에도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노동조합 정책, 소련 국적 정책 등에서 종종 레닌과 의견 차이를 보였다.[32]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르진스키가 레닌의 신임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10월 혁명을 수호해야 한다는 공감대와 그의 뛰어난 조직 능력 덕분이었다.10월 혁명 이후, 반대파의 파업과 시위, 열강의 군사 개입(러시아 내전)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레닌은 치안 부대의 필요성을 느꼈다. 레닌은 혁명에 헌신해 온 제르진스키를 "혁명의 사도"로 신뢰하여, 1917년 12월 20일 "반혁명 및 사보타주 단속 전 러시아 비상 위원회(체카)"를 창설하고 제르진스키에게 반혁명 세력에 대한 단호한 대처를 명령했다.[32] 제르진스키는 체카를 이끌며 반정부 세력을 체포하고 처형하는 등 적색 테러를 주도하여 국내 반대파 적발에 큰 공을 세웠다.
내전 종결 후, 체카는 "내무 인민 위원부 부속 국가 정치국(GPU)"으로 개편되었고, 제르진스키는 초대 국장에 취임하여 치안 유지 활동을 계속했다. 이러한 활약으로 레닌의 측근으로 여겨지게 된 그는 첩보·경찰 활동과 함께 정부 요직도 겸임했다. 1921년에는 교통 인민 위원, 1924년에는 최고 국민 경제 회의 의장 등을 역임했다.
레닌 사후, 소련 선전은 레닌과 제르진스키의 정치적 일치를 강조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제르진스키는 종종 레닌의 정책을 비판했으며, 민족 자결 문제를 두고 격렬한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레닌은 제르진스키를 "대 러시아주의 침략자"라고 비판하기도 했다.[32] 이러한 사상적 대립에도 불구하고 레닌은 제르진스키의 실무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중용했으며, 제르진스키는 막강한 권한을 가졌지만 레닌의 후계자 경쟁에는 가담하지 않았다.
제르진스키는 민족 자결에 대해 "사회주의는 소국의 분리주의 경향을 조장해서는 안 된다"는 신념을 가졌으며, 이는 코스모폴리타니즘적이며 페더럴리즘적인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다민족 국가 이념과 일치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평등주의는 소련에서 혁명 전제 정체와 함께 나타났다. 훗날 제르진스키의 민족 정책은 이오시프 스탈린의 중앙 집권주의 정책을 뒷받침하고 비러시아 민족 억압을 정당화하는 결과를 낳았다는 비판을 받았다.[32]
7. 죽음과 유산
1926년 7월 20일, 트로츠키, 지노비예프, 카메네프를 비난하는 2시간 동안의 연설을 마친 직후 제르진스키는 심장 마비로 사망하였다.[34] 스탈린은 추도사에서 그를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수호기사"였다고 칭송했다.[35]
그의 이름을 따서 소련 내 폴란드인 자치주가 "제르진스치나"로 명명되었다. 체카의 후속 기관들 역시 그의 이름과 이미지를 사용하였다. 국가보안위원회(KGB) 경비 부대 이름은 '제르진스키 부대'였으며, 슈타지도 이 이름을 사용하였다. 폴란드인들은 러시아를 위해 일한 그를 매우 싫어했기에, 폴란드 공산정권 시절 그의 이름을 딴 광장과 동상이 세워졌으나, 공산정권 몰락 이후 대부분 철거되었다. 1958년 모스크바에 세워졌던 그의 동상도 공산주의 몰락 이후 철거되었다.
