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펨비나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펨비나군은 미국 노스다코타주 북동부에 위치한 군으로, 캐나다 매니토바주, 미네소타주와 경계를 접한다. 1867년 다코타 준주 의회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펨비나라는 이름은 오지브웨족 언어로 '찌르다' 또는 '찌르는 것'을 의미한다. 초기에는 아시니보인족, 라코타족 등 원주민들이 거주했으며, 1870년대 후반에는 아이슬란드인들이 정착하여 '아이슬란드 타운십'을 형성했다. 현재는 농업 지대이며, 주간 고속도로 29번, 미국 국도 81번 등이 지나간다. 인구는 1900년 17,869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하여 2020년 기준 6,844명이다. 정치적으로는 공화당 지지 성향이 강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스다코타주의 군 - 사전트군
    사전트 군은 노스다코타 주 남동부에 위치하며, 1883년에 설립되었고 철도 임원 H. E. 사전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1920년에 인구가 최고치를 기록하고, 국립 사적지로 지정된 법원이 있으며, 2020년 인구는 3,862명이다.
  • 노스다코타주의 군 - 수군 (노스다코타주)
    수군은 1914년 설치되었으며, 노스다코타주 남부에 위치하고 스탠딩 록 인디언 보호구역 내에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포트예이츠이고, 지역에 거주했던 라코타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노스다코타 주도 제6번, 24번, 31번, 49번, 1806번 고속도로가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펨비나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펨비나 군 청사 (1920년 이전)
펨비나 군 청사 (1920년 이전)
명칭 유래치페와족 용어
설립1867년 1월 9일 (설치), 1867년 8월 12일 (조직)
군청 소재지캐벌리어
최대 도시캐벌리어
면적1,121 제곱마일 (2,903 제곱킬로미터)
육지 면적1,119 제곱마일 (2,898 제곱킬로미터)
물 면적2.7 제곱마일 (7 제곱킬로미터)
면적 비율0.2%
인구 (2020년)6,844명
추정 인구 (2022년)6,763명 (감소)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시간대중부 표준시
웹사이트펨비나 군 공식 웹사이트
정치
선거구At-large

2. 역사

초기 개척자 중 한 명이었던 프런티어 의사 찰스 보어먼 해리스(Charles Boarman Harris) 박사는 최초의 군 의사였으며, 1882년부터 1942년까지 이 지역에서 태어난 3,000명이 넘는 아기들의 출산을 담당했습니다.


펨비나군 지역은 수천 년 동안 다양한 원주민들이 거주했던 곳이다. 16세기 유럽인과 접촉 당시, 주요 부족은 아시니보인족과 라코타족(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은 수족이라고 불렀습니다)이었다.[4] 오지브웨족(Ojibwe)(또는 칩피와족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아니시나베(Anishinaabe)어족의 한 갈래입니다)은 그레이트 레이크스 양쪽을 따라 서쪽으로 점차 이동했습니다. 그들은 프랑스 사냥꾼과 식민지 개척자들과 오랜 무역 관계를 발전시켰습니다. 레드 강 지역 전역에서 프랑스 사냥꾼들은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들과 결혼했고, 그들의 자손들은 계속해서 사냥과 함정을 설치했습니다. 캐나다에서 '''제1국민''' 집단으로 인정받는 다인종 인구가 증가했는데, 이들은 '''메티스(Métis)'''라고 불립니다. 오지브웨족과 메티스족은 18세기 중반 7년 전쟁(Seven Years' War)에서 영국에 대항하는 프랑스군을 일반적으로 지원했습니다.

영국이 프랑스를 패배시키고 식민지 영토를 장악하면서, 칩피와족은 새로운 무역 문화에 대처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무역을 통해 총기를 얻고 만단족(Mandan)과 히다차족(Hidatsa)으로부터 말을 받아들임으로써, 18세기 말까지 칩피와족은 삼림 지대에서 그레이트 플레인스로 이주하여 라코타족을 서쪽으로 밀어붙이기 시작했습니다. 1812년 전쟁(War of 1812) 당시 오지브웨족은 유럽계 미국인 정착민들이 자신의 영토를 침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영국과 동맹을 맺었습니다. 캐나다와의 북쪽 경계가 설정되면서, 다코타 준주 내의 칩피와족은 미국과 협상해야 했습니다. 19세기 전반기에 칩피와족은 레드 강을 따라 라코타족과 계속해서 충돌했고, 결국 현재의 노스다코타와 사우스다코타 서부로 그들을 몰아냈습니다.

