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세카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폰세카만은 중앙아메리카 태평양 연안에 위치한 만으로,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3개국이 공유한다. 1522년 힐 곤잘레스 데 아빌라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후안 폰세카 대주교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폰세카만은 오랫동안 영토 분쟁의 대상이었으며, 특히 19세기 미국이 온두라스 횡단 운하 건설을 추진하면서 영국과 갈등을 겪었다. 1992년 국제사법재판소는 3개국이 만을 공동으로 관리하도록 판결했다. 폰세카만은 열대 및 아열대 기후를 보이며, 맹그로브 습지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폰세카만 | |
---|---|
개요 | |
![]() | |
위치 | 중앙아메리카 |
면적 | 3200 km² |
접경 국가 |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
지리 | |
해양 | 태평양 |
주요 섬 | 사카테 그란데 섬(Isla Zacate Grande) 엘 티그레 섬(Tiger Island) 사카티요 섬 메안게라 섬(Meanguera) 메안게리타 섬 콘차구이타 섬 마르틴 페레스 섬 에스포시시온 섬 가로보 섬 페리코 섬 |
2. 역사
폰세카만은 1522년 힐 곤잘레스 데 아빌라가 발견했으며, 그의 후원자인 후안 로드리게스 데 폰세카 대주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19세기 중반, 미국이 온두라스를 횡단하는 운하 건설을 추진하면서 영국과 갈등이 발생했다. 프레데릭 채트필드 영국 중앙아메리카 사령관은 온두라스에 대한 미국의 존재가 영국 모스키토 해안을 불안정하게 만들 것이라고 우려하여, 만 입구에 있는 엘 티그레 섬을 점령하기 위해 함대를 파견하기도 했다.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3국은 폰세카 만과 해안선, 그리고 그 안에 위치한 섬에 대한 권리를 두고 오랫동안 분쟁을 벌여왔다. 1917년 중앙 아메리카 사법 재판소는 폰세카만 분쟁에 대한 판결을 내렸으나, 미국은 이 결정을 무시했다.[2]
1989년 유엔 ONUCA 임무는 폰세카만에 대한 국제적 긴장을 다루었으며,[3] 1992년 국제사법재판소(ICJ)는 폰세카만 분쟁에 대해 최종 판결을 내렸다.
2. 1. 발견과 식민지 시대
1522년, 스페인 탐험가 힐 곤살레스 데 아빌라가 폰세카만을 발견하고, 그의 후원자인 후안 로드리게스 데 폰세카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1]
2. 2. 영토 분쟁
19세기 중반, 미국이 온두라스를 횡단하는 운하 건설을 추진하면서 영국과의 갈등이 발생했다. 프레데릭 채트필드 영국 중앙아메리카 사령관은 온두라스에 대한 미국의 존재가 영국 모스키토 해안을 불안정하게 만들 것이라고 우려하여, 만 입구에 있는 엘 티그레 섬을 점령하기 위해 함대를 파견했다. 그러나 E. G. 스콰이어는 영국의 점령을 예상하고 섬의 미국 임시 할양을 협상했기 때문에 영국에게 철수를 요구했고, 채트필드는 이에 따를 수밖에 없었다.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3국은 폰세카 만과 해안선, 그리고 그 안에 위치한 섬에 대한 권리를 두고 오랫동안 분쟁을 벌여왔다.
1917년, 중앙 아메리카 사법 재판소는 ''폰세카 사건''으로 알려진 재판에서 판결을 내렸다. 이 사건은 엘살바도르와 니카라과 간의 분쟁에서 비롯되었다. 니카라과는 브라이언-차모로 조약을 통해 해군 기지 설립을 위해 만의 일부를 미국에 할당했다. 엘살바도르는 이것이 만의 공동 소유에 대한 권리를 침해한다고 주장했다. 법원은 엘살바도르의 편을 들었지만, 미국은 이 결정을 무시했다.[2]
1992년, 국제 사법 재판소(ICJ)는 폰세카만 분쟁에 대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3국이 공동 관리권을 갖는다고 판결했다. 엘살바도르는 멩게라와 멩게리타 섬을, 온두라스는 엘 티그레 섬을 받았다.[16]
2. 3. 20세기 이후
1989년 유엔 ONUCA 임무는 폰세카만에 대한 국제적 긴장을 다루었다.[3] 이 지역의 지형 특성상 정적인 관측소의 효율성이 제한될 것이므로, 도로, 헬리콥터, 그리고 폰세카만과 인근 해역에서는 순찰선과 고속정을 이용하여 정기적인 순찰을 수행하는 이동 관측팀을 구성하는 것이 최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했다.[3]1992년, 국제사법재판소(ICJ)는 폰세카만 분쟁을 포함하는 육지, 섬 및 해상 국경 분쟁에 대한 판결을 내렸다. 국제사법재판소는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가 폰세카만의 통제권을 공유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엘살바도르는 멩게라와 멩게리타 섬을, 온두라스는 티그레 섬을 받았다.
3. 지리
폰세카만은 중앙아메리카 태평양 연안에 위치한 만으로, 온두라스, 니카라과, 엘살바도르 3개국에 걸쳐 있다. 면적은 약 3200km2이며, 해안선 길이는 261km에 달한다. 국가별 해안선 길이는 온두라스 185km, 니카라과 40km, 엘살바도르 29km이다.[4] 폰세카만 주변에는 자카테 그란데, 티그레 섬 등 여러 화산섬과 육지의 화산들이 분포하고 있다.