7. 1. 갑작스러운 죽음
1926년 7월 20일, 제르진스키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중앙위원회에서 트로츠키, 지노비예프, 카메네프가 주도하는 연합 반대파를 비난하는 2시간 동안의 연설을 마친 직후, 심장 마비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34] 스탈린은 제르진스키의 사망 소식을 듣고 그를 "프롤레타리아의 독실한 기사"라고 칭송했다.[35]7. 2. 사후 평가와 유산
이오시프 스탈린은 추도사에서 "제르진스키는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수호기사"였다고 칭송했다.[35] 제르진스키는 크렘린 벽 묘지에 묻혔다. 오늘날 그의 묘는 레닌 묘와 크렘린 벽 사이에 위치한 12개의 개인 묘 중 하나이다.그의 이름을 따서 소련 내 폴란드인 자치주가 "제르진스치나"라고 이름 붙여졌다. 그의 이름과 이미지는 그가 수장을 맡았던 체카를 비롯, 체카의 후속 기관들도 사용하였다. 국가보안위원회(KGB) 시절 국가보안위원회를 경비하는 부대 이름은 '제르진스키 부대'였으며, 이 이름은 동독의 슈타지 역시 사용하였다.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민스크 인근, 당시 소련-폴란드 국경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제르진시나는 1932년 3월 15일에 수도를 드제르진스크로 하여 세워졌다. 제르진스키의 영지 자체는 1921년부터 소련의 폴란드 침공이 있었던 1939년까지 폴란드 내에 남아 있었다. 이 지구는 대숙청이 시작된 1935년에 해산되었고, 대부분의 행정부가 처형되었다. 드제르진스카야 하라(벨라루스에서 가장 높은 지점)는 드제르진스크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1958년에 제르진스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러시아에는 제르진스크라는 도시, 제르진스크라는 마을, 제르진스키라는 이름을 가진 3개의 다른 도시가 있으며, 다른 옛 소련 공화국에는 아르메니아에 그를 기리는 도시가 있었고, 앞서 언급한 벨라루스의 드제르진스크가 있었다. 탈공산화 법을 준수하기 위해[36], 우크라이나 도시 제르진스크와 드니프로드제르진스크는 2016년 2월과 5월에 역사적 이름인 토레츠크와 카미안스케로 돌아갔다.[37] 지토미르주의 우크라이나 마을 또한 2005년까지 제르진스크로 불리다가 로마니우로 개명되었다. 스탈린그라드의 제르진스키 트랙터 공장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격전지가 되었다. 1934년부터 1996년까지 생산된 FED 카메라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38], FD급 증기 기관차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폴란드인이었지만, 폴란드인들은 러시아를 위해 일한 그를 매우 싫어했다. 그래서 폴란드 공산정권 당시 그의 이름을 딴 광장과 동상이 폴란드의 여러 곳에 세워졌으나, 공산정권의 몰락 이후 대부분 철거되었다. 1958년 모스크바에 세워졌던 그의 동상도 공산주의 몰락 이후 철거되었다. 공산주의 시대 (1945–1989) 동안 폴란드에서 제르진스키는 사회주의 영웅으로 칭송받았다. 1951년, 즈비그니에프 두나예프스키가 설계한 대규모 제르진스키 동상이 바르샤바 은행 광장 북쪽에 세워졌다.[39] 그 광장은 1989년까지 제르진스키의 이름 ()을 사용했다. 그 동상은 1989년 11월 16일에 쓰러졌으며, 이는 폴란드 공산주의 종식을 기념하기 위해 그 해에 제거된 많은 소련 시대 상징 중 하나였다. 그 광장은 이후 Plac Bankowy (은행 광장)로 이름이 바뀌었다.[39]
참조
[1]
서적
Operation Whisper: The Capture of Soviet Spies Morris and Lona Cohe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1]
서적
Secret Societies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2019-05-27
[1]
서적
Lenin's Terror: The Ideological Origins of Early Soviet State Violence
https://www.routledg[...]
Routledge
[2]
서적
«Красный террор» в России 1918—1923.
http://lib.ru/POLITO[...]
Берлин
[3]
서적
Spy Chiefs
https://books.google[...]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18
[4]
서적
Victims of the Bolsheviks: 1917-1953
https://books.google[...]
GRIN Verlag
2011
[5]
서적
Russia in the Twentieth Century
William Morrow and Co.
[6]
서적
Russian Revolution of 1917: the essential reference guide
ABC-Clio
[7]
간행물
Reconciling Nation and Class in Imperial Borderlands: the Making of Bolshevik Internationalists Karl Radek and Feliks Dzierżyński in East Central Europe 1
https://onlinelibrar[...]
[8]
웹사이트
Фамилия: Гулухов
http://uni-persona.s[...]
[9]
뉴스
The Chekist No.1. The life of terror parent (Чекист № 1. Житие отца террора)
http://www.belgazeta[...]
2020-07-21
[10]
문서
Грамота на права, вольности и преимущества благородного российского дворянства, 21 апреля 1785
[11]
웹사이트
Феликс не всегда был железным... (Feliks not always was iron...)
http://jig.ru/golden[...]
2009-09-18
[12]
서적
https://books.google[...]
Olma Media Group
[13]
문서
Blobaum 1984, p. 30
[14]
뉴스
http://www.mk.ru/edi[...]
1998-09-05
[15]
문서
Blobaum 1984, p. 37
[16]
문서
Blobaum 1984, p. 42
[17]
문서
Blobaum 1984, p. 46
[18]
웹사이트
Rosa Luxemburg: The Polish Question and the Socialist Movement (1905)
https://www.marxists[...]