그들을 섬겼던 가톨릭 예수회(Jesuit) 선교사(missionary)인 조지 벨쿠르 신부는 1849년 그들의 영토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펨비나라고 불리는 지역 또는 구역이 북위 49도선 남쪽의 레드 강의 지류에 의해 관개되거나 통과되는 모든 지역 또는 분지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미시시피 강의 고지대까지 뻗어 있는 대초원의 강과 호수, 그리고 서쪽으로 수많은 들소(bison) 떼를 먹이는 광대한 평원에서 이 지역의 칩피와족과 혼혈(half breeds) [메티스족]이 생계를 유지하는데, 그 범위 내에는 남북으로 약 400마일, 동서로 500마일 이상의 지역이 있습니다."[3]

메티스족은 두 바퀴 달린 소가 끄는 수레를 사용하여 현재 위니페그(Winnipeg), 캐나다와 멘도타 또는 세인트폴 사이의 레드 강 트레일을 따라 모피를 시장으로 운반했습니다. 그들은 또한 소가 끄는 수레를 이용하여 장기간의 들소 사냥 동안 음식과 숙소를 운반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지브웨족은 조약을 통해 많은 토지를 미국에 양보하도록 설득되었고, 미국은 그것을 농장주들에게 팔았습니다. 그들은 이전 영토 내의 상대적으로 작은 인디언 보호구역으로 이주했습니다.

다코타 준주(Dakota Territory) 의회는 1867년 1월 9일 이전에 미조직 지역에서 펨비나 카운티를 창설했습니다. 그 정부는 같은 해 8월 12일에 조직되었습니다. 펨비나라는 이름은 오지브웨족(Chippewa)의 찌르다 또는 찌르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에서 유래했습니다.[4] 미래의 주에서 가장 오래된 유럽계 미국인 정착지인 펨비나가 카운티청 소재지였습니다. 1911년에 카운티청 소재지는 카발리어로 이전되었습니다.[5][6]

카운티 경계는 1871년, 1873년, 1881년, 1887년에 변경되었습니다. 1873년과 1881년 사이에 캐스 카운티와 그랜드포크스 카운티를 포함한 11개의 새로운 카운티가 펨비나에서 만들어졌습니다. 펨비나는 카발리어 카운티의 크기가 증가한 1887년에 현재의 형태를 취했습니다.[7]

1909년 노스다코타주 펨비나 카운티 개요 지도


1870년대 후반, 펨비나군에는 최초의 아이슬란드인 정착지가 설립되었다.[8] 많은 이민자들이 위니페그 호수(Lake Winnipeg) 근처의 뉴 아이슬란드(New Iceland)에서 왔으며, 위스콘신(Wisconsin)의 식민지에서 온 사람들도 있었다.[9] 이들은 주로 아크라, 보리유, 가르다르, 팅발라 등 "아이슬란드 타운십"에 거주했다.[9] 노스다코타 주립역사협회(State Historical Society of North Dakota)는 1900년대 초 이들 타운십에 비(非)아이슬란드계 가구가 거의 없었다고 보고했다.[9] 홀슨은 초기 정착민인 요한 P. 홀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9] 가르다르는 스바바르손 가르다르(Gardar Svavarsso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9] 아크라는 레이캬비크(Reykjavík) 근처의 아크라네스(Akranes)라는 도시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9] 아이슬란드 주립공원(Icelandic State Park)은 초기 개척자들의 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되었다.[10]

2. 1. 원주민 역사와 유럽인과의 접촉



수천 년 동안 다양한 원주민들이 펨비나 강과 레드 강을 따라 있는 이 지역에 거주했다. 16세기 유럽인과의 접촉 당시, 주요 부족은 아시니보인족과 라코타족(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은 수족이라고 불렀다)이었다.[3] 오지브웨족(Ojibwe)(또는 칩피와족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아니시나베(Anishinaabe)어족의 한 갈래이다)은 그레이트 레이크스 양쪽을 따라 서쪽으로 점차 이동했다. 그들은 프랑스 사냥꾼과 식민지 개척자들과 오랜 무역 관계를 발전시켰다.[3] 레드 강 지역 전역에서 프랑스 사냥꾼들은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들과 결혼했고, 그들의 자손들은 계속해서 사냥과 함정을 설치했다. 캐나다에서 '''제1국민''' 집단으로 인정받는 다인종 인구가 증가했는데, 이들은 '''메티스(Métis)'''라고 불린다.[3] 오지브웨족과 메티스족은 18세기 중반 7년 전쟁(Seven Years' War)에서 영국에 대항하는 프랑스군을 일반적으로 지원했다.[3]

