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푸방 가디언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방 가디언스는 1989년 타이중시를 연고로 아마추어 팀으로 창단하여 1993년 쥔궈 베어스로 중화 직업봉구 대연맹(CPBL)에 가입했다. 1995년 싱농 그룹에 인수되어 싱농 베어스가 되었고, 1996년 싱농 불스로 팀명을 변경했다. 2012년 이롄 그룹에 매각되어 EDA 라이노스로, 2016년 푸방 금융 홀딩스에 인수되어 현재의 푸방 가디언스가 되었다. 푸방 가디언스는 2004년, 2005년, 2016년에 타이완 시리즈에서 우승했으며, 여러 한국인 선수 및 코치들과 인연을 맺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3년 설립된 야구팀 - 그린빌 드라이브
    그린빌 드라이브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그린빌을 연고로 하는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팀으로, 보스턴 레드삭스의 팜 팀이며, 플루오르 필드 앳 더 웨스트 엔드를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2017년과 2023년 사우스 애틀랜틱 리그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 1993년 설립된 야구팀 - 마이애미 말린스
    마이애미 말린스는 1993년 창단하여 두 차례 월드 시리즈 우승을 했으나, 선수 매각과 재정적 어려움, 팀명 변경, 새로운 구장 이전, 여성 단장 부임, 포스트시즌 진출 등 변화를 겪으며 꾸준히 성적 부진과 팬들의 기대치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팀이다.
  • 대만의 프로 야구팀 - 중신 브라더스
    중신 브라더스는 형제 호텔 야구단으로 시작하여 슝디 엘리펀츠를 거쳐 CTBC 홀딩스에 매각된 후 중신 브라더스로 팀명을 변경했고, 2021년과 2022년에 연간 챔피언을 차지하며 총 16번의 리그 우승을 기록했다.
  • 대만의 프로 야구팀 - 라쿠텐 몽키스
    라쿠텐 몽키스는 2003년에 창단된 대만의 프로 야구팀으로, 여러 차례 팀명과 구단주가 변경되었으며, 타이완 시리즈에서 총 7번 우승했고, 라쿠텐 그룹에 인수되어 현재의 팀명을 사용한다.
푸방 가디언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푸방 가디언스 로고
리그중화 직업봉구 대연맹
연고지신베이시
홈구장신좡 야구장
창단1993년
마스코트Frankie, Bonnie
색상파란색
구단주푸본 금융 지주
감독천진펑
단장린화웨이
사장차이청타오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우승 기록
아시아 시리즈없음
타이완 시리즈2004년, 2005년, 2016년
팀 역사
이전 이름쥔궈 베어스 (1993년–1995년)
싱농 베어스 (1996년)
싱농 불스 (1996년–2012년)
EDA 라이노스 (2013년–2016년)
영구 결번
영구 결번39
포스트 시즌 진출
포스트 시즌 진출1998년, 2000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10년, 2013년, 2016년, 2018년

2. 역사

푸방 가디언스는 1989년 타이중시를 연고로 한 아마추어 팀으로 창단되었다. 1993년 쥔궈 베어스(俊國熊|쥔궈슝중국어)라는 이름으로 중화 직업봉구 대연맹(CPBL)에 가입했다.[5] 1995년 11월 싱농 그룹에 인수되어 싱농 베어스로, 1996년 6월에는 싱농 불스로 팀명이 변경되었다.[5]

싱농 불스는 2004년과 2005년에 타이완 시리즈에서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2005년에는 아시아 시리즈에 참가하여 1승 2패를 기록했다.

2012년 12월, 이롄 그룹이 싱농 불스를 (한화 약 48억 원)에 인수하여 팀명을 EDA 라이노스(義大犀牛|이따 라이노스중국어)로 변경하였다.[6] 2013년에는 매니 라미레즈를 영입하여 리그 흥행에 기여했다. EDA 라이노스는 2013년 전기 시즌 우승을 차지했지만, 퉁이 라이온스와의 대만 시리즈에서는 패했다. 2016년에는 대만 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16년 11월, 푸본 금융 홀딩이 팀을 인수하면서 팀명을 푸방 가디언스(富邦悍將|푸방한장중국어)로 변경하고, 홈 구장을 신좡 체육장 야구장으로 이전했다.[3][4]

2. 1. 창단과 초기 (1989-1995)

