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폭류(暴流)는 불교 용어로, 《유가사지론》, 《집론》 등에서 번뇌의 다른 이름으로 언급된다. 심난도, 순류표, 순류표익 등의 의미를 가지며, 특히 욕폭류, 유폭류, 견폭류, 무명폭류의 4가지로 분류된다. 이는 중생을 유전연기의 흐름에 따라 휘둘리게 하는 번뇌를 의미하며, 한국 불교에서도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번뇌 분류법 - 십이수면
- 번뇌 분류법 - 삼루
삼루는 불교에서 번뇌를 욕루, 유루, 무명루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것으로, 중생을 생사윤회에 묶어두는 고통의 근원을 분석하고 극복하기 위한 수행의 방향을 제시하며, 유식유가행파의 수행에서 해탈에 이르기 위한 중요한 개념으로 활용된다. - 번뇌의 동의어 - 악행
악행은 불교 용어로, 불선한 행위를 의미하며, 초기 불교에서는 3악행으로, 대승 불교에서는 번뇌의 다른 이름으로 정의된다. - 번뇌의 동의어 - 소해
소해는 특정 주제에 대한 역사, 현황, 쟁점, 미래 전망 등을 다루는 정보를 담은 문서이다. - 심소법 - 마음작용 (현양성교론)
마음작용은 《현양성교론》에서 마음과 상응하는 모든 법을 의미하며, 아뢰야식의 종자에서 생겨나 마음에 의지하여 함께 작용하는 대승불교의 교의에 따라 51가지로 분류된다. - 심소법 - 무치
폭류 | |
---|---|
불교 용어 | |
팔리어 | oghā |
산스크리트어 | ogha |
중국어 | 暴流(정체) / 暴流(간체) |
중국어 (병음) | bàoliú |
한국어 | 폭류 |
영어 | turbulent flow of a stream or river (시내 또는 강의 격렬한 흐름) |
영어 | waterfall (폭포) |
티베트어 | chu bo |
티베트어 (로마자) | chu bo |
2. 폭류의 뜻
유가사지론 8권과 84권, 집론 제4권, 구사론 제20권, 현종론 27권, 입아비달마론 상권에 따르면, 폭류(暴流)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1]
- '''심난도(深難渡)''': 건너기 어려움. 환멸연기의 어려움을 뜻한다.
- '''순류표(順流漂)''': 유전연기의 흐름을 따라 떠내려감을 뜻한다.
- '''순류표익(順流漂溺)''': 유전연기의 흐름을 따라 떠내려가 익사함을 뜻한다.
- '''수류표고(隨流漂鼓)''': 유전연기의 흐름에 따라 떠내려가 휘둘림을 뜻한다.
- '''극표선품(極漂善品)''': 선품을 극심히 떠내려가게 함을 뜻한다.
- '''표탈승사(漂奪勝事)''': 뛰어난 일을 떠내려가게 하여 빼앗음을 뜻한다.
3. 경론별 설명
유가사지론 8권과 84권, 집론 제4권, 구사론 제20권, 현종론 27권, 입아비달마론 상권에 따르면, 폭류(暴流)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진다.[1][2]
용어 | 뜻 | 설명 |
---|---|---|
심난도(深難渡) | 건너기 어려움 | 환멸연기의 어려움 |
순류표(順流漂) | 유전연기의 흐름을 따라 떠내려감 | |
순류표익(順流漂溺) | 유전연기의 흐름을 따라 떠내려가 익사함 | |
수류표고(隨流漂鼓) | 유전연기의 흐름에 따라 떠내려가 휘둘림 | |
극표선품(極漂善品) | 선품을 극심히 떠내려가게 함 | |
표탈승사(漂奪勝事) | 뛰어난 일을 떠내려가게 하여 빼앗음 |
《유가사지론》, 《집론》, 《잡집론》에서는 폭류를 번뇌의 다른 이름으로 보았으며, 특히 욕폭류(欲暴流)·유폭류(有暴流)·견폭류(見暴流)·무명폭류(無明暴流)의 4폭류(四暴流)를 말한다. 4폭류와 4액(四軛)은 의미는 서로 다르지만 실체 즉 자성은 같다.
3. 1. 유가사지론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논서인 《유가사지론》에 따르면, 폭류(暴流)는 번뇌의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1] 폭류는 심난도(深難渡)와 순류표(順流漂)를 뜻한다. 즉, 번뇌가 매우 건너기 어려운 것이며 중생(유정)을 흐름에 따라 떠내려가게 한다는 것을 뜻한다.[2]《유가사지론》에서는 특히 욕폭류(欲暴流)·유폭류(有暴流)·견폭류(見暴流)·무명폭류(無明暴流)의 4폭류(四暴流)를 강조한다. 4폭류와 4액(四軛)은 의미(뜻)는 서로 다르지만, 실체(자성)는 서로 동일하다.