영국이 프랑스를 패배시키고 식민지 영토를 장악하면서, 칩피와족은 새로운 무역 문화에 대처하는 법을 배웠다.[3] 무역을 통해 총기를 얻고 만단족(Mandan)과 히다차족(Hidatsa)으로부터 말을 받아들임으로써, 18세기 말까지 칩피와족은 삼림 지대에서 그레이트 플레인스로 이주하여 라코타족을 서쪽으로 밀어붙이기 시작했다.[3] 1812년 전쟁(War of 1812) 당시 오지브웨족은 유럽계 미국인 정착민들이 자신의 영토를 침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영국과 동맹을 맺었다.[3] 캐나다와의 북쪽 경계가 설정되면서, 다코타 준주 내의 칩피와족은 미국과 협상해야 했다. 19세기 전반기에 칩피와족은 레드 강을 따라 라코타족과 계속해서 충돌했고, 결국 현재의 노스다코타와 사우스다코타 서부로 그들을 몰아냈다.[3]

그들을 섬겼던 가톨릭 예수회(Jesuit) 선교사(missionary)인 조지 벨쿠르 신부는 1849년 그들의 영토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3]

"여기서 우리는 펨비나라고 불리는 지역 또는 구역이 북위 49도선 남쪽의 레드 강의 지류에 의해 관개되거나 통과되는 모든 지역 또는 분지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미시시피 강의 고지대까지 뻗어 있는 대초원의 강과 호수, 그리고 서쪽으로 수많은 들소(bison) 떼를 먹이는 광대한 평원에서 이 지역의 칩피와족과 혼혈(half breeds) [메티스족]이 생계를 유지하는데, 그 범위 내에는 남북으로 약 400마일, 동서로 500마일 이상의 지역이 있습니다."[3]

메티스족은 두 바퀴 달린 소가 끄는 수레를 사용하여 현재 위니페그(Winnipeg), 캐나다와 멘도타 또는 세인트폴 사이의 레드 강 트레일을 따라 모피를 시장으로 운반했다. 그들은 또한 소가 끄는 수레를 이용하여 장기간의 들소 사냥 동안 음식과 숙소를 운반했다.[3]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지브웨족은 조약을 통해 많은 토지를 미국에 양보하도록 설득되었고, 미국은 그것을 농장주들에게 팔았다. 그들은 이전 영토 내의 상대적으로 작은 인디언 보호구역으로 이주했다.[3]

아이슬란드 주립공원(Icelandic State Park)은 펨비나 카운티에 위치해 있다. 현재 노스다코타에 있는 최초의 아이슬란드 이민자 정착지는 1870년대 후반에 아이슬란드에서 온 식민지 개척자들이 위니페그 호수(Lake Winnipeg) 근처의 뉴 아이슬란드(New Iceland) 농장에서 카운티로 이주하면서 펨비나 카운티에 있었다.[8]

현재 노스다코타에 있는 최초의 아이슬란드 정착지는 1870년대 후반에 펨비나 카운티에 설립되었다. 많은 이민자들이 위니페그 호수(Lake Winnipeg) 근처의 뉴 아이슬란드(New Iceland)에서 왔고, 위스콘신(Wisconsin)의 식민지에서 이 지역으로 이주한 다른 아이슬란드인(Icelanders)들도 있었다.[9] 새로운 정착민들은 주로 아크라, 보리유, 가르다르, 팅발라의 이른바 "아이슬란드 타운십"에 거주했다. 노스다코타 주립역사협회(State Historical Society of North Dakota)는 1900년대 초에 3~4가구 미만의 비아이슬란드 가구가 거주하고 있다고 보고했다.[9] 이 유산의 증거는 아이슬란드 출신의 여러 타운십과 도시 이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크라는 레이캬비크(Reykjavík) 근처의 아크라네스(Akranes)라는 도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가르다르는 스바바르손 가르다르(Gardar Svavarsson)(최초로 아이슬란드를 방문한 스칸디나비아인으로 알려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홀슨은 초기 정착민인 요한 P. 홀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9]