푸방 가디언스는 1989년 타이중시를 연고로 한 아마추어 팀으로 창단되었다.[5] 1993년, 쥔궈 베어스(俊國熊|쥔궈슝중국어)라는 이름으로 CPBL에 가입했다.[5] 쥔궈 베어스는 1992년 하계 올림픽 야구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중화 타이베이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들을 흡수하여 프로화되었으며, 타이중 야구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쥔궈 베어스는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는데, 이는 주로 당시 쥔궈 기업 회장이었던 천이핑(陳一平)의 논란이 많은 리더십 스타일 때문이었다.[5] TV 방송 권리 및 로열티 분배를 둘러싼 갈등 끝에, 1995년 11월 CPBL의 다른 팀들은 천이핑과 쥔궈 기업의 CPBL 내 모든 법적 권리를 박탈했다.[5] 이후 싱농 그룹이 팀을 인수하여 1995년 11월에는 싱농 베어스로, 1996년 6월에는 싱농 불스로 팀명이 변경되었다.[5]

2. 2. 싱농 불스 시대 (1996-2012)

싱농 불스(Sinon Bulls)는 1996년에 창단되었으며, 타이중시에 본사를 둔 싱농 그룹이 소유했다. 싱농 그룹은 중부 대만을 통해 농산물, 보험, 슈퍼마켓 체인으로 유명하다. 1993년부터 1995년까지는 쥔궈 베어스[5], 1996년 전반에는 싱농 베어스였으며, 1996년 후반부터 싱농 불스로 개칭되었다.

첫 시즌 부진 이후, 불스는 1997년 후반기 시즌에 처음으로 승리 기록을 세웠고, 1998년에는 정규 시즌 전체에서 처음으로 이를 달성했다. 이 시즌에서 불스는 처음으로 챔피언십 시리즈에 진출하여 웨이취안 드래곤스에게 4승 3패로 패했다. 싱농은 2000년과 2003년에도 결승에 진출했지만, 두 번 모두 패했다.

2004년에 불스는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타이완 시리즈 첫 우승을 하였다. 이듬해에는 마코토 코브라스를 스윕하며 2년 연속 타이완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고, 3년 연속 챔피언십 시리즈에 진출했다. 불스는 4년 연속 플레이오프에 진출(2003–2006)했는데, 이는 1996년부터 1999년까지 4년 연속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던 웨이취안 드래곤스와 함께 CPBL 기록을 공유했다.

불스는 또한 2005년 타이완 시리즈 우승 후 일본에서 열린 제1회 코나미컵 아시아 시리즈에 참가했다. 중국 리그 올스타팀을 꺾었지만, 일본과 한국의 챔피언에게 패하며 1승 2패를 기록했다.

2012 시즌이 끝날 무렵, 싱농 그룹은 팀 매각 의사를 발표했다.[6] 12월 17일, 이롄 그룹이 인수하여 팀명은 "이따 라이노스(義大犀牛)"가 되었다.

2. 3. EDA 라이노스 시대 (2013-2016)

2012년 12월 17일, 이롄 그룹이 싱농 불스를 (한화 약 48억 원)에 인수하여 팀명을 EDA 라이노스(義大犀牛|이따 라이노스중국어)로 변경하였다.[6] EDA 라이노스는 가오슝 시의 리더 야구장과 징칭후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였다.

2013년, EDA 라이노스는 매니 라미레즈를 영입하며 화제를 모았다.[1] 매니 라미레즈의 활약으로 대만 프로 야구의 관객 동원 수가 대폭 증가하기도 했다. 같은 해, 대만 출신 전 MLB 선수 후친룽도 팀에 합류하였다. EDA 라이노스는 2013년 전기 시즌 우승을 차지했지만, 퉁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스와의 대만 시리즈에서는 4연패로 패하며 통합 우승에는 실패했다. 2013년 아시아 시리즈에서는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캔버라 캐벌리에게 연패하여 예선 리그에서 탈락했다.

매니 라미레즈는 2013년에 EDA 라이노스에서 선수로 뛰었다.


2016년 6월, 이롄 그룹은 팀 매각 의사를 발표했다.[2] EDA 라이노스는 2016년 CPBL 후반기 우승을 차지하고, 대만 시리즈에 진출하여 차이나트러스트 브라더스를 4-2로 꺾고 2005년 이후 첫 우승을 달성했다.[2] 이는 싱농 불스 시절을 포함하여 11년 만의 3번째 우승이었다.

