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시디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시디우스는 정확한 출생 및 사망 연도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에 활동한 인물로, 누미디아 칼라마의 주교였다. 그는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와 40년간 우정을 나누었으며, 아우구스티누스의 수도원 성직자였다. 397년경 주교로 서품된 후 도나투스파와 펠라기우스주의에 맞서 싸웠으며, 이탈리아로 파견되어 황제의 보호를 요청하고, 공의회에 참여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반달족의 아프리카 침략 이후에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임종을 지켜보고, 박해를 피해 풀리아로 이동하여 사망했다. 저서로는 《아우구스티누스 성인전》과 《소 목록》이 있으며, 1672년 교황 클레멘스 10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세기 사망 - 프루덴티우스
프루덴티우스는 4-5세기 로마 제국에서 활동한 기독교 시인으로, 법률가와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말년에 수도원에서 금욕 생활을 하며 기독교 신앙을 옹호하는 시를 썼으며, 그의 작품은 중세 시대에 널리 읽혔다. - 5세기 사망 - 글리케리우스
글리케리우스는 473년부터 474년까지 서로마 황제를 지냈으나 동로마 제국에 인정받지 못했고, 재위 기간 동안 고트족의 침입을 막고 성직 매매 금지법을 제정했으며, 퇴위 후에는 살로나 주교가 되어 여생을 보냈다. - 4세기 출생 -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4세기 후반 로마 제국의 군인이자 역사가로, 《역사》를 저술하여 96년부터 378년까지의 로마 역사를 기록했으며, 그의 저서는 4세기 로마 제국의 정치, 군사, 사회상에 대한 귀중한 1차 사료를 제공한다. - 4세기 출생 - 아신왕
아신왕은 백제 제17대 국왕으로, 고구려의 침략에 맞서 왜와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등 국운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나, 전쟁에서의 패배로 백제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의 삶과 결정은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 5세기 기독교 성인 - 히에로니무스
히에로니무스는 347년경에 태어나 불가타를 완성하고 서방 교회에 큰 영향을 미친 기독교 신학자이며, 번역가, 사서, 백과사전 편찬자의 수호 성인으로 존경받는다. - 5세기 기독교 성인 - 풀케리아
풀케리아는 동로마 제국의 황족이자 아우구스타로서 동생 테오도시우스 2세의 섭정 역할을 했으며, 정녀 서약 후 교회 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자선 활동과 교회 건축으로 유명하지만, 반유대주의 정책은 비판받았고, 테오도시우스 2세 사후 마르키아누스와 결혼하여 제국 정통성을 유지한 후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포시디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존칭 | 성인 |
이름 | 포시디우스 |
출생 | 북아프리카 |
사망 | 437년경, 아풀리아 |
기념일 | 5월 16일 |
숭배 대상 | 가톨릭교회 |
직함 | 칼라마의 주교 |
시성일 | 1672년 8월 19일 |
시성 | 교황 클레멘스 10세 |
2. 생애
포시디우스의 정확한 출생 및 사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는 아우구스티누스와 약 40년간 깊은 우정을 나누었으며, 아우구스티누스가 세운 수도원의 일원이었다.[1]
역사가 틸레몽에 따르면 그는 대략 397년경 누미디아의 칼라마(오늘날의 겔마) 주교로 서품되었다. 주교로서 그는 스승 아우구스티누스의 모범을 따라 칼라마에 수도원을 세웠으며, 당시 북아프리카 교회를 분열시켰던 도나투스파 및 펠라기우스주의와의 신학 논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여러 공의회와 회의에 참석하여 가톨릭 교회의 입장을 대변했으며,[1][3] 때로는 반대파로부터 생명의 위협을 받기도 했다.[2]
게르만족의 일파인 반달족이 북아프리카를 침략하자, 그는 히포로 피신하여 430년 아우구스티누스의 임종을 지켜보았다.[3] 이후 437년경, 아리우스파를 신봉하던 반달 왕 가이세리크에 의해 다른 주교들과 함께 자신의 교구에서 추방당했으며,[2] 얼마 지나지 않아 이탈리아 남부 풀리아 지역에서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4]
2. 1. 주교 서품과 칼라마에서의 활동

포시디우스의 정확한 출생 및 사망 날짜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는 자신의 저서 ''Vita S. Augustini'' (xxxi)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죽음을 묘사하며, 그와 40년 동안 변함없는 우정을 나누었다고 밝혔다. 또한 자신을 3인칭으로 언급하며 아우구스티누스의 수도원 소속 성직자 중 한 명이었음을 알렸다.[1]
역사가 틸레몽에 따르면 포시디우스는 대략 397년경 주교로 서품받았다. 그는 스승 아우구스티누스의 모범을 따라 칼라마에 수도원을 세웠는데, 당시 칼라마는 여러 분파 갈등으로 혼란스러운 지역이었다. 카르타고에서 열린 공의회에서 포시디우스는 도나투스파 소속 칼라마 주교인 크리스피누스에게 공개 토론을 제안했으나, 크리스피누스는 이를 거부했다. 404년에는 도나투스파 신도들이 포시디우스의 집을 습격하여 그를 끌어내 구타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심지어 도나투스파 극단주의자들은 포시디우스가 방문 중이던 집에 불을 지르기도 했다.[2] 이 사건으로 크리스피누스 주교에 대한 법적 절차가 시작되었지만, 그는 가해자인 사제를 처벌하기를 거부했다. 결국 크리스피누스는 이단으로 유죄 판결을 받고 무거운 벌금형에 처해졌으나, 포시디우스의 중재 덕분에 실제로 벌금이 징수되지는 않았다.