2. 2. 펨비나 군의 설립과 발전



수천 년 동안 다양한 원주민들이 펨비나 강과 레드 강을 따라 이 지역에 거주했다. 16세기 유럽인과의 접촉 당시, 주요 부족은 아시니보인족과 라코타족(수족이라고도 불림)이었다.[3] 오지브웨족(Ojibwe)(아니시나베(Anishinaabe)어족)은 그레이트 레이크스 양쪽을 따라 서쪽으로 점차 이동했으며, 프랑스 사냥꾼, 식민지 개척자들과 오랜 무역 관계를 발전시켰다. 레드 강 지역 전역에서 프랑스 사냥꾼들은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들과 결혼했고, 그들의 자손들은 메티스(Métis)라고 불리며 제1국민 집단으로 인정받았다. 오지브웨족과 메티스족은 18세기 중반 7년 전쟁(Seven Years' War)에서 영국에 대항하는 프랑스군을 일반적으로 지원했다.[3]

18세기 말까지 칩피와족은 그레이트 플레인스로 이주하여 라코타족을 서쪽으로 밀어붙였다. 1812년 전쟁(War of 1812) 당시 오지브웨족은 영국과 동맹을 맺었으며, 다코타 준주 내의 칩피와족은 미국과 협상해야 했다. 19세기 전반기에 칩피와족은 레드 강을 따라 라코타족과 계속해서 충돌했고, 결국 현재의 노스다코타와 사우스다코타 서부로 그들을 몰아냈다.[3]

메티스족은 소가 끄는 수레를 사용하여 위니페그(Winnipeg), 캐나다와 멘도타 또는 세인트폴 사이의 레드 강 트레일을 따라 모피를 운반했다.[3]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지브웨족은 조약을 통해 많은 토지를 미국에 양보했고, 미국은 그것을 농장주들에게 팔았다. 그들은 이전 영토 내의 인디언 보호구역으로 이주했다.[3]

다코타 준주(Dakota Territory) 의회는 1867년 1월 9일 이전에 미조직 지역에서 펨비나 카운티를 창설했다.[4] 펨비나 카운티는 오지브웨족(Chippewa)의 찌르다 또는 찌르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에서 유래했다.[4] 1867년 8월 12일에 정부가 조직되었으며, 펨비나가 카운티청 소재지였다가 1911년에 카발리어로 이전되었다.[5][6]

카운티 경계는 1871년, 1873년, 1881년, 1887년에 변경되었다. 1873년과 1881년 사이에 캐스 카운티와 그랜드포크스 카운티를 포함한 11개의 새로운 카운티가 펨비나에서 만들어졌다. 펨비나는 카발리어 카운티의 크기가 증가한 1887년에 현재의 형태를 취했다.[7]

1870년대 후반, 아이슬란드인(Icelanders)들이 위니페그 호수(Lake Winnipeg) 근처의 뉴 아이슬란드(New Iceland) 농장과 위스콘신(Wisconsin)의 식민지에서 펨비나 카운티로 이주하면서 아이슬란드 이민자 정착지가 형성되었다.[8] 이들은 아크라, 보리유, 가르다르, 팅발라 등 "아이슬란드 타운십"에 주로 거주했다. 노스다코타 주립역사협회(State Historical Society of North Dakota)는 1900년대 초에 이 지역에 비아이슬란드 가구가 거의 없다고 보고했다.[9] 아이슬란드 주립공원(Icelandic State Park)은 초기 개척자 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되었다.[10]

2. 3. 아이슬란드 이민자 정착

1870년대 후반, 펨비나군에는 최초의 아이슬란드인 정착지가 설립되었다.[8] 많은 이민자들이 위니페그 호수(Lake Winnipeg) 근처의 뉴 아이슬란드(New Iceland)에서 왔으며, 위스콘신(Wisconsin)의 식민지에서 온 사람들도 있었다.[9] 이들은 주로 아크라, 보리유, 가르다르, 팅발라 등 "아이슬란드 타운십"에 거주했다.[9] 노스다코타 주립역사협회(State Historical Society of North Dakota)는 1900년대 초 이들 타운십에 비(非)아이슬란드계 가구가 거의 없었다고 보고했다.[9]