2. 4. 푸방 가디언스 시대 (2017-현재)

2016년 11월, 푸본 금융 홀딩이 팀을 인수하면서 팀명을 푸방 가디언스(富邦悍將|푸방한장중국어)로 변경하고, 홈 구장을 청칭후 야구장에서 신좡 체육장 야구장으로 이전했다.[3][4]

3. 팀명과 연고지 변천


  • 1989년 - 타이중시를 연고로 한 아마추어 팀으로 창단되었다.
  • 1993년 - 쥔궈 베어스(俊國熊|쥔궈슝중국어)라는 이름으로 CPBL에 가입했다.
  • 1995년 11월 - 싱농 그룹에 주식 55%를 매각하면서 싱농 베어스로 팀명이 변경되었다.
  • 1996년 6월 - 싱농 그룹이 모든 주식을 인수하여 싱농 불스로 팀명이 변경되었다.
  • 2004년 - 타이완 시리즈에서 첫 우승을 달성했다.
  • 2005년 - 타이완 시리즈 2연패를 달성했다. 같은 해 아시아 시리즈에 참가하여 1승 2패를 기록했다.
  • 2012년 12월 - 이롄 그룹에 (한화 약 48억 원)에 구단을 매각하면서 EDA 라이노스로 팀명이 변경되었다.
  • 2016년 11월 - 푸방 금융지주가 구단을 인수하면서 푸방 가디언스로 팀명이 변경되었다.[3][4]

4. 역대 감독

번호이름재임 기간포스트시즌 진출우승
예쥔장2016–201800
17천롄훙2018–201910
18훙이중2020–202100
19치우창룽2021–202300
20천진펑2024–현재00


5. 주요 선수

푸방 가디언스의 전신 EDA 라이노스는 2013년 매니 라미레즈[1]를 영입했고, 같은 해 후진룽도 팀에 합류했다.

; 선수

이름비고
간빙훈
양젠푸
선위제
장자하오
예쥔장
셰자셴
장타이산
린이췐
장젠밍
제이 커크패트릭 (괴력남)
마크 키퍼 (펑캉)
멜 로하스 (신펑캉)
렌 피코타 (잔위페이)
호르헤 코르테스 (커테이즈)
페드로 릴리아노 (워러)
센디 레알 (레이오)
마이클 테헤라 (마이크)
피트 라포레스트 (워러페이)입단 테스트 응시
팀 할리카라 (하리카라)1군 출장 없음
마이크 로리 (뤄리)
뤄자런
니푸더
린저쉬안
후진룽
가오궈후이
황성슝
제시 잉글리시 (英克)
닉 그린 (니克)
루이스 비스카이노 (坎諾)
프레디 가르시아 (賈西亞)
라이언 롤랜드스미스 (史密斯)
앤드루 시스코 (希克)
스코트 리치먼드 (力猛)
매니 라미레즈 (曼尼)[1]
스코트 캠벨 (坎貝爾)입단 테스트 응시
헤수스 콜로메 (賀司)과거 도핑으로 계약 파기
쩡쑹웨이
궈훙즈
천훙원
장즈셴
왕성웨이
왕웨린
천스펑
장위청
코리 리오던 (루이얼덩)
스콧 리치몬드 (리멍)
브루스 빌링스 (부루스)
테일러 조던 (차오덩)
헨리 소사 (숴사)
트래비스 반와트 (반화더)
라이언 볼린저 (바오린제)
JC 라미레스 (제스)
아달베르토 메히아 (멍한)
딜런 언스워스(디룬)
호세 발데스(웨이디즈)
태너 앤더슨(안더성)
브랜든 브레넌(부란덩)
키버스 섐슨(거웨이스)
로에니스 엘리아스(리야스)
에두아르도 누녜스 (니우나스)
헥터 노에시 (나언스)1군 출장 없음
루이스 에스코바(아이쓰카이)1군 출장 없음



; 감독/코치

이름비고
예쥔장
장자하오
선위제
앤드루 시스코 (希克)
천롄훙
왕젠민
훙이중
중청유
잔즈야오
천진펑
가오궈후이
마이클 테헤라 (맥)
브루스 빌링스 (부루스)