3. 1. 기후
폰세카만은 열대 기후와 아열대 기후의 특징을 보인다. 우기와 건기가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우기는 5월부터 11월까지로 이 시기에 연간 강수량의 약 80%에 해당하는 1400mm에서 1600mm의 비가 내린다.[4][9] 건기는 12월부터 다음 해 5월까지이며, 이 기간 동안 연간 2800mm의 물이 증발한다.[5][10] 이로 인해 폰세카만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줄어들어 바닷물이 역류하고, 하구의 염분 농도가 높아져 계절적 가뭄이 발생하기도 한다.[5][10]연평균 기온은 25°C에서 30°C 사이이다.[6][11] 3월과 4월이 가장 더운 달이며, 11월과 12월이 가장 시원하다. 상대 습도는 위치에 따라 65%에서 86% 사이로 나타난다.[6][11] 내륙 지역은 폰세카만보다 약간 낮은 평균 26°C의 기온을 보인다.[6][11]
3. 2. 생태
폰세카만은 면적이 3200km2인 맹그로브 숲이 발달한 습지 생태계이다. 해안선 길이는 261km이며, 이 중 185km는 온두라스, 40km는 니카라과, 29km는 엘살바도르에 속한다.[4]폰세카만은 열대 및 아열대 기후로, 우기와 건기가 뚜렷하다. 우기는 5월부터 11월까지이며, 이 기간 동안 연간 총 강수량의 거의 80%인 1400mm~1600mm의 비가 내린다.[9] 건기는 12월부터 5월까지이며, 연간 증발량은 2800mm에 달한다. 건기에는 폰세카만으로 유입되는 물이 적어 해류가 태평양에서 안쪽으로 흐르면서 하구의 염분 농도가 증가하고 계절적 가뭄이 발생한다.[5][10]
폰세카만의 평균 기온은 25°C~30°C 사이이며, 3월과 4월이 가장 덥고 11월과 12월이 가장 춥다. 상대 습도는 위치에 따라 65%에서 86% 사이로 달라진다.[6][11]
폰세카만의 습지 생태계는 맹그로브가 우세하다. 확인된 6종의 맹그로브 중 붉은 맹그로브(''Rhizophora mangle'')가 가장 흔하며, 대부분 조수 간만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 서식한다. 검은 맹그로브(''Avicennia germinans'')는 두 번째로 널리 분포하며, 해안선을 따라 퇴적물이 쌓이는 강 주변에서 주로 발견된다. 흰 맹그로브(''Laguncularia racemosa'')는 세 번째로 우세하고, 그 다음은 보톤실로(''Conocarpus erectus'')이며, 이 두 종은 일반적으로 내륙에 더 가깝고 조수의 영향을 덜 받는다. 종의 우세는 홍수 빈도, 수질, 염분 농도와 관련이 있다.[7]
폰세카만에서 조수의 진폭은 하루 평균 2.3m이다. 썰물 때면 게, 소라 등이 나타나고, 만조 시에는 맹그로브 숲이 물고기, 새우 등의 먹이 공급 및 서식지가 되며, 맹그로브 뿌리는 포식자로부터의 피난처를 제공한다.[8][12] 맹그로브에는 ''Avicennia bicolor''가 있으며, 주변에는 테오신테(teosinte)의 ''Zea luxurians'', ''Zea nicaraguensis'' 등의 식물이 자란다. 이 일대에는 Wilson's plover|윌슨물떼새영어, 검은가슴물떼새 등의 물새와 매부리거북, 켐프각시거북, 아메리카악어, 붉은바다거북 등의 파충류가 서식한다.[13][14]
1999년 온두라스의 남온두라스 습지 시스템[13], 2001년 니카라과의 에스테로 레알 자연 보호 구역과 랴노스 데 아파쿵카 유전자 보호 구역이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14]

4. 대중문화
소설 호레이쇼 혼블로워 시리즈의 《행복한 귀환》(원제: Beat to Quarters|비트 투 쿼터스영어)의 일부는 폰세카만에서 진행된다.
참조
[1]
서적
Fonseca, Bay of
[2]
웹사이트
El Salvador v. Nicaragua, CACJ, Judgment of 9 March 1917, 11 Am. J. Int'l L. 674 (1917)
http://www.worldcour[...]
2017-06-04
[3]
웹사이트
ONUCA - Background
https://peacekeeping[...]
[4]
간행물
Honduran Secretariat of Industry and Commerce
2002
[5]
간행물
El Comité para la Defensa y Desarrollo de la Flora y Fauna del Golfo de Fonseca (CODDEFFAGOLF)
2001
[6]
간행물
Honduran Secretariat of Industry and Commerce
2002
[7]
간행물
Sanchez
1999
[8]
간행물
CODDEFFAGOLF
2001
[9]
간행물
Honduran Secretariat of Industry and Commerce
2002
[10]
간행물
El Comité para la Defensa y Desarrollo de la Flora y Fauna del Golfo de Fonseca (CODDEFFAGOLF)
2001
[11]
간행물
Honduran Secretariat of Industry and Commerce
2002
[12]
간행물
CODDEFFAGOLF
2001
[13]
웹사이트
Sistema de Humedales de la Zona Sur de Honduras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3-28
[14]
웹사이트
Deltas del Estero Real y Llanos de Apacunca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3-28
[15]
서적
Fonseca, Bay of
https://archive.org/[...]
[16]
웹사이트
El Salvador v. Nicaragua, CACJ, Judgment of 9 March 1917, 11 Am. J. Int'l L. 674 (1917)
http://www.worldcour[...]
2017-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