홀슨은 초기 정착민인 요한 P. 홀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9] 가르다르는 스바바르손 가르다르(Gardar Svavarsso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9] 아크라는 레이캬비크(Reykjavík) 근처의 아크라네스(Akranes)라는 도시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9] 아이슬란드 주립공원(Icelandic State Park)은 초기 개척자들의 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되었다.[10]

3. 지리

펨비나 군은 노스다코타주 북동쪽 끝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캐나다, 동쪽으로는 미네소타주와 경계를 접한다. 군의 동쪽 경계선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북쪽 레드 강(Red River)을 사이에 두고 미네소타 주와 마주보고 있다.[11] 펨비나 강은 군 상부 지역을 동쪽으로 흘러 북동쪽 군 경계 근처에서 레드 강으로 합류하며, 텅 강은 군 상부 지역을 북동쪽으로 흘러 펨비나 강과 레드 강이 합류하기 직전에 펨비나 강으로 유입된다.[11]

군의 지형은 강 유역에 의해 침식된 구릉성 언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농업에 이용된다.[11] 지형은 동쪽과 북쪽으로 경사져 있고, 가장 높은 지점은 서쪽 경계선 하부에 위치하며 해발 397m이다.[12]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군의 총 면적은 2,905km²이며, 이 중 육지는 2,898km², 수역은 8km²(0.27%)이다.[27] 노스다코타주에서 가장 낮은 지점은 펨비나 군의 레드강을 따라 위치하며, 이곳에서 레드강은 주를 벗어나 매니토바주로 흘러 들어간다.

3. 1. 지형 및 수계

펨비나 군은 노스다코타주 북동쪽 끝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캐나다, 동쪽으로는 미네소타주와 경계를 접한다. 군의 동쪽 경계선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북쪽 레드 강(Red River)을 사이에 두고 미네소타 주와 마주보고 있다.[11] 펨비나 강은 군 상부 지역을 동쪽으로 흘러 북동쪽 군 경계 근처에서 레드 강으로 합류하며, 텅 강은 군 상부 지역을 북동쪽으로 흘러 펨비나 강과 레드 강이 합류하기 직전에 펨비나 강으로 유입된다.[11]

군의 지형은 강 유역에 의해 침식된 구릉성 언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농업에 이용된다.[11] 지형은 동쪽과 북쪽으로 경사져 있고, 가장 높은 지점은 서쪽 경계선 하부에 위치하며 해발 397m이다.[12]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군의 총 면적은 2,905km²이며, 이 중 육지는 2,898km², 수역은 8km²(0.27%)이다.[27] 노스다코타주에서 가장 낮은 지점은 펨비나 군의 레드강을 따라 위치하며, 이곳에서 레드강은 주를 벗어나 매니토바주로 흘러 들어간다.

3. 2. 주요 고속도로

25px
주간 고속도로 29, 미국 국도 81, 노스다코타주 고속도로 5, 노스다코타주 고속도로 18, 노스다코타주 고속도로 32, 노스다코타주 고속도로 44, 노스다코타주 고속도로 66, 노스다코타주 고속도로 89가 펨비나군을 통과한다.

3. 3. 인접한 군 및 지방 자치구

펨비나군은 북쪽으로 캐나다 매니토바주 스탠리, 라인랜드, 몽캄과 접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미네소타주 킷슨 군, 남동쪽으로는 미네소타주 마셜 군, 남쪽으로는 노스다코타주 월시 군, 서쪽으로는 노스다코타주 카발리어 군과 접한다.

인접 지역
북서쪽스탠리 농촌 자치구 (캐나다 매니토바주)
북쪽라인랜드 자치구 (캐나다 매니토바주), 몽캄 농촌 자치구 (캐나다 매니토바주)
동쪽킷슨 군 (미국 미네소타주)
남동쪽마셜 군 (미국 미네소타주)
남쪽월시 군 (미국 노스다코타주)
서쪽카발리어 군 (미국 노스다코타주)


4. 인구

1870년 1,213명이었던 펨비나군의 인구는 1900년 17,869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하기 시작했다.[29][30][31][32][33][15][16][17][18][1] 2020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는 6,844명이 펨비나군에 거주하고 있다.