5. 1. 현역 선수

등번호선수명비고
00천핀훙2024년 드래프트 4위
12장궈하오
16판이청
17황쯔천
18황바오뤄
19장이2024년 드래프트 2위
21란카이칭
23벤 브레이머등록명 "반언"
25라이즈위안
34왕웨이융
37아론 리셔등록명 "란리"
48위에사오화
50우스하오
54리젠쉰
57어우수청
58천성원
60쩡쥔위에
64니발도 로드리게스등록명 "뤄거"
66리둥밍
70장루이린
71장사오칭
73린왕시
74잭 라보스키등록명 "제거"
75천이중2024년 드래프트 3위
80유팅웨이
81천스펑
87엔더슨 프랑코등록명 "푸란거"
89린위천
94린전청
96궈타이청
013황잉치2024년 드래프트 7위
미정로에니스 엘리아스신규 외국인 선수
등록명 "리야스"



등번호선수명투구타구비고
10야오관웨이
43황웨이
61샤오이밍
69장진더
95다이페이펑
015루보화2024년 드래프트 5위
715천싱자신규 입단
자체 육성 선수



등번호선수명비고
0판웨이샹2024년 드래프트 8위
1린저쉔
7천전
9린팅위
14왕이청
29선하오웨이
33장관팅
35왕정탕
65차이자옌
76리유시앤
77저우자러
82쿵녠언
98가오궈린


5. 2. 은퇴 선수 및 주요 OB



; 선수

이름비고
간빙훈
양젠푸
선위제
장자하오
예쥔장
셰자셴
장타이산
린이췐
장젠밍
제이 커크패트릭 (괴력남)
마크 키퍼 (펑캉)
멜 로하스 (신펑캉)
렌 피코타 (잔위페이)
호르헤 코르테스 (커테이즈)
페드로 릴리아노 (워러)
센디 레알 (레이오)
마이클 테헤라 (마이크)
피트 라포레스트 (워러페이)입단 테스트 응시
팀 할리카라 (하리카라)1군 출장 없음
마이크 로리 (뤄리)
뤄자런
니푸더
린저쉬안
후진룽
가오궈후이
황성슝
제시 잉글리시 (英克)
닉 그린 (니克)
루이스 비스카이노 (坎諾)
프레디 가르시아 (賈西亞)
라이언 롤랜드스미스 (史密斯)
앤드루 시스코 (希克)
스코트 리치먼드 (力猛)
매니 라미레즈 (曼尼)[1]
스코트 캠벨 (坎貝爾)입단 테스트 응시
헤수스 콜로메 (賀司)과거 도핑으로 계약 파기
쩡쑹웨이
궈훙즈
천훙원
장즈셴
왕성웨이
왕웨린
천스펑
장위청
코리 리오던 (루이얼덩)
스콧 리치몬드 (리멍)
브루스 빌링스 (부루스)
테일러 조던 (차오덩)
헨리 소사 (숴사)
트래비스 반와트 (반화더)
라이언 볼린저 (바오린제)
JC 라미레스 (제스)
아달베르토 메히아 (멍한)
딜런 언스워스(디룬)
호세 발데스(웨이디즈)
태너 앤더슨(안더성)
브랜든 브레넌(부란덩)
키버스 섐슨(거웨이스)
로에니스 엘리아스(리야스)
에두아르도 누녜스 (니우나스)
헥터 노에시 (나언스)1군 출장 없음
루이스 에스코바(아이쓰카이)1군 출장 없음



; 감독/코치

이름비고
예쥔장
장자하오
선위제
앤드루 시스코 (希克)
천롄훙
왕젠민
훙이중
중청유
잔즈야오
천진펑
가오궈후이
마이클 테헤라 (맥)
브루스 빌링스 (부루스)


6. 한국과의 관계

현재 푸방 가디언스와 한국과의 관계는 명확하게 드러난 바가 없다. 제공된 자료에는 선수 명단만 나열되어 있으며, 이들 중 한국과 관련된 선수는 확인되지 않는다.

7. 성적

푸방 가디언스의 역대 시즌 성적은 다음과 같다.

