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폴란드 인민군의 전투 서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란드 인민군의 전투 서열은 1945년과 1985년 두 시점으로 나뉘어 제시된다. 1945년에는 동부군 최고사령부, 제1군, 제2군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군에는 사단, 여단, 연대 등 다양한 병력이 배속되었다. 1985년에는 육군, 공군, 해군, 방공군, 지역방위군/내무군으로 구성되었으며, 육군은 3개의 군구와 육군 총사령부 예하 부대로, 공군은 4개의 항공군단과 항공 전투보급수송사령부로, 해군은 해군 사령부, 수상함대, 해군보병 및 함대육상보급부, 해군 항공대로, 방공군은 3개의 방공군단으로, 지역방위군/내무군은 내무군 병력과 지상방위병력, 부교가설부대 등으로 각각 편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 인민군 - 폴란드 인민공화국 육군
    폴란드 인민공화국 육군은 냉전 시대 바르샤바 조약군의 일원으로서 폴란드 인민공화국의 지상군을 담당했으며 동유럽 최대 규모의 기계화 부대 중 하나였으나, 반소 감정과 열악한 환경으로 사기 문제가 있었다.
  • 폴란드 인민군 - 폴란드 인민공화국 방공군
    폴란드 인민공화국 방공군은 폴란드 영공 방어를 위해 1957년 창설되어 S-75, S-125, S-200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을 운용했으며, 1990년 공군과 통합되었다.
  • 전투 서열 - 1991년~1995년 크로아티아 특수경찰의 전투 서열
    1991년부터 1995년까지 크로아티아 특수경찰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정규군 부재로 인해 창설되어, 루츠코 대테러 부대를 시작으로 내무부 직속 부대와 지역별 부대로 나뉘어 주요 작전에 참여하고 많은 사상자를 냈다.
  • 전투 서열 - 2003년 이라크 침공의 전투 서열
    2003년 이라크 침공의 전투 서열은 연합군 지상 작전을 지휘한 CFLCC와 침공에 참여한 미군, 영국군, 그리고 북부, 동부, 남부에 배치되어 저항한 이라크군의 주요 부대 편성을 포함한다.
폴란드 인민군의 전투 서열

2. 1945년 폴란드 동부군 전투 서열

2. 1. 폴란드 동부군 최고사령부

2. 1. 1. 최고사령부 직할 예비대


  • 제11보병사단
  • 제12보병사단
  • 제13보병사단
  • 제14보병사단
  • 제1전차군단(제2군 배속)
  • 제7중전차연대
  • 제10중포병연대
  • 제46로켓포병연대
  • 제49로켓포병연대
  • 제51로켓포병연대
  • 제11대전차포병여단
  • 제52대전차포병여단
  • 제4대공포병사단
  • 제32대공포병연대
  • 제2공병여단
  • 제5공병여단
  • 제3가설공병여단

2. 1. 2. 폴란드 동부군 제1군(제1벨로루시전선군 배속)


  • 제1보병사단
  • 제2보병사단
  • 제3보병사단
  • 제4보병사단
  • 제6보병사단
  • 제1기갑여단
  • 제1기병여단
  • 제4중전차연대
  • 제5포병사단(HQ)
  • 제1포병여단
  • 제3포병여단
  • 제2곡사포병여단
  • 제5중포병여단
  • 제4대전차포병여단
  • 제13대전차포병여단
  • 제1대공포병사단
  • 제1공병여단

2. 1. 3. 폴란드 동부군 제2군(제1우크라이나 전선군 배속)


  • 제5보병사단
  • 제7보병사단
  • 제8보병사단
  • 제9보병사단
  • 제10보병사단
  • 제16기갑여단
  • 제5 중전차여단
  • 제2포병사단(HQ)
  • 제6경포병여단
  • 제7곡사포병여단
  • 제8중포병여단
  • 제9대전차포병여단
  • 제14대전차포병여단
  • 제28대전차포병연대
  • 제3대공포병사단
  • 제3박격포연대
  • 제4공병여단

3. 1985년 폴란드 인민군 전투 서열

3. 1. 폴란드 인민공화국 국방부

3. 2. 폴란드 인민군

폴란드 인민군은 육군, 공군, 해군, 방공군, 지역방위군/내무군으로 구성되었다.