펨비나 군 인구
연도인구
18701,213
18804,862
189014,334
190017,869
191014,749
192015,177
193014,757
194015,671
195013,990
196012,946
197010,728
198010,399
19909,238
20008,585
20107,413
2019(추계)6,801


4. 1. 인구 통계

2010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펨비나 군에는 7,413명의 인구, 3,257가구, 2,069가족이 거주하고 있었다.[28] 인구 밀도는 6.62명/mi² (2.56명/km²)이었다. 주택은 3,859세대로, 평균 밀도는 3.45세대/mi² (1.33세대/km²)이었다.[28]

군의 인종 구성은 백인 95.5%, 아메리카 원주민 1.9%, 흑인 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0.3%, 아시아계 0.1%, 기타 인종 0.8%, 두 가지 이상의 인종 1.3%였다. 히스패닉 또는 라틴계는 인구의 2.6%를 차지했다.[28] 조상을 기준으로 보면, 독일계가 33.8%, 노르웨이계가 21.3%, 아일랜드계가 10.6%, 잉글랜드계가 9.5%, 미국계가 8.0%, 스웨덴계가 5.5%였다.[28]

3,257가구 중 24.5%는 18세 미만의 자녀와 함께 생활하고 있었고, 54.2%는 부부가 함께 생활하는 가구였으며, 5.6%는 남편이 없는 여성 가장이 있는 가구였고, 36.5%는 비가족 가구였으며, 모든 가구의 32.4%는 1인 가구였다.[28] 평균 가구 규모는 2.23명이었고, 평균 가족 규모는 2.82명이었다. 중위 연령은 46.7세였다.[28]

군의 가구 중위 소득은 $48,502였고, 가족 중위 소득은 $61,804였다. 남성의 중위 소득은 $40,334였고, 여성의 중위 소득은 $29,662였다. 1인당 소득은 $27,019였다. 가구의 약 4.0%와 인구의 8.0%가 빈곤선 이하였으며, 18세 미만의 경우 9.5%, 65세 이상의 경우 11.3%였다.[28]

2000년 인구조사[20]에서는 8,585명의 인구, 3,535가구, 2,364가족이 거주했다. 인구밀도는 3명/km2 (8명/mi2)였다. 4,115호의 주택이 1호/km2 (4호/mi2)의 밀도로 있었다. 인종 구성은 백인 95% 이상, 흑인 0.45%, 아메리카 원주민 1.43%, 흑인과 아시아인 1% 미만, 기타 인종 1.27%, 혼혈 1.44%, 히스패닉/라틴계 3%였다. 주요 조상은 노르웨이계 25.0%, 독일계 24.0%, 아이슬란드계 7.9%, 프랑스계 7.9%, 영국계 6.6%였다. 가구 구성은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가구 29.8%, 부부 58.2%, 미혼, 이혼, 사별 여성이 세대주인 가구 5.3%, 비가족 가구 33.1%, 1인 가구 30.5%, 65세 이상 독거 노인 15.7%였다. 평균 가구 구성원 수는 2.38명, 가족 구성원 수는 2.98명 이었다. 연령별 인구 구성은 18세 미만 24.9%, 18-24세 6.2%, 25-44세 24.6%, 45-64세 24.8%, 65세 이상 19.5%였다. 연령 중앙값은 42세였다. 성비는 여성 100명당 남성 100.6명, 18세 이상은 100.2명 이였다. 소득 중윗값은 가구 $36,430, 가족 $45,338, 남성 $30,400, 여성 $21,340 였다. 1인당 소득은 $18,692 였다. 빈곤선 이하 인구는 9.2%, 가구 수 대비 7.4%, 18세 미만 10.7%, 65세 이상 9.9% 였다.

펨비나 군 인구
연도인구
18701,213
18804,862
189014,334
190017,869
191014,749
192015,177
193014,757
194015,671
195013,990
196012,946
197010,728
198010,399
19909,238
20008,585
20107,413
2019(추계)6,801


4. 2. 도시 및 지역

펨비나군에는 여러 도시와 지역이 있다. 배스게이트, 캔턴 시티, 캐벌리어(군청 소재지), 크리스털, 드레이턴, 해밀턴, 마운틴, 네체, 펨비나, 세인트 토마스, 월할라 등의 도시가 있다. 비법인 커뮤니티로는 배쿠, 가르다, 글래스턴, 홀슨, 졸리에트 등이 있다.