욕탐(欲貪)·진(瞋) 등 욕계(欲界)에 속박되게 하는 번뇌, 즉 욕계에 매인 상품(上品) 번뇌를 아직 끊지 못하고 알지 못하는 것을 욕폭류(欲暴流)라고 한다. 유견(有見)·무명(無明)의 3종 폭류도 이와 같다. 즉 욕계의 욕을 아직 여의지 못한 것을 욕폭류라 하고, 이미 욕계의 욕을 여읜 것을 유폭류라 한다. 만약 여러 외도(外道)들의 다론문(多論門)에 의거한다면, 다른 두 종류의 폭류가 더 있는데, 모든 악견(惡見)을 간략히 하나로 묶어 견폭류(見暴流)라 하고, 악견(惡見)의 인연(因緣)을 간략히 하나로 묶어 무명폭류(無明暴流)라 한다.
3. 2. 집론·잡집론
대승불교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집론》과 《잡집론》에 따르면, 폭류(暴流)는 번뇌의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다. 《집론》에서는 폭류(暴流: 사나운 흐름)라고 하고 있고, 《잡집론》에서는 폭류(瀑流: 폭포수 같은 흐름)라고 하고 있다.[1][2]폭류(暴流)는 수류표고(隨流漂鼓)를 뜻한다. 즉, 번뇌가 중생으로 하여금 유전연기의 흐름에 따라 떠내려가 휘둘리게 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는 중생이 잡염(번뇌)에 수순(隨順)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폭류(暴流)는 특히 욕폭류(欲暴流)·유폭류(有暴流)·견폭류(見暴流)·무명폭류(無明暴流)의 4폭류(四暴流)를 말한다. 4폭류와 4액(四軛)은 뜻은 다르지만 실체(자성)는 같다.
4. 분류
폭류는 욕폭류(欲暴流), 유폭류(有暴流), 견폭류(見暴流), 무명폭류(無明暴流)의 네 가지로 분류된다. 이를 4류(四流), 4대폭하(四大暴河), 4폭하(四瀑河)라고도 부른다. 폭류는 번뇌를 의미하며, 번뇌가 선행(善行)을 휩쓸어 가는 것을 홍수가 집과 나무를 떠내려 보내는 것에 비유한 것이다.
4. 1. 4폭류
통상적으로 폭류는 욕폭류(欲暴流) · 유폭류(有暴流) · 견폭류(見暴流) · 무명폭류(無明暴流)의 4가지로 나뉜다. 4폭류는 4류(四流) · 4대폭하(四大暴河) 또는 4폭하(四瀑河)라고도 불린다. 폭류는 번뇌를 뜻하며, 번뇌가 선(善)을 떠내려보내는 것을 홍수가 집과 나무를 떠내려보내는 것에 비유한 것이다.- 욕폭류(欲暴流): 욕계에서 일으키는 탐(貪)·진(瞋)·만(慢)·의(疑) 등의 번뇌이다.[1] 눈, 귀, 코, 혀, 몸이 색, 소리, 냄새, 맛, 촉감 등 5가지 경계에 반응하여 일어나는 식상(識想), 즉 5욕(五欲)을 말한다.[2] 욕계의 탐, 진, 만, 의, 29혹(惑) 등이 욕폭류에 해당한다. 중생은 이 때문에 생사계(生死界)를 윤회한다.
- 유폭류(有暴流): 색계·무색계에서 일으키는 탐(貪)·만(慢)·의(疑) 등의 번뇌이다.[1] 색계 및 무색계의 탐, 만, 의 등 28혹(惑)이 유폭류에 해당한다.
- 견폭류(見暴流): 욕계·색계·무색계에서 일으키는 유신견(有身見)·변집견(邊執見)·사견(邪見)·견취견(見取見)·계금취견(戒禁取見) 등의 그릇된 견해이다.[1] 세상을 유한하거나 무한하다고 보거나, 세상이 항상되거나 무상하다고 하는 등 잘못된 견해를 말한다.[2] 삼계(三界)의 36가지 견해, 즉 욕계, 색계, 무색계의 12견(見)이 견폭류에 해당한다.
- 무명폭류(無明暴流): 욕계·색계·무색계에서 일으키는 치(癡)의 번뇌이다.[1] 삼계의 4제(諦)와 수도(修道)에서 일어나는 우치(遇癡)의 번뇌로, 모두 15가지가 있다. 삼계의 15가지 무명(無明), 즉 욕계, 색계, 무색계의 5가지 무명이 무명폭류에 해당한다.
폭류는 모든 유정(有情)의 뛰어난 행위를 표류시키고 빼앗는다는 의미에서 물의 폭류와 같다고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隨流漂鼓
http://hanja.naver.c[...]
2013-06-04
[2]
웹사이트
鼓
http://hanja.naver.c[...]
2013-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