  • 육군 총사령부(바르샤바)는 전시 바르샤바 조약기구 북부 전선군을 형성했다.
  • 전선 사령부
  • 제6 '포모르스카' 공중강습사단 (크라쿠프)
  • 제7 '뤼지카' 해상공격여단 (그단스크, 1986년 제7'뤼지카' 해안방어여단으로 감축)
  • 제1 '바르샤바스카' 공병여단
  • 제2신호연대
  • 제3 '바르샤바스카' 미사일포병여단
  • 제4화학방어여단
  • 제2내부신호연대
  • 제2통신기술정찰연대
  • 제8전자전연대
  • 제10통신위치정찰연대
  • 제15대공포병연대
  • 제61지대공미사일포병연대
  • 제91 '바이헤로보' 대전차포병연대
  • 제1돌격대대(특수부대)
  • 포메라니아 군구(비드고슈치, 전시 91,000명의 병사들로 제1제병협동군 형성)
  • 제8 '드레츠덴스카' 기계화보병사단
  • 제12 '슈체친' 기계화보병사단
  • 제15인민근위기계화보병사단
  • 제16 '카슈브츠카' 기갑사단
  • 제20 '바르샤바' 기갑사단
  • 제2 '포모르스카' 포병여단
  • 제5 '마주르스카' 공병여단
  • 제6 '바르샤바스카' 직사포병여단
  • 제7곡사포병여단
  • 제2 '포모르스키' 화학방어연대
  • 제4 '뤼지키' 신호연대
  • 제14 '수데츠키' 대전차포병연대
  • 제56특수중대
  • 실레지아 군구(브로츠와프, 전시 89,500명의 병사들로 제2제병협동군 형성)
  • 제2 '바르샤바스카' 기계화보병사단
  • 제4 '포모르스카' 기계화보병사단
  • 제5 '사스카' 기갑사단
  • 제10 '수데차' 기갑사단
  • 제11 '드레츠덴스카' 기갑사단
  • 제4 '뤼지카' 공병여단
  • 제5 '포모르스카' 직사포병여단
  • 제14곡사포병여단
  • 제18포병여단
  • 제1화학방어여단
  • 제6보안연대
  • 제10 '사스키' 신호연대
  • 제20대전차포병연대
  • 제62특수부대중대
  • 바르샤바 군구(바르샤바, 전시 64,700명의 병사들로 제4제병협동군 편성)
  • 제1 '바르샤바스카' 기계화보병사단
  • 제3 '포모르스카' 기계화보병사단
  • 제9기계화보병사단
  • 제1 '바르샤바스카' 직사포병여단
  • 제8곡사포병여단
  • 제2 '바르샤바스카' 공병여단
  • 제32 '뤼지카' 포병여단
  • 제3화학방어연대
  • 제5 포달레 소총병 연대
  • 제9신호연대
  • 제15대공포병연대
  • 제80대전차포병대대
  • 제48특수부대중대

3. 2. 1. 육군 총사령부


  • 육군 총사령부(바르샤바)는 전시 바르샤바 조약기구 북부 전선군을 형성했다.
  • 전선 사령부
  • 제6 '포모르스카' 공중강습사단 (크라쿠프)
  • 제7 '뤼지카' 해상공격여단 (그단스크, 1986년 제7'뤼지카' 해안방어여단으로 감축)
  • 제1 '바르샤바스카' 공병여단
  • 제2신호연대
  • 제3 '바르샤바스카' 미사일포병여단
  • 제4화학방어여단
  • 제2내부신호연대
  • 제2통신기술정찰연대
  • 제8전자전연대
  • 제10통신위치정찰연대
  • 제15대공포병연대
  • 제61지대공미사일포병연대
  • 제91 '바이헤로보' 대전차포병연대
  • 제1돌격대대(특수부대)
  • 포메라니아 군구(비드고슈치, 전시 91,000명의 병사들로 제1제병협동군 형성)
  • 제8 '드레츠덴스카' 기계화보병사단
  • 제12 '슈체친' 기계화보병사단
  • 제15인민근위기계화보병사단
  • 제16 '카슈브츠카' 기갑사단
  • 제20 '바르샤바' 기갑사단
  • 제2 '포모르스카' 포병여단
  • 제5 '마주르스카' 공병여단
  • 제6 '바르샤바스카' 직사포병여단
  • 제7곡사포병여단
  • 제2 '포모르스키' 화학방어연대
  • 제4 '뤼지키' 신호연대
  • 제14 '수데츠키' 대전차포병연대
  • 제56특수중대
  • 실레지아 군구(브로츠와프, 전시 89,500명의 병사들로 제2제병협동군 형성)
  • 제2 '바르샤바스카' 기계화보병사단
  • 제4 '포모르스카' 기계화보병사단
  • 제5 '사스카' 기갑사단
  • 제10 '수데차' 기갑사단
  • 제11 '드레츠덴스카' 기갑사단
  • 제4 '뤼지카' 공병여단
  • 제5 '포모르스카' 직사포병여단
  • 제14곡사포병여단
  • 제18포병여단
  • 제1화학방어여단
  • 제6보안연대
  • 제10 '사스키' 신호연대
  • 제20대전차포병연대
  • 제62특수부대중대
  • 바르샤바 군구(바르샤바, 전시 64,700명의 병사들로 제4제병협동군 편성)
  • 제1 '바르샤바스카' 기계화보병사단
  • 제3 '포모르스카' 기계화보병사단
  • 제9기계화보병사단
  • 제1 '바르샤바스카' 직사포병여단
  • 제8곡사포병여단
  • 제2 '바르샤바스카' 공병여단
  • 제32 '뤼지카' 포병여단
  • 제3화학방어연대
  • 제5 포달레 소총병 연대
  • 제9신호연대
  • 제15대공포병연대
  • 제80대전차포병대대
  • 제48특수부대중대