펨비나군에는 25개의 타운십이 있다. 어드밴스, 아크라, 배스게이트, 보리외, 칼라일, 캐벌리어, 크리스털, 드레이턴, 엘로라, 펠슨, 가르다르, 해밀턴, 졸리에트, 라무어, 링컨, 로데마, 미들랜드, 네체, 파크, 펨비나, 세인트 조셉, 세인트 토마스, 싱그발라, 왈할라 타운십이 있다.

펨비나 칩페와족과 터틀 마운틴 칩페와족의 아메리카 원주민 보호구역이 있다.

5. 정치

펨비나군 유권자들은 전통적으로 공화당을 지지해왔다.[19] 1948년 이후 1964년 대선에서 단 한 번 민주당 후보를 선택했다.[19] 2020년 대선에서는 도널드 트럼프가 78.6%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State & County QuickFact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3-04-03
[2] 웹사이트 Find a County http://www.naco.org/[...] National Association of Counties 2011-06-07
[3] 웹사이트 About US: "Move to the Plains" http://tmbci.net/wor[...] Turtle Mountain Band of Chippewa Indians 2011-06-27
[4] 웹사이트 Ojibwe People's Dictionary https://file.io/lmeK[...] University of Minnesota 2018-12-00
[5] 서적 North Dakota Place Names Hedemarken Collectibles
[6] 웹사이트 County History http://www.nd.gov/co[...] The State of North Dakota 2015-02-04
[7] 웹사이트 Dakota Territory, South Dakota, and North Dakota: Individual County Chronologies http://historical-co[...] The Newberry Library 2019-02-26
[8] 서적 The Icelandic Settlement of Pembina County Tribune, State Printers and Binders
[9] 서적 Origins of North Dakota Place Names Bismarck Tribune
[10] 서적 North Dakota Centennial Blue Book https://books.google[...] North Dakota Legislative Assembly
[11] 웹사이트 Pembina County ND https://www.google.c[...] 2019-02-26
[12] 웹사이트 "Find an Altitude/Pembina County ND" Google Maps https://www.daftlogi[...] 2019-02-27
[13] 웹사이트 2010 Census Gazetteer File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08-22
[14] 웹사이트 Annual Estimates of the Resident Population for Counties: April 1, 2020 to July 1, 2022 https://www.census.g[...] 2023-04-03
[15] 웹사이트 U.S. Decennial Census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5-02-01
[16] 웹사이트 Historical Census Browser http://mapserver.lib[...] University of Virginia Library 2015-02-01
[17] 웹사이트 Population of Counties by Decennial Census: 1900 to 199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5-02-01
[18] 웹사이트 Census 2000 PHC-T-4. Ranking Tables for Counties: 1990 and 200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5-02-01
[19] 웹사이트 Atlas of US Presidential Elections http://uselectionatl[...] 2018-04-13
[20] 웹사이트 Quickfacts.census.gov - Pembina County http://quickfacts.ce[...] 2011-12-06
[21] 웹사이트 American FactFinder http://factfinder2.c[...] U.S. Census Bureau 2011-12-05
[22] 웹사이트 About US: "Move to the Plains" http://tmbci.net/wor[...] Turtle Mountain Band of Chippewa Indians 2011-06-27
[23] 웹사이트 Dakota Territory, South Dakota, and North Dakota: Individual County Chronologies https://web.archive.[...] The Newberry Library 2008-01-31
[24] 서적 North Dakota Place Names Hedemarken Collectibles
[25] 서적 The Icelandic Settlement of Pembina County Tribune, State Printers and Binders
[26] 서적 Origins of North Dakota Place Names Bismarck Tribune
[27] 웹사이트 Census 2000 U.S. Gazetteer Files: Counties http://www.census.go[...] United States Census 2011-02-13
[28] 웹인용 Population and Housing Unit Estimates https://www.census.g[...] 2020-04-02
[29] 웹인용 US Decennial Census https://www.census.g[...] US Census Bureau 2015-02-01
[30] 웹인용 Historical Census Browser http://mapserver.lib[...] University of Virginia Library 2015-02-01
[31] 웹인용 Population of Counties by Decennial Census: 1900 to 1990 https://www.census.g[...] US Census Bureau 2015-02-01
[32] 웹인용 Census 2000 PHC-T-4. Ranking Tables for Counties: 1990 and 2000 https://www.census.g[...] US Census Bureau 2015-02-01
[33] 웹인용 State & County QuickFacts https://web.archive.[...] US Census Bureau 2013-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