2023-02-12
[18]
웹사이트
Rosa Luxemburg: The National Question (Chap.1)
https://www.marxists[...]
2023-02-12
[19]
문서
Blobaum 1984, pp. 199–200
[20]
문서
Blobaum 1984, pp. 212–213
[21]
문서
Blobaum 1984, pp. 213–217
[2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ed.ac.uk/[...]
2013-10-29
[23]
문서
Blobaum 1984, pp. 213–222
[24]
서적
Lenin, Stalin and Hitler: The Age of Social Catastrophe.
Knopf
[25]
서적
The Cheka: Lenin’s Political Police.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A People's Tragedy: The Russian Revolution 1891–1924.
Penguin Books
[27]
서적
Secret Empire: The KGB in Russia Today.
Westview Press
[28]
서적
The Cheka: Lenin’s Political Police.
Oxford University Press
[29]
문서
Blobaum 1984, p. 231
[30]
뉴스
Love and hate for 'Iron Felix': Why do Russians still debate the Soviet security services' founder?
https://www.rbth.com[...]
2019-07-20
[31]
서적
A Dictionary of 20th Century Commun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
웹사이트
Leon Trotsky: The History of the Russian Revolution (1.16 Rearming the Party)
http://www.marxists.[...]
Marxists.org
2007-02-21
[33]
문서
Blobaum 1984. pp. 230–231
[34]
서적
The Prophet Unarmed: Trotsky 1921–1929.
Oxfo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Stalin: The Court of the Red Tsar
Weidenfeld & Nicolson
[36]
뉴스
Goodbye, Lenin: Ukraine moves to ban communist symbols
https://www.bbc.com/[...]
BBC News
2015-04-14
[37]
웹사이트
Decommunisation continues: Rada renames several towns and villages
http://www.unian.inf[...]
UNIAN
2016-02-04
[38]
논문
The Dzerzhinsky Commune: Birth of the Soviet 35mm Camera Industry
http://www.fedka.com[...]
1979-04
[39]
웹사이트
Utracony nos czekisty
https://www.zw.com.p[...]
2009-11-26
[40]
웹사이트
Дзержинскому еще раз отказали в месте на Лубянке
http://www.bbc.co.uk[...]
BBC
2014-01-22
[41]
웹사이트
Опрос: 45% россиян хотят вернуть памятник Дзержинскому
http://www.bbc.co.uk[...]
BBC
2014-01-22
[42]
웹사이트
Центральный дом художника (ЦДХ)
https://www.cha.ru/
2018-11-24
[43]
뉴스
Russia Plans To Restore Toppled 'Iron Felix' Statue
http://www.ipotnews.[...]
Ipotnews
2012-04-16
[44]
웹사이트
Прокуратура признала незаконным снос памятника Дзержинскому на Лубянке
https://www.forbes.r[...]
2021-04-26
[45]
웹사이트
Statue of founder of Soviet secret police unveiled in Moscow
https://www.theguard[...]
2023-09-11
[46]
뉴스
Belarus: monument to founder of Soviet secret police unveiled in Minsk
http://english.pravd[...]
2006-05-26
[47]
뉴스
In Ryazan, a monument to Dzerzhinsky was opened
https://www.anews.co[...]
2017-09-11
[48]
서적
Intermarium: The Land between the Black and Baltic Seas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012-11-06
[49]
웹사이트
Krasnyj pomieszczik
http://www.magwil.lt[...]
magwil.lt
2020-06-22
[50]
서적
Lenin, Stalin and Hitler: The Age of Social Catastrophe.
Knopf
2007
[51]
서적
The Cheka: Lenin’s Political Police.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52]
뉴스
Activists protest Dzerzhinsky statue plan
http://www.russiajou[...]
2012-07-24
[53]
웹사이트
Genealogy of Edmund Dzierżyński
http://aordycz.com/a[...]
[54]
서적
Дзержинский. Первый чекист России
https://books.google[...]
Olma Media Group
[55]
웹사이트
Две стороны жизни Дзержинского - аверс (Two sides of Dzerzhinsky life - averse)
http://www.proza.ru/[...]
2013-12-11
[56]
문서
Blobaum 1984, p. 30.
[57]
웹사이트
Две стороны жизни Дзержинского - аверс (Two sides of Dzerzhinsky life - averse)
http://www.proza.ru/[...]
2013-12-11
[58]
웹사이트
【解説】引き倒された歴史的・政治的人物の像
https://www.afpbb.co[...]
AFP
2020-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