3. 2. 2. 폴란드 공군


  • 제4항공군단
  • * 제7폭격정찰연대(포비지) - Su-20 전폭기 두개 편대
  • * 제32전술 및 포병항공정찰연대(소하체프) - MiG-21R 정찰기 3개 편대
  • * 제13항공수송연대(발리체) - An-26 수송기 1개 편대, An-2 수송기 1개 편대, IL-14 및 An-12 수송기 1개 편대
  • * 제2전투폭격항공사단
  • ** 제6전투폭격연대(피와) - MiG-17F 전폭기 세개 편대
  • ** 제21폭격정찰연대(포비지) - MiG-17F 전폭기 두개 편대
  • ** 제45전투폭격연대(바비모스트) - MiG-17F 전폭기 세개 편대
  • * 제3전투폭격항공사단
  • ** 제3전투폭격연대(비드고슈치) - Su-7BM/BKL 전폭기 세개 편대
  • ** 제8전투폭격연대(미로슬라비에츠) - MiG-17F 전폭기 세개 편대
  • ** 제40전투폭격연대(스비트빈) - MiG-17PF 전폭기 세개 편대
  • * 제4항공사단
  • ** 제2전투비행연대(골레니우프) - MiG-21PFM 전투기 세개 편대
  • ** 제9전투비행연대(데브르즈노) - MiG-21M/MF 전투기 세개 편대
  • ** 제41전투비행연대(말보르크) - MiG-21MF 전투기 세개 편대
  • 항공 전투보급수송사령부
  • * 제32항공요격비행단
  • * 제49헬기비행단
  • * 제56헬기비행단
  • * 제17항공수송비행단
  • * 제36항공수송비행단
  • * 제37항공수송비행단

3. 2. 3. 폴란드 해군


  • 폴란드 해군 사령부
  • * 해군 정치 및 지휘 사령부
  • ** 해군 중앙 군악대
  • * 폴란드 수상함대
  • ** 제3임무부대
  • ** 제8해안방어임무부대
  • ** 제9해안방어임무부대
  • * 폴란드 해군보병 및 함대육상보급부
  • ** 제9포대
  • ** 제1기술전단
  • * 폴란드 해군 항공대
  • ** 제7해군전투공격비행단
  • ** 제16특수비행단
  • ** 제15초계비행단
  • ** 제18항공정비대대
  • ** 제42함대대체전대

3. 2. 4. 폴란드 방공군


  • 제1방공군단 - 바르샤바
  • * 제1방공전투기연대
  • * 제10방공전투기연대
  • * 제3방공지대공미사일여단
  • * 제1방공통신기술연대
  • 제2방공군단 - 비드고슈치
  • * 제26방공전투기연대
  • * 제28방공전투기연대
  • * 제34방공전투기연대
  • * 제4방공지대공미사일여단
  • * 제26방공지대공미사일여단
  • * 제2방공통신기술연대
  • 제3방공군단
  • * 제11방공전투기연대
  • * 제39방공전투기연대
  • * 제62방공전투기연대
  • * 제1방공지대공미사일여단
  • * 제79방공대공포연대
  • * 제3방공통신기술연대

3. 2. 5. 지역방위군/내무군


  • 국가국방위원회 산하 내무군 병력
  • * 제1내무방위군여단
  • * 제2내무방위군여단
  • * 제5내무방위군여단
  • * 제14내무방위군여단
  • * 제8내무방위군여단
  • * 제20내무방위군보급여단
  • * 제2내무방위군신호연대
  • 내무군 지상방위병력
  • * 제3내무방위군여단
  • * 제13내무방위군여단
  • * 제15내무방위군여단
  • * 제10내무방위군여단
  • 내무방위군 부교가설부대
  • 내무방위군 공학 및 수색부대
  • * 제2내무방위군 공학 및 수색대대
  • * 제4내무방위군 공학 및 수색대대
  • * 제6내무방위군 공학 및 수색대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