시즌승률순위
쥔궈 베어스
199340 (21/19)47 (24/23)3 (0/3).460 (.467/.452)4 (4/4)
199429 (14/15)59 (31/28)2 (0/2).330 (.311/.349)6 (6/6)
199540 (19/21)58 (30/28)2 (1/1).408 (.388/.429)6 (6/6)
싱농 불스
199628 (14/14)69 (36/33)3 (0/3).289 (.280/.298)6 (6/6)
199745 (20/25)48 (26/22)3 (2/1).484 (.435/.532)3 (5/3)
1998584520.5631
1999306120.3306
200051 (27/24)38 (17/21)1 (1/0).573 (.614/.533)1 (1/2)
200134 (17/17)51(25/26)5 (3/2).400 (.405/395)4 (4/4)
200244 (21/23)45 (23/22)1 (1/0).494 (.477/.511)3 (3/3)
200362 (34/28)32 (15/17)6 (1/5).660 (.695/.622)2 (1/3)
200452 (25/27)43 (22/21)5 (3/2).547 (.532/.563)2 (2/1)
200553 (28/25)42 (21/21)6 (2/4).558 (.571/.543)1 (2/1)
200648 (25/23)49 (23/26)3 (2/1).495 (.521/.469)3 (3/3)
200742 (24/18)57 (25/32)1 (1/0).424 (.490/390)6 (4/6)
200837 (19/18)61 (30/31)1 (1/0).378 (.388/.367)6 (6/5)
200957 (29/28)60 (29/31)3 (2/1).487 (.500/.475)3 (3/3)
201065 (36/29)53 (23/30)2 (1/1).551 (.610/.492)1 (1/3)
201145 (20/25)72 (38/34)3 (2/1).385 (.345/.424)4 (4/4)
201238 (22/16)77 (35/42)5 (3/2).330 (.386/.276)4 (4/4)
EDA 라이노스
201362 (35/27)57 (24/33)1 (1/0).521 (.593/.450)2 (1/4)



싱농 불스는 1998년, 2000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10년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2004년과 2005년에는 대만 시리즈에서 우승했다. 2005년에는 아시아 시리즈에 참가하여 1승 2패를 기록했다.[1]

EDA 라이노스는 2013년 전기 리그, 2016년 후기 리그에서 우승했고, 2016년 대만 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 포스트시즌

연도팀명리그 우승대만 시리즈 우승
1998년싱농 불스OX
2000년싱농 불스OX
2003년싱농 불스OX
2004년싱농 불스OO
2005년싱농 불스OO
2010년싱농 불스OX
2013년EDA 라이노스OX
2016년EDA 라이노스OO



; 아시아 시리즈

연도풀 리그결승 라운드
순위상대팀결과
2005123탈락
EDA 라이노스(EDA Rhinos)
2013023탈락


7. 1. 정규 시즌

시즌승률순위
쥔궈 베어스
199340 (21/19)47 (24/23)3 (0/3).460 (.467/.452)4 (4/4)
199429 (14/15)59 (31/28)2 (0/2).330 (.311/.349)6 (6/6)
199540 (19/21)58 (30/28)2 (1/1).408 (.388/.429)6 (6/6)
싱농 불스
199628 (14/14)69 (36/33)3 (0/3).289 (.280/.298)6 (6/6)
199745 (20/25)48 (26/22)3 (2/1).484 (.435/.532)3 (5/3)
1998584520.5631
1999306120.3306
200051 (27/24)38 (17/21)1 (1/0).573 (.614/.533)1 (1/2)
200134 (17/17)51(25/26)5 (3/2).400 (.405/395)4 (4/4)
200244 (21/23)45 (23/22)1 (1/0).494 (.477/.511)3 (3/3)
200362 (34/28)32 (15/17)6 (1/5).660 (.695/.622)2 (1/3)
200452 (25/27)43 (22/21)5 (3/2).547 (.532/.563)2 (2/1)
200553 (28/25)42 (21/21)6 (2/4).558 (.571/.543)1 (2/1)
200648 (25/23)49 (23/26)3 (2/1).495 (.521/.469)3 (3/3)
200742 (24/18)57 (25/32)1 (1/0).424 (.490/390)6 (4/6)
200837 (19/18)61 (30/31)1 (1/0).378 (.388/.367)6 (6/5)
200957 (29/28)60 (29/31)3 (2/1).487 (.500/.475)3 (3/3)
201065 (36/29)53 (23/30)2 (1/1).551 (.610/.492)1 (1/3)
201145 (20/25)72 (38/34)3 (2/1).385 (.345/.424)4 (4/4)
201238 (22/16)77 (35/42)5 (3/2).330 (.386/.276)4 (4/4)
EDA 라이노스
201362 (35/27)57 (24/33)1 (1/0).521 (.593/.450)2 (1/4)
201458 (26/32)60 (33/27)2 (1/1).492 (.441/.542)3 (3/2)
201558 (29/29)61 (30/31)1 (1/0).487 (.492/.475)3 (2/3)
201661 (27/34)58 (33/25)1 (0/1).513 (.450/.576)2 (4/1)
푸방 가디언스
201748 (20/28)70 (38/32)2 (2/0).407 (.345/.467)4 (4/3)
201854 (27/27)66 (33/33)0 (0/0).450 (.450/.450)3 (3/4)
201963 (31/32)55 (27/28)2 (2/0).534 (.534/.533)1 (2/2)
202054 (23/31)65 (37/28)1 (0/1).454 (.383/.525)4 (4/2)
202154 (28/26)62 (31/31)4 (1/3).466 (.475/.456)4 (4/4)
202246 (16/30)70 (43/27)4 (1/3).397 (.271/.526)5 (5/3)
202348 (21/27)67 (35/32)5 (4/1).417 (.375/.458)5 (5/5)
202453 (29/24)66 (31/35)1 (0/1).445 (.483/.407)5 (4/6)