407년, 포시디우스는 아우구스티누스를 포함한 다른 다섯 명의 주교들과 함께 교회 내 특정 문제를 판결하기 위한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이듬해인 408년에는 칼라마에서 이교도들이 일으킨 폭동으로 인해 목숨을 잃을 뻔하기도 했다(Augustine, "Epp.", xc, xci, xciii). 409년에는 도나투스파 문제에 대응하여 황제의 보호를 요청하기 위해 이탈리아로 파견된 네 명의 주교 중 한 명으로 활동했다. 그는 411년에 열린 카르타고 회의(''collatio'')에서 가톨릭 교회를 대표하는 일곱 주교 중 한 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1]
416년에는 밀레부 공의회에 참석하여, 59명의 누미디아 주교들과 함께 펠라기우스주의를 반박하는 내용을 담은 서한을 교황 인노첸시오 1세에게 보냈다. 그는 아우구스티누스와 다른 세 명의 주교와 함께 같은 주제로 인노첸시오 교황에게 추가 서한을 보내는 데에도 참여했으며, 아우구스티누스와 도나투스파 지도자 에메리투스와의 회담에도 참석했다. 게르만족 계열의 반달족이 북아프리카를 침략했을 때, 포시디우스는 히포로 피신하여 430년 아우구스티누스의 임종을 지켜보았다.[3]
437년, 프로스페르는 그의 ''연대기''에 포시디우스와 다른 두 명의 주교가 아리우스파를 신봉하는 반달 왕 가이세리크에 의해 박해받고 자신들의 교구에서 추방당했다고 기록했다.[2] 포시디우스는 추방된 직후 이탈리아 남부 풀리아 지역에서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4]
2. 2. 도나투스파 및 펠라기우스주의와의 논쟁
포시디우스는 칼라마의 주교로서 당시 북아프리카 교회를 혼란에 빠뜨렸던 도나투스파 문제에 적극적으로 관여했다. 그는 카르타고에서 열린 공의회에서 도나투스파 칼라마 주교인 크리스피누스에게 공개 토론을 제안했으나, 크리스피누스는 이를 거부했다.[1] 404년에는 도나투스파 신자들에게 집에서 끌려 나와 구타당하고 생명의 위협을 받았으며, 그들이 포시디우스가 머물던 집에 불을 지르는 사건도 발생했다.[2] 이 사건으로 크리스피누스 주교에 대한 법적 절차가 진행되었으나, 그는 가해자인 사제를 처벌하지 않았다. 크리스피누스는 결국 이단으로 판결받고 벌금형을 선고받았지만, 포시디우스의 요청으로 벌금은 징수되지 않았다.
409년, 포시디우스는 다른 세 명의 주교와 함께 이탈리아로 파견되어 도나투스파 문제에 대한 황제의 개입과 보호를 요청했다. 또한 411년 카르타고에서 열린 중요한 회의(collatio)에서는 가톨릭 교회를 대표하는 일곱 주교 중 한 명으로 선정되어 도나투스파에 맞섰다.[1]
펠라기우스주의 논쟁에도 참여했다. 416년 밀레부 공의회에 참석했으며, 다른 58명의 누미디아 주교들과 함께 교황 인노첸시오 1세에게 펠라기우스주의를 비판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다. 그는 아우구스티누스를 포함한 다른 세 주교와 함께 같은 내용의 추가 서한을 교황에게 보내기도 했다.[3]
2. 3. 반달족의 침략과 죽음
게르만족의 일파인 반달족이 로마령 아프리카를 침략했을 때, 포시디우스는 히포로 피신했다. 그는 그곳에서 스승이자 친구였던 아우구스티누스가 430년에 사망하는 것을 지켜보았다.[3]이후 437년, 프로스페르의 ''연대기'' 기록에 따르면, 포시디우스는 다른 두 명의 주교와 함께 아리우스파를 신봉하던 반달족의 왕 가이세리크에게 박해를 받아 자신의 교구에서 추방되었다.[2] 추방된 포시디우스는 얼마 지나지 않아 이탈리아의 풀리아 지역에서 사망했다.[4]
3. 저서
포시디우스의 주요 저서로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를 기록한 《아우구스티누스 성인전(Vita S. Augustinilat)》과 그의 저작 목록인 《소 목록(indiculuslat)》이 있다.
3. 1. 아우구스티누스 성인전 (Vita S. Augustini)
포시디우스의 저서인 《아우구스티누스 성인전(Vita S. Augustinilat)》은 카르타고 함락 (439년) 이전에 쓰여졌다. 이 책은 아우구스티누스의 모든 저서에 포함되어 있으며, 후르터의 "Opusc. SS. Patr."에도 인쇄되어 있다.3. 2. 소 목록 (Indiculus)
포시디우스가 작성한 《소 목록(indiculuslat)》은 미그네의 아우구스티누스 저서 판 마지막 권과 베네딕토회 판 제10권에 수록되어 있다.4. 시성
교황 클레멘스 10세는 1672년 8월 19일, 포시디우스와 그의 동시대 인물이자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친구였던 또 다른 북아프리카 주교 타가스테의 알리피우스에 대한 공경을 함께 확정했다.[5]
5. 평가
(내용 없음)
참조
[1]
간행물
St. Possidius.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1911-01-10
[2]
웹사이트
St. Possidius
https://www.midwesta[...]
[3]
웹사이트
Saint Possidius, Bishop and Confessor
https://catholicsain[...]
CatholicSaints.Info
2012-05-17
[4]
웹사이트
Possidius
https://catholicsain[...]
CatholicSaints.Info
2016-12-09
[5]
웹사이트
May 16 - Saints Alypius and Possidius
https://www.augustin[...]
Province of Saint Thomas of Villanova
2020-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