; 싱농 불스 시대


  • 리그 우승 6회 (1998년, 2000년 전기, 2003년 전기, 2004년 후기, 2005년 후기, 2010년 전기)
  • 연간 챔피언 2회 (2004년, 2005년)


; EDA 라이노스 시대

  • 리그 우승 2회 (2013년 전기, 2016년 후기)
  • 연간 챔피언 1회 (2016년)

7. 2. 포스트시즌

푸방 가디언스는 1996년 싱농 불스(興農牛, Sinon Bulls)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어, 타이중에 본사를 둔 싱농 그룹이 소유했다. 싱농 불스는 1998년, 2000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10년에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2004년과 2005년에는 대만 시리즈에서 우승했다.

2012년 말, 싱농 그룹은 팀 매각 의사를 발표했고, 이유나이티드 그룹이 팀을 인수하여 EDA 라이노스(義大犀牛)로 이름을 변경했다. EDA 라이노스는 2013년 전기 리그, 2016년 후기 리그에서 우승했고, 2016년 대만 시리즈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16년 11월, 푸본 금융 홀딩이 팀을 인수하여 현재의 푸방 가디언스(富邦悍將)로 팀명이 변경되었다.

다음은 푸방 가디언스의 포스트시즌 진출 기록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팀명리그 우승대만 시리즈 우승
1998년싱농 불스OX
2000년싱농 불스OX
2003년싱농 불스OX
2004년싱농 불스OO
2005년싱농 불스OO
2010년싱농 불스OX
2013년EDA 라이노스OX
2016년EDA 라이노스OO


7. 3. 아시아 시리즈

푸방 가디언스는 2005년 대만 시리즈 우승 후 일본에서 열린 제1회 코나미컵 아시아 시리즈에 참가했다. 중국 리그 올스타팀을 꺾었지만, 일본과 한국의 챔피언에게 패하며 1승 2패를 기록했다.[1] 2013년에는 EDA 라이노스라는 팀명으로 아시아 시리즈에 다시 참가하였으나, 2패만을 기록하고 탈락하였다.

연도풀 리그결승 라운드
순위상대팀결과
2005123탈락
EDA 라이노스(EDA Rhinos)
2013023탈락


참조

[1] Yahoo! Sports Manny Ramirez agrees to play in Taiwan https://sports.yahoo[...]
[2] 뉴스 The inspiring underdog story of the EDA Rhinos http://www.chinapost[...] chinapost.com.tw 2016-11-04
[3] 뉴스 EDA Rhinos renamed Fubon Guardians after Fubon takeover http://focustaiwan.t[...] focustaiwan.tw 2016-11-15
[4] 뉴스 New name for Rhinos to be Fubon Guardians http://www.chinapost[...] chinapost.com.tw 2016-11-16
[5] 문서 当時の親会社は俊国建設であった。
[6] 서일본신문 台湾プロ野球が存続危機 不祥事続発球団身売り http://www.nishinipp[...] 서일본신문
[7] 뉴스 삼성·대만쥔궈 결연 신인1명 매년 파견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4-01-07
[8] 뉴스 "<프로야구소식>-한희민 대만프로야구로 진출"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1994-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